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0 03:16:20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의 현행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에 대한 내용은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어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3492DA><colcolor=#fff>문자 한글 · 옛한글 · 한자 · 한글 점자
표기 한글전용 · 국한문혼용체 ·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이두 · 향찰 · 구결) · 맞춤법 ( 역사)
시대별 분류 한국조어 · 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
국가별 표준 남한 표준 · 북한 표준
방언 한국어의 방언
관련 언어 고구려어 · 백제어 · 신라어 · 가야어 · 발해어 · 탐라어 · 제주어 · 육진어 · 한국 수어
관련 문서 한국어 문법 · 한국 한자음 · 한국어족 · 한국어의 외래어 · 존비어 문화 · 한자 사용 · 한글의 문제점과 논쟁
한글로 쓸 수 없는 발음
국어기본법 · 점자법 · 한국수화언어법
타 문자
전사
<colbgcolor=#3492DA><colcolor=#fff>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 · 표기법별 대조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 · 예일식 표기법 · ISO식 표기법 · 한글학회 로마자 표기법 · 한글을 로마자로 적는 법 · 한세회식 표기법 · 유만근식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 김복문식 표기법 · 양병선식 표기법 · 21세기 표기법 · 국립국어원식 표기법 · 루코프식 표기법 · 홀로도비치 표기법
한국어의 키릴 문자 표기
홀로도비치 표기법 · 콘체비치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국어의 가나 문자 표기법 }}}}}}}}}

언어별 로마자 표기법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e90ff> 한국어 프랑스식 - 한글학회식 - 예일식 - 48년 문교부식 - 59년 문교부식 - M.R. 식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00년 문광부식 - 김복문식 - 국립국어원식
한세식 - 유만근식 - 양병선식 - 홍승목식 - 86년 북한식 - 파일:북한 국기.svg 97년 북한식 - ISO/TR 11941
일본어 JSL - 훈령식 - 일본식 - 파일:일본 국기.svg 헵번식 - 포르투갈식
표준중국어 우정식 - W.G.식 - 화어통용병음 - 국어라마자 - 주음부호 2식 - 예일식 -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한어병음
광동어 월어병음 - 광동어 예일식 표기법 - 광주화병음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정부식 -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정부식
민어 민남어백화자 - 파일:대만 국기.svg 대라병음 - 대어통용병음 - 조주화병음 - 해남병음
객가어 객가어백화자 - 파일:대만 국기.svg 객가어병음 - 객어통용병음 - 객가화병음
아랍어 BGN/PCGN - UNGE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페르시아어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 파일:이란 국기.svg UN식
아르메니아어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5
조지아어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정부식 -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4
그리스어 파일:그리스 국기.svg ELOT 743 - 미국 의회도서관식
히브리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정부식 - ISO 259
힌디어 IAST - 파일:인도 국기.svg 헌터식
티베트어 와일리 표기법 - 장어병음
타이어 ISO 11940 - 파일:태국 국기.svg 왕립학회식
벨라루스어 BGN/PCGN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정부식 - 라친카 - ISO 9
불가리아어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정부식 - ISO/R 9
러시아어 BGN/PCGN - 파일:러시아 국기.svg GOST 7.79-2000 - ISO 9
우크라이나어 BGN/PCGN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정부식 - ISO/LN 9 }}}}}}}}}


1. 개요2. 규정
2.1. 표기
3. 특징4. 문제점 및 비판
4.1. 인명 표기 수칙 문제
5. 관련 문서
  • 복사용: ŏ ŭ Ŏ Ŭ

1. 개요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은 북한의 공식 조선어(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이다. 기본적으로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규정은 북한이 유엔에 공식적으로 제출한 이 문서(1992년)와 이 문서(2012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북한에서 출판한 교재 영어교수편람에서는 반달표(˘)가 생략된 버전을 볼 수 있다.

