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강기동 | 구춘선 | 권동진 | 권병덕 | 김경천 | |
김동삼 | 김병조 | 김붕준 | 김상옥 |
|
|
김완규 | 김익상 | 김지섭 | 김하락 | 나석주 | |
나용환 | 나인협 | 남상덕 | 남자현 | 노백린 | |
린썬 | 문창범 | 문태수 | 민긍호 | 민종식 | |
박열 | 박승환 | 박용만 | 박은식 | 박준승 | |
백용성 | 신규식 | 신돌석 | 신석구 | 신채호 | |
신홍식 | 쑨커 | 안재홍 | 양기탁 | ||
양전백 | 양한묵 | 여운형 | |||
여지이 | 연기우 | 오세창 | 오화영 | 유동열 | |
유여대 | 유인석 | 윤기섭 | 우빈 | 이갑성 | |
이동녕 | 이동휘 | 이명룡 | 이범석 | 이범윤 | |
이봉창 | 이상설 | 이상재 | 이승희 | 이위종 | |
이은찬 | 이인영 | 이재명 | 이종일 | 이종훈 | |
이필주 | 임예환 | 장건상 | 장인환 | 전명운 | |
전해산 | 정환직 | 조성환 | 조완구 | 주시경 | |
주자화 | 지청천 | 채상덕 | 천청 | 최석순 | |
최성모 | 편강렬 | 홍기조 | 홍범도 | ||
홍병기 | 황싱 | 후한민 | |||
[A] 친일 행적으로 인한 서훈 취소 | }}}}}}}}}}}} |
<colcolor=#fff>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aaa |
가네코 후미코 | 강원신 | 강혜원 | 공백순 | 권기옥 |
권애라 | 김경화 | 김덕세 | 김도연 | 김마리아¹ | |
김마리아² | 김란사 | 김순애 | 김알렉산드라 | 김자혜 | |
김점순 | 김정숙 | 김조이 | 김향화 | 김효숙 | |
남자현 | 동풍신 | 민영주 | 박계남 | 박신애 | |
박원희 | 박자혜 | 박차정 | 박현숙 | 방원희 | |
부덕량 | 부춘화 | 신마실라 | 신순호 | 신의경 | |
신정숙 | 심영신 | 안경신 | 안영희 | 양방매 | |
어윤희 | 연미당 | 오건해 | 오광심 | 오희영 | |
오희옥 | 유관순 | 유순희 | 윤용자 | 윤희순 | |
이병희 | 이신애 | 이의순 | 이혜련 | 이효정 | |
이희경 | 장매성 | 장선희 | 전수산 | 전월순 | |
정정화 | 조마리아 | 조순옥 | 조신성 | 조화벽 | |
주세죽 | 지복영 | 차경신 | 차미리사 | 차보석 | |
최선화 | 최용신 | 최정숙 | 홍애시덕 | 황마리아 | |
황애시덕 |
|
|
본관 | 영양 남씨[1] |
출생 | 1872년 12월 7일 |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일직현 송리 (현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송리리)[2][3] |
|
사망 | 1933년 8월 22일 (향년 60세) |
만주국
지린성 하얼빈특별시 (現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
|
상훈 |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 |
[clearfix]
1. 개요
난공불락, 왜세의 도마 위에
섬섬옥수 열 손가락 얹어 놓고 하는 말
천지신명 듣거든 사람세상 발원이요
탄압의 말뚝에 국적 따로 있으리까
조선여자 무명지 단칼에 내리치니
피로 받아쓴 대한여자독립원
아직도 떠도는 아낙의 무명지
— 고정희.〈남자현의 무명지〉
한국의
독립운동가.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받았다.섬섬옥수 열 손가락 얹어 놓고 하는 말
천지신명 듣거든 사람세상 발원이요
탄압의 말뚝에 국적 따로 있으리까
조선여자 무명지 단칼에 내리치니
피로 받아쓴 대한여자독립원
아직도 떠도는 아낙의 무명지
— 고정희.〈남자현의 무명지〉
청산리 대첩의 부상자들을 치료한 것을 계기로 '만주 독립군의 어머니'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독립운동 세력의 분열을 비판하고 독립을 위해 3번[4]이나 단지( 손가락 절단)한 것으로도 유명하다.[5]
2. 생애
1872년 12월 7일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일직현 송리(현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송리리)에서 유학자인 아버지 남정한(南珽漢)과 어머니 진성 이씨 이원준(李元俊)의 딸 사이의 1남 3녀 중 막내 딸로 태어났다. 그녀는 송리리 입향조 남창년(南昌年)의 12대손이다.일찍이 아버지의 제자였던 의성 김씨 김영주(金永周)[6]와 결혼했으나 김영주는 그가 23살 되던 1895년에 을미의병에 가담했다가 전사하였다. 이후 평범한 전업 주부로 외아들 김선태(金善台)를 키우다가 1919년 3.1 운동 이후 할머니의 몸으로 아들 가족과 함께 만주로 망명하였으며, 김동삼의 서로군정서에 참여하며 독립운동 세력의 지원 업무를 담당하였다.
