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14:01:38

데니 해리거

데니 해리거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c30452><tablebg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LG 트윈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앤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펠릭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펠릭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대톨라 파일:미국 국기.svg
해리거 파일:미국 국기.svg
테이텀 (2) 파일:미국 국기.svg
쿡슨 (3) (2)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 (3) 파일:미국 국기.svg
해리거 파일:미국 국기.svg
발데스 파일:미국 국기.svg
로마이어 (2) 파일:미국 국기.svg
린튼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만자니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퀸란 (2) 파일:미국 국기.svg
케펜 (3) 파일:미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쿡슨 (2)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트라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후타도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쿠퍼 (3) 파일:미국 국기.svg
클리어 파일:미국 국기.svg
마테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왈론드 (3) 파일:미국 국기.svg
아이바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라이어 (3) 파일:미국 국기.svg
텔레마코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베로커 (3)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 (2) 파일:미국 국기.svg
옥스프링 (3) 파일:호주 국기.svg
발데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옥스프링 파일:호주 국기.svg
브라운 (2) 파일:미국 국기.svg
페타지니 (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타지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옥스프링 (2) 파일:호주 국기.svg
바우어 (3) (2)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 (3) 파일:미국 국기.svg
오카모토 파일:일본 국기.svg
곤잘레스 (2) 파일:멕시코 국기.svg
더마트레 (3) 파일:미국 국기.svg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주키치 파일:미국 국기.svg
리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오단 파일:미국 국기.svg
티포드 파일:미국 국기.svg
조쉬벨 (2) 파일:미국 국기.svg
스나이더 (3)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루카스 파일:미국 국기.svg
한나한 (2)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히메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코프랜드 (2) 파일:미국 국기.svg
허프 (3)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허프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니 (3) (2)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가르시아 파일:쿠바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소사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조셉 (2) 파일:미국 국기.svg
페게로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 파일:멕시코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 (2) 파일:멕시코 국기.svg
보어 (3) 파일:미국 국기.svg
수아레즈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플럿코 파일:미국 국기.svg
루이즈 (2)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 (3)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플럿코 (2) 파일:미국 국기.svg
오스틴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오스틴 파일:미국 국기.svg
엔스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border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LG 트윈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ffff00> 1982 1983~1984 1985 1986 1987
이길환 하기룡 정삼흠 오영일 김건우
<rowcolor=#ffff00> 1988 1989 1990 1991 1992
김용수 김기범 최일언 김용수 김기덕
<rowcolor=#fff> 1993~1994 1995~1996 1997~1998 1999 2000~2001
김태원 이상훈 김용수 손혁 해리거
<rowcolor=#fff> 2002 2003~2004 2005 2006 2007
만자니오 이승호 장문석 최상덕 박명환
<rowcolor=#fff> 2008 2009 2010 2011 2012
브라운 봉중근 곤잘레스 리즈 주키치
<rowcolor=#fff> 2013 2014 2015~2017 2018~2019 2020
리즈 김선우 소사 윌슨 차우찬
<rowcolor=#fff> 2021 2022 2023 2024
켈리 플럿코 켈리 엔스
}}}}}}}}}}}} ||

데니 해리거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등번호 41번
밥 해멜린
(1997)
데니 해리거
(1998)
마사오 키다
(1999~2000)
LG 트윈스 등번호 43번
박노식
(1995~1999)
해리거
(2000)
김수환
(2001)
LG 트윈스 등번호 24번
김기범
(1989~2000)
해리거
(2001)
퀸란
(2002~2002.5.2.)
}}} ||
}}} ||
파일:1_0(2429).jpg
데니 해리거
Denny Harriger
본명 데니스 스캇 해리거
Dennis Scott Harriger
출생 1969년 7월 21일 ([age(1969-07-21)]세)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키태닝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포드 시티 고등학교
신체 180cm, 83kg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87년 드래프트 18라운드 (전체 472번, NYM)
소속팀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98)
LG 트윈스 (2000~2001)
종교 개신교

1. 개요2. 선수 경력
2.1. 미국 시절2.2. LG 트윈스
3. 연도별 성적4. 기타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LG 트윈스 소속의 투수.

2. 선수 경력

2.1. 미국 시절

메이저리그 통산 4경기 12이닝 3패 6.75로 그냥 저냥한 성적을 기록했다. 그러나 마이너리그에서는 7시즌 연속 100이닝을 소화하였다.

2.2. LG 트윈스

2000년 마운드 보강을 위해 LG 트윈스와 계약하게 되었다. 성실하고 차분한 성격으로 코칭 스텝에게 인정을 받았다. 시범 경기에서도 준수한 활약을 펼쳤으며 개막 이후에도 괜찮은 활약을 해주었다. 비록 초반에는 타선의 불발로 승리와는 인연이 없었지만 꾸준히 안정적인 피칭을 하면서 천천히 승리를 쌓아 나갔고, 6월 25일에 시즌 10승을 달성했다.

