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2 13:25:40

로버트 1세

로베르트 1세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eaa 0%, #005eb8 30%, #005eb8 70%, #003eaa);"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픽트인의 왕
알핀 왕조
키나드 1세 돔날 1세 카우산틴 1세 아드 기리크
픽트인의 왕 알바국왕
알핀 왕조
오하드 돔날 2세 카우산틴 2세 말 콜룸 1세 일둘브
알바국왕
알핀 왕조
두브 킬렌 키나드 2세 아믈리브 키나드 2세
알핀 왕조 둔켈드 왕조 머리 왕조
카우산틴 3세 키나드 3세 말 콜룸 2세 돈카드 1세 막 베하드
머리 왕조 둔켈드 왕조
룰라흐 말 콜룸 3세 돔날 3세 돈카드 2세 에트가르
둔켈드 왕조
알락산다르 1세 다비드 1세 말 콜룸 4세 일리엄 1세 알락산다르 2세
알바국왕 스코트인의 왕
둔켈드 왕조 스베리르 왕조 발리올 왕조 브루스 왕조
알락산다르 3세 마르그레트 로버트 1세 데이비드 2세
스코트인의 왕
발리올 왕조 브루스 왕조 스튜어트 왕조
에드워드 데이비드 2세 로버트 2세 로버트 3세 제임스 1세
스튜어트 왕조
제임스 2세 제임스 3세 제임스 4세 제임스 5세 메리 1세
제임스 6세 찰스 1세 찰스 2세 제임스 7세 메리 2세
윌리엄 2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00 Greatest Britons
※ 2002년 영국 BBC 방송이 영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영국인 100명'을 선정
TOP 10
<rowcolor=#ffe> 1위 2위 3위 4위 5위
윈스턴 처칠 이점바드 킹덤 브루넬 다이애나 스펜서 찰스 다윈 윌리엄 셰익스피어
<rowcolor=#ffe> 6위 7위 8위 9위 10위
아이작 뉴턴 엘리자베스 1세 존 레논 호레이쇼 넬슨 올리버 크롬웰
11위~100위
<rowcolor=#ffe>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어니스트 섀클턴 제임스 쿡 로버트 베이든 파월 알프레드 대왕 아서 웰즐리
<rowcolor=#ffe>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마거릿 대처 마이클 크로포드 빅토리아 여왕 폴 매카트니 알렉산더 플레밍
<rowcolor=#ffe>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앨런 튜링 마이클 패러데이 오와인 글린두르 엘리자베스 2세 스티븐 호킹
<rowcolor=#ffe>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윌리엄 틴들 에멀린 팽크허스트 윌리엄 윌버포스 데이비드 보위 가이 포크스
<rowcolor=#ffe>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레오나르드 체셔 에릭 모어캠브 데이비드 베컴 토머스 페인 부디카
<rowcolor=#ffe>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스티브 레드그레이브 토머스 모어 윌리엄 블레이크 존 해리슨 헨리 8세
<rowcolor=#ffe>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찰스 디킨스 프랭크 휘틀 존 필 존 로지 베어드 어나이린 베번
<rowcolor=#ffe>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보이 조지 더글러스 베이더 윌리엄 월레스 프랜시스 드레이크 존 웨슬리
<rowcolor=#ffe>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아서 왕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토머스 에드워드 로렌스 로버트 스콧 이넉 파월
<rowcolor=#ffe>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클리프 리처드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프레디 머큐리 줄리 앤드류스 에드워드 엘가
<rowcolor=#ffe>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조지 해리슨 데이비드 애튼버러 제임스 코널리 조지 스티븐슨
<rowcolor=#ffe>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찰리 채플린 토니 블레어 윌리엄 캑스턴 바비 무어 제인 오스틴
<rowcolor=#ffe>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윌리엄 부스 헨리 5세 알레이스터 크로울리 로버트 1세 밥 겔도프 ( 아일랜드인)
<rowcolor=#ffe>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무명용사 로비 윌리엄스 에드워드 제너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찰스 배비지
<rowcolor=#ffe>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제프리 초서 리처드 3세 J. K. 롤링 제임스 와트 리처드 브랜슨
<rowcolor=#ffe>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보노 ( 아일랜드인) 존 라이든 버나드 로 몽고메리 도날드 캠벨 헨리 2세
<rowcolor=#ffe>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J. R. R. 톨킨 월터 롤리 에드워드 1세 반스 월리스
<rowcolor=#ffe>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리처드 버튼 토니 벤 데이비드 리빙스턴 팀 버너스리 마리 스톱스
출처
같이 보기: BBC 선정 최악의 영국인, 위대한 인물 시리즈 }}}}}}}}}

