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04:38:47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풋살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이라크 풋살 국가대표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bordercolor=#002395>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 화이트.svg 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괌 기.svg 파일:네팔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네팔 대만 대한민국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동티모르 라오스 레바논 마카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몰디브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미얀마 국기.svg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파일:바레인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부탄 국기.svg
바레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북마리아나 제도 북한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스리랑카 시리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요르단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란 인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카타르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캄보디아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태국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필리핀 호주 홍콩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파일:West_Asian_Football_Federation_logo_(2023).png 서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레바논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예멘
오만
요르단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이라크
카타르
쿠웨이트
팔레스타인 }}}}}}}}}


파일:Iraq_National_Team_Badge.png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منتخب العراق لكرة القدم[1]
<colbgcolor=#029D79><colcolor=#fff> {{{-1 [[FIFA 코드|{{{#ffffff FIFA 코드 }}}]]}}} IRQ
축구 협회 이라크 축구 협회 (IFA)
대륙 연맹 아시아 축구 연맹 (AFC)
지역 연맹 서아시아 축구 연맹 (WAFF)
홈 경기장 바스라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Basra International Stadium / 65,227석)
별명 أسود الرافدين (메소포타미아의 사자)[2]
감독
[[스페인|]][[틀:국기|]][[틀:국기|]] 헤수스 카사스 (Jesús Casas)
주장단
C
잘랄 하산 (Jalal Hassan)
VC
바샤르 레산 (Bashar Resan)
라이벌
[[사우디아라비아|]][[틀:국기|]][[틀:국기|]] 사우디아라비아

[[이란|]][[틀:국기|]][[틀:국기|]] 이란
FIFA 랭킹 56위 (2024년 10월 24일 기준 / #)
Elo 랭킹 50위 (2024년 11월 20일 기준 / #)
공식 웹사이트 파일:Iraq_National_Team_Badge.png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29D79><colcolor=#fff> A매치 최다 출전 유니스 마흐무드 (Younis Mahmoud)[3]
- 148경기 / 57골
A매치 최다 득점 후세인 사이드 (Hussein Saeed)
- 137경기 / 78골
월드컵 최다 득점 아흐메드 라디 (Ahmed Radhi)
- 1골 (1986)
첫 국제경기 출전
[[이라크 왕국|]][[틀:국기|]][[틀:국기|]] 이라크 vs
[[모로코|]][[틀:국기|]][[틀:국기|]] 모로코 3:3
( 레바논 베이루트 / 1957년 10월 19일)
최다 점수차 승리 [[이라크|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 이라크 vs
[[에티오피아|]][[틀:국기|]][[틀:국기|]] 에티오피아 13:0
( 요르단 암만 / 1992년 8월 18일)
최다 점수차 패배 [[이라크|
파일:이라크 제1공화국 국기.svg
]] 이라크 vs
[[튀르키예|]][[틀:국기|]][[틀:국기|]] 튀르키예 1:7
튀르키예 아다나 / 1959년 12월 6일)

[[이라크|]][[틀:국기|]][[틀:국기|]] 이라크 vs
[[브라질|]][[틀:국기|]][[틀:국기|]] 브라질 0:6
( 스웨덴 말뫼 / 2012년 10월 12일)

[[이라크|]][[틀:국기|]][[틀:국기|]] 이라크 vs
[[칠레|]][[틀:국기|]][[틀:국기|]] 칠레 0:6
( 덴마크 코펜하겐 / 2013년 8월 14일)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29D79> 세계대회
월드컵 [진출] 1회
[최고] 23위/조별리그[4] ( 1986)
컨페드컵 [진출] 1회
[최고] 7위/조별리그[5] ( 2009)
아랍컵 [진출] 3회[6][7]
[최고] 8위/8강 ( 1980)
대륙대회
아시안컵 [진출] 9회
[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 2007)
WAFF컵 [진출] 8회
[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2002)
아랍컵 [진출] 6회
[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1964, 1966, 1985, 1988)
걸프컵 [진출] 14회
[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1979, 1984, 1988, 2023)
}}}}}}}}}}}} ||
유니폼 컬러 어웨이
상의
하의 18 6
양말


[clearfix]

1. 개요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오일머니를 바탕으로 꾸준히 축구에 투자하여 서아시아의 축구 강호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아랍컵 4번 우승(1964, 1966, 1985, 1988)[8],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1번 우승(2002), 아라비안 걸프컵 4번 우승(1979, 1984, 1988, 2023), 그 밖에도 2004 아테네 올림픽에서 4위[9]하여 서아시아 유일의 올림픽 축구 4강 진출 기록을 가지고 있다.[10][11]

홈 구장은 바스라 인터내셔널 스타디움이다. 메소포타미아의 사자들(Lions of Mesopotamia)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1960년대에는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이라크 축구의 독무대였다.
1980년대~1990년대는 중동 4강[12]중 하나로 꼽히는 팀이었지만 지금은 예전에 비해 전력이 약해졌다. 하지만 그래도 대한민국, 일본, 호주, 이란, 사우디 바로 아랫단계 수준의 만만치 않은 강팀으로 평가되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카타르, UAE, 우즈베키스탄, 요르단과 비슷한 위상을 가졌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JAKO다. 2024년에 열렸던 아시안컵때는 특별히 아시안컵 대회 한정으로 아디다스에서 제작하였다.

