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14:17:01

평양 철수

평양 철수작전에서 넘어옴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6.25 전쟁 의 전투 및 작전 목록 파일:북한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536349> 1
9
5
0
북한군의 남침
<colbgcolor=#777,#222><colcolor=#FFF> 6월 폭풍 작전
· 옹진반도 전투
· 개성-문산 전투
· 고랑포 전투
· 봉일천 전투
· 김포반도 전투
· 옥계 전투
· 강릉 전투
· 춘천-홍천 전투
· 대한해협 해전
· 동두천 전투
· 포천 전투
· 의정부 전투
· 내촌-태릉 전투
· 수원 비행장 전투
· 한강 인도교 폭파 · 한강 방어선 전투
7월 주문진항 해전
· 동락리 전투
· 오산 전투
· 갈곶리 전투
· 평택 전투
· 진천 전투
· 천안 전투
· 전의-조치원 전투
· 청주 전투
· 금강 방어선 전투(공주-대평리 전투)
· 장항-군산-이리 전투
· 대전 전투
· 화령장 전투
8월 청송 전투
· 낙동강 방어선 전투
( 안동·의성전투
· 마산 전투
· 다부동 전투
· 창녕·영산전투
· 안강·기계 ~ 영천·신녕 전투
· 포항 전투
· 포항 철수작전
· 통영 상륙 작전
)
유엔군의 반격
9월 장사 상륙 작전
· 인천 상륙 작전
· 9.28 서울 수복
10월 평양 탈환작전
· 초산 전투
중공군 개입
10월 중공군 1차 공세(10/25)
11월 개천-비호산 전투
· 중공군 2차 공세(11/25)
· 청천강 전투
· 장진호 전투
12월 평양 철수
· 흥남 철수작전
· 중공군 3차 공세(12/31)
1
9
5
1
1월 1.4 후퇴
· 평양 대공습
· 울프하운드 작전
· 유엔군 1차 반격(1/25)
· 선더볼트 작전
· 원산 포위전
· 금양장리 전투
· 라운드업 작전
2월 중공군 4차 공세(2/11)
· 횡성 전투
· 지평리 전투
· 유엔군 2차 반격(2/20)
· 전략도서 확보 작전
· 원산 포위전
· 킬러 작전
3월 리퍼 작전
· 커리지어스 작전
· 토마호크 작전
4월 러기드 작전
· 중공군 5차 공세(4/22)
· 매봉·한석산 전투
· 사창리 전투
· 설마리 전투
· 파평산 전투
· 가평 전투
5월 설악산 전투
· 중공군 6차 공세(5/16)
· 현리 전투
· 용문산 전투
· 한계 전투
· 유엔군 3차 반격(5/23)
전선 교착
6·7월 도솔산 전투
· 평양 대공습
8월 피의 능선 전투
· 펀치볼 전투
9·10월 가칠봉 전투
· 단장의 능선 전투
· 백석산 전투
· 코만도 작전
11·12월 크리스마스 고지 전투
1
9
5
2
1월 승호리 철교 폭파작전
3월 장단-사천강 전투
7월 수도고지-지형능선 전투
351고지 전투
9월 백마고지 전투
· 1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저격능선 전투
1
9
5
3
3월 폭찹힐 전투
5월 M-1고지 전투
6월 351고지 전투
· 2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949-973-883고지 전투
7월 중공군 7차 공세(7/13)
· 금성 전투
· 백암산 전투
· 425고지-406고지 전투
첨자 : 공산군의 승리 / 첨자 : 한국군•유엔군의 승리
※ 월표기: 전투 개시일 기준, 실제 교전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평양 철수
平壤撤收
Evacuation of Pyongyang
6.25 전쟁의 일부
파일:external/thesisaviewtimes.com/2049262339_FrR02DeW_EAB5ADEAB5B0ED8F89EC9691ECB2A0EC8898.jpg
[1]
날짜
1950년 12월 3일[2] ~ 12월 4일[3]
장소
평양시
이유
유엔군의 청천강 전투 패배, 중공군의 한반도 진공
교전국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50px-Flag_of_the_United_Nations_%281945-1947%29.svg.png 유엔군사령부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지휘관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백선엽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유재흥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더글러스 맥아더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월튼 워커
파일:중국 국기.svg 마오쩌둥
파일:중국 국기.svg 펑더화이
파일:중국 국기.svg 한시안추
결과
중공군의 평양 진입과 북한의 평양 탈환
영향
한국군과 유엔군의 대동강 이북 지역 통제권 완전 상실
병력 및 피해규모 ? ?
1. 개요2. 10월 19일, 한국군과 유엔군의 탈환
2.1. 10월 29일, 이승만 대통령의 평양 방문2.2. 평양 점령 중 통치
3. 중국의 개입
3.1. 12월 4일, 철수3.2. 12월 6일, 중공군 진입
4. 평가

[clearfix]

1. 개요

북한의 수도 평양을 점령했던 대한민국 국군 유엔군 중국 인민지원군의 개입과 잇따른 패전으로 전세가 불리해 짐에 따라 평양을 다시 내주면서 38선까지 대대적으로 후퇴한 사건이다.