<colcolor=#ffffff><colbgcolor=#0065bd> 스코틀랜드 왕국 브루스 왕조 초대 국왕
로버트 1세
Robert I
파일:Robert Bruce.jpg
이름 영어 Robert the Bruce
중세 게일어 Roibert a Briuis
노르만어 Robert de Brus
스코틀랜드 게일어 Raibeart Bruis
초기 스코트어 Robert Brus
라틴어 Robertus Brussius
왕호 로버트 1세 (Robert I)
출생 1274년 7월 11일
사망 1329년 6월 7일 (향년 54세)
재위기간 1306년 3월 25일 ~ 1329년 6월 7일
배우자 마의 이사벨라 (1296년 결혼 / 1296년 사망)
엘리자베스 드 버그 (1302년 결혼 / 1327년 사망)
자녀 마조리[1], 마거릿, 마틸다, 데이비드 2세, 존, 엘리자베스
아버지 6대 애넌데일 공 로버트 드 브루스
어머니 캐릭 여백작 마조리

1. 개요2. 생애3. 평가4. 기타5. 대중 매체에서의 모습6. 같이보기

[clearfix]

1. 개요

스코틀랜드 왕국 국왕.

본명은 로버트 더 브루스(Robert the Bruce)로, 현대 스코틀랜드 게일어로는 '라퍼르트 브루스'(Raibeart Brus)이며 그의 모어였을 중세 스코틀랜드어로는 '로베르트 브루스' 정도로 발음했을 것으로 보인다.

스코틀랜드의 망치(Hammer of the Scots)[2]라고 불렸던 에드워드 1세 잉글랜드 왕국으로부터 승리하여 스코틀랜드 왕국의 독립을 쟁취한 영웅이다.

스코틀랜드 왕국 노르만계 귀족 브루스 가문 출신으로, 데이비드 1세의 6세손[3][4]으로 던켈드 왕가의 모계 방계 왕족이었다.

오늘날 인명으로도 흔히 쓰이는 브루스라는 성은 노르망디 지명의 브릭스(Brix)가 유래라고 한다. 이 이름이 처음 나오는 건 《 둠즈데이 북》에 나오는 본 문서의 동명이인 남작 로베르 브루스인데[A], 당시에는 'Bruis'라는 철자로 썼다. 아마 당시에는 가문이 아니라 인물의 별명쯤이었을 것이다.

로버트 1세의 6대조 로베르[A] 브루스[7]는 스코틀랜드 왕 데이비드 1세의 친구였다고 하며, 그는 왕에 의해 애넌데일(Annandale)의 영주로 서임되었고, 이후 로버트의 6대손 로버트 1세가 브루스 왕조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여담으로 스튜어트 왕조의 왕들은 그의 후손이기도 하다. 정확히 말하면 스튜어트 왕조의 개창자인 로버트 2세가 그의 외손자다. 결과적으로는 스코틀랜드 왕국의 왕인 그의 후손들이 잉글랜드 왕국의 왕까지 겸하게 된 것이다.

영국에서 안면 스캐닝 기술을 이용해 2016년 12월 그의 생전 모습을 재현했다.

2. 생애

스코틀랜드의 왕 알렉산더 3세(Alexander III of Scotland, Alasdair III, Alaxandair mac Alaxandair, 1249 ~ 1286)가 급작스럽게 낙마로 사망하고, 그 후계자였던 마르그레트 에이릭스도티르가 어린 나이에 급사한 이후, 사실상 스코틀랜드 왕족이었던 던켈드 가문(Dunkeld, Dùn Chailleann)의 종통이 단절되었고, 곧 유력한 귀족들은 왕위를 계승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이때 잉글랜드 에드워드 1세가 스코틀랜드 귀족들의 왕위 계승 분쟁을 이용하여 스코틀랜드를 지배하려 들었고 결국 스코틀랜드의 종주권은 에드워드 1세에게 넘어갔다.

