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3 17:26:57

한국형 레이저 대공무기

<colbgcolor=#3399FF><colcolor=#fff> 한국형 레이저 대공무기
(Laser Based Anti-Aircraft Weapon)
파일:레이저대공무기 개발.jpg
레이저 대공무기 상상도
제작사 국방과학연구소, 한화
1. 개요2. 역사3. 장단점4. 형식
4.1.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14.2.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24.3.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3
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한국형 레이저 대공무기(Laser Based Anti-Aircraft Weapon)는 한국 국방과학연구소 한화가 개발하고 있는 레이저 무기이다. # '한국형 아이언 빔'으로 불린다.

2. 역사

레이저(Laser)란 유도 방출에 의한 빛의 증폭을 뜻한다. 특히 최근 몇 년 전부터 미국, 중국, 러시아를 중심으로 레이저 무기들이 본격적으로 배치되고 있다. # 특히 1977년 개봉한 스타워즈가 대성공을 거두면서 영화 속에서 등장한 각종 레이저 무기들은 미래의 무기로 조명 받았다. #

한국도 레이저 무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국방과학연구소(ADD)를 중심으로 레이저 무기 개발을 시작했다. # 2000년대 초반에는 철판 관통시험에 성공해 무기로 사용 가능한 출력을 확보했다. # 방위사업청은 2019년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1’ 개발에 착수했으며, 2024년 육군 방공부대의 전력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 광섬유 속에 능동 매질을 지닌 레이저 즉 광섬유 레이저 방식을 사용하는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1은 국방과학연구소와 한화가 개발 중에 있으며 고정형으로 운용될 예정이며, 중요 시설에 대한 드론 무인기 방공작전에 사용된다. #

3. 장단점

레이저 무기가 다른 무기들에 비해 가지는 강점은 일단 레이저는 '빛의 속도'로 발사되기 때문에 사실상 회피가 불가능하고, 탄환이나 포탄처럼 포물선으로 날아가지 않고 '직진성'을 가지기 때문에 정확성이 매우 뛰어나다. # '가성비'도 매우 뛰어나서 출력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한국에서 개발한 것은 한 발에 1000~2000원 정도의 비용밖에 들지 않는다고 한다. # 영국에서 개발한 '드래건파이어'는 출력이 훨씬 높지만 약 1만 7천 원의 가격으로 요격을 할 수 있다고 한다. #

물론 단점도 있다. 우선 빛을 이용하는 무기이기 때문에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내리면 무용지물이 될 수도 있다. # 또한 요격이나 파괴가 가능할 정도의 레이저 무기는 매우 높은 출력을 내야 되기 때문에 공상과학 영화나 만화에 나오는 레이저 총과 달리 체계가 상당한 크기와 부피를 가진다. # 또 과열을 막기위한 대용량 냉각 장치가 필요하고, 충분한 전력원과 고효율 배터리가 필요하다. 그리고 요격완료까지 오랜시간(약 10초)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

4. 형식

4.1.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1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1은 20킬로와트의 출력으로 3km이내에서 비행하는 쿼드드론 혹은 고정익 무인기를 요격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
파일:레이저대공무기블록1.jpg
한화가 공개한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1’ 이미지

4.2.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2

반면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2’는 2030년 이전까지 개발될 기동형 즉 이동이 가능한 레이저 무기로 출력은 30킬로와트지만, 요격 성능은 레이저 대공무기 Block-Ⅰ과 큰 차이가 없다고 방위산업계 관계자들은 밝히고 있다. #
파일:레이저대공무기블록2.jpg
2020 대한민국 방위산업전에 공개된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2’ 모형


4.3.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3

국방과학연구소는 2030년 이후 부터는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3 개발에 들어갈 예정이다. # 블록-1, 블록-2와 달리 고출력을 갖게 될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3는 중거리 드론 요격능력과 함께 미사일 요격에도 사용되며 해군의 전투함 그리고 공군의 항공기에도 탑재되도록 만들어질 계획이다. # 방위산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해군의 전투함에 탑재될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3는 100킬로와트의 출력을 갖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KAMD (대한민국 공군)
담당 고도 명칭 분류 요격 고도 현황


초고고도
(100 km~)
SM-3
(RIM-161 Standard Missile 3)
함대공 미사일 70~500 km
(추정)
도입미정
고고도
(50 ~ 100km)
THAAD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지대공 미사일 40~150 km
(추정)
주한미군
배치완료
장거리 지대공 유도 미사일
( L-SAM Block-II)
지대공 미사일 40~1XX km[10]
(추정)
개발예정[5]
장거리 지대공 유도 미사일
( L-SAM Block-I)
지대공 미사일 40~60 km
(추정)
개발중[9]


중고도
(10 ~ 50 km)
PATRIOT
(PAC-2 GEM+/GEM-T, PAC-3 CRI/MSE)
지대공 미사일 15~40 km
(추정)
배치완료
천궁-Ⅲ
(M-SAM Block-III)
지대공 미사일 15~40 km
(추정)
개발예정[6]
SM-6
(RIM-174 Standard ERAM)
함대공 미사일 15~35 km
(추정)
판매승인[1]
AIM-9
(AIM-9M/L/X Sidewinder)
공대공 미사일[14] 10~30 km
(추정)
배치완료[14]
SM-2
(SM-2MR Block IIIA / Block IIIB[2])
함대공 미사일 0~24 km
(추정)
배치완료[3]
함대공유도탄-II 함대공 미사일 0~24 km
(추정)
개발중[15]
천궁-Ⅱ
(M-SAM Block-II)
지대공 미사일 15~20 km
(추정)
배치완료[4]
천궁
(KM-SAM)
지대공 미사일 15 km
(추정)
배치완료[8]
LAMD (대한민국 육군)
담당 고도 명칭 분류 요격 고도 현황


저고도
(5 ~ 10 km)
장사정포 요격체계 지대공 미사일 0 ~ 10 km
(추정)
개발중[7]
초저고도
(0 ~ 5 km)
순항미사일 대응체계 지대공 미사일 0 ~ 10 km
(추정)
구축방침[16]
고출력 레이저 요격체계[16]
(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III)
레이저 대공무기[12] 0 ~ 5 km
(추정)
개발예정[11]
지상기반 근접방어무기체계[16]
( 씨워즈-II 개량형)
근접방어무기체계[12] 0 ~ 2 km
(추정)
개발중[1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틀 내 각주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 SM-6 미사일을 도입하여 정조대왕함에 탑재하기로 결정했다는 보도와 미국 정부가 우리 군에 SM-6 함대공 요격 미사일을 판매하기로 잠정 승인했다는 보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