2. 규정

  • 철자가 아닌 발음대로 쓰는 '표음주의'를 원칙으로 삼는다.
    석남 Sŏngnam

    왕십리 Wangsimni

    굽는다 kumnŭnda

    선로 sŏlro

    인덕원 Indŏgwŏn

2.1. 표기

한글
로마자 k/g n t/d r/l m p/b s ng j ch kh th ph h kk tt pp ss jj
한글
로마자 a ya ŏ o yo u yu ŭ i ae yae e ye oi[1] wi ŭi wa wae we
  • ㄱ, ㄷ, ㅂ이 유성음화될 경우 g, d, b로 표기한다.
    <colbgcolor=#fff,#1c1d1f> 교구동 Kyogu-dong

    고비리 Kobi-ri

    금교 Kŭmgyo

    초도 Chodo

    강동 Kangdong

    칠보산 Chilbosan
  • 종성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ㅇ로만 표기한다.
    <colbgcolor=#fff,#1c1d1f> 곡산 Koksan

    갑산 Kapsan

    앞산 Apsan

    삿갓봉 Satkatbong
  • ㄹ은 자음 앞 종성 및 어말에서 l로 표기한다.
    <colbgcolor=#fff,#1c1d1f> 울산 Ulsan

    은률 Ŭnryul
  • 겹받침은 소리 나는 것만 적으나, 모음 앞에서는 둘을 모두 표기한다.
    <colbgcolor=#fff,#1c1d1f> 닭섬 Taksŏm

    물곬 Mulkol

    붉은바위 Pulgŭnbawi

    앉은바위 Anjŭnbawi
  • 종성 ㄱ, ㅂ, ㄷ는 비음의 앞에서 ng, m, n으로 표기한다.
    <colbgcolor=#fff,#1c1d1f> 백마산 Paengmasan

    꽃마을 Kkonmaŭl

    압록강 Amrokgang
  • -ㄹㄹ-로 발음되는 -ㄴㄹ-이나 -ㄹㄴ-은 이미 굳어진 표기에 한해 -ll-로 표기한다.
    <colbgcolor=#fff,#1c1d1f> 천리마 Chŏllima

    한나산[표준어] Hallasan

    전라도 Jŏlla-do
  • 합성 명사에서 절음 현상이 일어나 뒤 명사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될 때에는 뒤 명사의 초성을 거듭 표기하며, ㄴ으로 발음될 때에는 n으로 표기한다.
    <colbgcolor=#fff,#1c1d1f> 기대산 Kittaesan

    새별읍[3] Saeppyŏl-ŭp

    뒤문 Twinmun
  • 음운상 혼란이 있을 경우 -를 사용할 수 있다.
    <colbgcolor=#fff,#1c1d1f> 앞언덕 Ap-ŏndŏk

    부엌안골 Puŏk-angol

    판교 Phan-gyo

    방어동 Pang-ŏ-dong
  • 지리학적인 명칭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적는다.
    <colbgcolor=#fff,#1c1d1f> 평안남도 평성시 Phyŏngannam-do Phyŏngsŏng-si
  • 지리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호칭은 발음에 상관없이 첫 글자를 유성음으로 적으며 행정 구역명과 고유 명사 사이에는 붙임표를 쓸 수 있다.
    <colbgcolor=#fff,#1c1d1f> san

    거리 gŏri

    고개 gogae

    dae

    bong

    gyo

    gol

    gak

    bŏl

    gwan

    got

    gang

    -do

    -si

    -gun

    -myŏn

    -ri

    -dong

    -gu

    구역 -guyŏk
  • 지리학적인 명칭이 숫자를 포함할 경우에는 아라비아 숫자로 적는다. 어떤 경우에는 발음대로 적거나 번역할 수 있다.
    <colbgcolor=#fff,#1c1d1f> 3.1동 3.1-dong / Samil-dong

    9.18저수지 September 18 Res.
  • 인명은 성을 앞에 쓰고 이름을 뒤에 쓴다. 한자 유래 이름은 각 음절을 띄어 쓰고, 고유어 이름은 붙여 쓴다. 전체 성명에서 이름 부분의 첫 글자가 유성음으로 소리 나더라도 이를 무시하고 무성음 글자로 적는다.
    <colbgcolor=#fff,#1c1d1f> 김꽃분이 Kim Kkotpuni

    박동구 Pak Tong Gu

    안복철 An Pok Chŏl
  • 국제적으로 널리 쓰이는 표기가 있을 경우 이를 인정한다.
    <colbgcolor=#fff,#1c1d1f> 평양 Pyongyang