로버트 1세는 당시 대부분의 스코틀랜드 귀족들과 마찬가지로 에드워드 1세에게 굴복했고, 한때 그의 휘하에 있기도 했으나 후에 다른 귀족인 코민 가문의 일원과 말다툼 끝에 우발적으로 그를 살해한 뒤 마음을 바꾸어 스코틀랜드를 독립시키기로 결심했다(코민 가문은 친(親) 잉글랜드파 귀족 가문이었기에 그를 죽였다는 것 자체가 잉글랜드 측에겐 반역이었다). 에드워드 1세의 지배에 맞서서 1306년에 스스로를 스코틀랜드의 왕으로 칭하고 나섰으나 에드워드 1세와 잉글랜드는 결코 만만한 상대가 아니었다. 먼저 프랑스계 귀족이자 기사이며, 당시 펨브룩 2대 백작이었던 에이머 드 발랑스(Aymer de Valence 2nd Earl of Pembroke, 1275 ~ 1324)가 이끄는 주둔군이 로버트 1세와 맞닥뜨렸다. 그는 에이머에게 1대1 결투를 신청했으나 에이머는 그럴 생각이 없었고, 스코틀랜드군을 기습해서 대승을 거뒀다.[8]메스번 전투에서 로버트를 지지하는 귀족들이 대거 전사했고, 얼마후 로버트의 가족들이 포로로 잡혔으며(아내와 딸, 여동생, 남동생 닐(Neil)이 포로가 되었는데 닐 브루스는 참수당했다) 본인은 바다 건너 아일랜드로 망명하는 등 심각한 위기를 겪었다. 이때 지금의 북아일랜드 얼스터 지역에 있는 래슬린 섬에 숨어 살았다.

그렇게 섬에서의 은둔 생활 1년 뒤인 1307년, 에드워드 1세가 승하하자 로버트는 10여 명의 지지자들과 함께 브루스 가문의 영지인 스코틀랜드의 캐릭으로 돌아와 귀족들을 설득하여 지지세력을 확보했다. 이때 그의 어린 두 동생 토머스 브루스와 알렉산더 브루스를 대잉글랜드군 정탐병으로 내보냈으나 둘 모두 사로잡혀 처형당했다. 그리고 얼마후 라우든 언덕 전투에서 휘하 군대를 이끌고 잉글랜드군과 맞서 싸워 첫 번째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북부 귀족들의 충성을 받기 위해 떠났고, 에드워드 1세를 이은 에드워드 2세는 잉글랜드 내 세력 평정을 위해 잠시 스코틀랜드를 내버려 두었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 1314년, 에드워드 2세는 20,000명의 군대를 이끌고 제2차 스코틀랜드 원정에 나서게 되었고 이에 로버트 1세도 군대를 이끌고 맞서 싸우게 되었다. 스코틀랜드의 운명을 건 배넉번 전투에서 로버트는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에드워드 1세의 아들인 에드워드 2세의 군대와 대결하게 되었다. 이때 적당히 청야전술을 사용하면서 기병을 이용한 기습과 보병 대열을 사용한 뛰어난 전술로 잉글랜드군을 격파하고, 불리하게 돌아가던 전세를 역전시켰다.

이후에도 잉글랜드의 침략을 수차례 물리쳤다. 그리하여 결국 1328년 에드워드 3세 때 스코틀랜드의 독립을 인정받았으며 스코틀랜드 왕위 또한 정식으로 인정받았으나 이듬해에 승하했다. 그의 뒤를 이은 데이비드 2세는 결국 후계자를 남기지 못했고, 로버트 1세 브루스의 딸 마거릿과 윌터 스튜어트 사이에서 태어난 외손자 로버트 스튜어트가 로버트 2세로 즉위했다.

3. 평가

브레이브하트(Braveheart)[9]
스코틀랜드의 독립을 위해 에드워드 1세 때부터 에드워드 3세 때까지 3세대의 잉글랜드 왕들과 싸워 온 그야말로 근성의 사나이. 오늘날에도 스코틀랜드 독립의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으며 사실상 왕위 계승이 단절되어 잉글랜드에게 그대로 잡아먹힐 뻔한 스코틀랜드를 구원한 구국의 영웅이므로 많은 활약상과 일화를 남겼다.

로버트 1세가 잉글랜드의 군대를 격파한 배넉번 지방에는 아직도 전투 당시에 로버트 1세가 직접 깃발을 세우는 데 사용했다는 '보어의 돌'이 남아있으며, 1968년에 만들어진 스코틀랜드의 국가 스코틀랜드의 꽃》은 배넉번 전투에서 그가 거두었던 승리와 스코틀랜드의 독립을 노래한 것이다.

