{{{#!wiki style="color: #1868D6;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555; margin: -6px -1px -12px" |
|
|
|
|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
|
|
|
||
독일 |
라트비아 |
|
루마니아 | |
|
|
|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몬테네그로 | |
|
|
|
||
몰도바 |
몰타 |
벨기에 |
벨라루스 | |
|
|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북아일랜드 |
불가리아 | |
|
|
|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
|
|
|
||
스코틀랜드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
|
|
|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
|
|
|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오스트리아 | |
|
|
|
||
우크라이나 |
웨일스 |
이스라엘 |
이탈리아 | |
|
|
|
||
잉글랜드 |
조지아 |
지브롤터 |
체코 | |
|
|
|
||
카자흐스탄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
|
|
|
||
튀르키예 |
페로 제도 |
포르투갈 |
폴란드 | |
|
|
|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
||
남자 ·
여자 ·
풋살 |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 남자 · 여자 · 풋살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72ce 70%, #0072ce 80%, #000 80%, #000 90%, #fff 90%, #fff)"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000><colbgcolor=#fff> 상징 |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에스토니아 공국 · 리보니아( 리보니아 검의 형제기사단) · 러시아 제국 · 에스토니아 제1공화국 · 소련(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대통령 · 총리 · 입법부 · 스텐보크 하우스 | |
외교 | 외교 전반 · 발트 3국 · 유럽연합 | |
경제 |
경제 전반 · |
|
국방 | 에스토니아군 · 독립 전쟁 | |
문화 | 문화 전반 · 에스토니아 신화 · 에스토니아 요리 · 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 에스토니아 영화 · 에스토니아어 | |
지리 | 탈린 · 타르투 · 행정구역( 틀) | |
인물 | 루이스 칸 · 콘스탄틴 패츠 · 파울 케레스 · 카르멘 카스 · 케르스티 칼률라이드 · 카야 칼라스 · 알라르 카리스 | |
민족 | 에스토니아인 · 러시아계 에스토니아인 · 세투인 · 에스토니아계 러시아인 · 에스토니아계 미국인 · 리보니아인 | |
기타 | 스카이로드 · Skype · e-Residency |
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 |
Eesti jalgpallikoondis | |
정식명칭 | Eesti jalgpallikoondis[1] |
FIFA 코드 | EST |
협회 | 에스토니아 축구 협회 (EJL) |
연맹 | 유럽 축구 연맹 (UEFA) |
FIFA 랭킹 | 123위[2] |
Elo 랭킹 | 117위[3] |
감독 |
[[에스토니아| ]][[틀:국기| ]][[틀:국기| ]] 위르겐 헨 (Jürgen Henn) |
수석코치 |
[[에스토니아| ]][[틀:국기| ]][[틀:국기| ]] 요엘 린드페레 (Joel Lindpere) |
주장 | 카롤 메츠 (Karol Mets) |
최다출전자 | 콘스탄틴 바실리예브 (Konstantin Vassiljev) - 158경기 |
최다득점자 | 안드레스 오페르 (Andres Oper) - 38골 |
홈 구장 | A. 레 코크 아레나 (A. Le Coq Arena, 15,000석)[4] |
첫 국제경기 출전 |
VS
핀란드 (0:6 패), 핀란드 헬싱키 (1920년 10월 17일) |
최다 점수차 승리 |
VS
리투아니아 (6:0 승), 에스토니아 탈린 (1928년 7월 26일) VS 지브롤터 (6:0 승), 포르투갈 파로 (2017년 10월 7일) |
최다 점수차 패배 |
VS
핀란드 (2:10 패), 핀란드 헬싱키 (1922년 8월 11일) VS 독일 (0:8 패), 독일 마인츠 (2019년 6월 11일) |
별칭 | Sinisärgid (블루 셔츠) |
올림픽 | 출전 1회 (1924) |
유니폼 컬러 | 홈 | 어웨이 |
상의 | ||
하의 |
15 |
8 |
양말 |
에스토니아의 축구 국가대표팀을 다루는 항목.
