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7 03:01:52

단장의 능선 전투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6.25 전쟁 의 전투 및 작전 목록 파일:북한 국기.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536349> 1950년 북한군의 남침
<colbgcolor=#777,#222><colcolor=#FFF> 6월 폭풍 작전
· 옹진반도 전투
· 개성-문산 전투
· 고랑포 전투
· 봉일천 전투
· 김포반도 전투
· 옥계 전투
· 강릉 전투
· 춘천-홍천 전투
· 대한해협 해전
· 동두천 전투
· 포천 전투
· 의정부 전투
· 내촌-태릉 전투
· 수원 비행장 전투
· 한강 인도교 폭파 · 한강 방어선 전투
7월 주문진항 해전
· 동락리 전투
· 오산 전투
· 평택 전투
· 진천 전투
· 천안 전투
· 전의-조치원 전투
· 청주 전투
· 금강 방어선 전투(공주-대평리 전투)
· 장항-군산-이리 전투
· 대전 전투
8월 청송 전투
· 낙동강 방어선 전투
( 안동·의성전투
· 마산 전투
· 다부동 전투
· 창녕·영산전투
· 안강·기계 ~ 영천·신녕 전투
· 포항 전투
· 포항 철수작전
· 통영 상륙작전
)
유엔군의 반격
9월 장사 상륙작전
· 인천 상륙작전
· 9.28 서울 수복
10월 평양 탈환작전
· 초산 전투
중공군 개입
10월 중공군 1차 공세(10/25)
11월 개천-비호산 전투
· 중공군 2차 공세(11/25)
· 청천강 전투
· 장진호 전투
12월 평양 철수
· 흥남 철수작전
· 중공군 3차 공세(12/31)
1951년 1월 1.4 후퇴
· 평양 대공습
· 울프하운드 작전
· 유엔군 1차 반격(1/25)
· 선더볼트 작전
· 원산 포위전
· 금양장리 전투
· 라운드업 작전
2월 중공군 4차 공세(2/11)
· 횡성 전투
· 지평리 전투
· 유엔군 2차 반격(2/20)
· 전략도서 확보 작전
· 원산 포위전
· 킬러 작전
3월 리퍼 작전
· 커리지어스 작전
· 토마호크 작전
4월 러기드 작전
· 중공군 5차 공세(4/22)
· 매봉·한석산 전투
· 사창리 전투
· 설마리 전투
· 파평산 전투
· 가평 전투
5월 설악산 전투
· 중공군 6차 공세(5/16)
· 현리 전투
· 용문산 전투
· 한계 전투
· 유엔군 3차 반격(5/23)
전선 교착
6·7월 도솔산 전투
· 평양 대공습
8월 피의 능선 전투
· 펀치볼 전투
9·10월 가칠봉 전투
· 단장의 능선 전투
· 백석산 전투
· 코만도 작전
11·12월 크리스마스 고지 전투
1952년 1월 승호리 철교 폭파작전
3월 장단-사천강 전투
7월 수도고지-지형능선 전투
351고지 전투
9월 백마고지 전투
· 1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저격능선 전투
1953년 3월 폭찹힐 전투
5월 M-1고지 전투
6월 351고지 전투
· 2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949-973-883고지 전투
7월 중공군 7차 공세(7/13)
· 금성 전투
· 백암산 전투
· 425고지-406고지 전투
첨자 : 공산군의 승리 / 첨자 : 유엔군의 승리
※ 월표기: 전투 개시일 기준, 실제 교전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1. 개요2. 전투 전 상황3. 전투 경과4. 여담

1. 개요

1951년 9월 13일부터 10월 13일까지 미 2사단과 배속된 프랑스 대대가 강원도 양구군 피의 능선 북쪽에 있는 단장의 능선(894-931-851 고지군)을 점령하기 위해 북한군 6사단을 상대로 펼친 고지전.

2. 전투 전 상황

피의 능선 전투가 한창인 1951년 8월 공산군은 펀치볼(해안분지) 남쪽을 제외한 모든 곳을 점령한 상태에서 감제된 국군과 UN군, 그리고 이들의 진지들을 향해 포격을 퍼붓고 있었다. 이에 벤플리트 장군은 이들을 고지에서 몰아내 이 위협을 제거함과 동시에 구부러진 전선을 펴고자 했다.

