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4px" |
<colbgcolor=#024FA2><colcolor=#fff> 근거리 | 화성-11라(110km) · KN-02/화성-11(160km) · KN-09/KN-16(180km, 200km) |
단거리 | 600㎜초대형방사포/ KN-25(400km) · KN-24/화성-11나(450km) · 스커드/ 화성-5·6(300km, 500km) · 화성-11다(600km) · KN-23/화성-11가(900km) | |
준중거리 | SCUD-ER(1,000km) · 노동/화성-7(1,300km) · KN-15/북극성-2(2,000km)· 극초음속 2형(2,000km) · 화성-8(극초음속) | |
순항미사일 | KN-27/화살-1(1,500km) · 2023년 공개 SLCM(1,500km) · 화살-2(1,800km) · 불화살-3-31(2,000km) · 화살-1라-3 | |
중거리 | 무수단/화성-10(4,000km) · KN-17/화성-12(6,000km) · 화성-12나(극초음속) · 2024년 공개 IRBM · 화성-16나 | |
대륙간 | KN-08, KN-14/화성-13 · KN-20/화성-14(10,000km) · KN-22/화성-15(13,000km) · 화성-17(15,000km) · 화성-18(15,000km) · 화성-19(18,000km) | |
자칭 인공위성 발사체 및 발사 | 대포동 1호/백두산 로켓(1998)[ND] · 대포동 2호/(추정) 은하 1호(2006)[ND] · 대포동 3호/은하 2호( 2009)[MS] · 은하 3호( 2012년 4월, 12월)[MS] · 광명성( 2016)[MS] · 정찰위성 시험품 운반체(2022)[ND] · 천리마-1(2023)[PE] · 북한 신형 로켓 | |
SLBM | 화성-11ㅅ(590km) · KN-11/북극성(1,300km) · KN-26/북극성-3(5,000km) · 북극성-4 · 북극성-5 · 2022년 공개 SLBM | |
지대공 | 신형 저고도 대공체계 · KN-06/번개-5[1] · 별찌-1-2 | |
공대공 | 신형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 신형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 |
함대함 | KN-01[2] · 금성-3[3] | |
지대함 | KN-18(대함 탄도탄) · KN-19(금성-3 지대함 버전) · 바다수리-6 | |
어뢰·수중드론 | CHT-02D · PT-97W · 해일-1 · 해일-2 | |
대전차 미사일 | 북한판 NLAW · 불새-2/3[4] · 불새-5 및 5연장 대전차 미사일[5] · 북한판 스파이크( 8연장 대전차 미사일) | |
퇴역 · 프로토타입 | 화성-1/FROG · 화성-3/FROG-M · KN-10(220km) · 축하연 공개 미상 흰색 미사일 | |
|
||
|
||
둘러보기 무기체계 | 군계급 | 군단 | 사단 | 미사일 | 유도무기 | 핵·WMD |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1. 개요
북한에서 운용하거나 개발중인 지대지 탄도미사일의 제식명칭이다. 유래는 화성[1]으로 김정일이 직접 붙인 명칭이다.[2] 조선인민군 전략군에서 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싸일총국도 관여하는 무기 체계이다. 전략군 산하에 하위 부대명으로 '화성포병부대'라는 명칭이 붙어 있다. 우리나라의 현무 미사일처럼 북한 미사일 전력의 핵심으로 단거리 미사일부터 괌, 미국 본토를 겨냥한 ICBM까지 이 이름으로 묶여 있다. 주로 액체 연료를 기반의 미사일들이지만, 화성-11 계열은 고체연료 기반이다. 우리 언론에서는 '화성 계열 미사일'이라고 부르는데 '계열'이라는 표현은 실제 북한에서도 쓰는 말로 '화성 계열 로케트들'이라고 묶어 부른다. #동영상 5초 부근2. 역사
