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11, #a11 20%, #a11 80%, #a11);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단장 | ||||
김원봉 | |||||
고문 | |||||
김대지 | 황상규 | ||||
단원 | |||||
강세우 | 강인수 | 고인덕 | 곽재기 | ||
권정필 | 권준 | 김광추 | 김기득 | ||
김방우 | 김병현 | 김상옥 | 김상윤 | ||
김성숙 | 김시현 | 김익상 | 김지섭 | ||
김철호 | 나석주 | 남정각 | 박문희 | ||
박자혜 | 박재혁 | 박차정 | 박희광 | ||
배동선 | 배중세 | 배치문 | 서상락 | ||
송천흠 | 신악 | 신영삼 | 신채호 | ||
신철휴 |
|
유자명 | 윤세주 | ||
윤치형 | 이구연 | 이병철 | 이병희 | ||
이성우 | 이수택 | 이육사 | 이종암 | ||
이태준 | 정이소 | 최수봉 | 황옥불확실 | ||
최용덕 | 한봉근 | 한봉인 | 홍가륵 | ||
유시태 | 이원대 | 이원기 | 윤병구 | ||
유석현 | 정율성불확실 | 문시환 | 이춘암 | ||
|
|||||
조선혁명선언 • 황옥 경부 폭탄사건 | }}}}}}}}}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 |
|
|
출생 | 1911년 4월 5일 |
평안북도 용천군 | |
사망 | 1965년 7월 20일 |
서훈 |
건국포장 추서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조선의용대와 한국광복군 출신 독립운동가이자 국민혁명군과 대한민국 국군의 공군 장교. 독립운동가인 김홍일의 조카이며,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받았다.2. 생애
1911년 4월 5일 평안북도 용천군에서 김홍익(독립운동가이자 국민혁명군과 대한민국 국군 장군인 김홍일의 큰형)의 아들로 태어났다. 일본에 유학을 가 일본항공학교를 졸업하고1931년 중국 상해로 망명하였다. 1932년 1월 김석, 서재현[1], 이규서, 연충열, 한영려 등과 상해한인청년당을 조직해 이사에 선임되었고, 일제 밀정 처단 및 주요기관 폭파 등의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1932년 4월 숙부 김홍일과 함께 홍커우 공원 의거에 윤봉길이 사용한 폭탄 제조 작업에 참여하였다. 그 후 의열단에 가입해 김원봉이 설립한 조선혁명간부학교를 졸업학고 동교 교관으로 보병조전, 소총 및 기관총 조립법을 담당했으며, 1935년 민족혁명당에 입당했다.
1935년 중국비행학교에서 훈련을 받고 국민혁명군 공군에 입대했으며, 기계사의 직책으로 중일전쟁에 참전했고, 장개석 총통 전용기의 조종사와 기상관제사로 활동하기도 했다. 1938년 조선의용대 제3지대장에 임명되어 활약하다가 1940년 광복군 창설 시 광복군 총사령부에서 요인 경호 및 비서직을 맡았으며, 1945년 미군과 함께 한국항공대를 창설할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
광복 후 국민혁명군 공군에서 활약한 김신, 최용덕, 이윤철 등과 함께 대한민국 공군에 들어갔으며, 6.25 전쟁 발발 당시 여의도 비행장에서 공군 후방요원들을 수원 공군기지로 인솔하였다. 국민혁명군 공군에서 기계사 직책을 맡은 경력을 살려 대한민국 공군에서 군수 및 정비 분야에서 활약했으며 정비창장을 역임하였다. 이후 공군 대령으로 예편하였고, 1965년 7월 20일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김영재에게 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