2. 역사

월드컵에서는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에서 아시아 티켓 2장 중 1장을 얻어 처음으로 24개국 본선에 진출했으나, 본선 24강 조별리그에서 멕시코(0-1), 파라과이(0-1),벨기에(1-2)에 모두 아깝게 져서 3전 전패로 탈락(23등)했다. 유일한 득점자는 아흐메드 라드히[13]. 그리고 그 뒤론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대한민국에는 1994 FIFA 월드컵 미국 최종예선에서 도하의 기적으로 관련이 있고, 이 때문에 일본과는 엄청난 악연으로 엮여 있다.[14] 잘 나갈때는 독일, 폴란드, 아르헨티나도 이겼으며 심지어 아르헨티나는 원정에서 2-1로 이겼다!

2003년 이라크 전쟁 이후[15] 홈경기를 치르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이때부터 이라크는 카타르나 UAE 등 인근 중동 국가들을 전전하며 중립 지역에서 홈경기를 치러야만 했다. 2007년 아시안컵 우승은 이러한 와중에 얻어낸 값진 결과이다.[16] 2009년 전쟁 발발 6년만에 홈에서 평가전을 치르고 2011년 7월부터 드디어 월드컵 지역예선 경기를 홈에서 치를 수 있게 되었으나, 갈수록 악화되는 이라크의 국내 사정 때문에 불과 2달 만에 다시 홈경기 개최권을 2018년까지 박탈당하고 말았다. 일례로 2014년 3월 중국과의 아시안컵 지역예선 홈경기는 UAE에서 열렸다.

아시안컵에선 조르반 비에이라 감독의 지휘 아래 2007년 처음으로 우승했으며,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17] 진출 자격도 동시에 얻었다.

2013년에는 디에고 마라도나를 감독으로 선임하였으나, 경력 조사 과정에서 무능한 점이 드러나는 바람에 선임 당일 경질되었고, 대신 이라크 U-20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이였던 하킴 샤키르가 감독으로 내정되었다.

2014 브라질 월드컵 최종예선에서 또 일본과 만났지만, 일본은 일찌감치 브라질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고, 일본 원정에선 0:1로 이라크가 패하였다. 이라크로서 남은 3경기 여부에 따라 진출 희망이 있긴 했다. 다만 오만, 요르단, 호주 경기 결과를 봐야 하는 경우의 수이긴 하지만... 결국 남은 3경기에서 고전하면서 1승 2무 5패라는 참혹한 성적과 함께 조 꼴찌로 탈락했다.

그런데 청소년 축구에선 꽤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기에 몇 해 뒤가 기대될지도 모른다. 2013년 FIFA U-20 월드컵 8강전에서 한국을 승부차기까지 간 끝에 이겨서 처음으로 이 대회 4강에 올랐으며[18] 2014년 AFC U-22 대회 4강전에서도 한국을 1-0로 이겼으며, 결승에서도 사우디아라비아를 1-0으로 이기며 이 대회 첫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2014년 미얀마에서 열린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한국과 같이 나란히 8강조차 못 가고 탈락했다. 그리고 참 기묘하게도 한국과 이라크는 골득실까지 거의 비슷했다! 우선 조 첫번째 경기에서 한국 6-0 베트남, 이라크 6-0 오만. 둘이 이번 대회 최다 득점을 기록하며 다음 경기 앞서보였으나, 2번째 경기에서 한국 0-0 중국, 이라크 1-1 카타르전을 비겼다. 그래도 마지막 3차전을 비기기만 해도 둘 다 8강에 올라갈 수 있었으나 마지막 3차전에서 한국 1-2 일본, 이라크 1-2 북한. 이렇게 하여 한국, 이라크 둘 다 조 3위로 추락하며 같이 나란히 사이좋게 탈락했다. 한편 이보다 앞선 2012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한국이 우승. 이라크가 준우승하던 두 팀이 조 3위 탈락까지도 이번에 똑같이 탈락했던 것. 그리고 이라크는 더 울고 싶은 게 한국은 2승 1패에 일본과 1승 2무로 중국에게 밀려 그렇다 쳐도 북한과 같이 1승 1무 1패에 골득실로도 +5점으로 압도적이거늘(북한은 -1점)승자승으로 밀려 탈락했기에 더 울고 싶을 듯. 당연히 둘 다 나란히 2015년 FIFA U-20 월드컵 24개국 본선에 진출도 좌절되었다.