[clearfix]
1. 개요
에스토니아의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47위(2012년 3월 7일), 최저 순위는 137위(2008년 10월 8일)이다.2. 상세
감독은 에스토니아 전 축구선수 출신인 토마스 헤벨리이다. 블루셔츠(Sinisärgid)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라이벌로는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핀란드가 있다.[5]
1950년~1992년 대회 때는 소련의 일원이었다. 소련 시절 성적으로 보려면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 참고.
발트 3국 국가대표팀들이 다 그렇듯 월드컵 본선은 한 번도 가지 못한 약체 팀이다. 유로 본선도 한 번도 가지 못했다. 네이션스 리그에서 리그 D일 정도로 약체다.[6] 그래도 발트 3국 중에선 그나마 FIFA 랭킹이 가장 높다.
그러나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 세르비아를 상대로 원정에서 3-1승, 홈에서 1-1 무승부를 거두고 북아일랜드를 4-1, 2-1로 연파하면서 조 2위까지 올라가며 플레이오프까지도 가는 놀라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비록 플레이오프에서 아일랜드에 패해 사상 첫 유로 본선 진출은 좌절되었지만 충분히 박수를 받을 만한 선전을 보여주었다.
이 외에도 2011년에 우루과이와의 친선경기에서 2-0으로 승리하기도 하였다.[7][8] 비록 그때부터 내리막길을 걷고 있지만 현 유망주들이나 해외진출 리거들을 보면 세리에A 유스팀에도 꽤 진출할 정도로 발트 3국 중에선 에스토니아가 그래도 상황이 제일 낫다.
2011년~2013년쯤이 전성기였으며 그때 멤버들이 폴란드 리그의 최우수 골키퍼 세르게이 파레이코[9], 역대 최다 득점자 안드레스 오페르, 미들즈브러의 타르모 킨크, 현 레전드 라그나르 클라반, 노르웨이리그의 레전드 라이오 피로야, 마더웰의 영플레이어 헨리크 오야마가 한 팀에 있던 역사상 최고의 스쿼드였다.
국내파 선수들이 국가대표 스쿼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해외 진출한 선수들은 주로 노르웨이 리그와 핀란드 리그에서 뛰고 있다. 최근에는 폴란드, 아일랜드로의 진출도 잦아졌다. 유망주들은 이탈리아나 포르투갈로 많이 진출한다.
UEFA 유로 2016 예선에서 유럽 최하위 산마리노 원정에서 0-0으로 비기며 산마리노 사상 첫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예선전 승점을 안겨줬다.
그렇게 하향세로 접어들 즈음, 뜬금없이 2017년에 크로아티아와의 평가전에서 상대를 3-0으로 대파하는 놀라움을 보여주었다. 이때의 크로아티아는 모드리치는 없었지만 크라마리치, 페리시치, 코바치치가 출전하는 1.5군 정도 급이 되는 선수진으로 구성되었다. 그러한 크로아티아를 상대로 대승을 거두면서 비록 친선경기였지만 놀랄 만한 결과를 만들었다.
그러나 이러한 대이변은 잠시뿐이었고,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예선에서 벨기에 원정에서 1-8로 탈탈 털렸으며 여기서 클라반이 다소 불운하게 자책골을 기록했다.
그리고 UEFA 유로 2020 예선에서 독일에게 0-8로 탈탈 털리며 97년 만에 최다 점수차 패배 타이 기록을 달성하고 말았다.[11] 하지만 평가전에서 핀란드를 상대로 1:0으로 승리했다. 그 1득점이 페널티 킥이지만 무실점을 했다는 면에서는 꽤 좋은 성과다.
로코 로베르트 셰인(위트레흐트), 막심 파스쿠치(토트넘 홋스퍼), 마르틴 베트칼(로마), 칼 헤인(레알 바야돌리드), 안드레아스 바헤르(프라이부르크), 다닐 파레이코(스팔), 게오르기 투뇨프(스팔), 수피안 구람(헤르타 베를린), 올리버 위르겐스(토리노), 케보르 팔루메츠(줄터 바래햄), 크리스토페르 캐이트(히우 아브), 카렐 무스트매(벤피카)등과 같이 유럽 주요리그 유망주들을 배출할 정도로 유망한 선수들이 과거에 비해 많이 생겼음에도 오히려 실적을 과거보다도 못내고 있다.
