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8 02:58:13

에드가 곤잘레스(1983)

에드가 곤잘레스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c30452><tablebg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LG 트윈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앤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펠릭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펠릭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대톨라 파일:미국 국기.svg
해리거 파일:미국 국기.svg
테이텀 (2) 파일:미국 국기.svg
쿡슨 (3) (2)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 (3) 파일:미국 국기.svg
해리거 파일:미국 국기.svg
발데스 파일:미국 국기.svg
로마이어 (2) 파일:미국 국기.svg
린튼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만자니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퀸란 (2) 파일:미국 국기.svg
케펜 (3) 파일:미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쿡슨 (2)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트라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후타도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쿠퍼 (3) 파일:미국 국기.svg
클리어 파일:미국 국기.svg
마테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왈론드 (3) 파일:미국 국기.svg
아이바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라이어 (3) 파일:미국 국기.svg
텔레마코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베로커 (3)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 (2) 파일:미국 국기.svg
옥스프링 (3) 파일:호주 국기.svg
발데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옥스프링 파일:호주 국기.svg
브라운 (2) 파일:미국 국기.svg
페타지니 (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타지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옥스프링 (2) 파일:호주 국기.svg
바우어 (3) (2)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 (3) 파일:미국 국기.svg
오카모토 파일:일본 국기.svg
곤잘레스 (2) 파일:멕시코 국기.svg
더마트레 (3) 파일:미국 국기.svg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오단 파일:미국 국기.svg
티포드 파일:미국 국기.svg
조쉬벨 (2) 파일:미국 국기.svg
스나이더 (3)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루카스 파일:미국 국기.svg
한나한 (2)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히메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코프랜드 (2) 파일:미국 국기.svg
허프 (3)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허프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니 (3) (2)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가르시아 파일:쿠바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조셉 (2) 파일:미국 국기.svg
페게로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 파일:멕시코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 (2) 파일:멕시코 국기.svg
보어 (3) 파일:미국 국기.svg
수아레즈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플럿코 파일:미국 국기.svg
루이즈 (2)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 (3)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플럿코 (2) 파일:미국 국기.svg
오스틴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2)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 (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오스틴 파일:미국 국기.svg
엔스 파일:미국 국기.svg
치리노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에르난데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오스틴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LG 트윈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00> 1982 1983~1984 1985 1986 1987
이길환 하기룡 정삼흠 오영일 김건우
<rowcolor=#ffff00> 1988 1989 1990 1991 1992
김용수 김기범 최일언 김용수 김기덕
<rowcolor=#fff> 1993~1994 1995~1996 1997~1998 1999 2000~2001
김태원 이상훈 김용수 손혁 해리거
<rowcolor=#fff> 2002 2003~2004 2005 2006 2007
만자니오 이승호 장문석 최상덕 박명환
<rowcolor=#fff> 2008 2009 2010 2011 2012
브라운 봉중근 곤잘레스 리즈 주키치
<rowcolor=#fff> 2013 2014 2015~2017 2018~2019 2020
리즈 김선우 소사 윌슨 차우찬
<rowcolor=#fff> 2021 2022 2023 2024 2025
켈리 플럿코 켈리 엔스
}}}}}}}}} ||

에드가 곤잘레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멕시코 시리즈 우승 반지
2018

LG 트윈스 등번호 54번
이승우
(2007~2009)
곤잘레스
(2010)
주키치
(2011~2013)
}}} ||
}}} ||
파일:external/file.osen.co.kr/201209040450774366_1.jpg
에드가 곤잘레스
Édgar González
본명 에드가 헤라르도 곤잘레스 엘리손도
Édgar Gerardo González Elizondo
출생 1983년 2월 23일 ([age(1983-02-23)]세)
누에보 레온 몬테레이
국적
[[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학력 Preparatoria #16
신체 188cm, 95kg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0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 ARI)
소속팀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03~2008)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09~2010)
LG 트윈스 (2010)
술탄네스 데 몬테레이 (2010)
콜로라도 로키스 (2011)
휴스턴 애스트로스 (2012)
토론토 블루제이스 (2013)
휴스턴 애스트로스 (2013)
술탄네스 데 몬테레이 (2015~2021)
아길라 데 베라크루즈 (2021)
아세레로스 데 몽클로바 (2021)
사라페로스 데 살티요 (2022)
리엘레로스 데 아과스칼리엔테스 (2023)
피라타스 데 캄페체 (2023)
나랑헤로스 데 에르모시요 (2006/07~2015/16)
토마테로스 데 쿨리아칸 (2016/17~2018/19)
술탄네스 데 몬테레이 (2019/20~2021/22)
카녜로스 데 로스 모치스 (2022/23)
토마테로스 데 쿨리아칸 (2022/23)

