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8 22:53:52

메이지 시대

명치시대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제122대 천황에 대한 내용은 메이지 덴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EFA7,#5A004A>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
다이카(大化) 하쿠치(白雉) - 슈초(朱鳥) - 다이호(大宝) 게이운(慶雲) 와도(和銅)
와도(和銅) 레이키(霊亀) 요로(養老) 진키(神亀) 덴표(天平) 덴표칸포(天平感宝) 덴표쇼호(天平勝宝) 덴표호지(天平宝字) 덴표진고(天平神護) 진고케이운(神護景雲) 호키(宝亀) 덴오(天応) 엔랴쿠(延暦)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
엔랴쿠(延暦) 다이도(大同) 고닌(弘仁) 덴초(天長) 조와(承和) 가쇼(嘉祥) 닌주(仁寿) 사이코(斉衡) 덴난(天安) 조간(貞観) 간교(元慶) 닌나(仁和) 간표(寛平) 쇼타이(昌泰) 엔기(延喜) 엔초(延長) 조헤이(承平) 덴교(天慶) 덴랴쿠(天暦) 덴토쿠(天徳) 오와(応和) 고호(康保) 안나(安和) 덴로쿠(天禄) 덴엔(天延) 조겐(貞元) 덴겐(天元) 에이간(永観) 간나(寛和) 에이엔(永延) 에이소(永祚) 쇼랴쿠(正暦) 조토쿠(長徳) 조호(長保) 간코(寛弘) 조와(長和) 간닌(寛仁) 지안(治安) 만주(万寿) 조겐(長元) 조랴쿠(長暦) 조큐(長久) 간토쿠(寛徳) 에이쇼(永承) 덴기(天喜) 고헤이(康平) 지랴쿠(治暦) 엔큐(延久) 조호(承保) 조랴쿠(承暦) 에이호(永保) 오토쿠(応徳) 간지(寛治) 가호(嘉保) 에이초(永長) 조토쿠(承徳) 고와(康和) 조지(長治) 가쇼(嘉承) 덴닌(天仁) 덴에이(天永) 에이큐(永久) 겐에이(元永) 호안(保安) 덴지(天治) 다이지(大治) 덴쇼(天承) 조쇼(長承) 호엔(保延) 에이지(永治) 고지(康治) 덴요(天養) 규안(久安) 닌페이(仁平) 규주(久寿) 호겐(保元) 헤이지(平治) 에이랴쿠(永暦) 오호(応保) 조칸(長寛) 에이만(永万) 닌난(仁安) 가오(嘉応) 조안(承安) 안겐(安元) 지쇼(治承) 요와(養和) 주에이(寿永) 겐랴쿠(元暦)
[[가마쿠라 시대|
가마쿠라
시대]]
겐랴쿠(元暦) 분지(文治) 겐큐(建久) 쇼지(正治) 겐닌(建仁) 겐큐(元久) 겐에이(建永) 조겐(承元) 겐랴쿠(建暦) 겐포(建保) 조큐(承久) 조오(貞応) 겐닌(元仁) 가로쿠(嘉禄) 안테이(安貞) 간키(寛喜) 조에이(貞永) 덴푸쿠(天福) 분랴쿠(文暦) 가테이(嘉禎) 랴쿠닌(暦仁) 엔오(延応) 닌지(仁治) 간겐(寛元) 호지(宝治) 겐초(建長) 고겐(康元) 쇼카(正嘉) 쇼겐(正元) 분오(文応) 고초(弘長) 분에이(文永) 겐지(建治) 고안(弘安) 쇼오(正応) 에이닌(永仁) 쇼안(正安) 겐겐(乾元) 가겐(嘉元) 도쿠지(徳治) 엔쿄(延慶) 오초(応長) 쇼와(正和) 분포(文保) 겐오(元応) 겐코(元亨) 쇼추(正中) 가랴쿠(嘉暦) 겐토쿠(元徳)
남조
겐코(元弘)
북조
겐토쿠(元徳) 쇼쿄(正慶)
겐코(元弘) 쇼쿄(正慶)
겐코(元弘) 겐무(建武)
[[무로마치 시대|
무로마치
시대]]
남조
엔겐(延元) 고코쿠(興国) 쇼헤이(正平) 겐토쿠(建徳) 분추(文中) 덴주(天授) 고와(弘和) 겐추(元中)
북조
겐무(建武) 랴쿠오(暦応) 고에이(康永) 조와(貞和) 간노(観応) 분나(文和) 엔분(延文) 고안(康安) 조지(貞治) 오안(応安) 에이와(永和) 고랴쿠(康暦) 에이토쿠(永徳) 시토쿠(至徳) 가케이(嘉慶) 고오(康応) 메이토쿠(明徳)
메이토쿠(明徳) 오에이(応永) 쇼초(正長) 에이쿄(永享) 가키쓰(嘉吉) 분안(文安) 호토쿠(宝徳) 교토쿠(享徳) 고쇼(康正) 조로쿠(長禄) 간쇼(寛正) 분쇼(文正) 오닌(応仁)
[[센고쿠 시대|
센고쿠
시대]]
오닌(応仁) 분메이(文明) 조쿄(長享) 엔토쿠(延徳) 메이오(明応) 분키(文亀) 에이쇼(永正) 다이에이(大永) 교로쿠(享禄) 덴분(天文) 고지(弘治) 에이로쿠(永禄) 겐키(元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겐키(元亀) 덴쇼(天正) 분로쿠(文禄) 게이초(慶長)
게이초(慶長) 겐나(元和) 간에이(寛永) 쇼호(正保) 게이안(慶安) 조오(承応) 메이레키(明暦) 만지(万治) 간분(寛文) 엔호(延宝) 덴나(天和) 조쿄(貞享) 겐로쿠(元禄) 호에이(宝永) 쇼토쿠(正徳) 교호(享保) 겐분(元文) 간포(寛保) 엔쿄(延享) 간엔(寛延) 호레키(宝暦) 메이와(明和) 안에이(安永) 덴메이(天明) 간세이(寛政) 교와(享和) 분카(文化) 분세이(文政) 덴포(天保) 고카(弘化) 가에이(嘉永) 안세이(安政) 만엔(万延) 분큐(文久) 겐지(元治) 게이오(慶応)
일세일원제
메이지(明治) 다이쇼(大正) 쇼와(昭和) 헤이세이(平成) 레이와(令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시대
{{{#!wiki style="" }}}

