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외관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북한 |
미국 |
러시아 |
일본 |
||||
아시아 | ||||||||
대만 |
홍콩 |
마카오 |
티베트 |
내몽골 | ||||
몽골 |
베트남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
싱가포르 |
미얀마 |
필리핀 |
캄보디아 |
태국 |
||||
인도 |
파키스탄 |
아프가니스탄 |
부탄 |
스리랑카 |
||||
몰디브 |
네팔 |
방글라데시 |
카자흐스탄 |
우즈베키스탄 |
||||
타지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위구르 |
제주특별자치도 |
||||
오키나와현 |
||||||||
유럽 |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독일 |
||||
스위스 |
폴란드 |
체코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아일랜드 |
||||
스페인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바티칸 |
세르비아 |
||||
알바니아 |
튀르키예 |
그리스 |
노르웨이 |
스웨덴 |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에스토니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시리아 |
이란 |
이라크 |
팔레스타인 |
예멘 |
||||
바레인 |
아랍에미리트 |
이스라엘 |
사우디아라비아 |
이집트 |
||||
리비아 |
수단 공화국 |
알제리 |
모로코 |
|||||
아메리카 | ||||||||
캐나다 |
멕시코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베네수엘라 |
||||
쿠바 |
칠레 |
파라과이 |
브라질 |
가이아나 |
||||
페루 |
||||||||
아프리카 | ||||||||
에티오피아 |
에리트레아 |
소말리아 |
케냐 |
탄자니아 |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모잠비크 |
코모로 |
모리타니 |
||||
카보베르데 |
세네갈 |
감비아 |
말리 |
니제르 |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차드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카메룬 |
적도 기니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상투메 프린시페 |
||||
가봉 |
콩고 공화국 |
짐바브웨 |
에스와티니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잠비아 |
레소토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파푸아뉴기니 |
솔로몬 제도 |
팔라우 |
||||
키리바시 |
나우루 |
투발루 |
사모아 |
피지 |
||||
바누아투 |
||||||||
다자관계 | ||||||||
한중일 |
한중러 |
미중러 |
북중러 |
미중일 |
||||
중화권·러시아·만주 |
러시아·인도·중국 |
러시아·몽골·중국 |
중국·인도·파키스탄 |
아프리카 |
||||
아세안 |
오세아니아 |
|||||||
과거의 대외관계 | ||||||||
로마 제국 |
소련 |
가야-후한 관계 | 백제-수나라 관계 | 여요관계 | ||||
당나라 · 송나라 · 명나라 · 청나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중국 |
||||||
유럽 · 아프리카 | |||||||
프랑스 |
벨기에 |
스페인 |
포르투갈 |
모리타니 |
|||
아메리카 | |||||||
미국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사우디아라비아 |
이스라엘 |
알제리 |
리비아 |
이집트 |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
|||||||
다자관계 | |||||||
모로코·알제리·튀니지 |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 |
}}}}}}}}} |
중국 | 모로코 |
[clearfix]
1. 개요
중국과 모로코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양국은 모로코가 스페인과 프랑스의 지배에서 벗어난 뒤에 수교했다.다른 일반적인 아랍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모로코인들도 미국보다 중국을 우호적으로 보는 시각이 많음이 조사를 통해 밝혀졌다. #
2. 역사적 관계
2.1. 21세기
2.1.1. 2000년대
2002년 8월 9일, 주룽지 전 총리가 모로코에서 중국제 TV를 소개했다. #2006년 4월 24일, 후진타오 주석이 모로코를 방문했다. #
2.1.2. 2010년대
2016년 5월 12일, 시진핑 주석이 중국을 방문한 모하메드 6세 모로코 국왕과 회담을 개최해 전략적 동반자관계를 설립했다. #2017년 3월 24일, 중국은 모로코를 활용해 아프리카와 유럽연합 진출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2.1.3. 2020년대
2020년초부터 코로나19가 전세계로 퍼지며 모로코에서 확진자가 크게 늘어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 9월 6일, 시진핑 주석이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모하메드 6세 모로코 국왕과 전화통화를 했다. #2021년 1월 28일, 모로코 정부는 중국과 인도로부터 코로나19 백신을 공급받아 백신 접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 7월 5일, 중국의 시노팜사는 모로코에 공장을 지어 코로나19 백신 공급을 늘린다고 밝혔다. # 12월 6일, 모로코 정부가 위구르족 남성을 중국으로 송환하기로 결정하자 반대의 목소리가 나왔다. #
2022년 1월 7일, 양국은 공식 파트너쉽을 맺었다. # 5월 10일, 코로나19 백신 수출이 급감하자 중국 측이 모로코에 생산설비를 수출했다. #
2023년 1월 1일, 모로코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해 중국인들의 모로코 입국을 전면금지한다고 밝혔다. #1 #2 #3
3. 경제 교류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모로코도 경제적으로 중국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중국의 모로코의 주요 무역 상대국에 속해 있다. # 중국제 자동차가 모로코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기도 했다. # 모로코는 인산염을 유럽 국가들, 미국, 중국에 수출하고 있다. #2016년 5월 11일, 중국과 모로코 양국은 통화스와프를 체결했다. #
모로코내에 중국인 관광객들이 늘어나자 결제 시스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
중국이 모로코에 배터리 공장을 세우는 등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해 리튬 배터리 생산 체인을 위해 진출하기 시작했다. #
4. 문화 교류
4.1. 스포츠
2021년, 도쿄 패럴림픽 경기에서 모로코팀이 중국팀을 이겼다. #5. 교통 교류
양국을 잇는 항공노선이 존재한다. 양국 국민들은 일반적으로 항공노선을 통해 자주 왕래하고 있다.2016년, 모로코 측은 중국인에 대한 비자를 면제하기로 했다. #
2017년, 중국인 관광객들이 모로코를 방문하는 경우가 크게 증가했다. #1 #2
6. 군사 교류
모로코는 중국으로부터 무기를 많이 수입하고 있다. #7. 갈등
모로코는 21세기 이후, 중국과의 교류가 많아지는 반면, 여러가지 갈등도 존재한다. 모로코의 한 외교관은 중국이 무역 파트너 국가들을 무시한다면 세계 지도국으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2022년 10월 2일, 홍콩 경찰이 오성홍기를 훼손했단 이유로 모로코 국적의 남성을 체포했다. #
8. 여담
정수일은 주 모로코 중국 대사관에서 외교관으로 근무한 적이 있었다. #1 #9. 관련 기사
- [시선] 14세기 모로코 법관의 세계여행 30년 - 부산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