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00:58:05

알리 자심

알리 자심의 수상 이력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베스트팀
}}} ||
파일:FwrSgghWAAADzyb.jpg
알 쿠와 알 자위야 No. 10
알리 자심
علي جاسم | Ali Jasim
<colbgcolor=#304385><colcolor=#FFE302> 본명 알리 자심 엘라이비 알탐미미
Ali Jasim El-Aibi Al-Tameemi
출생 2004년 1월 20일 ([age(2004-01-20)]세)
바그다드
국적
[[이라크|]][[틀:국기|]][[틀:국기|]]
신체 178cm / 체중 74kg
포지션 스트라이커, 윙어
소속 <colbgcolor=#304385><colcolor=#FFE302> 유스 알 나프트 SC (~2018)
선수 알 카르크 SC (2018~2020)
알 쇼르타 SC (2020~2021)
알 카심 SC (2021 / 임대)
알 카흐라바 SC (2021~2022 / 임대)
알 카흐라바 SC (2022~2023)
안탈리아스포르 (2023)
알 카흐라바 SC (2023~ )
알 쿠와 알 자위야 (2023~ / 임대)
국가대표 12경기 2골[1] ( 이라크 / 2023~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기록
4.1. 대회 기록4.2. 개인 수상
5.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이라크 국적의 축구 선수.

2. 클럽 경력

2.1. 알 카르크 SC

일찌감치 재능을 인정받아 2018년 11월 3일, 겨우 14살의 나이에 이라크 스타스 리그 무대에 데뷔하였고, 2019년 7월 24일에 열린 아마나트 바그다드와의 리그 최종전 경기에서는 데뷔골까지 기록하였다.

2.2. 알 쇼르타 SC

2019-20 시즌을 앞두고 리그 디펜딩 챔피언인 알 쇼르타에 입단했다. 첫 시즌은 중반에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리그가 중단되면서 데뷔할 기회를 가지지 못하였고, 2020년 11월 17일에 열린 알 칼리스와의 이라크 FA컵 경기를 통해 데뷔할 수 있었다. 2020-21 시즌에는 스타스 리그에서 1번의 선발 출장과 8번의 교체 출장을 하였다.

2.2.1. 알 카심 SC (임대)

2021년 8월 1일, 알 카심으로 임대되었다.

2.3. 알 카흐라바 SC

2021년 12월 28일, 알 카심으로 임대된지 반년도 안되어 알 카흐라바로 이적하였다. 그리고 알 카흐라바에서 레귤러 멤버로 발돋움하며 2022-23 시즌에는 FA컵 결승 진출을 도왔다. 그러나 결승에서 친정팀인 알 카르크에게 패하면서 우승에는 실패하였다.

시즌이 끝나고 U-20 대표팀 소속으로 참가한 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선보이자 벨기에 프로 리그 KAA 헨트 튀르키예 쉬페르리그 복수의 팀이 관심을 보이면서 2023-24 시즌을 앞두고 유럽 진출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2023년 7월 20일, 튀르키예의 안탈리아스포르와 계약을 체결하면서 유럽 무대에 진출하였으나, 개인 사정으로 인하여 이틀 만에 상호 합의하에 계약을 해지하고 다시 알 카흐라바로 돌아갔다.

2.3.1. 알 쿠와 알 자위야 (임대)

2023년 8월 2일, 알 쿠와 알 자위야로 임대되었다.

2023-24 AFC 챔피언스 리그 조별 라운드 기간 동안 5경기에 나서 4골을 기록하며 맹활약하였으나 2위 이란 페르시안 걸프 프로 리그 세파한 SC와 승점 10점으로 동률임에도 동률팀간 대결 득실차(-1)에서 밀리며 아쉽게 토너먼트 라운드 진출에 실패하였다.

그리고 6월 달이 되어서 세리에 A 승격팀 코모 1907 이적설이 뜨겁게 떠오르고 있다.
2.3.1.1. 이적 사가
세리에 A 승격팀 코모 1907 이적설에 대해서 언급을 하였는데 구단이 자신을 놔주지 않는다며 직설적으로 본인의 인스타 계정에서 언급을 하였다. #

그리고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까지 이적 경쟁에 뛰어들었다고 한다. #

가제타 델로 스포르트의 보도에 의하면 알 카흐라바 SC 는 공식 제안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 클럽과의 협상을 거부하고 있으며, 이름 미상의 스페인 클럽으로부터 또 다른 제안을 받았다고 주장했다고 보도를 하였는데 정황상 레알 베티스로 추정된다. #

3. 국가대표 경력

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 아시아 진출권인 걸린 2023 AFC U-20 아시안컵 대회 8강전 이란과의 경기에서 후반 추가시간 극적인 결승골을 기록하면서 자국 이라크를 10년만에 U-20 월드컵 진출을 시켰다.

이어 준결승 일본전에서도 전반 12분 코너킥 찬스에서 이스마엘 아흐메드의 크로스를 받아 헤더로 선제골을 넣었고, 연장 103분 일본의 수비진을 드리블로 무너트리면서 모하메드 자밀의 골을 어시스트 하는 등 1골 1어시로 팀을 승부차기까지 끌고나와 직접 키커로도 나와 성공시키면서 결승진출에도 혁혁한 공을 세웠다. 다만 결승전에서는 개최국 우즈벡을 만나 0대1로 석패하면서 아쉽게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16강전에서 67분경에 올린 코너킥 크로스를 올려서 사드 나티크의 골을 어시스트 하였다.