1926년 사이토 마코토 총독의 암살을 위해 경성부에 잠입하였지만 거사 직전에 송학선 의사가 먼저 의거를 일으키는 바람에 경계가 강화되어 다시 만주로 돌아왔다. 1933년 주 만주국 일본 대사 무토 노부요시(武藤信義)의 암살을 기획하였다. 거사일이 되어 얼굴에 상처를 내고 거지로 분장하여 잠입하였으나 삼엄한 경계 속에 불심 검문에 걸려서 체포되었다.[7] 일설에 의하면 체포되었을 당시 옷 속에 전사한 남편이 입었던 군복을 입고 있었다고 한다. 이후 옥중에서 단식 투쟁을 벌이다가 병보석으로 석방된 이후 5일만에 사망하였다.
남강 묘지 건립(좌) 묘지터 현재(우상) 현충원 허묘(우하)[8] |
남자현은 죽으면서 아들에게 중국 돈 248원(현재가치: 약3,500만원)[9] 80전을 주면서 200원은 독립을 하면 독립 정부에 축하금으로 전달하라[10]고 유언을 남겼다. 1946년 첫 3.1운동 기념식에서 남자현이 남긴 돈 200원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에게 정식으로 전달되었다.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1967년 국립현충원에 묘가 조성되었으나 유해의 한국 송환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가묘를 만들었다. 1998년 후손들이 유해를 찾으려고 했으나 이때는 이미 남강 외국인 묘지 자체가 사라진 뒤였다. 이후 유해가 어디로 갔는지 행방이 묘연하다. 발굴 조사를 도와달라는 후손들의 요청이 기사화되었으나 후속 대책은 없었다.
3. 창작물에서
2015년 개봉한 영화 암살의 등장 인물 안옥윤의 모델이다. 덕분에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임에도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던 남자현 의사와 여성 독립운동가에 대한 관심이 다소 환기되었다. 이후 생가가 조성되고 남자현 의사 기적비가 건립되었다.암살 개봉 이후 경상북도 우정청이 호국 영웅 우표 도안으로 주시경과 함께 안동 출신의 남자현을 포함시켰다.
[1]
수의공파(修義公派)-안동 송동(松洞) 문중 22세 극(極) 항렬. 남자현의 오빠로 남극창(南極昌)이 있다. 아버지 남정한(南珽漢)은 21세 한(漢) 항렬.
[2]
인근의 망호리와 함께
영양 남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남장도 이 마을 출신이다.
[3]
2016년 경상북도
영양군 석보면 지경리에 생가가 조성되었는데 후손들의 주장에 의하면 안동시 일직면 송리리가 출생지라고 한다.
관련기사
[4]
각각 조국이 식민지가 되었음을 잊지 않겠다는 의지, 민족끼리 싸우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 독립을 원하는 간절함을 담았다고 전한다.
[5]
이 때문에 교양 수준 지식에서는 '여자
안중근'이라 부르기도 한다. 다만 사실은 남자현이 안중근보다 7살 위다.
[6]
족보명 김병주(金炳周).
[7]
사실 이 과정에서 그녀를 밀고하여 잡히게 되는 원인을 제공한 자가 있었는데, 바로 일제 밀정이자 악질
친일반민족행위자 출신
이종형이였다.
[8]
나라가 없는 상황에서 국외 독립운동 가운데 사망했기 때문에 유해는
하얼빈에 있는 남강
외국인 묘지에 매장되었다. 근조화환은 암살 개봉 이후에 이경근 당시 서울지방보훈청장이 보낸 것이다.
[9]
249원 설이 있다.
[10]
40원은 손자의
대학 진학금에 더하고 8원 80전은 본가에 전달하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