1. 개요2. 선수 경력3. 방출 이후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LG 트윈스가 2010 시즌 초반 꽤 많은 기대를 받고 영입한 외국인 투수. 특히, 뛰어난 활약을 보여 줬던 로베르토 페타지니를 포기하고서 영입했던지라 그 기대가 더했다. 마이너 리그에서 779이닝을 던지면서 볼넷이 182개뿐이라 꽤 제구가 좋으리라고 생각되었다.

2. 선수 경력

3월 27일 삼성과의 대구 개막전에서 5.1이닝 4피안타(1피홈런) 2볼넷 1탈삼진 2실점으로 무난한 투구를 하며 시작은 좋았다.

그러나 4월 2일 넥센과의 잠실경기에서 홈팬들 앞에서 첫 선을 보였는데 4.2이닝 11피안타 3사사구 11실점이라는 충공깽한 투구로 패전을 당하며 에이스 역할을 기대했던 팬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선사했다.

4월 7일 사직 롯데 원정에서는 1회부터 홍성흔에게 만루홈런을 맞았고, 6이닝 6실점으로 시즌 2패째를 당했다.

4월 13일 삼성과의 홈경기는 2회에 3실점한 뒤 7회까지 무실점하면서 그래도 나아진 모습을 보여주는듯 했다. 그러나 8회 2사에서 피안타 이후 3연속 볼넷으로 밀어내기 볼넷을 내주었고 후속 투수 오상민의 분식으로 최종 성적은 7.2이닝 6실점(5자책)에 3패째를 떠안았다.

4월 18일 광주 KIA전에 선발등판 예정이었으나 우천취소되었고 4월 20일 목동 넥센전에 등판했다. 그러나 2이닝 3피안타 2사사구 1실점의 불안한 투구내용 끝에 퀵후크되었다.

4월 25일 잠실 한화전에서 6이닝 1피안타 2볼넷 3K 무실점으로 첫 QS 및 무실점 경기에 성공했다. ERA도 7.11로 낮췄다. 그러나 한화 선발 카페얀[1]을 상대로 타선의 득점지원이 없어 N/D가 되었다.

5월 1일 문학 SK전에서 지난 등판의 호투로 살아날 것이라는 기대감을 완전히 배신하며 박경완에게 1회부터 쓰리런을 얻어맞는 등 1.1이닝 4실점으로 난타당했고 LG는 SK에 4:21 대패를 당했다. 시즌 4패째.

5월 6일 두산전에서 4.1이닝 9피안타 8실점(6자책)으로 털리며 시즌 5패째를 당했다. ERA는 8.44

5월 11일 청주 한화전에서 6이닝 7피안타 2실점으로 잘 던졌지만 패전투수가 됐는데 그 이유는 한화 선발 류현진이 이날 9이닝 17K라는 대기록을 세우며 1실점 완투승을 거두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등판이 그의 한국 무대에서의 마지막 등판이 되었다. 2군에서 두산을 상대로 6이닝 1실점으로 호투했지만 끝내 5월 19일 필 더마트레의 영입 발표와 함께 웨이버 공시되었다.

멕시코 태평양 리그에서 완투와 완봉을 거듭하고 지친 몸인지라 제대로 뛸 수 없었으며, 그 결과 9경기 선발 무승 6패 평균자책점 7.68을 찍고 방출되었다. 톰 션에 버금가는 최악의 투수 스탯.