{{{#!wiki style=""
}}}
{{{#!wiki style="" }}}
가마쿠라 시대 {{{#!wiki style="" }}}
무로마치 시대 {{{#!wiki style=""
}}}
{{{#!wiki style="" }}}
}}}}}}}}}

메이지 시대
明治
<colbgcolor=#bd0029><colcolor=#dca600> 일본어 [ruby(明, ruby=めい)] [ruby(治, ruby=じ)]
개막 1868년 10월 23일
종막 1912년 7월 29일 (45년)
천황 무쓰히토 천황
내각총리대신
[ 펼치기 · 접기 ]
이토 히로부미 (1885~1888, 1892~1896, 1898, 1900~1901)
구로다 기요타카 (1888~1889)
야마가타 아리토모 (1889~1891, 1898~1900)
마쓰카타 마사요시 (1891~1892, 1896~1898)
오쿠마 시게노부 (1898)
가쓰라 다로 (1901~1906, 1908~1911)
사이온지 긴모치 (1906~1908, 1911~1912)
이전 게이오 (慶應)
다음 다이쇼 (大正)

1. 개요2. 메이지 유신3. 출생
3.1. 실존인물
3.1.1. 메이지 원년 ~ 9년(1868~1876)3.1.2. 메이지 10년대(1877~1886)3.1.3. 메이지 20년대(1887~1896)3.1.4. 메이지 30년대(1897~1906)3.1.5. 메이지 40년대(1907~1912)
3.2. 가상인물
4. 사건
4.1. 메이지 원년 ~ 메이지 9년( 1868년 ~ 1876년)4.2. 메이지 10년대( 1877년 ~ 1886년)4.3. 메이지 20년대( 1887년 ~ 1896년)4.4. 메이지 30년대( 1897년 ~ 1906년)4.5. 메이지 40년대( 1907년 ~ 1912년)
5. 이 시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

[clearfix]

1. 개요

메이지 천황이 재위했던 시기에 사용한 일본 연호이자 시대 구분으로 서력으로는 1868년 ~ 1912년에 해당한다.