한편, 2015년 8월 부로 이라크 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하기로 했던 자말 하지가 계약하기도 전에 이라크를 떠나는 해프닝을 일으킨다.

여하튼 이런저런 사정으로 한때 아시아 중위권이라는 면조가 지금은 많이 줄어서 2018 러시아 월드컵 지역예선조차도 태국과 베트남 원정에서 각각 2-2,1-1로 겨우 비기는 안 좋은 모습을 많이 보이고 있다. 그래도 아시안 게임 축구 AFC 아시안컵에서만큼은 꾸준히 토너먼트를 진출하면서 이런 것들로라도 위안을 삼고 있는 중이다.

2016 리우 올림픽 축구 남자부 16강 조별본선에서는 브라질을 상대로 침대축구를 시전했는데, 한 골도 안 먹히고 무승부로 승점 1점 획득에 성공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16강 조별리그에서는 브라질전까지 포함해서 세 경기 다 무재배만 하면서 승점 3점 3무로 아쉽게 탈락(12등)했다.

2018년부터는 이라크 내전도 승리로 끝나고 치안이 점점 회복되면서 2018년 3월, 약 6년 6개월만에 이라크 땅에서 국제 축구 경기가 허용되었다. 다만, 안전지대인 아르빌 같은 북부 쿠르드 지역이나 남부 바스라, 카르발라 등지에서만 허용되고 수도인 바그다드는 아직도 테러 위험이 있어 불가능하다. #

이란과는 예전부터 한국과 일본처럼 축구와는 별개의 외적인 문제로 서로 웬수 지간인데 아시아의 강호로 군림해 있는 이란이 이상하게도 항상 고전하는 팀이다. 이란이 지난 몇년 사이 중동 및 아시아의 강호로 자리잡았지만 유독 이라크와의 경기는 항상 고전했으며 아시아 최강이라는 칭호에 걸맞지 않게 이라크만 만나면 결과를 가져오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최근 쓸데없이 도발을 하고 난뒤 0-3이라는 처참한 스코어로 패배를 당했다. 아시아 국가 중에서도 유독 입을 많이 터는편.

2019 아시안컵에서는 베트남과 예멘을 잡고 이란과 비기며 무난하게 16강에 올랐으나 카타르에 발목을 잡히며 탈락하였다.

2023 아시안컵에서는 일본을 꺾는 이변을 일으키고 톱시드가 아닌 팀에선 유일하게 3전 전승으로 16강에 진출했으나... 16강에서 요르단에 대역전패를 당하며 3전 전승 기록이 무색하게 너무 일찍 짐을 싸버렸다.[19]

중동 강호지만 우즈베키스탄급으로 공한증이 심하다. 대한민국과의 역대전적은 이라크 기준으로 24전 2승 12무 10패로 절대열세인데다 2007년 아시안컵 준결승에서 한국을 승부차기 끝에 꺾은 후 17년동안 한국을 이기지 못하고 있다.[20] 최근 경기는 2024년 10월 15일 3차예선 4차전에서 2-3으로 패했다.
특히 이재성이 이라크 킬러로 유명하다. 그는 A매치 이라크전에서 3연속으로 골을 넣었다.

현재 대표팀의 주요 선수로는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FC 루빈 카잔에서 뛰는 알리 아드난 카딤, 자국 대표팀 최연소 출전 기록을 가진 후맘 타리크, 13살의 나이[21][22]로 자국리그에 데뷔한 신동에서 대표팀의 주축 공격수로 자리잡은 2000년생 모하나드 알리 등이 있다. 특이하게도 한 때 적국이었던 미국계 이라크인인 저스틴 메람이 꾸준히 발탁되고 있다. 현재는 MLS 올랜도 시티 SC 소속. 과거에는 유니스 마흐무드가 팀을 이끌었다. 조금 더 시기를 거슬러 올라가면 K리그 안양 LG 포항 스틸러스에서 롱런한 미드필더 아바스 오베이드 자심이 이라크 대표팀 핵심 선수로 90년대와 2000년대 초까지 활약했었다. 미래 이라크 국가대표팀을 이끌 기대주로는 FC 위트레흐트 소속의 2003년생 유망주 지단 이크발이 있으며 2001년생이지만 유소년 국가대표팀 경력이 풍부한 문타데르 모하메드, 입스위치 타운 FC의 1부 승격으로 지단 이크발 다음으로 이라크 2번째 프리미어 리거가 된 알리 알하마디, 알리 아드난 카딤 이후로 2번째 세리에 선수가 된 코모 1907 알리 자심 등이 있다.