2010년대에 중국에게 3-0패, 카타르에게 3-0으로 패했고, 2023년에는 친선경기에서 태국상대로 밀리면서 1:1 무승부를 기록할 정도로 축구계에서 상대적으로 약한 아시아와 비교해도 약체로 분류된다. 네이션스리그 성적 덕분에 유로 2024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우선 폴란드 원정에서 이겨야 하는 매우 어려운 상황에 놓이고 말았고 결국 예상대로 1-5로 대패를 당하며 예선을 마쳤다.
라이벌인 핀란드에게 약한데 첫 국제경기 출전이 핀란드지만 6:0으로 패했고 최다 점수차 패배중 하나도 핀란드와의 10:2 경기다. 솔직히 핀란드도 강하지는 않아서 라이벌이라고는 하는데 사실 핀란드가 에스토니아보다는 강한 전력을 보유하고 있어 좀 애매한편이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나이키이다.
3.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72ce 0%, #0072ce 20%, #0072ce 80%, #0072ce)"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72ce> |
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순서 | 선수 이름 | 출전 횟수 | 첫 경기 | 마지막 경기 |
1 | 콘스탄틴 바실리예브 | 158회 | 2006.5.31 | 2024.6.4 | |
2 | 마르틴 레임 | 157회 | 1992.6.3 | 2009.6.6 | |
3 | 마르코 크리스탈 | 142회 | 1992.6.3 | 2005.4.20 | |
4 | 안드레스 오페르 | 134회 | 1995.5.19 | 2014.5.26 | |
5 | 라그나르 클라반 | 129회 | 2003.7.3 | 2024.3.22 | |
6 | 에나르 야거 | 126회 | 2002.10.12 | 2017.11.9 | |
7 | 마르트 폼 | 120회 | 1992.6.3 | 2009.6.10 | |
8 | 드미트리 크루글로프 | 114회 | 2004.10.13 | 2019.3.26 | |
라이오 피로야 | 1998.11.21 | 2015.3.31 | |||
크리스텐 비이크메 | 1997.1.26 | 2013.6.3 | |||
세르게이 제노이프 | 2008.8.20 | 2024.10.11 | |||
12 | 알렉산드르 드미트리예프 | 106회 | 2004.2.18 | 2018.3.27 | |
요엘 린드페레 | 1999.11.1 | 2016.6.1 | |||
14 | 인드렉 젤린스키 | 103회 | 1994.5.7 | 2010.5.21 | |
15 | 카롤 메츠 | 100회 | 2013.11.19 | 2024.11.19 |
4. 현재 선수 명단
{{{#!wiki style="color:#000;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72ce" |
<rowcolor=#000>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골 | 소속 클럽 |
<colbgcolor=#fff> GK | <colbgcolor=#fff> 1 |
<colbgcolor=#fff>
마르코 메리츠 (Marko Meerits) |
<colbgcolor=#fff> 1992년 4월 26일 ([age(1992-04-26)]세) | <colbgcolor=#fff> 14 | <colbgcolor=#fff> 0 | <colbgcolor=#fff> 넘메 칼류 FC | |
12 |
칼 야콥 헤인 (Karl Jakob Hein) |
2002년 4월 13일 ([age(2002-04-13)]세) | 30 | 0 | 레알 바야돌리드 CF | ||
22 |
카를 안드레 발네르 (Karl Andre Vallner) |
1998년 2월 28일 ([age(1998-02-28)]세) | 1 | 0 | FCI 레바디아 탈린 | ||
DF | 2 |
매르텐 쿠스크 (Märten Kuusk) |
1996년 4월 5일 ([age(1996-04-05)]세) | 26 | 0 | 우이페슈트 FC | |
3 |
아르투르 피크 (Artur Pikk) |
1993년 3월 5일 ([age(1993-03-05)]세) | 51 | 1 | 오드라 오폴레 | ||
6 |
라스무스 페트손 (Rasmus Peetson) |