전략의 달인인 동시에 본인의 무술 실력도 굉장히 뛰어났다. 도피 생활 중 에드워드 1세의 추격자가 쫓아올 때나 배신자들이 잡으려고 들 때 상당한 무쌍을 찍은 적도 많고, 배넉번 전투 중에는 직접 군대를 사열하던 중 잉글랜드군의 귀족 출신 기사 헨리 드 보헌이 공격해오자 1대1로 맞서 싸워 죽였고 같이 있던 종자까지 죽여버렸다. 왕이 직접 기사와 결투를 벌여 이기는 모습에 스코틀랜드 병사들의 사기는 하늘을 찌를 듯이 높아졌고 잉글랜드 측은 깜짝 놀랐다. 다만 함께 출정했던 귀족들은 칭찬하면서도 왕이 그렇게 몸을 막 굴리면 어떡하느냐고 핀잔을 주었다(...). 틀린 말은 아닌 것이 최고 지휘관인 국왕이 함부로 최전선에 나서다 저격이라도 당하여 다치거나 죽을 경우, 군대의 사기가 바닥으로 추락하고 지휘체계가 붕괴되어 참패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반대로 성공했을 경우에는 아군에게는 버프를 적군에게는 디버프를 주므로 결과적으로는 성공이었다.

4. 기타

한국 내에서 출간된 위인 일화집 중 로버트 1세의 일화를 담고 있는 내용이 있는데 거미가 계속해서 그물이 끊어지는 상황 속에서도 계속 그물을 쳐 결국 완성시키는 것을 보고 용기를 얻어 게속 대항하기를 선택했다는 이야기.[10]

그러나 이 이야기는 본래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더글라스[11] 경의 설화였으나, 19세기 즈음에 로버트 1세의 이야기로 와전되었다고 한다. 애시당초 확실한 역사적 근거가 있는 이야기가 아니었지만, 거기에 이야기의 주인공마저도 와전된 것.

비단 한국뿐만 아니라 많은 영국인들마저도 대부분 다 로버트 1세의 이야기라고 생각하고 있다(...).[12]

5. 대중 매체에서의 모습

5.1. 영화

5.1.1. < 브레이브 하트>

영화 < 브레이브 하트>에서는 앵거스 맥페이든이 역을 맡아 주인공으로 등장한 스코틀랜드의 독립전쟁 영웅이었던 윌리엄 월레스의 동지로 묘사된다. 윌리엄 월레스의 높은 이상을 받들어 그를 후원하지만 현실의 벽에 부딪혀서 그를 배신하게 된다. 그러나 후에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윌리엄 월레스를 자신의 성으로 불러들여 재기시키고자 했지만 에드워드 1세와 그의 눈에 밉보일까봐 두려워하던 귀족들의 함정에 걸려 오히려 윌리엄 월레스를 붙잡혀 가게 만든다(...). 마지막 장면에서는 윌리엄 월레스와 함께 싸웠던 동료들과 스코틀랜드 귀족들을 규합하여 배넉번에서 잉글랜드 군대를 격퇴하고 자유를 쟁취하게 된다.

하지만 영화는 역사를 각색했기에 그대로 믿으면 안되고 실제론 윌레스와 좀 복잡한 관계다. 일단 브루스 가문 자체가 스코틀랜드 혈통이 끊기고 왕위계승 분쟁이 심하게 일어나자 잉글랜드를 견제하는 아군으로서 서로 싸우지 않았으나 왕이 되려던 로버트 1세에겐 평민들과 하급기사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는 윌레스가 다분히 방해되기도 했고, 월레스와 정치노선이나 출신도 많이 차이나는 편이니... 애당초 둘간에 영화에서 보이던 무언가 끈끈한 접촉 같은건 별로 없었고, 필요하면 협력하고 필요없으면 소 닭보듯 하는 사이에 가까웠다.

5.1.2. < 아웃로 킹>

2018년 공개된 크리스 파인이 주역 로버트 브루스를 맡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 아웃로 킹>에서는 그의 즉위부터 라우든 전투 승리까지를 다루고 있다. 윌리엄 월레스가 폴커크 전투에서 패배한 뒤, 다른 스코틀랜드 귀족들과 함께 에드워드 1세에게 굴복하지만 기회를 노리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마침내 윌리엄 월레스가 처형당하자 다시금 저항의 의지를 불태우고 왕으로 즉위한다. 그러나 잉글랜드군의 기습으로 세력을 잃고 가족도 포로로 잡힌다. 설상가상으로 스코틀랜드의 귀족들은 그를 외면하거나 공격하기까지 한다. 온갖 위험을 극복하고 다시 세력을 모은 로버트는 라우든에서 에드워드 2세를 격파하고 훗날 스코틀랜드의 독립을 쟁취한다.