하이라이트 영상

당시 현대의 Big 3( 정민태, 임선동, 김수경)등과 다승왕 경쟁을 할 정도로 막강한 투수였으나 LG 코칭스태프[1]는 후반기에 팀 성적을 위해 3일 휴식 4일 등판이라는 무리수를 선택하였다.[2](결국 이 무리수가 나중에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지게 된다.) 2000 시즌 성적은 17승 10패 평균 자책점 3.12, 17승은 리그 4위의 기록이며 현대의 Big 3의 공동 18승 다음 가는 승수였다. 또한 당시 외국인 투수 최다승이었다. 그리고 스탯티즈기준으로 시즌 WAR 1위를 차지했다.(7.71) [3]

하지만 플레이오프에서는 2경기 10.2이닝 6실점 5.06의 평균 자책점을 기록하면서 불안감을 나타내었다. 그렇지만 페넌트레이스 때 워낙 압도적인 성적을 보여줬기에 주저없이 LG는 재계약을 선택하였다.

2001년에도 시범경기 때까지는 괜찮은 모습을 보여 주었다. 하지만 시즌이 개막 후 작년의 모습은 온데간데 없었다. 작년의 무리한 등판의 영향이었는지 4월을 3연패로 마감하더니 시즌 내내 안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급기야는 5월 23일 경기에서 0.2이닝 5실점으로 조기 강판 당하자 덕아웃에서 글러브를 던지는 등 난동을 부렸고 김성근 감독대행은 팀 분위기를 해치는 선수라고 퇴출까지 고려하며 2군으로 보내버렸다.

결국 퇴출은 되지 않았지만 이후에도 내내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2001년 시즌 성적은 8승 11패 4.62. 2군행에도 불구하고 160이닝을 넘기는 등 이닝 이팅은 끝내주는 편이었다. 시즌이 끝난 후 고국으로 돌아갔다. 그 해 이광은이 경질되는 등 LG 전체가 영 좋지 않은 모습이었다는 걸 감안해도 부진했지만 먹은 이닝을 보면 전년도에 그렇게 혹사당하고도 버텨낸 체력도 대단한 편이다.

3.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년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1998 DET 4 0 3 0 0 12 6.75 17 1 8 0 3 2.08
MLB 통산
(1시즌)
4 0 3 0 0 12 6.75 17 1 8 0 3 2.08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2000 LG 31 225
(1위)
17
(4위)
10 0 0 3.12
(2위)
192
(공동 2위)
10 61 3 162
(3위)
1.12
(2위)
2001 28 161⅔ 8 11 0 0 4.62 161 13 80 5 104 1.49
KBO 통산
(2시즌)
59 386⅔ 25 21 0 0 3.75 353 23 141 8 266 1.28

4. 기타

한국을 떠난 후 독립리그에서 현역 생활을 이어가며 05 시즌 16승, 06 시즌 18승을 거두며 좋은 성적을 기록했으나 06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하였다. 비록 두 번째 시즌인 2001 시즌에는 그저 그런 성적을 냈지만,[4] 첫 해인 2000년 LG 트윈스 외국인 투수 중에서도 손꼽힐 정도의 활약을 펼쳤기에 지금도 LG 트윈스의 최고 용병을 뽑을 때 타자인 로베르토 페타지니와 함께 자주 꼽힌다.

입단하고 얼마 안됐을 때 부인이 숙소구경하다 방에서 성인용품이 잔뜩 나와 곤욕을 치렀다고 한다.[5]

2020년 10월 23일 광주 기아전에서 해리거 이후 무려 20년만에 LG 트윈스의 선발 15승을 기록한 선수가 등장한다. 바로 케이시 켈리.[6]

5. 관련 문서



[1] 이광은 감독 시절 [2] 1995년 시즌 후반기에 이광환 감독이 이 운영을 하다가 OB베어스에 패넌트레이스 1위자리를 내줬다. [3] 참고로 엘지소속 선수가 시즌 WAR 1위를 기록한것은 원년부터 39년의 시즌 동안 이 때가 유일하다. 의외로 백인천은 1982년 WAR 1위가 아니다. 출장 타석에 한계가 있는 타자와 달리 당시 투수는 마구잡이로 등판했기 때문에 투수에서 백인천보다 WAR을 앞선 선수가 더 많았다. 한편 해리거는 2000년 WAR 1위였으나 공교롭게도 타이틀은 한개도 따지 못해 무관에 그쳤다. 엄청난 성적을 내고도 10패나 기록했다는 거에서 보이듯 의외로 승운도 따르지 않은 편. [4] 2001 시즌에도 2000 시즌과 비슷한 성적을 냈으면 장수용병이 될수도 있었다. [5] 범인은 헤리거가 쓰기 전까지 여기서 생활한 케빈 대톨라. [6] 전체 15승으로 봐도 2001년 신윤호 이후 19년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