1995년 5월 3일 ([age(1995-05-03)]세) | 9 | 1 | FCI 레바디아 탈린 | ||
13 |
막심 파스콧시 (Maksim Paskotši) |
2003년 1월 19일 ([age(2003-01-19)]세) | 19 | 0 | 글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 ||
16 |
요나스 탐 (Joonas Tamm) |
1992년 2월 2일 ([age(1992-02-02)]세) | 54 | 4 | 보테프 플로프디프 | ||
18 |
카롤 메츠 (Karol Mets) |
1993년 5월 16일 ([age(1993-05-16)]세) | 88 | 0 | FC 장크트 파울리 | ||
19 |
켄 칼라스테 (Ken Kallaste) |
1988년 8월 31일 ([age(1988-08-31)]세) | 57 | 0 | FC 플로라 | ||
21 |
니키타 바라노브 (Nikita Baranov) |
1992년 8월 19일 ([age(1999-03-10)]세) | 46 | 0 | FC 퓨닉 | ||
MF | 4 |
마티아스 캐이트 (Mattias Käit) |
1998년 6월 29일 ([age(1998-06-29)]세) | 50 | 8 | FC 라피드 부쿠레슈티 | |
5 |
로코 로버트 쉐인 (Rocco Robert Shein) |
2003년 7월 14일 ([age(2003-07-14)]세) | 6 | 0 | FC 도르드레흐트 | ||
7 |
게오르기 투니오브 (Georgi Tunjov) |
2001년 4월 17일 ([age(2001-04-17)]세) | 11 | 0 | 델피노 페스카라 1936 | ||
11 |
헨릭 오야마 (Henrik Ojamaa) |
1991년 5월 20일 ([age(1991-05-20)]세) | 61 | 1 | FC 플로라 | ||
14 |
콘스탄틴 바실리예브 (C) (Konstantin Vassiljev) |
1984년 8월 16일 ([age(1984-08-16)]세) | 152 | 26 | FC 플로라 | ||
17 |
마르틴 밀레르 (Matin Miller) |
1997년 9월 25일 ([age(1997-09-25)]세) | 27 | 2 | FC 플로라 | ||
20 |
마르쿠스 폼 (Markus Poom) |
1999년 2월 27일 ([age(1999-02-27)]세) | 17 | 0 | 샴록 로버스 FC | ||
21 |
블라시우 신야브스키우 (Vlasiy Sinyavskiy) |
1996년 11월 27일 ([age(1996-11-27)]세) | 27 | 0 | 1. FC 슬로바츠코 | ||
FW | 8 |
헨리 아니에르 (Henri Anier) |
1990년 12월 17일 ([age(1990-12-17)]세) | 87 | 21 | 리맨 FC | |
9 |
에릭 소르가 (Erik Sorga) |
1999년 7월 8일 ([age(1999-07-08)]세) | 27 | 4 | 숨가이트 FK | ||
10 |
세르게이 제니오브 (Sergei Zenjov) |
1989년 4월 20일 ([age(1989-04-20)]세) | 107 | 17 | FC 플로라 | ||
15 |
알렉스 마티아스 탐 (Alex Matthias Tamm) |
2001년 7월 24일 ([age(2001-07-24)]세) | 1 | 0 | JK 넘메 칼리우 | ||
일정 | UEFA 유로 2024 예선 | 2023년 9월 10일(일) | 홈 | 스웨덴 | |||
2023년 9월 13일(수) | 원정 | 벨기에 | |||||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9월 23일 |
5. 역대전적
5.1. FIFA 월드컵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에스토니아 제1공화국 | |||||||||
1930년 우루과이 |
불참 | ||||||||
1934년 이탈리아 |
예선 탈락 | ||||||||
1938년 프랑스 |
예선 탈락 | ||||||||
※ 소련의 일부 ( 러시아에 승계) | |||||||||
1950년 브라질 |
독립 이전 (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
1954년 스위스 |
|||||||||
1958년 스웨덴 |
|||||||||
1962년 칠레 |
|||||||||
1966년 잉글랜드 |
|||||||||
1970년 멕시코 |
|||||||||
1974년 서독 |
|||||||||
1978년 아르헨티나 |