3. 전투 경과

파일:허트브레이커리~찡4o4.png
이미지 및 자료 출처

9월 5일 피의 능선 전투가 끝나자 그 북쪽의 단장의 능선이 다음 목표로 지정되었다.

9월 13일 미군의 항공기, 전차, 포병들이 단장의 능선을 수시간동안 두들겼고, 이후 미 2사단 장병들이 능선 위로 기어올라간다. 하지만 그곳을 사수중인 북한군 6사단이 곳곳에 방공호 갱도를 구축해놓고 완강하게 저항함으로서 고지 주인이 2주간 서너번이나 바뀔 정도로 점령이 쉽지 않았다.

물론 이 과정에서 미군은 압도적인 화력으로 저항하는 북한군을 몰살하려 했지만 이미 곳곳에 갱도들을 구축해 놓고 버티고 있는 상태라 미군은 1,670여명의 사상자를 내며 쩔쩔맸고, 이에 종군기자들은 심장이 부숴지는 것 같다는 의미로 이 능선에 단장의 능선(Heartbreak Ridge)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9월 18일 미 10군단장 Clovis E. Byers 소장은 적들의 저항이 거세자 서쪽 백석산 전선에서 (전투 가능 인원이 70% 이하로 떨어져 기준상) 전투불능(Combat Ineffective) 상태인 국군 7사단에게 교대준비를 미루고 우선 백석산(1142 고지) 공격을 명령해 적 전력의 분산을 꾀했다.

9월 27일 새로 부임한 로버트 영 사단장은 북한군의 보급을 계속 허용하면 능선 점령이 힘들어질 것이라 판단, 그 주변부터 점령해 고립시킨다는 터치다운 계획을 세우고 M4 셔먼 전차들로 구성된 미 72전차대대를 능선 서쪽 문등리로 투입하기로 한다. 하지만 문등리로 나 있는 작은 길은 셔먼 전차가 통과하기엔 협소했고, 대전차 지뢰들과 2미터가 넘는 바위들로 이루어진 대전차 장애물까지 굴러내려와 있어 통행이 불가능했다. 게다가 청천강 전투 때에도 전차들을 좁은 길목에 몰아넣었다가 잃은 사례도 있었기에 공병대를 투입해 길을 신중하게 개척하기로 했다.

이에 공병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삽과 폭발물로 지뢰와 장애물들을 제거하고 폭이 좁은 곳들은 전차가 지나갈 수 있게 넓혔다. 한편 인근 사태리도 전차, 수색, 공병대로 이루어진 스토맨 기동부대가 점령해 단장의 능선 점령을 위한 밑작업을 끝마친다.

이윽고 10월 10일 미 72전차대대 셔면 68대가 문등리로 들이닥치는걸 시작으로 사단의 총 공세가 시작되었다. 한편 문등리로 들이닥친 전차 대대 일부는 그 북쪽 하심포 들판까지 정찰을 나갔고, 이 과정에서 북한 13사단과 임무교대하기 위해 남하중인 중공 68군 204사단 병력들을 발견하고 전차포와 기관총으로 상당수를 살상한다. 한편 나머지 전차들은 문등리 후방에서 능선 경사면마다 조성된 진지나 보급소 등을 보이는 족족 파괴하며 보병들을 도왔고, 이후 10월 13일 프랑스 대대원들이 능선의 마지막 진지를 점령함으로서 끝났다.

4. 여담

  • 터치다운 작전 동안 전차들이 쏜 포탄은 6만여발에 달했으며, 단일작전 중 이 정도로 많이 쏜 전례는 없었다고 한다.
  • 또한 이 작은 능선 하나 점령하겠다고 3,700여명의 사상자를 낸 미군은 앞으로는 이런 피로스의 승리 같은 전투는 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세우고, 휴전 때까지 사단급 이상 공세는 하지 않기로 한다.
  • 전투가 끝난 이후 10월 21일 에티오피아 강뉴부대 1기가 사태리와 문등리 일대를 맡게 되었으며, 이 와중에 적들의 소대급 이하 정찰대들과 수차례 교전을 벌이며 51년 12월 말까지 일대를 사수했으나, 교전 및 한국의 혹독한 기후로 생겨난 손실이 다소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