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외관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북한 |
미국 |
러시아 |
일본 |
||||
아시아 | ||||||||
대만 |
홍콩 |
마카오 |
티베트 |
내몽골 | ||||
몽골 |
베트남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
싱가포르 |
미얀마 |
필리핀 |
캄보디아 |
태국 |
||||
인도 |
파키스탄 |
아프가니스탄 |
부탄 |
스리랑카 |
||||
몰디브 |
네팔 |
방글라데시 |
카자흐스탄 |
우즈베키스탄 |
||||
타지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위구르 |
제주특별자치도 |
||||
오키나와현 |
||||||||
유럽 |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독일 |
||||
스위스 |
폴란드 |
체코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아일랜드 |
||||
스페인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바티칸 |
세르비아 |
||||
알바니아 |
튀르키예 |
그리스 |
노르웨이 |
스웨덴 |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에스토니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시리아 |
이란 |
이라크 |
팔레스타인 |
예멘 |
||||
바레인 |
아랍에미리트 |
이스라엘 |
사우디아라비아 |
이집트 |
||||
리비아 |
수단 공화국 |
알제리 |
모로코 |
|||||
아메리카 | ||||||||
캐나다 |
멕시코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베네수엘라 |
||||
쿠바 |
칠레 |
파라과이 |
브라질 |
가이아나 |
||||
페루 |
||||||||
아프리카 | ||||||||
에티오피아 |
에리트레아 |
소말리아 |
케냐 |
탄자니아 |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모잠비크 |
코모로 |
모리타니 |
||||
카보베르데 |
세네갈 |
감비아 |
말리 |
니제르 |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차드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카메룬 |
적도 기니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상투메 프린시페 |
||||
가봉 |
콩고 공화국 |
짐바브웨 |
에스와티니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잠비아 |
레소토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파푸아뉴기니 |
솔로몬 제도 |
팔라우 |
||||
키리바시 |
나우루 |
투발루 |
사모아 |
피지 |
||||
바누아투 |
||||||||
다자관계 | ||||||||
한중일 |
한중러 |
미중러 |
북중러 |
미중일 |
||||
중화권·러시아·만주 |
러시아·인도·중국 |
러시아·몽골·중국 |
중국·인도·파키스탄 |
중화권·아제르바이잔 |
||||
아프리카 |
아세안 |
오세아니아 |
||||||
과거의 대외관계 | ||||||||
로마 제국 |
소련 |
가야-후한 관계 | 백제-수나라 관계 | 여요관계 | ||||
당나라 · 송나라 · 명나라 · 청나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유럽 | ||||||||
대한민국 |
중국 |
인도 |
부탄 |
영국 |
|||||
다자관계 | |||||||||
인도·네팔·부탄 |
중국 | 네팔 |
[clearfix]
1. 개요
중국과 네팔의 관계. 중국과 네팔은 20세기에 외교를 맺었지만,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일대일로와 관련된 갈등이 시작되었고 중국이 네팔 영토 일부를 불법적으로 점거하면서 영토분쟁도 겪고 있다. 미중 패권경쟁이 시작된 이후 미국이 네팔에게 경제 및 군사협력을 강화하기 시작하자 중국 또한 적극적으로 교류량을 늘리긴 했지만 히말라야 및 에베레스트 산을 중국 내 티베트 자치주에 있는 티베트 민족 것이니 중국 것이라고 자극하는데다가 중국이 최근 반란군에게 무기 지원을 하는 등의 모습 때문에 더 경계하고 있다.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이전
청나라 건륭제 시절 네팔과 티베트사이에 전쟁이 벌어지고 네팔이 전쟁에 우위를 점하자 당시 티베트에 종주권을 행사하던 청나라가 이를 빌미로 네팔을 침공한다. 전쟁은 청나라의 승리로 끝났고 네팔은 청의 조공국이 되었다.1814년 영국과 네팔간의 전쟁이 벌어지고 영국의 승리로 끝나면서 네팔은 영국에게 영토를 할양하고 독립을 유지했으나 사실상 영국령 인도제국의 번왕국이 되었다. 이때 청나라는 이 전쟁에 개입하지 않았고 이 전쟁으로 청나라와 네팔간의 종주관계는 청산된다.