|||||||||
1982년 스페인 |
|||||||||
1986년 멕시코 |
|||||||||
1990년 이탈리아 |
|||||||||
※ 에스토니아 제2공화국 | |||||||||
1994년 미국 |
예선 탈락 | ||||||||
1998년 프랑스 |
예선 탈락 | ||||||||
2002년 한일 |
예선 탈락 | ||||||||
2006년 독일 |
예선 탈락 | ||||||||
2010년 남아공 |
예선 탈락 | ||||||||
2014년 브라질 |
예선 탈락 | ||||||||
2018년 러시아 |
예선 탈락 | ||||||||
2022년 카타르 |
예선 탈락 | ||||||||
2026년 북중미 |
? | ? | ? | ? | ? | ? | ? | ? | ? |
2030년 월드컵 |
? | ? | ? | ? | ? | ? | ? | ? | ? |
2034년 사우디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5.2. 유로
연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소련의 일부 ( 러시아에 승계) | |||||||||
1960년 프랑스 |
독립 이전 (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
1964년 스페인 |
|||||||||
1968년 이탈리아 |
|||||||||
1972년 벨기에 |
|||||||||
1976년 유고슬라비아 |
|||||||||
1980년 이탈리아 |
|||||||||
1984년 프랑스 |
|||||||||
1988년 서독 |
|||||||||
※ 에스토니아 제2공화국 | |||||||||
1992년 스웨덴 |
없음[12] | ||||||||
1996년 잉글랜드 |
예선 탈락 | ||||||||
2000년 벨기에/네덜란드 |
예선 탈락 | ||||||||
2004년 포르투갈 |
예선 탈락 | ||||||||
2008년 오스트리아/스위스 |
예선 탈락 | ||||||||
2012년 폴란드/우크라이나 |
예선 탈락 | ||||||||
2016년 프랑스 |
예선 탈락 | ||||||||
2020년 유로 |
예선 탈락 | ||||||||
2024년 독일 |
? | ? | ? | ? | ? | ? | ? | ? | ? |
2028년 영국/아일랜드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6. 연령별 대표팀
6.1. U-23 대표팀
6.1.1. 올림픽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92년 대회 부터 u-23세로 나이 변경 | |||||||||
1992 바르셀로나 |
예선 탈락 | ||||||||
1996 애틀란타 |
예선 탈락 | ||||||||
2000 시드니 |
예선 탈락 | ||||||||
2004 아테네 |
예선 탈락 | ||||||||
2008 베이징 |
예선 탈락 | ||||||||
2012 런던 |
예선 탈락 |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예선 탈락 | ||||||||
2020 도쿄 |
예선 탈락 | ||||||||
2024 파리 |
예선 탈락 | ||||||||
2028 로스엔젤레스 |
|||||||||
2032 브리즈번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1]
에스토니아어
[2]
2024년 12월 19일 기준
[3]
2024년 12월 22일 기준
[4]
2002년에 에스토니아의
타르투에 본사를 둔 A.레 코크의 스폰서를 받았으며 현재는 에스토니아 1부리그인 메이스틸리리가 팀인 FC 플로라와 FCI 레바디아 탈린의 홈구장이다. UEFA 명칭은 릴레퀼라 스타디움이다.
[5]
풋볼 매니저에는 러시아도 있지만 라이벌이라 하기에는 전력차가 너무 크다.
[6]
현재는 4승 전승을 거두며 승격했다.
[7]
당시 잔디밭에 눈이 가득하였고, 우루과이는 디에고 포를란까지 나왔다.
[8]
이 경기에서
콘스탄틴 바실리예브가 골을 넣었는데 현재 에스토니아의 레전드로 평가받고 있다.
[9]
그의 아들 다닐 파레이코도 현 에스토니아 청소년 대표다.
[10]
샴록 로버스 소속이다.
[11]
1922년 핀란드전은 2-10 패배로 2골이라도 넣었지만 이번엔 무득점이다.
[12]
독립 이전에 예선이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