3.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fff, #ffffff)"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Iraq_National_Team_Badge.png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순서 선수 이름 출전 횟수 첫 경기 마지막 경기
1 유니스 마흐무드 148회 2002.7.19 2016.3.29
2 알라 압둘 자흐라 122회 2007.6.8 2021.11.12
3 아흐마드 이브라힘 칼라프 116회 2010.11.11 2022.9.26
4 나샤트 아크람 113회 2001.10.5 2013.6.4
알리 레헤마 2005.6.8 2016.3.29
6 하와르 물라 모하메드 112회 2001.8.31 2012.6.12
7 마디 카림 110회 2001.10.12 2018.12.27
8 에마드 모하메드 103회 2001.1.31 2012.5.28
}}}}}}}}}}}}}}} ||

4.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29D79><tablebgcolor=#029D79> 파일:Iraq_National_Team_Badge.png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029D7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62년 ~ 현재
초대
드라구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2대
바셰르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3대
아부드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4대
바셰르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5대
시합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6대
코케자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7대
일리체프
파일:소련 국기.svg
8대
바셰르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9대
하산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10대
텔레키
파일:헝가리 국기.svg
11대
무흐신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12대
나지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13대
무흐신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14대
나지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15대
맥레넌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16대
그리치치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17대
살리흐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18대
그리치치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19대
바바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20대
나지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21대
자삼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22대
가르다세비치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23대
아지즈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24대
바바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25대
살만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26대
자삼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27대
나지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28대
비에이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29대
에두
파일:브라질 국기.svg
30대
마리우
파일:브라질 국기.svg
31대
마세두
파일:브라질 국기.svg
32대
살만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33대
바바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34대
살리흐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35대
바바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36대
살리흐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37대
자삼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38대
디르잘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39대
바바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40대
자삼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41대
바바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42대
알완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43대
오디쇼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44대
바바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45대
살만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46대
하모드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47대
하마드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48대
지바디노비치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49대
하마드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50대
벨린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51대
하마드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52대
스탕게
파일:독일 국기.svg
53대
하마드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54대
살만
파일:이라크 국기(2004-2008).svg
55대
비에이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56대
올센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57대
하마드
파일:이라크 국기(2004-2008).svg
58대
비에이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59대
셰나이실
파일:이라크 국기.svg
60대
밀루티노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61대
샤케르
파일:이라크 국기.svg
62대
시트카
파일:독일 국기.svg
63대
지쿠
파일:브라질 국기.svg
64대
샤키르
파일:이라크 국기.svg
65대
페트로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66대
샤키르
파일:이라크 국기.svg
67대
셰나이실
파일:이라크 국기.svg
68대
살만
파일:이라크 국기.svg
69대
알완
파일:이라크 국기.svg
70대
샤하드
파일:이라크 국기.svg
71대
셰나이실
파일:이라크 국기.svg
72대
카심
파일:이라크 국기.svg
73대
카타네츠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74대
아드보카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75대
페트로비치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76대
샤하드
파일:이라크 국기.svg
77대
셰나이실
파일:이라크 국기.svg
78대
카사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 ||