2010년 이전까지만 해도 구형 스커드 미사일 외에는 열병식에 내보내지 않아 추정만 무성했으나, 2010년 10월 10일 열병식에서 노동 미사일과 무수단 미사일, 단거리 탄도탄인 KN-02 독사 미사일이 스커드와 함께 등장하여 그 실체가 서방 세계에 처음 공개되었다. 이어 2012년 4월 15일 열병식에서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대형 탄도미사일이 등장하였으며, 크기로 보아 ICBM일 가능성이 있어 미국이 우려를 자아내기도 했다. 미국은 이 미사일에 KN-08이라는 코드명을 붙였다. 이후로 열병식마다 과시하듯 새로운 미사일을 선보이더니, 2016년부터는 지속적인 시험 발사를 통해 위협을 고조하고 있다.3. 목록
3.1. 사거리에 따른 목록
- 화성-11라: 사거리 110km
- 화성-11(독사): 사거리 120~150km
- 화성-11나: 사거리 240km
- 화성-5/6(스커드 계열): 사거리 300~500km, 800기
- 화성-11다: 사거리 600km
- 화성-11ㅅ: 사거리 600km
- 화성-7(노동 1호, 2호): 사거리 500~1000km , 200기
- 화성-8
- 화성-11가: 800km
- 화성-9(?)[b](스커드 ER): 사거리 1000km
- 화성-10(무수단): 사거리 3500km, 50~100기
- 화성-12: 6,000km
- 화성-16나: 6,000+km
- 화성-13
- 화성-14: ICBM 사거리 9,000~10,000㎞
-
화성-15: ICBM, 사거리 13,000㎞
- 화성-17: ICBM, 사거리 15,000㎞
- 화성-18: ICBM, 사거리 15,000㎞
- 화성-19: ICBM, 사거리 18,000㎞
3.2. 호순에 따른 목록
명칭 | 분류 | 한미측 표기 |
|
SRBM | Luna, FROG[b] |
|
FROG | |
|
Luna-7, FROG-M[b] | |
|
FROG | |
화성-5 | SCUD-B | |
화성-6 | SCUD-C | |
화성-7 | MRBM | 노동 |
화성-8 | HGV[H] | - |
화성-9 | 결번 | SCUD-ER로 추정[b] |
화성-10 | IRBM | 무수단 |
화성-11 | SRBM | KN-02, 독사 |
→ 화성-11가 | SRBM | KN-23, 북한판 이스칸데르 |
→ 화성-11나 | SRBM | KN-24[12] |
→ 화성-11다 | SRBM | 고중량탄두형 전술유도탄 |
→ 화성-11라 | CRBM | 근거리형 전술유도탄[13] |
→ 화성-11ㅅ | SLBM | 잠수함 발사형 전술유도탄[14] |
화성-12 | IRBM | KN-17 |
→ 화성-12가 | IRBM? | - |
→ 화성-12나 | IRBM, HGV[H] | - |
화성-13 | ICBM | KN08, KN-14 |
화성-14 | ICBM | KN-20 |
화성-15 | ICBM | KN-22 |
화성-16 | 결번 | - |
→ 화성-16가 | IRBM? | 조선인민군 2024년 공개 IRBM로 추정 |
→ 화성-16나 | IRBM, HGV[H] | - |
화성-17 | ICBM | - |
화성-18 | ICBM | - |
화성-19 | ICBM | - |
화성-11계열을 세로축에 배치한 경우 |
|
화성 계열 미사일은 개발 혹은 배치된 순서대로 이름이 붙는다고 알려졌으나, 이는 2021년에 공개된 화성-8을 설명하지 못한다.
우선 화성-1~4형은 프로그 로켓 등의 구형 미사일으로 지금은 도태되어 운용하지 않고 있다고 알려졌다. 2016년 경부터 각종 화성 미사일 시리즈가 공개되면서 결번으로 남겨진 '화성-8'의 정체에 관심이 모아지기도 했다. 어쩌면 도입 혹은 개발 도중 취소되어 결번 상태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2021년 9월, 로동신문을 통해 실제 화성-8이 공개됨에 따라 다른 미사일임이 5년이 흐른 2021년 9월이 돼서야 밝혀졌다. 그 이전까지 화성-8의 정체에 대한 여러가지 설들은 해당 항목 참조. 화성-9도 정체는 확실하지 않다. 평양 방문 여행가의 증언[b] 등에 따라 국내외 전문가나 언론 등에서 SCUD-ER을 화성-9로 부르고 있으나, 북한이 SCUD-ER을 화성-9로 외부에 밝힌 적은 없다. 다만 '화성포병부대들'의 훈련이라 했으므로 SCUD-ER 역시 화성 미사일의 일부인 것은 확실하다.