유럽 벨 에포크 시대(1871~1914)와 기간이 거의 일치한다. 한자로는 (명치), 전각 문자 한 글자 공간에 넣으면 .

주역》<설괘전()>에 나오는 ‘ (성인남면이청천하향명이치: 성인은 남쪽을 향하여 앉아 천하를 듣고, 밝은 곳을 향하여 다스린다)’라는 구절에서 유래했다. 이 연호는 1428년부터 후보로 등장했으나[1] 총 10번이나 탈락한 뒤 겨우 선정되었다.

이 시절부터 일세일원제()[2]가 채택되었기 때문에 무쓰히토 천황의 재위기간을 메이지 시대라고 부르며, 무쓰히토 천황을 가리켜 메이지 천황이라고도 부른다.

사실 메이지 천황 즉위 이듬해인 1868년까지 선황인 고메이 천황의 연호인 게이오()를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에서의 일세일원제는 아니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본래 동아시아권 연호 군주가 사망하더라도 당해년까지는 전황의 재위년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1867년까지 게이오 연호를 쓴 것은 정상적이다. 하지만 메이지라는 연호가 채택된 것은 1868년 9월인데, 사망한 전임 천황의 연호를 1년 넘게 사용했다는 점은 확실히 드문 예라고 할 수 있다. 여하튼 메이지로 개원함과 동시에 연호를 1868년 1월까지 당겨서 소급적용했기 때문에 일세일원제가 확립되었다고 하는 것이다. 즉, 1868년 음력 9월 8일(양력 10월 23일), 연호를 '메이지'로 개원하면서 이를 소급하여 게이오 4년 1월 1일부터 메이지 원년 1월 1일로 고쳤다. 그리고 '일세일원의 조'를 발표해 이제부터는 한 천황에 하나의 연호만을 쓰도록 공포했다.

실질적으로는 1868년 10월 23일에 메이지 연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후 메이지 5년 11월 9일(양력 12월 9일)에 태정관포고 337호(개력의 포고)를 공포, 메이지 5년 12월 2일(양력 1872년 12월 31일)까지만 태음력(천보력)을 사용하고, 그 이튿날을 메이지 6년 1월 1일(양력 1873년 1월 1일)로 고치면서 태음력을 폐지하고 태양력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메이지 5년 12월 3일부터 12월 30일까지의 28일간은 존재하지 않는다.[3]

문제는 근대 일본은 연대를 셀 때 서력기원을 병기하지 않고, 연호만을 표기했기 때문에, 메이지 20년대와 30년대는 각각 1887년부터 1896년, 1897년부터 1907년이 되어 우리에게 익숙한 서기연도와 대응시켜 이해하기가 힘들다.

2. 메이지 유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이지 유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출생

3.1. 실존인물

3.1.1. 메이지 원년 ~ 9년(1868~1876)

3.1.2. 메이지 10년대(1877~1886)

3.1.3. 메이지 20년대(1887~1896)

3.1.4. 메이지 30년대(1897~1906)

3.1.5. 메이지 40년대(1907~1912)

3.2. 가상인물

4. 사건

일본 국내외에서 있던 사건 모두 포함한다.

연도 표기는 메이지 연호와 서기 병기.

이중에서 몇몇에 해당하는 사건은 아래와 같이 표기.
  • 조선, 일본 양국과 연관된 사건( 1910년 8월 29일 이전): <朝日>
  • 일본 국외에서 있었던 사건 중 일본과 연관된 사건: <日外>
  • 일본 제국의 식민지에서 발생한 사건: <植>
  • 일본 제국의 전쟁과 관련된 사건: <日帝戰>

4.1. 메이지 원년 ~ 메이지 9년( 1868년 ~ 1876년)

4.2. 메이지 10년대( 1877년 ~ 1886년)

4.3. 메이지 20년대( 1887년 ~ 1896년)

