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0 11:09:16

창경궁 저승전

저승전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모정 미확인 건물지 집춘문
대온실 관덕정
창덕궁 춘당지 관풍각 국립어린이과학관
병경문 성종 태실 앙부일구
풍기대
관리사무소 월근문
함양문 건극당 세답방 수궁
영안문 환취정 자경전 장고 요화당 통화전 명광문
건인문 통명전 양화당 정일재 집복헌 영춘헌
여휘문 여휘당 채원합 소주방 연희당 연춘헌 천오문 만입문 보정문 통화문
정양문 연경당
경춘전 환경전 소주방 장방 수문장청
순역헌
풍순헌
함인정 공목합 수랏간
함안각
교태문 영군직소
취명문 빈양문 명정전 명정문 옥천교 홍화문
보화문 협문 숭문당 문정전 문정문 영군직소
주명문 누국 오위도총부 고문관 주자소 영군직소
낙선당 일영대 수문장청
저승전 진수당 군옥재 계방 등룡문 선인문
춘방 사주문 내사복시
시민당 + 종묘 수문 암문
※ '●' 표시가 붙은 건물은 현재 창덕궁 영역이다.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북궐
(경복궁)
경복궁 계조당
景福宮 繼照堂
경복궁 자선당
景福宮 資善堂
경복궁 비현각
景福宮 丕顯閣

동궐
(창덕궁 · 창경궁)
창덕궁 중희당
昌德宮 重凞堂
창덕궁 성정각
昌德宮 誠正閣
창덕궁 관물헌
昌德宮 觀物軒
창경궁 저승전
昌慶宮 儲承殿
창경궁 낙선당
昌慶宮 樂善堂
창경궁 시민당
昌慶宮 時敏堂

서궐
(경희궁)
경희궁 승휘전
慶熙宮 承輝殿
경희궁 경현당
慶熙宮 景賢堂
경희궁 양덕당
慶熙宮 養德堂
경희궁 집희당
慶熙宮 緝熙堂
경희궁 경선당
慶熙宮 慶善堂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3호 창경궁
<colbgcolor=#bf1400> 창경궁 저승전
昌慶宮 儲承殿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 와룡동)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 와룡동)
건축시기 1487년 (창건)
1608년 (중건)
1647년 (중건)
1764년 (소실)
파일:저승전 터로 추정되는 곳.png
<colbgcolor=#bf1400> 저승전 터로 추정하는 곳[1]
1. 개요2. 위치3. 이름4. 역사
4.1. 재건하지 않은 이유
5. 구조6. 여담7. 대중 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창경궁 동궁으로, 왕세자 처소였다. 현대에는 남아있지 않다.

2. 위치

정확한 위치 역시 모른다. 다만 기록을 통하여 유추할 수는 있다. 《궁궐지》[2]에는 ‘ 건양문 밖에 있는 옛 구현전(求賢殿), 광연정(廣延亭)의 터에 위치했다.’고 적혀있다. 건양문은 창덕궁 창경궁의 경계에 있는 으로, 원래 창덕궁의 동쪽 문이었다가 창경궁이 생기면서 두 궁을 잇는 문이 되었다. 그러니까 건양문 밖은 창경궁 영역이다.

또한 시민당의 북쪽에 있었다 하는데, 《 동궐도》를 보면 시민당의 위치는 현재 낙선재 권역의 동남쪽이다. 낙선재 영역은 지금은 창덕궁이지만, 원래는 창경궁이었다.

이를 종합했을 때, 저승전은 낙선재 일곽의 일부 언저리에 자리했던 듯 하다. 현재 기준으로 보면 창덕궁 영역에 있었던 것이다.

사실, 저승전이 창덕궁인지 창경궁인지는 조선 시대 당시에도 애매모호했다. 《 명종실록》에서는 저승전을 창덕궁 소속으로 적어두었고 #, 후술할 1647년(인조 25년)에 저승전을 다시 지을 때에는 창덕궁수리도감에서 일을 맡았다. 그러나 인조 시기 저승전 재건 기록인 《저승전의궤》에서는 어느 곳도 아닌 그냥 동궁으로만 언급했으며, 《궁궐지》와 《동국여지비고》에서는 창경궁으로 적었다. 사실 창덕궁과 창경궁의 경계 자체가 시기에 따라 조금씩 달라졌기 때문에 혼동이 있을 수밖에 없다. 이 문서에서는 일단 《궁궐지》에 적힌대로 창경궁으로 분류했다.

3. 이름

건물 이름이 ' 저승'이라[3] 이름을 듣고 어리둥절해하는 사람도 있다. 물론 그런 뜻으로 이름지은 건 아니고 세자를 상징하는 글자인 '儲'(버금 저)[4]에 계승한다는 뜻의 '承(이을 승)'을 넣어 지었다. 즉, '다음 왕위를 이을(承) 세자(儲)의 집'이라는 뜻이다.

4. 역사

창덕궁을 창건한 것은 1405년( 태종 5년)이지만, 처음부터 동궁(세자궁)을 세우지는 않았다. 그러다가 성종 시기 원자 이융 세자로 책봉하여 창덕궁에 세자가 머물 공간이 필요하자[5], 1485년( 성종 16년) 1월에 창덕궁의 동문 인 건양문 밖에 동궁을 짓기로 했다. 그러나 추위가 너무 심해 공사 시작을 미룬 끝에 1487년(성종 18년) 7월에야 완공했다. 이때 동궁의 처소로 건립한 것이 저승전이다. 마침 시기적으로 창경궁을 창건한 지 얼마 안지났을 때이므로, 대부분의 자재는 창경궁 공사 후 남은 것들을 활용했다. 창덕궁에 딸린 동궁으로 세웠으나, 위치때문에[6] 창경궁 영역으로 들어갔다. #

1592년( 선조 25년) 임진왜란으로 불탄 후 1608년( 광해군 즉위년)에 복구했고 한 때 소성대비(인목왕후)가 머물렀다. # 이후 인조반정으로 다시 불탔다.