5. 현재 선수 명단

파일:Iraq_National_Team_Badge.png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29D79>포지션 등번호 이름 생년월일 출장 소속 클럽
GK 1 파하드 탈립
(Fahad Talib)
1994.10.21 ([age(1994-10-21)]세) 19 0 파일:이란 국기.svg 사나트 나프트 아바단 FC
12 잘랄 하산
(Jalal Hassan)
1991.05.18 ([age(1991-05-18)]세) 75 0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자우라 SC
22 아흐메드 바실
(Ahmed Basil)
1996.08.19 ([age(1996-08-19)]세) 4 0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쇼르타 SC
DF 2 레빈 술라카
(Rebin Sulaka)
1992.04.12 ([age(1992-04-12)]세) 34 0 파일:스위스 국기.svg FC 샤프하우젠
3 후세인 알리
(Hussein Ali)
2002.03.01 ([age(2002-03-01)]세) 4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SC 헤이렌베인
4 사드 나티크
(Saad Natiq)
1994.03.19 ([age(1994-03-19)]세) 33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압하 FC
5 프란스 푸트로스
(Frans Putros)
1993.07.14 ([age(1993-07-14)]세) 14 0 파일:태국 국기.svg 포트 FC
6 알리 아드난
(Ali Adnan)
1993.12.19 ([age(1993-12-19)]세) 90 7 파일:이란 국기.svg 메스 라프산잔 FC
15 알란 모히딘
(Allan Mohideen)
1993.11.11 ([age(1993-11-11)]세) 2 0 파일:스웨덴 국기.svg 우트시크텐스 BK
23 메르차스 도스키
(Merchas Doski)
1999.12.07 ([age(1999-12-07)]세) 9 0 파일:체코 국기.svg 1. FC 슬로바츠코
24 자히드 타흐신
(Zaid Tahseen)
2001.01.29 ([age(2001-01-29)]세) 4 0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탈라바 SC
25 아흐메드 야히아
(Ahmed Yahya)
1997.05.27 ([age(1995-05-27)]세) 3 0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쇼르타 SC
MF 7 유세프 아민
(Youssef Amyn)
2003.08.21 ([age(2003-08-21)]세) 2 1 파일:독일 국기.svg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8 이브라힘 바예시
(Ibrahim Bayesh)
2000.05.01 ([age(2000-05-01)]세) 46 6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쿠와 알 자위야
11 지단 이크발
(Zidane Iqbal)
2003.04.27 ([age(2003-04-27)]세) 4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FC 위트레흐트
13 바샤르 레산
(Bashar Resan)
1996.12.22 ([age(1996-12-22)]세) 59 4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SC
14 아캄 하심
(Akam Hashim)
1998.08.14 ([age(1998-08-14)]세) 0 0 파일:이라크 국기.svg 아르빌 SC
16 아미르 알암마리
(Amir Al-Ammari)
1997.07.27 ([age(1997-07-27)]세) 23 1 파일:스웨덴 국기.svg 할름스타드 BK
17 알리 자심
(Ali Jasim)
2004.01.20 ([age(2004-01-20)]세) 4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코모 1907
19 다닐로 알사에드
(Danilo Al-Saed)
1999.02.24 ([age(1999-02-24)]세) 2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SC 헤이렌베인
20 오사마 라시드
(Osama Rashid)
1992.01.17 ([age(1992-01-17)]세) 29 1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C 비젤라
21 아흐마드 알레이
(Ahmad Allée)
1996.04.29 ([age(1996-04-29)]세) 3 0 파일:프랑스 국기.svg FC 루앙
26 몬타데르 마지드
(Montader Madjed)
2005.04.14 ([age(2005-04-14)]세) 2 0 파일:스웨덴 국기.svg 함마르뷔 IF
FW 9 알리 알하마디
(Ali Al-Hamadi)
2002.03.01 ([age(2002-03-01)]세) 11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입스위치 타운 FC
10 모하나드 알리
(Mohanad Ali)
2000.06.20 ([age(2000-06-20)]세) 40 18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쇼르타 SC
18 아이만 후세인
(Aymen Hussein)
1996.03.22 ([age(1996-03-22)]세) 68 17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쿠와 알 자위야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월 30일
}}}}}}}}} ||

6. 역대 전적

6.1. FIFA 월드컵

역대 월드컵 전적 순위: 70위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메소포타미아 위임통치령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독립 이전 (영국의 위임통치령)
이라크 왕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축구협회 창립 이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1950년 브라질
불참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아랍 연방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불참
이라크 제1공화국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불참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이라크 제2공화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불참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기권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조별리그[25] 23위 0 3 0 0 3 1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이라크 제3공화국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일
※ 이라크 제4공화국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미
? ? ? ? ? ? ? ? ?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년 월드컵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년 사우디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1회 0 3 0 0 3 1 4

6.2.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연도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1992 사우디 진출 실패
1995 사우디
1997 사우디
1999 멕시코
2001 한국·일본
2003 프랑스
2005 독일
2009 남아공 조별리그 7위 3 0 2 1 0 1
2013 브라질 진출 실패
2017 러시아
합계 본선진출 1회 3 0 2 1 0 1

6.3. 올림픽 (남자)

  • A매치 시절
    • 1980년 모스크바 8위 (4경기 1승 2무 1패, 4득점 5실점)
    • 1984년 LA 14위 (3경기 1무 2패, 3득점 6실점)
    • 1988년 서울 10위 (3경기 1승 1무 1패, 5득점 4실점)
  • U-23 개편 이후
    • 2004년 아테네 4위 (6경기 3승 3패, 9득점 8실점)[30]
    • 2016년 리우 12위 (3경기 3무, 1득점 1실점)

6.4. AFC 아시안컵

  •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7위
대회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이라크 왕국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
1956
AFC 비회원국
이라크 제1공화국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960
AFC 비회원국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1964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1968
이라크 제2공화국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1972
조별리그[31] 6위 2 3 0 2 1 1 4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1976
4위[32][33] 3 4 1 0 3 3 6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80
기권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1984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
이라크 제3공화국
파일:일본 국기.svg
1992
불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6
8강 6위 6 4 2 0 2 6 4
파일:레바논 국기.svg
2000
8강 7위 4 4 1 1 2 5 7
이라크 연합국 과도 행정처
파일:중국 국기.svg
2004
8강 8위 6 4 2 0 2 5 7
※ 이라크 제4공화국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파일:베트남 국기.svg
2007
우승 1위 12 6 3 3 0 7 2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1
8강 8위 6 4 2 0 2 3 3
파일:호주 국기.svg
2015
4위[34] 7 6 2 1 3 8 9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9
16강 11위 7 4 2 1 1 6 3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3
16강 9위 9 4 3 0 1 10 7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7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10회 / 우승 1회 62 43 18 8 17 54 52