이후 같은 해 열린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3위 결정전에서 연장전 96분에 결승골을 넣으며 대회 총합 4골로 득점왕에도 오르는 등 자국의 8년만에 올림픽 진출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2024년 6월 6일, 인도네시아와의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 F조 5차전에서 후반 교체 투입되어 88분에 골키퍼의 실수를 캐치하여 쐐기골이자 본인의 A대표팀 데뷔골을 기록하였다. 경기는 2-0 이라크의 승리로 끝났다.

2024년 6월 6일, 베트남과 AFC 아시안컵 카타르 16강전에서 67분경에 올린 코너킥 크로스를 올려서 사드 나티크의 골을 어시스트 하였다.

이후 같은 해 열린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3위 결정전에서 연장전 96분에 결승골을 넣으며 대회 총합 4골로 득점왕에도 오르는 등 자국의 8년만에 올림픽 진출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2024년 6월 6일, 인도네시아와의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 F조 5차전에서 후반 교체 투입되어 88분에 골키퍼의 실수를 캐치하여 쐐기골이자 본인의 A대표팀 데뷔골을 기록하였다. 경기는 2-0 이라크의 승리로 끝났다.

이어서 2024년 6월 11일, 베트남과의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 F조 최종전에서 70분 무렵에 중거리 골을 넣었다.

4. 기록

4.1. 대회 기록

4.2. 개인 수상

5. 같이 보기

파일:Iraq_National_Team_Badge.png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29D79>포지션 등번호 이름 생년월일 출장 소속 클럽
GK 1 파하드 탈립
(Fahad Talib)
1994.10.21 ([age(1994-10-21)]세) 19 0 파일:이란 국기.svg 사나트 나프트 아바단 FC
12 잘랄 하산
(Jalal Hassan)
1991.05.18 ([age(1991-05-18)]세) 75 0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자우라 SC
22 아흐메드 바실
(Ahmed Basil)
1996.08.19 ([age(1996-08-19)]세) 4 0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쇼르타 SC
DF 2 레빈 술라카
(Rebin Sulaka)
1992.04.12 ([age(1992-04-12)]세) 34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C 서울
3 후세인 알리
(Hussein Ali)
2002.03.01 ([age(2002-03-01)]세) 4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SC 헤이렌베인
4 사드 나티크
(Saad Natiq)
1994.03.19 ([age(1994-03-19)]세) 33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압하 FC
5 프란스 푸트로스
(Frans Putros)
1993.07.14 ([age(1993-07-14)]세) 14 0 파일:태국 국기.svg 포트 FC
6 알리 아드난
(Ali Adnan)
1993.12.19 ([age(1993-12-19)]세) 90 7 파일:이란 국기.svg 메스 라프산잔 FC
15 알란 모히딘
(Allan Mohideen)
1993.11.11 ([age(1993-11-11)]세) 2 0 파일:스웨덴 국기.svg 우트시크텐스 BK
23 메르차스 도스키
(Merchas Doski)
1999.12.07 ([age(1999-12-07)]세) 9 0 파일:체코 국기.svg 1. FC 슬로바츠코
24 자히드 타흐신
(Zaid Tahseen)
2001.01.29 ([age(2001-01-29)]세) 4 0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탈라바 SC
25 아흐메드 야히아
(Ahmed Yahya)
1997.05.27 ([age(1995-05-27)]세) 3 0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쇼르타 SC
MF 7 유세프 아민
(Youssef Amyn)
2003.08.21 ([age(2003-08-21)]세) 2 1 파일:독일 국기.svg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8 이브라힘 바예시
(Ibrahim Bayesh)
2000.05.01 ([age(2000-05-01)]세) 46 6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쿠와 알 자위야
11 지단 이크발
(Zidane Iqbal)
2003.04.27 ([age(2003-04-27)]세) 4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FC 위트레흐트
13 바샤르 레산
(Bashar Resan)
1996.12.22 ([age(1996-12-22)]세) 59 4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SC
14 아캄 하심
(Akam Hashim)
1998.08.14 ([age(1998-08-14)]세) 0 0 파일:이라크 국기.svg 아르빌 SC
16 아미르 알암마리
(Amir Al-Ammari)
1997.07.27 ([age(1997-07-27)]세) 23 1 파일:스웨덴 국기.svg 할름스타드 BK
17 알리 자심
(Ali Jasim)
2004.01.20 ([age(2004-01-20)]세) 4 0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쿠와 알 자위야
19 다닐로 알사에드
(Danilo Al-Saed)
1999.02.24 ([age(1999-02-24)]세) 2 0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사네피오르 포트발
20 오사마 라시드
(Osama Rashid)
1992.01.17 ([age(1992-01-17)]세) 29 1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C 비젤라
21 아흐마드 알레이
(Ahmad Allée)
1996.04.29 ([age(1996-04-29)]세) 3 0 파일:프랑스 국기.svg FC 루앙
26 몬타데르 마지드
(Montader Madjed)
2005.04.14 ([age(2005-04-14)]세) 2 0 파일:스웨덴 국기.svg 함마르뷔 IF
FW 9 알리 알하마디
(Ali Al-Hamadi)
2002.03.01 ([age(2002-03-01)]세) 11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입스위치 타운 FC
10 모하나드 알리
(Mohanad Ali)
2000.06.20 ([age(2000-06-20)]세) 40 18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쇼르타 SC
18 아이만 후세인
(Aymen Hussein)
1996.03.22 ([age(1996-03-22)]세) 68 17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쿠와 알 자위야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월 30일
}}}}}}}}} ||


[1] 2024년 6월 11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