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06-13 14:32:12

창경궁 선인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모정 미확인 건물지 집춘문
대온실 관덕정
창덕궁 춘당지 관풍각 국립어린이과학관
병경문 성종 태실 앙부일구
풍기대
관리사무소 월근문
함양문 건극당 세답방 수궁
영안문 환취정 자경전 장고 요화당 통화전 명광문
건인문 통명전 양화당 정일재 집복헌 영춘헌
여휘문 여휘당 채원합 소주방 연희당 연춘헌 천오문 만입문 보정문 통화문
정양문 연경당
경춘전 환경전 소주방 장방 수문장청
순역헌
풍순헌
함인정 공목합 수랏간
함안각
교태문 영군직소
취명문 빈양문 명정전 명정문 옥천교 홍화문
보화문 협문 숭문당 문정전 문정문 영군직소
주명문 누국 오위도총부 고문관 주자소 영군직소
낙선당 일영대 수문장청
저승전 진수당 군옥재 계방 등룡문 선인문
춘방 사주문 내사복시
시민당 종묘 수문 암문
※ '●' 표시가 붙은 건물은 현재 창덕궁 영역이다.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3호 창경궁
<colbgcolor=#bf1400> 창경궁 선인문
昌慶宮 宣仁門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 와룡동)
건축시기 1483년 (창건)
1616년 (중건)
1877년 (중건)
파일:pal_ckk_pct21_ori.jpg
<colbgcolor=#bf1400> 선인문[1]
파일:창경궁 선인문2.png
창경궁 안쪽에서 바라본 선인문[2]

1. 개요2. 역사3. 용도4. 구조5. 여담

[clearfix]

1. 개요

창경궁의 출입문이다. 정문 홍화문의 남쪽에 있다.

2. 역사

파일:동궐도 선인문.png
<colbgcolor=#bf1400> 〈동궐도〉 선인문
1483년( 성종 14년) 창경궁 창건 때 지었다고 한다. 다만, 1475년(성종 6년)에 창덕궁 밖 동쪽 담장 을 선인문으로 이름지었다고 하는데 # 이 문이 창경궁의 선인문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임진왜란 때 불탔다가 광해군 때 재건했다. 1857년( 철종 8년)에 화재를 입었고 1877년( 고종 14년)에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른다.

3. 용도

왕세자 신하들이 주로 사용했다. 위치 상으로 궐내각사 및 동궁 권역과 가깝기 때문이다. 또한 남아있는 기록에도 그렇게 적혀있다. 《한경지략》에서는 ‘신하들이 드나든다’고 소개했다. 《동국여지비고》 - 〈경도〉 편에는 ‘ 동궁 정문으로 신하들이 출입한다’고 쓰여있다. 또한 세자가 궁 밖을 드나들 때, 특히 성균관 입학할 때 이용한 내용이 《 승정원일기》 등에 적혀있다. #

단, 고종이 재위 기간에 이용했다는 기록이 있는 것을 보아 예외도 있었던 듯 하다. #

4. 구조

  • 동궐도》와 현재의 모습이 다르다. 지붕은 현재는 평지붕이지만, 《동궐도》에는 창경궁 동북쪽 출입문인 월근문처럼 왼쪽 칸 지붕이 낮고 오른쪽 칸 지붕이[A] 높은 솟을지붕 형태였다. 그리고 문 북쪽으로 현재는 돌담이 붙어있지만, 《동궐도》에서는 행각이 붙어있는 모습이다. 아마 철종 때 불탄 것을 고종 때 재건하면서 바꾼 듯 하다. 용마루와 내림마루는 기와를 얹어 마감했다. 지붕 양 끄트머리에는 용두를 올렸다.
  • 공포를 두지 않은 민도리 양식이다. 단청은 모루단청[5]으로 칠했다.
  • 문짝과 벽체는 전부 붉은 칠을 한 나무이다. 천장은 서까래와 구조들이 훤히 보이는 연등천장으로 만들었고, 틀 위에는 궁판을 놓고 그 위에 홍살을 올렸다. 왼쪽 칸 궁판은 7개로 세로 길이가 길며, 오른쪽 칸 궁판은 8개로 세로 길이가 짧다.[A] 양쪽 문짝의 높이가 다른데, 오른쪽 칸의 높이가 더 높다.[A]

5. 여담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창경궁관리소. [2]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유산포털: 창경궁 이야기. [3]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 [A] 궁 밖에서 볼 때 기준. [5] 부재 끝 부분만 화려하게 칠하는 단청. [A] 궁 밖에서 볼 때 기준. [A] 궁 밖에서 볼 때 기준. [A] 궁 밖에서 볼 때 기준.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