6.5.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2000
4강 3위 5 3 2 0 10 2 11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2002
우승 1위 4 3 1 0 6 2 10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004
4강 4위 4 1 0 3 4 8 3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2007
준우승 2위 4 2 1 1 5 2 7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008
기권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2010
4강 3위 3 2 0 1 6 3 6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2012
준우승 2위 4 2 1 1 4 2 7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2014
조별리그 5위 2 0 2 0 0 0 2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2019
준우승 2위 5 3 1 1 5 3 10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2023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8회 / 우승 1회 31 16 8 7 40 22 56

6.6. 아라비안 걸프컵

연도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파일:바레인 국기.svg
1970 바레인
불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72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74 쿠웨이트
파일:카타르 국기.svg
1976 카타르
준우승 2위 7 4 2 1 23 8 14
파일:이라크 국기.svg
1979 이라크
우승 1위 6 6 0 0 23 1 18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82 아랍에미리트
기권
파일:오만 국기.svg
1984 오만
우승 1위 7 4 2 1 12 5 14
파일:바레인 국기.svg
1986 바레인
결선리그 6위 6 1 3 2 8 9 6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8 사우디아라비아
우승 1위 6 4 2 0 8 1 14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90 쿠웨이트
기권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2 카타르
불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4 아랍에미리트
출전 금지[35]
파일:오만 국기.svg
1996 오만
파일:바레인 국기.svg
1998 바레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2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003-04 쿠웨이트
파일:카타르 국기.svg
2004 카타르
조별리그 7위 3 0 2 1 5 7 2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7 아랍에미리트
조별리그 5위 3 1 1 1 2 2 4
파일:오만 국기.svg
2009 오만
조별리그 7위 3 0 1 2 2 8 1
파일:예멘 국기.svg
2010 예멘
4강 3위 4 1 3 0 5 4 6
파일:바레인 국기.svg
2013 바레인
준우승 2위 5 4 0 1 7 3 12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14 사우디아라비아
조별리그 8위 3 0 1 2 1 4 1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017-18 쿠웨이트
4강 3위 4 2 2 0 6 2 8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9 카타르
4강 3위 4 2 2 0 6 3 8
파일:이라크 국기.svg
2023 이라크
우승 1위 5 4 1 0 12 3 13
합계 본선진출 13회 / 우승 4회 66 33 22 11 120 60 121

6.7. FIFA 아랍컵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1963
불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1964
우승 1위 4 3 1 0 6 2 10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1966
우승 1위 4 3 1 0 15 3 1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1985
우승 1위 4 3 1 0 7 3 10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1988
우승 1위 6 2 4 0 7 2 10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1992
출전 금지[36]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1998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2002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2012
4강 3위 5 3 1 1 6 4 10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2021
조별리그 12위 3 0 2 1 1 4 2
합계 본선진출 6회 / 우승 4회 26 14 10 2 42 18 52

7. 연령별 대표팀

7.1. U-20 대표팀

7.1.1. FIFA U-20 월드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파일:튀니지 국기.svg
1977년 튀니지
조별리그 11위 3 3 1 0 2 6 8
파일:일본 국기.svg
1979년 일본
예선 통과 후 기권
파일:호주 국기.svg
1981년 호주
예선 탈락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3년 멕시코
파일:소련 국기.svg
1985년 소련
파일:칠레 국기.svg
1987년 칠레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9년 사우디
8강 6위 9 4 3 0 1 5 2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1991년 포르투갈
예선 탈락
파일:호주 국기.svg
1993년 호주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5년 카타르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97년 말레이시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99년 나이지리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01년 아르헨티나
조별리그 19위 3 3 1 0 2 5 9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3년 아랍에미리트
예선 탈락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5년 네덜란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2007년 캐나다
파일:이집트 국기.svg
2009년 이집트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2011년 콜롬비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13년 터키
4강 4위 12 7 3 3 1 11 1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15년 뉴질랜드
예선 탈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대한민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2019년 폴란드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23 아르헨티나 [37]
조별리그 21위 1 3 0 1 2 0 7
파일:칠레 국기.svg
2025년 칠레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5회 / 4위 1회 28 20 8 4 8 27 37