2. 10월 19일, 한국군과 유엔군의 탈환

파일:external/jihwan00.cafe24.com/3717407806_9bxPyQYu_C6F2BEE7_C0D4BCBA2C_B9CC_C1A61B1E2BAB4BBE7B4DC2C_C5C2B1D8B1E2B5E9B0ED..._10.19.jpg

2.1. 10월 29일, 이승만 대통령의 평양 방문

파일:external/koreastory.kr/ff7b5bbfa3a9459bd86e190543aceb72_qRxGiZcJFKE.jpg
10월 29일, 불과 4달 전 서울을 포기해야만 했던 이승만 대통령 김일성이 버리고 간 평양에 입성했다.

그리고 이승만 대통령은 5만 명의 평양 주민들에게 연설을 하였다.
"형제들이여, 우리는 단군의 후예요, 다시는 헤어지지 말자!"

2.2. 평양 점령 중 통치

평양 탈환작전 이후 평양시는 역사적 정통성과 대한민국 헌법상 대한민국 영토이어야 했다. 그러나 당시 유엔의 입장에서는 대한민국이 평양을 실효지배를 한 적이 없고 한국군 역시 유엔군 소속이므로 대한민국이 단독으로 통치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한국군과 유엔군 사이에 평양의 통치권을 놓고 갈등이 있었다. 결국 미국 트루먼 대통령은 전쟁 중에 대한민국의 통치권은 38선 이북인 평양에는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유엔이 10월 21일 평양시정위원회를 설치하고 유엔군이 평양을 통치하였다.

유엔군 점령하의 평양의 광경을 묘사한 당시 신문기사의 내용.

3. 중국의 개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econd_Phase_Campaign.jpg
북한의 지원 요청에 중국은 6.25 전쟁에 개입하기로 결정하고, 10월 19일 펑더화이 예하 30개 사단과 38만 명의 대병력이 압록강을 넘어 한반도로 들어왔다. 11월 초에는 쑹스룬 예하의 대부대가 압록강을 건너 한반도의 산악지대에 포진했다. 이후 중공군은 전면적 공세를 펴며 온정리 전투를 치렀고, 11월 25일부터는 60만 병력의 인해전술로 총반격전을 전개하였다. 이 전투로 청천강 전투가 발발하였고, 유엔군이 이 전투에서 대패하면서 중공군은 유엔군이 평양에서 물러나도록 강요했다.

동부전선에서는 11월 27일 미 해병대가 중공군에 의해 포위되어 헤아릴 수 없는 타격을 받았다. 이어 대동강 이북의 한국군 제1사단이 중공군에게 포위되었다.

3.1. 12월 4일, 철수

파일:external/jihwan00.cafe24.com/3717407806_TNL9kjni_1BBE7B4DC2C_C6F2BEE7_C8C4C5F0.jpg
대동강을 건너 후퇴하는 유엔군
파일:external/jihwan00.cafe24.com/3717407806_9x5lwERS_C6F2BEE7_C3B6BCF62C_B1B9B1BA2C_12.04..jpg
평양에서 철수하는 한국군
예상치 못한 중공군의 공세에 유엔군의 지도부는 충격과 공포에 흽싸였다. 미8군 사령관 월튼 워커 장군은 중공군이 평양 북방 50km를 향해 진격해 오자 공포에 휩싸였다. 워커 장군의 생각에는 평양 사수도 중요하지만 유엔군 병력을 희생시키지 않는 것이 더 중요했다.

3.2. 12월 6일, 중공군 진입

파일:external/file2.nocutnews.co.kr/20140513105549597926.jpg
평양에 들어온 중공군

4. 평가

기사


[1] 평양 철수를 상징하는 사진으로 한강에서 찍혔다고 알려져 있는데, 사실은 평양 철수일인 1950년 12월 4일 대동강에서 찍힌 사진이다. AP통신 종군기자 맥스 데스퍼(Max Desfor)는 이 사진으로 1951년에 퓰리처상을 받았다. [2] 유엔군이 평양을 철수하기 시작한 날짜 [3] 국군이 맨 마지막으로 평양을 철수한 날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