이후 2021년 군사박람회 《자위-2021》에서 '화성-11나'의 명칭공개도 이루어져 개량형 및 대체형 미사일에 가나다 순번이 부여되는 것도 확인되었다.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는 세미나에서 고체연료에 화성 미사일이 붙어서 '특이하다'고 평가했다.[18] 화성-11도 고체였으므로, '화성-11'에 가나다순을 붙인 고체연료 시리즈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공란이 된 '가'와 관련하여 '화성-11가'도 있을지 주목되는 부분이었다. 이후 2023년에는 KN-23의 SLBM 개량형이 화성-11ㅅ, 근거리형 전술유도탄이 화성-11라임이 확인되었다.[19] 이어서 KN-23이 화성-11가였음도 밝혀졌다. 이에 고중량탄두형 전술유도탄도 '화성-11다'로 확실시되다 이후 2024년 90% 이상 모습이 같은 개량형인 화성-11다-4.5가 공개되며, '화성-11다'로 좀 더 확실시된다. 이로써 고체 연료 기반 미사일은 화성-11의 가나다순을 따르는 것이 밝혀졌다.
한편, 자위-2021에서는 '화성-16'일 것으로 추측되던 ICBM급 미사일도 ' 화성-17'이란 것이 밝혀져 '화성-16'이 결번이 되었다. 북한이 화성-17과 화성-15 사이에 개발한 미사일은 여럿 있고 화성-12와 화성-15의 개량형도 발사했으니, 그 중 하나가 화성-16 명칭이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후 2024년 화성-16나가 공개되었다.
명칭이 중구난방인 것은 확실하지만 지상 발사 탄도 미사일[20]이라는 점은 공통이다. 이 외에 해당 박람회에서 공개된 안내판에서 모자이크처리된 극초음속 미사일 2형도 《두 글자의 미사일 제식명칭-숫자》 형태를 갖는 것이 확실시되는데, 별다른 이변이 없는 한 이 미사일의 일부일 것으로 보인다.
한편 백두산, 은하, 광명성 등의 로켓은 북한입장에서는 우주 발사체라고 주장하고 있으므로 ICBM 여부 문제를 차치하고, 일단 북한 내부에서는 '화성'이라는 표기법이 붙지 않았다.
3.3. 둘러보기
화성-1 | 화성-3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화성-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화성-6}}}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화성-7}}}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화성-8}}}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화성-9 (추정)}}}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화성-10}}}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화성-1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화성-11가}}}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화성-11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화성-11라}}}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화성-11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화성-12}}}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화성-12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화성-13 (KN-08)}}}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화성-13 (KN-1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화성-14}}}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화성-1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화성-16나}}}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화성-17}}}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024fa2;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ED1C27 95%, transparent 5%)" 화성-18}}} |