1647년( 인조 25년) 8월에 당시 세자[7]가 머물던 임시 처소에 흉물이 묻혀있다는 소문이 돌았다. 마침 창경궁을 재건하던 터라 동궁을 제대로 다시 지었는데, 이 때 인경궁 동궁인 승화전(承華殿)을 옮겨다 세웠다.[8] 공사는 9월에 시작했으나 추위 때문에 잠시 멈췄다가 다음 해 2월에 다시 시작하여 4월에 완공했다. 공사 중에 실제로 흉물들을 발견했는데 이걸 강빈의 옥사와 관련한 증거물 조작하기도 했다. #[9]

이후 숙종 초부터는 왕세자의 부재 시 임금이나 왕비, 대비가 아프거나 재변이 일어날 때 # 간간히 머무르는 용도로 사용했다. 왜냐하면 동궁 궁궐의 핵심부와는 따로 떨어져서 조용히 머물기 좋았고, 규모도 나름 있어서 생활하는데에 큰 문제가 없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숙종의 어머니 명성왕후이 안좋아지자 저승전으로 거처를 옮기고 이 곳의 서쪽 별당에서 승하했으며 #, 인경왕후도 아플 때 잠시 여기서 머물렀다. #[10] 이후 경종이 이 곳에서 세자 시절을 보냈고, 영조 연간엔 경종의 왕비 경순대비(선의왕후)가 머물다가 # 후에 사도세자가 거처했다.

1746년( 영조 24년)엔 월랑 #, 1764년(영조 40년)에는 건물 전체가 불에 타 사라졌다. 이후 신하들이 다시 지을 것을 청했으나, 영조는 허락하지 않았다. # 이후 재건하지 않은 채 오늘에 이른다.

4.1. 재건하지 않은 이유

영조는 '조종의 검소하신 덕을 본받아야한다'며 저승전 재건 공사를 허락하지 않았다. 그런데 그건 명목상이고 실제로는 다른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영조 재위기간에 저승전에 머물던 사람 경순대비(선의왕후) 사도세자이다. 그런데 선의왕후는 영조의 가장 강력한 정적 중 한 명이었으며[11], 사도세자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인물이다. 영조 입장에서는 가장 불편한 관계의 사람들이 거주했던 저승전을 다시 짓는 게 아마 내키지 않았을 것이다.

5. 구조

  • 1647년( 인조 25년)에 새로 지을 때 제작된 《저승전의궤(儲承殿儀軌)》에 따르면, 총 28칸이며 온돌방이 동, 서에 각각 6칸 씩 있고 대청이 16칸이었다. 그리고 익각[12], , 북쪽에 각각 1칸 씩 딸려 있었다. 월랑은 동쪽에 9칸이었으며 남쪽에도 있었으나 정확한 칸 수는 확인이 불가능하다. 동행각은 2칸, 남행각이 1칸이었다.

이 외에는 어떠한 정보도 남아있지 않다. 그림도 없다.[13]

6. 여담

7. 대중 매체에서


[1] 사진 출처 - 카카오맵. [2] 宮闕志. 조선 시대 궁궐 위치 · 이름 · 연혁 등에 관한 사실 기록. [3] 참고로 사후세계를 가리키는 저승은 원래 고유어 한자어의 조합으로 지금은 고유어로 분류되어 있다. 정확히는 저(이, 그, 저 등의 지칭) + 생(生) = 저생이었는데 발음 변화로 저승이 된 것. [4] '임금에 버금가는 존재 = 세자'라는 뜻이다. '쌓다'라는 뜻도 있다. [5] 당시 성종 창덕궁에 거주했다. [6] 위에 언급했듯, 창덕궁 건양문 밖에 지었는데, 창경궁이 생기면서 건양문 밖은 창경궁 영역이 된다. [7] 여기서 말하는 세자 소현세자가 아니라 봉림대군이었던 훗날의 효종이다. 소현세자는 1년 전에 사망. [8] 이 무렵 창덕궁 창경궁을 재건할 때 다른 건물들도 저승전과 마찬가지로 인경궁의 건물들을 대거 옮겨 지었다. 대표적으로 경훈각(景薰閣)이 된 정전 홍정전(弘政殿)과 선정전(宣政殿)이 된 편전 광정전(光政殿), 그리고 창경궁 통명전(通明殿)이 된, 침전 중 하나인 청와전(靑瓦殿) 등이 있다. [9] 당시 강빈은 ‘역강(逆姜, 역적 강씨)’이란 멸칭으로 불렸다. [10] 이들이 머물던 때는 숙종 세자 경종이 태어나기 훨씬 전이다. [11] 영조의 왕위 계승을 극렬하게 반대했고, 효장세자가 요절했을 때는 독살의 배후로 지목받을 정도였다. [12] 가장 메인이 되는 집채에 날개(翼)처럼 딸려 있는 전각(閣). [13] 창덕궁 창경궁의 모습을 담은 《 동궐도》는 영조의 증손자 순조가 재위하던 기간에 그렸다. [14] 사도세자 정신 질환과 저승전을 연관지은 것. [15] 사실 이게 정사에 가깝다. 사도세자의 정신질환은 《 한중록》에도 자세히 적혀있는 사실이기 때문. [16] 영화 중에선 《 사도》가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 ( 이전 역사)
문서의 r80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