타 팀 선수들이 "노리는 척 하고 있다가 그냥 공을 보내면 흥분하는게 눈에 보였다"라고 평가했을 정도로 심리전에 약한 모습을 보였다. 5월까지 단 1승도 거두지 못했고, 결국 웨이버 공시되어 방출되었다. 한편, 이 선수를 버리고 새로 영입한 선수가 좌완 필 더마트레인데, 부상 경력이 많은지라 LG 팬들의 심장이 또 까맣게 타 들어갈 듯 했다고.

한국에서의 실패 원인에 대해 박종훈 감독이 밝히길, 구단의 동계훈련 합류 권고를 무시하고 '나 멕시코 태평양 리그 구단주랑 친구라 2월말까지 거기서 뛴다' 고 하는 바람에 전훈에 3월 되기 직전에야 합류했고, 게다가 멕시칸 윈터 리그에서 완투완봉을 해대는 등[2] 몸을 제대로 혹사했다고 한다. 이 때 언론에서는 LG의 특급용병 에드가 곤잘레스가 멕시칸 윈터 리그에서 맹활약한다고 포장했지만, 이 소식을 접한 LG 프런트와 박종훈 감독은 냉가슴만 앓아야 했다.

그리고 2010년 시즌이 끝나고 LG 트윈스는 발빠르게 벤자민 주키치 & 레다메스 리즈 두 명을 영입했다.[3]

여담으로 곤잘레스에게 LG가 거하게 데인 후 한국 프로팀에서는 윈터리그를 뛰고 있던 선수라고 해도 자기네 팀과 계약하면 그만 뛸 것을 요구하고, 재계약을 할 때는 윈터리그에 가지 말 것을 요구하는 움직임이 많아졌다. 이 때문에 베네수엘라 언론으로부터 저격을 먹기도 했다.[4]

3. 방출 이후

이후 멕시코 리그의 술탄네스 데 몬테레이, LA 다저스, 앨버쿼키 아이소톱스[5] 등 여러 팀에서 뛰다가 2011년 시즌 탬파베이 레이스에서 뛰었다. 뒤이어 같은 메이저리그 구단인 콜로라도 로키스와 계약했다. 그리고 2011년 11월 3일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어 2012 시즌에도 마이너리그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2020년 전세계가 코로나로 야구경기가 중지된 상황에서 멕시코에 엘지의 새 외국인 타자인 로베르토 라모스의 활약이 소개되었고 멕시코 언론을 통해 라모스를 응원하였다. 라모스가 어렸을때부터 알고 지냈다고. 여담으로 기사에 따르면 한국에 있었을때 가르시아에게 속아 개고기를 먹은 적이 있다고 한다. #기사
꽤 나이를 먹은 후에도 고국에서 꾸준히 뛰고 있다.

4. 관련 문서



[1] 공교롭게도 카페얀 역시 5패만 떠안으며 무승중이었다. [2] 7경기 7선발 37.2이닝으로 그렇게 완투완봉을 해댄 것은 아니다. 참고로 ERA는 2.87로 준수했고 승패는 4승 1패. [3] 2011년에는 두 외국인 투수들 모두 10승 이상을 챙겼고, 2012, 2013년에도 재계약해서 준수한 활약을 보였다. 그리고 LG는 2013 시즌 10년간의 비밀번호를 끊고 마침내 가을 야구 진출에 성공했다. [4] 해당 기사는 키움과 계약하면서 헤이수스가 베네수엘라 소속팀에서 바로 퇴단해야만 했다는 내용인데, 기사 중 아시아 구단들은 자신들의 선수들이 윈터시즌 때 모국에서 뛰는 것을 싫어한다는 언급이 대놓고 나와있다. 다만 여기서 아시아라고 하는 것을 보면 한국 외에 일본, 대만 팀과 계약을 할 때도 비슷하게 윈터리그를 뛰지 말라고 하는 것으로 보인다. [5] 다저스 산하 AAA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