|
|
4. 표기법
4.1. 공식 표기법
- 인용표의 사용
- 화성/화성포의 구분
2023년 3월 북한이 공개한 웹 화보집에서 화성-12/14/15는 화성이라고 부르고 유독 화성-17만 《화성포-17》형으로 표기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1 #2 그런데 '포'를 넣어 불러주던 화성-18에 대해 그냥 화성-18로만 적은 안내판도 보여 혼용가능한 표기로 보인다. #
|
'화성-12'가 화성포로 표기 |
|
'화성-11나'가 화성포로 표기 |
'-포'라는 표기는 다른 장거리 미사일이나 중국의 둥펑 미사일 같은 여러 미사일에서도 사용되지 않는 북한 특유의 표기다. 자료를 찾아보면 불새 미사일 이전의 대전차 미사일 9K11 말륫카에 '수성포'라는 명칭이 붙었다는 내용이 있다. 화성의 어원은 행성 화성인데, 수성포 역시 ' 수성+포(炮)'라면 이런 식의 작명이 북한식 전통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북극성이나, 금성, 번개에는 '-포'의 표현을 찾기 어렵다. 미사일 자체가 포병에서 분화하였고, 전략로켓군 자체가 구 공산권에서는 포병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 혹은 넓은 의미의 지대지 미사일에만 '-포'를 붙여 강조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4.2. -호, -형의 문제
자세한 내용은 북한의 미사일 개발 문서의
-호/-형 구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3. 언어별 표기
언어별 표기 | |
한국어 | 화성 미사일, 화성포[22] |
영어 | Hwasong Missile |
일본어 | [ruby(火星, ruby=かせい)] ミサイル[23] |
ファソン ミサイル[24] | |
중국어 | 火星彈道飛彈 |
아랍어 | هواسونغ صاروخ |
4.4. 다양한 표기법의 혼선
이런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북한식 작명법(공식 제식 명칙), 북한 작명법을 우리식에 맞게 쓴 국방백서의 표기법, KN 코드명이 뒤섞여 혼란을 유발하기도 한다. ' 화성-14, 화성 14형, 화성 14호, KN-20, 《화성-14》형'은 모두 같은 미사일을 가리킨다고 보면 된다. 반면 같은 숫자 '14'가 사용되지만 KN-14는 화성-13에 대응하는 명칭이다. 포털 검색창에서는 '화성 14'라고만 검색할 경우 화성시의 버스 노선인 화성 14번도 함께 뜨는 등 애로사항의 향연이다. 영문으로는 문화어임을 감안해 Hwaseong이 아닌 Hwasong[25]을 사용한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어원을 살려 '火星'을 그대로 쓴다.5. 기술 수출
북한-이란 관계의 대표적인 협력이 바로 미사일 교류인데, 샤하브-3은 화성-7, 호람샤르 미사일은 화성-10을 기반으로 했다는 의혹이 있다. 이 외에 가우리-1도 화성-7을 베이스로 했다.6. 여담
- 우리나라의 현무 미사일에 대응하는 무기 체계이다보니 vs놀이를 하는 서적도 있다. # 책 제목이 현무 vs. 화성이다.
- 현무 미사일은 탄도 미사일, 순항 미사일, SLBM을 포괄하는 종합 체계이지만 화성 미사일은 지대지 탄도미사일에 한정된 미사일 시리즈이다.
- 표기에 있어서도 현무 미사일은 로마숫자 대문자로 구분하고, 그 뒤에 ABC순이 추가로 붙는 반면 화성 미사일은 상기했듯 '-형'과 가나다순을 사용한다.
- 예시) 현무-ⅡC , 《화성포-11나》형
- 현무 미사일과 화성 미사일 모두 공격체계의 일부이므로 서로가 상대 미사일을 맞닥뜨리는 것은 아니다. 현무 미사일을 요격할 체계는 번개 미사일이고, 화성 미사일을 요격할 체계는 천궁, THAAD, 패트리어트 미사일 등이다.
- 1998년에는 화성 미사일이 지대공 미사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 북한의 지대공 미사일은 번개 미사일이다. 하단 탈북자 인용 보도의 '토성 미사일'이 본래의 화성 미사일에 가깝다.
|
1998년 MBC에서 탈북자를 인용해 보도한 북한 미사일 설명 #당시 보도 |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북한 |
북한의 핵개발 경과 | |
북미 제네바 합의 | KEDO | 6자회담 | |||
전술핵 《화산-31》 탑재 무기 | 대륙 간 탄도 미사일(ICBM) | ||
근거리형 전술유도탄· KN-25· 화살-2 등 8종 | 화성-14 | 화성-15 | 화성-17 | 화성-18 | 화성-19 | 대포동 | 광명성 | ||