제목인 <아웃로 킹>의 의미는 잉글랜드에 반기를 든 로버트 브루스를 두고 에드워드 1세가 부른 멸칭[13]이기도 하며, 또한 스토리 중간부터 기사도 따위 내다버리고 싸우는[14][15] 로버트 브루스의 행보를 의미하기도 한다.

5.1.3. < 배트맨 시리즈>

등장인물 브루스 웨인의 이름 브루스를 로버트 브루스에서 따왔다. 참고로 웨인은 미국 독립 전쟁 당시 미국의 장군 앤서니 웨인에서 따왔다고 한다. 기사

5.2. 게임

5.2.1. < 문명 6>

확장팩 흥망성쇠에서 스코틀랜드의 지도자로 등장이 확정되었다. 영상

5.2.2. < 도미네이션즈>

협의회 고문관으로 등장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협의회/로버트 더 부르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만화

네이버 웹툰 사신소년에서 이름모를 엑스트라의 코어로 등장한다. 수식어는 '스코틀랜드 독립전쟁 영웅'. 로버트 브루스의 이름값이 아까운 수준으로 전투씬도 생략당하고 주인공이 정신을 차리자마자 가슴에 칼이 꽂혀 쓰러진다. 이후 주인공 이경호가 회수하여 사용하는데 이전보다는 유의미하게 사용한다. 주된 능력 및 활용처는 뛰어난 방어력으로 보인다.

6. 같이보기


[1] 로버트 2세의 어머니. [2] 스코틀랜드군을 격파해 잉글랜드에 복속시키고, 이후 스코틀랜드 독립을 위해 활약한 윌리엄 월레스를 붙잡아 죽였기 때문에 붙은 별명이다. [3] 데이비드 1세의 아들 헨리의 손녀가 그의 증조할머니였다. [4] 참고로 데이비드 1세의 아들 헨리는 아버지보다 일찍 죽어 왕이 되지 못했다. [A] 노르만계 귀족 출신이므로 노르만어 발음으로 기재 [A] [7] 6대조부터 아버지까지 로버트 1세와 같은 동명이인이르. [8] 일요일 지나서 결투하자고 해놓고 에이머가 통수를 친다. 안식일인 일요일이기에 모두 휴식 모드였던 로버트의 군대는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패배했다. 이 전투를 메스번 전투라고 부른다. 기사도 따위는 없는 이 비겁한 공격으로 인해 로버트 또한 훗날 인정사정없이 잉글랜드군을 궤멸시켜버린다. [9] 영화 < 브레이브 하트>를 본 사람들은 윌리엄 월레스의 별명으로 생각하겠지만 사실은 로버트 1세 브루스의 별명이다. [10] 티무르에게도 비슷한 일화가 있다. 패배하여 숨어든 곳에서 최후를 각오하고 비탄에 잠겨있을 때, 개미가 자기 몸보다 큰 먹이를 물고 벽을 타고 올라가다가 미끄러지기를 반복하며 결국 올라가는 모습을 보고 재기의 희망과 용기를 되찾았다는 이야기. [11] 실제 역사에서 제임스 더글라스는 용맹했던 인물로 잉글랜드에서는 'Black Douglas'란 별명으로 불리는 공포의 대상이었다고 한다. 특히 스코틀랜드에서 손꼽히게 뛰어난 명장인데 로버트 브루스가 스코틀랜드 독립전쟁에서 스코틀랜드군을 총 지휘하는 총사령관에 임명할 정도로 신뢰하는 최측근이었다. 더글러스는 로버트 1세 브루스 사후에는 스코틀랜드를 떠나서 레콩키스타에 참전하여 카스티야 왕국을 위해 싸우다가 테바 전투에서 44세의 나이로 전사했다. [12] 참조 [13] 무법자라는 뜻이다. [14] 변장하고 성에 숨어 들어 기습으로 성을 뺏고, 빼앗은 성을 불태워버리는 청야전술 등. 마지막 라우든 언덕 전투 직전엔 병사들에게 “국가를 위해서건 가족을 위해서건 싸워만 준다면 이유 따윈 상관없다”고 아예 대놓고 질러버린다. [15] 다만 작중에서 기사도를 먼저 버린건 잉글랜드 쪽으로 이 때문에 로버트는 딸과 아내가 사로잡히고 동생을 참혹하게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