2.2. 20세기
1960년대 중국-인도 국경분쟁이 일어나고 이 지역에서 중국과 인도의 긴장이 높아지자, 중국은 인도를 견제하기 위해 네팔에 여러 지원을 해줬다. 1980년대 왕정 시절에 네팔 마오이즘 반군이 반왕정 게릴라전을 펼쳤음에도, 중국은 네팔 정부군을 지지하였고, 마오주의 반군을 마오주의와 상관없는 단순 비적이라고 보도할 정도였다.[1] 1990년대 마오주의 공화주의자들이 왕정을 전복시키고 공화정이 세워졌고, 중국의 지원은 계속되었다.2.3. 21세기
2.3.1. 2010년대
2010년대에 들어서도 중국은 네팔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니까 왕정시절이나 이후 공화정 시절이나 중국은 일관되게 네팔 정부를 지지해 왔으며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및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는 중국에 호의적이긴 하지만 집권 과정에서 중국의 지원을 받는 이력은 없었다.하지만 네팔 민중들은 별로 중국에 대하여 친근함을 가지지 않는데 중국인 이민자들이 네팔에 와서 장사하는 게 조금씩 늘기 때문이라고 한다. 안 그래도 네팔은 산업화된 경제가 아니고 내륙국이라 실업자가 굉장히 많은 나라이니 외국인이 와서 장사하는 걸 아니꼽게 볼 수밖에. 안 그래도 티베트 망명자들도 차별을 많이 당하는 곳인데 이젠 중국인 숫자가 늘어나는 걸 더더욱 신경쓰는 분위기라고.
그러나 중국과 네팔이 티베트와 네팔을 잇는 철도공사를 중국과 합의하면서 중국과 가까워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 그리고 중국은 인도를 견제하기 위해 네팔에 무역항이용권을 부여했다. #
물론 네팔 정부가 중국과 가까워지기 위해 부던히 노력하고는 있지만 현 시점에도 인도가 네팔에 끼치는 영향은 중국에 비해 압도적으로 크다. 당장 2018년 네팔의 무역국 순위에서 인도가 차지하는 비중이 무려 수출,수입 모두 61%이니 부탄을 제외한 다른 남아시아 국가들과 비교해봐도 훨씬 인도에 의존하는 비중이 높다. 이럴 수밖에 없는 이유는 네팔이 중국,인도와 모두 경계를 맞대고 있다 해도 중국과 바로 경계를 맞댄 티베트는 중국에서도 변방이고 베이징같은 중국의 대도시들은 네팔에서 너무 멀기 때문이다. 사실 따지고보면 전술한 중국이 네팔에 부여했다는 무역항이용권도 있으나마나한 권리인 것이 네팔이 이용가능한 무역항 중 하나인 톈진에서 네팔 카트만두까지는 엄청나게 멀어서 직선거리로만 따져도 3,000km가 넘고, 이는 서울에서 베트남 하노이까지의 직선거리보다 먼 거리이다.(인도의 경우 카트만두와 콜카타의 직선거리가 600km 정도다. 서울에서 일본 구마모토 정도.) 이정도 차이면 네팔이 중국에게 받은 무역항이용권은 실익을 바라고 받은게 아닌 차라리 인도의 봉쇄조치에 보내는 항의 메시지로 보는 게 더 나을 정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화정 수립 후 인도를 견제하기 위한 네팔의 친중정책은 계속되고 있으며 #, 2019년 6월에는 아예 중국의 재정 지원 하에 필수 외국어로 중국어를 지정하였다. #
2.3.2. 2020년대
2020년 네팔 공산당 내분으로 총선을 시행하기로 하자 중국 공산당이 고위급 파견했다. #네팔 정부가 자체 조사 결과 중국군의 자국 영토 침범 사실을 확인하고 내부 보고서까지 작성했다. #
2022년 4월 3일, 중국은 네팔과 철도, 에너지, 무역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 8월, 양국을 잇는 히말라야 관통철도 개통에 양국이 합의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