4.4. 메이지 30년대( 1897년 ~ 1906년)

  • 의화단 운동 발발<日帝戰> - 메이지 32년(1899년) 11월 2일
  • 의화단 운동 종전<日帝戰> - 메이지 34년(1901년) 9월 7일
  • 러일전쟁 발발<日帝戰> - 메이지 37년(1904년) 2월 8일
  • 가쓰라-태프트 밀약<朝日> - 메이지 38년(1905년) 7월 29일
  • 러일전쟁 종전<日帝戰> - 메이지 38년(1905년) 9월 5일
  • 히비야 방화 사건 발생 - 메이지 38년(1905년) 9월 5일
  • 을사조약 체결<朝日> - 메이지 38년(1905년) 11월 17일
  • 통감부 설치<朝日> - 메이지 39년(1906년) 2월 1일

4.5. 메이지 40년대( 1907년 ~ 1912년)

5. 이 시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

대한제국 구한말만큼이나 서양 문물이 본격적으로 밀고 들어오던 첫 근대화 시기이자 격동의 시대였던지 창작물에서도 배경으로 종종 쓰인다.

[1] 1428, 1487, 1648, 1652, 1681, 1711, 1748, 1848, 1861, 1864 [2] 군주가 재위기간 내내 한 연호만을 쓰고, 군주가 바뀌면 연호도 동시에 바꾸는 제도. ex) 요시히토 - 다이쇼, 히로히토 - 쇼와, 아키히토 - 헤이세이, 나루히토 - 레이와 / 군주가 일세일원제 이전처럼 정치적 혹은 주술적인 이유로 연호를 수시로 갈아치우면 해(연도)를 셀 때 여러 가지로 피곤해지기 때문에 한번 연호를 정하면 못 바꾸도록 한 것이다. 중국에서는 앞서 명대부터 시행되었다. 일본에서는 일세일원제 시행 이후 연호를 알파벳 이니셜로 표기하는 관습이 있다. 메이지는 M, 다이쇼는 T, 쇼와는 S, 헤이세이는 H, 레이와는 R 하는 식이다. 그런 이유로 새 연호를 채택할 때 뜻은 물론이거니와 알파벳 이니셜도 이전 것과 겹치지 않도록 정한다. [3] 메이지 5년까지는 태음력을 사용했기 때문에 월의 대소가 고정되지 않고 매해 변경되었기 때문에, 본래의 태음력으로는 메이지 5년 12월은 30일이었다. [4] 일본의 최장수 노인이었던 사람. [5] 방계 황족으로 태어났으나 내선일체를 내세운 일본 정부와 황족에서 영친왕과의 정략적인 결혼을 추진해 결혼하였다. [6] 과거 일본의 최장수 노인. 사망 당시인 2013년 한국 나이로 117세. 19세기에 태어난 전세계 남성 중 최후의 1인. 1920년대 문화통치시기에 조선총독부에서 통역으로 잠깐 일한 경력이 있으며, 이후엔 우체부로 살았다. [7] 1903년~ 2022년. 122세에 사망한 잔 루이즈 칼망 다음으로 장수한 인물이다. [스포일러] 소녀왕국표류기의 촌장 할멈으로 사실 1854년생으로 18세 때인 1872년 유럽의 기술을 배우러 갔다가 아이란도에 정착 후로 섬에서 147년 더 산 인간형 요괴. [9] 원작 기준으로, 애니메이션을 기준으로 할 경우 다이쇼 태생이다. [10] 제목대로 주요 캐릭터들은 다이쇼 시대 출신이지만, 이 2명은 7월 30일 이전 출생(타마키 : 2월 7일생, 사치코 : 3월 26일생)이라 시간상으로는 메이지에 해당. [11] 작중 배경이 메이지 말기에서 다이쇼 초기이다. [12] 당시 중국동맹회에 가입해 봉기에 가담한 외국인들중 일본인들이 가장 많았다고 한다. [13] 이야기 극초반 한정이며 그 이후(2년 뒤)부터는 다이쇼 시대로 진입한다. [14]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이다. [15] 쿠제 반코의 전 7권 분량의 만화. 메이지시대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가상의 국가를 배경으로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