7.1.2. AFC U-20 아시안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AFC youth championship 대회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59년 말레이시아
불참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0년 말레이시아
파일:태국 국기.svg
1961년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1962년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3년 말레이시아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1964년 남베트남
파일:일본 국기.svg
1965년 일본
파일:필리핀 국기.svg
1966년 필리핀
파일:태국 국기.svg
1967년 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8년 대한민국
파일:태국 국기.svg
1969년 태국
파일:필리핀 국기.svg
1970년 필리핀
파일:일본 국기.svg
1971년 일본
파일:태국 국기.svg
1972년 태국
파일:이란 국기.svg
1973년 이란
파일:태국 국기.svg
1974년 태국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75년 쿠웨이트
우승[38] 1위 16 6 5 1 0 18 1
파일:태국 국기.svg
1976년 태국
8강 5위 10 4 3 1 0 13 1
파일:이란 국기.svg
1977년 이란
우승 1위 15 5 5 0 0 19 4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1978년 방글라데시
우승 1위 14 6 4 2 0 20 2
파일:태국 국기.svg
1980년 태국
불참
파일:태국 국기.svg
1982년 태국
결선리그 3위 3 3 1 0 2 4 5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85년 UAE
예선 탈락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6년 사우디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년 카타르
우승 1위 9 5 2 3 0 5 3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0년 인도네시아
불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2년 UAE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4년 인도네시아
4강 4위 8 6 2 2 2 8 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 대한민국
불참
파일:태국 국기.svg
1998년 태국
조별리그 8위 3 4 1 0 3 6 13
파일:이란 국기.svg
2000년 이란
우승 1위 12 6 3 3 0 11 3
파일:카타르 국기.svg
2002 카타르
예선 탈락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04년 말레이시아
8강 5위 9 4 3 0 1 7 1
파일:인도 국기.svg
2006년 인도
8강 6위 7 4 2 1 1 8 5
AFC U-19 챔피언십 대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8년 사우디
조별리그 12위 3 3 1 0 2 3 5
파일:중국 국기.svg
2010년 중국
조별리그 15위 0 3 0 0 3 1 7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2년 UAE
준우승 2위 14 6 4 2 0 10 3
파일:미얀마 국기.svg
2014년 미얀마
조별리그 10위 4 3 1 1 1 8 3
파일:바레인 국기.svg
2016년 바레인
8강 5위 8 4 2 2 0 7 2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18년 인도네시아
조별리그 14위 1 3 0 1 2 3 9
AFC U-20 아시안컵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3년 우즈베키스탄
준우승 2위 8 6 2 2 2 6 5
파일:중국 국기.svg
2025년 중국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18회 / 우승 5회 144 81 41 21 19 156 80

7.2. U-17 대표팀

7.2.1. FIFA U-17 월드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파일:중국 국기.svg
1985년 중국
예선 탈락
파일:캐나다 국기.svg
1987년 캐나다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1989년 스코틀랜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1년 이탈리아
파일:일본 국기.svg
1993년 일본
불참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1995년 에콰도르
예선 탈락
파일:이집트 국기.svg
1997년 이집트
불참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1999년 뉴질랜드
예선 탈락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2001년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일:핀란드 국기.svg
2003년 핀란드
파일:페루 국기.svg
2005년 페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년 대한민국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09년 나이지리아
실격
파일:멕시코 국기.svg
2011년 멕시코
예선 탈락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3년 UAE
조별리그 23위 0 3 0 0 3 2 12
파일:칠레 국기.svg
2015년 칠레
예선 탈락
파일:인도 국기.svg
2017년 인도
16강 13위 4 4 1 1 2 5 10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9년 브라질
예선 탈락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23년 인도네시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5년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6년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7년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8년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9년 카타르
합계 본선진출 2회 / 16강 1회 4 7 1 1 5 7 22