수중발사 핵전략무기 | |||
8.24 영웅함( 북극성) | 김군옥영웅함( 북극성-3, 북극성-4, 화성-11ㅅ) | 원자력 잠수함( 북극성-5, 2022년 공개 SLBM) | 해일(수중드론) | |||
핵무력 전략 | |||
핵무력정책에 대하여 | |||
대한민국 |
킬체인(Kill Chain) | ||
고정표적: 현무-IV, 현무-V, KTSSM | 이동표적: F-35, KUS-X, 현무-III, 해성-II, KEPD 350 | 북한 잠수함: 백상어, 홍상어, 범상어, 자항기뢰 | 비물리적 공격: 정전탄, 전자기펄스탄, 한국형 전자전기 | 개발중: KF-21, 천룡 공대지 미사일 | |||
한국형 미사일 방어(KAMD) | |||
고고도 하층: THAAD( 주한미군) | 종말단계 상층: L-SAM | 종말단계 하층: SM-6, 천궁-II, 패트리어트 | 장사정포: LAMD | 그외: 한국형 레이저 대공무기 | 개발중: 천궁-III(종말단계 하층), L-SAM 블록2(고고도 하층), 상승단계 요격 미사일( KF-21) | |||
대량응징보복(KMPR) | |||
핵억제:
F-35,
도산 안창호급 잠수함 | 타격체계:
현무-II,
현무-III,
현무-IV, 지/함/공대지
고위력 현무,
극초음속 미사일 참수작전: 제13특임여단( C-130, 특수작전용 CH-47), MQ-1C( 주한미군) | 개발중: 합동화력함 |
|||
감시정찰 | |||
정찰위성: 아리랑 위성, 차세대중형위성, 425 위성, 초소형군집위성 | 항공기: RQ-4, KUS-FS, 백두 정찰기, E-737 | 대탄도탄 레이더: 정조대왕급 구축함, 그린파인 레이더, 세종대왕급 구축함 | 대잠: P-8, P-3, MH-60R, AW159, 인천급 호위함, 대구급 호위함, 충남급 호위함, SQR-230K 백룡 ULTASS, 항만감시체계 | |||
기타 억제·대응 전략 | |||
대북제재 |
대재래전력 킬체인 |
원자력 잠수함 보유 |
SM-3 도입 |
사드 추가 배치 |
핵우산 북한 유엔 축출 | 대한민국의 핵무장 | 전술핵 재배치 | 워싱턴 선언 | 핵협의그룹 | 가상 시나리오 |
|||
둘러보기 무기체계 | 군계급 | 군단 | 사단 | 미사일 | 핵·WMD |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북한 미사일의 제식 명칭 | ||||
<rowcolor=#fff> 지대지 미사일 화성 |
SLBM기반 미사일 북극성 |
순항 미사일 금성 · 화살 · 바다수리 |
지대공 미사일 화승총 · 번개· 별찌 |
대전차 미사일 수성포 · 불새 |
[1]
하단의 여담과 둘러보기 항목에도 있지만 북한은 천체를 미사일 명칭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2]
김길선의 증언이다.
참조
[b]
2017년
평양 여행에서 운좋게
조선인민군 무기 박물관을 견학한 'Хохочущий Овощ'라는 닉네임의 유저가 주장한 내용.
#해당 글
[a]
도태되어 취소선 처리
[b]
[a]
[a]
[b]
[a]
[H]
활공형 극초음속 미사일
[b]
[12]
군당국 표기가 아닌 언론 및 군사전문가의 이표기로 선군 ATACMS라는 별칭도 있다.
[13]
군당국 표기가 아닌 언론 및 군사전문가의 이표기로 북한판 KTSSM이라는 별칭도 있다.
[14]
정확히는 '잠수함 발사형 전술유도탄(북한판 이스칸데르 파생형)'으로 표기되었다.
[H]
[H]
[b]
[18]
한국항공대 출신의
국민의당
이태규 의원이 공동 주최한 세미나로
전체 영상중 47분 30초 부분 내용(클릭시 자동 이동)
[19]
각각 안내판의 표기는 《화성포-11ㅅ》형, 《화성포-11라》형, 《화성포-11라》형이었으나, 화성포/화성, 인용표 사용등을 고려함.
[20]
및
극초음속 미사일 포함.
[21]
해당 사진
[22]
김정은은
화성-17을 두고 "분명코 우리 인민이 자기의 힘으로 안아온 거대한 창조물이며 전략적 힘의 위대한 실체이고 명실공히 조선인민의 《화성포》"라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화성 미사일을 통틀어 '화성포'로 부르는 용법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23]
화성-8을 '카세 하치'로 발음한 예
#
[24]
화성-12를 '화손 쥬니'로 발음한 예
#
[25]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을 따른다. Hwasŏng이 올바른 표기이나 편의상 반달표(˘)를 생략한 것. 대만의 경우 중국어를 사용해도
차이잉원을 'Cài Yīngwén'이 아니라 'Tsai Ing-wen'으로 쓰는 것과 같은 이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