3. 특징

  • ㅋ, ㅌ, ㅍ를 k', t', p'가 아닌 kh, th, ph로 표기하고, ㅉ을 tch가 아닌 jj로 표기한다.
  • ㅈ의 유/무성음 구별이 무시되었다.
    • ㅈ을 ch로 옮기는 매큔-라이샤워 표기에서 그대로 위 방식대로 h를 붙이면 chh라는 이질적인 표기가 나오기 때문에 ㅈ=j, ㅊ=ch로 옮긴 듯. 그래서 유독 이 부분만 남한식 로마자 표기법과 비슷해졌다.[4]
    • 다만 ㅈ, ㅊ을 j, ch로 적는 것은 대한민국 표준어를 비롯한 남한 방언의 구개음화된 ㅈ, ㅊ의 음가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문화어 ㅈ, ㅊ의 음가는 표준어를 비롯한 남한 방언과는 달리 구개음화되지 않았다는 주장도 있으나, 북한의 음운론 논문에서도 서울말처럼 구개음화를 인정하는 문헌도 있다. 평양말을 발음 기준으로 한다는 규범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여 진짜 분단 직후의 평양 방언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간주, 이런 주장이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김일성 스스로도 문화어는 '토배기말(토박이말)'이 아니라고 주장했기에 사실은 진짜 평양 방언을 적용하지 않아도 북한 이념상 큰 문제가 없다.
  • -ㄹㄹ-과 -ㄹㅎ-은 각각 -lr-, -lh-로 적는다.
  • 자음동화가 발생한 발음에 근거하여 적으나, ㄹ의 비음화가 무시되었다.
  • 음절 구분에 '가 아닌 -을 사용한다.
  • 일반적으로는 ŏ와 ŭ를 그냥 o와 u로 적는다. 아예 조선중앙통신 영어판 홈페이지에서도 반달표를 완전히 생략한다. 당장 김정은도 그냥 Kim Jong Un으로 적는다. 반달표를 살려서 쓰는 경우를 찾기 어려울 정도. 고속도로 이정표에도 반달표를 완전히 생략한다.
    • 위에서 언급했듯이, '영어교수편람'에서는 표기법 규정에 대해 설명하면서 아예 반달표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로 미루어 보아 북한에서 영어 맥락을 전제로 표기할 때는 반달표를 생략하는 것이 원칙으로 추정된다.
  • 대외 언론매체에 행정구역을 쓸 때는 행정구역 단위를 한국어가 아닌 해당 언어로 번역한다. 조선중앙통신 영어판을 보면 평안북도를 Phyonganbuk-do가 아닌 North Phyongan Province, 중구역을 Jung-guyok이 아닌 Central District라고 표기한다.

4. 문제점 및 비판

  • 모태인 매큔-라이샤워 표기법과 마찬가지로 부호가 상당히 번거롭다. 게다가 반달표를 아예 생략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ㅡ와 ㅜ 및 ㅗ와 ㅓ 등의 구별이 어려워진다.
  • 2012년 개정 이후 ㅚ를 oi라고 표기하게 되었는데, ㅗ에 해당하는 o와 ㅣ에 해당하는 i를 결합한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 발음과는 너무 다르다는 문제점이 있다.[5] 물론 ㅚ가 실제로 [oj]라고 발음된 적도 있었으나 그건 먼 옛날의 얘기고, 현재 발음은 기존 매큔-라이샤워 표기법과 남한의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의 oe에 훨씬 가깝다. 비슷한 사례인 ㅐ와 ㅔ는 현대 발음에 기반해 ae 및 e로 표기했으니 일관성도 없다.
  •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과 마찬가지로 현대 한국어에선 ㅐ와 ㅔ의 발음이 일치함에도 불구하고 ae와 e로 구별했다. 다만 이것은 북한에서 아예 ㅐ와 ㅔ를 한 글자로 통합하지 않는 이상 별수 없다. 이건 남한식 표기법도 마찬가지.

4.1. 인명 표기 수칙 문제

한자 유래 이름과 고유어 이름의 표기 방식을 다르게 하는 것은 매우 비합리적이다. 왜 그런지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문서의 1984년식 표기법의 인명 표기 섹션 참고.

5. 관련 문서


[1] 본래 oe였으나 2012년 개정판에서 oi로 변경되었다. 다만 아직도 로동신문에서는 oe라고 표기하고 있다. [표준어] 한라산 [3] 2005년 3월 새별군이 경원군으로 환원되면서 읍 이름도 다시 경원읍으로 변경되었다. [4] 다만 다른 언어에서는 그냥 c, ch로 쓰기도 한다. [5] 씨의 경우 모종의 이유로 Choi라는 표기가 국제적으로 가장 흔한데, 이를 '초이'라고 읽지 '최'라고 읽는 외국인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