7.2.2. AFC U-17 아시안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AFC U-16 Championship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5년 카타르
4강 3위 9 5 3 0 2 3 2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6년 카타르
예선 탈락
파일:태국 국기.svg
1988년 태국
4강 4위 8 6 2 2 2 9 6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0년 아랍에미리트
예선 탈락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92년 사우디
불참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4년 카타르
조별리그 8위 4 4 1 1 2 4 7
파일:태국 국기.svg
1996년 태국
불참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8년 카타르
조별리그 5위 6 4 2 0 2 9 4
파일:베트남 국기.svg
2000년 베트남
예선 탈락
AFC U-17 Championship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2년 아랍에미리트
예선 탈락
파일:일본 국기.svg
2004년 일본
8강 6위 6 4 2 0 2 7 6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2006년 싱가포르
조별리그 11위 2 3 0 2 1 1 2
AFC U-16 Championship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08년 우즈베키스탄
실격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0년 우즈베키스탄
8강 5위 6 4 2 0 2 7 5
파일:이란 국기.svg
2012년 이란
4강 4위 10 5 3 1 1 8 7
파일:태국 국기.svg
2014년 태국
예선 탈락
파일:인도 국기.svg
2016년 인도
우승 1위 12 6 3 3 0 10 5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18년 말레이시아
조별리그 13위 3 3 1 0 2 3 5
AFC U-17 아시안컵
파일:태국 국기.svg
2023년 태국
예선 탈락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5년 사우디
합계 본선진출 10회 / 우승 1회 66 44 19 9 16 61 49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fff,#191919> 파일:AFC 아시안컵 트로피 로고.png AFC 아시안컵
우승 국가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 #000000"
순서 우승국 우승연도 우승 횟수
1 <colbgcolor=#eeeeef,#191919>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colbgcolor=#002395,#000> 대한민국 1956, 1960 ★★
2회
2 파일: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이스라엘[1] 1964
1회
3 파일: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이란 1968, 1972, 1976 ★★★
3회
4 파일:Kuwait_FA.png 쿠웨이트 1980
1회
5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사우디아라비아 1984, 1988, 1996 ★★★
3회
6 파일: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일본 1992, 2000, 2004, 2011 ★★★★
4회
7 파일:Iraq_National_Team_Badge.png 이라크 2007
1회
8 파일:호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호주 2015
1회
9 파일:카타르 축구 협회 로고.svg 카타르 2019, 2023 ★★
2회
[1] 1976년 AFC에서 축출, 현재는 UEFA 소속. }}}}}}}}}

[1] 아랍어: منتخب العراق لكرة القدم
쿠르드어: هەڵبژاردەی تۆپی پێی عێراق
[2] Lions of Mesopotamia [3] 2002년부터 2016년까지 무려 14년 동안 국가대표팀에서 뛰었으며 57골을 넣어서 현재 이라크 국대 최다득점 3위에 올라있다. [4] 24강 조별리그 진출 체제 [5] 8강 조별리그 진출 체제 [6] 1980, 1984, 1988 [7] U-23 개편 이후 2회: 2004, 2016 [8] 최다우승 [9] 동메달전 최종 4위로 심지어 이라크가 이긴 팀이 포르투갈이다. 그래서 이 당시 국민들은 2002년 당시 한국만큼 열광했다. [10] 그 당시 호날두, 하울 메이렐레스, 조제 보싱와가 속한 포르투갈을 4-2로 이겼다. 게다가 이 무렵에는 2004년 중국 아시안컵에서도 전쟁통으로 혼란스런 와중에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치고 8강에 진출(8위)하기도 하였는데, 이렇게 전쟁 때문에 모든 것이 좌절된 국민들에게 성인 국대와 올림픽 국대 모두 희망을 안겨주었다. [11] 최근까지 이 기록은 서아시아를 넘어 아랍권 전체를 통틀어 유일한 4강 진출이었으나, 2024 파리 올림픽 축구에서 모로코가 동메달, 이집트가 4위를 기록하며 서아시아권에서의 유일 기록으로 의미가 바뀌었다. [12]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 [13] 2020년 코로나19로 사망했다. [14] 2023 아시안컵에서 2-1로 승리하며 일본의 A매치 10연승을 저지하기도 했다. [15] 1990년 걸프전쟁 이후에도 국제 제재를 먹어 약 7년간 홈경기가 불가능한 적이 있었으나,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지역예선부터는 홈경기를 개최할 수 있었다. [16] 당시 이라크는 지역예선에서 3번의 홈경기를 전부 UAE에서 치러야만 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 1위로 지역예선을 통과하여 16개국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하였다. [17] 월드컵 우승국, 각 대륙컵 우승국, 개최국이 진출하는 8개국 진출 대회 [18] 이는 1981년 이 대회에서 카타르가 준우승한 뒤로 32년만에 아랍지역 나라로선 2번째 4강 진출이다. [19] 대회 9등 [20] 이마저도 승부차기라 공식 기록은 무승부다. [21] 다만 실제 나이는 논란이 있었으나, 자국에서 검사 결과 문제가 없다는 결론이 나오긴 했다. [22] 즉 한국으로 치면 중학교 1학년이다. [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25] 24강 조별리그 진출 체제 [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30] 3위 결정전에서 이탈리아에 0-1로 패하며 동메달 획득에 실패하였다. [31] 6강 조별리그 진출 체제 [32] 4강전에서 탈락 후 3,4위전 최종 4위 [33] 6개국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했다. [34] 4강전에서 탈락 후 3,4위전 최종 4위 [35] 쿠웨이트 침공에 대한 징계로 출전 자격을 박탈당했다. [36] 걸프전쟁에 대한 징계로 출전 자격을 박탈당했다. [37] 2021 대회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취소 [38] 이란과 공동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