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white,black><colcolor=black,white> 드라마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000000><colcolor=white> 일반 | 드라마 관련 정보 · 한국 드라마 · 작가 · 감독 · 배우 ( 남배우 · 여배우) · 음악감독 | |
드라마
분류 |
<colbgcolor=#000000><colcolor=white> 요일 | 월화 드라마 · 수목 드라마 · 주말 드라마 · 일일 드라마 · 아침 드라마 | |
길이 | 단막극 · 미니 시리즈 · 연속극 · 대하 드라마 | ||
시대 | 사극 ( 전체 · 삼국 · 후삼국 · 고려 · 조선) · 시대극 ( 일제강점기 · 대한제국 · 20세기) · 현대극 | ||
장르 | 어린이 · 청소년 ( 목록) · 로맨스 ( 목록) · 로맨틱 코미디 ( 목록) · 의학 ( 목록) · 군대 · 농촌 · 막장 · 가족 ( 목록) · 시트콤 ( 목록) · 판타지 ( 목록) · 성장 · 청춘 · 정치 ( 목록) · 음악 ( 목록) · 스포츠 ( 목록) · 수사 ( 목록) · 법정 ( 목록) · 트렌디 · BL ( 목록) | ||
연대 | 1970년대 · 1980년대 · 1990년대 · 2000년대 · 2010년대 · 2020년대 | ||
원작 | 드라마화 ( 만화 원작 · 웹툰 원작 · 영화 원작 · 애니메이션 원작 · 소설 원작 · 웹소설 원작 · 뮤지컬 원작 · 해외 드라마 원작) ↔ 한국 작품의 외국 리메이크 | ||
기타 | 시즌제 드라마 ( 연속성O · 연속성X) · 파트제 드라마 · 드라마 블루레이·DVD ( 블루레이 출시 드라마 · DVD 출시 드라마) · 드라마 관련 서적 ( 대본집 출간 드라마 · 포토에세이 출간 드라마) | ||
드라마
찾기 |
소재별 | ㄱ · ㄴ, ㄷ · ㄹ, ㅁ · ㅂ · ㅅ · ㅇ · ㅈ · ㅊ · ㅋ, ㅌ · ㅍ, ㅎ | |
배경별 | 장소 · 시대 · 지역 | ||
직업 · 관계 | |||
관련 기업 | 드라마 제작사 · 연예 기획사 | ||
매체 | 지상파 방송 ( KBS 2TV · KBS 1TV · MBC · SBS · EBS) · 종합편성채널/ 유료방송채널 ( JTBC · tvN · OCN · TV CHOSUN · MBN · 채널A · ENA · SBS FiL) · OTT ( 넷플릭스 · Wavve · TVING · Seezn · 왓챠 · 카카오TV · 쿠팡플레이 · 디즈니+ · 삼성 TV 플러스) · 웹 · 오디오 ( 라디오 · CD) | ||
시상식 | 연기대상 ( KBS · MBC · SBS) · 백상예술대상 · 한국방송대상 · 한국PD대상 ·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 AAA · ACA & G.OTT · APAN · 서울 드라마 어워즈 ·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일회성/폐지 ( tvN10 Festival · 숨피어워즈 · 더 서울 어워즈) | ||
조사 | 한국인이 좋아하는 TV 프로그램 | ||
각종 문서 |
배우 | 연기 ( 발연기 · 연기돌 · 메소드 연기 · 의도하지 않은 연기 · 연기는 좋았다) · 배우 개그 · 페르소나 · 천의 얼굴 · 미스캐스팅 · 1인 다역 · 보조출연자 | |
드라마 | 각종 기록 및 순위 · 방송사고 · 클리셰 · 엔딩 ( 새드 엔딩 · 열린 결말 · 해피 엔딩 · 꿈 결말) · 고증 ( 고증오류 · 옥에 티) · 조기종영 · 연장방송 · 생방송 · 등장인물의 전공 · 작품은 좋았다 · 악역이 없는 작품 · 쪽대본 · 매니아 드라마 · 밈 | ||
편성표 | 주요 방송사 편성표 · 역대 방송사 요일별 드라마 |
1. 개요
演 技 力 / Acting ability극 장르(좁게는 연극, 뮤지컬, 드라마, 영화, 넓게는 성우, 코미디까지 포함)에 등장하는 배역을 맡은 배우가 가공의 캐릭터를 표현하는 역량.[1]
어설픈 연기력을 보여줄 때는 ' 발연기'라는 수식어가 따라 붙는다.
참고로 연기력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한 국내 학술자료는 아래와 같다.
- 박호영(2016), '현대 연기 특성 연구(Contemporary Acting Characteristics)',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16 no.11, pp.707-715 #
- 조성덕, 김종국(2016), '크라카우어의 영화연기론(Film Acting Studies of S. Kracauer)',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16 no.9, pp.502-511 #
- 오진호(2006), '스타니슬랍스키 3기 시스템 연구 - 실행방법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stanislavsky's 3rd system)',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7 no.5, pp.970-981 #
2. 연기력을 결정하는 요소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 배우는 관객 또는 시청자들이 머리로, 그리고 마음으로 작품의 내용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전달하는 역할임\'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관객 또는 시청자가 없다면 아무리 훌륭한 대본과 연출에 탁월한 연기, 그리고 명망 높은 배우라도 그 의미와 가치를 잃을 수밖에 없다.[2] 관객 또는 시청자를 최우선시한 다음 후술할 요소들을 갖췄을 때에야 비로소 '연기력이 뛰어난 배우'로서 인정받을 수 있다. 하지만 연기는 처음부터 많은 관객을 모으지 못한다. 이런 상황에서 배우 지망생의 경우 관객이 없으니까 내 연기는 가치가 없다는 자학에 빠지지 말고 관객이 없더라도 연기를 게을리하거나 포기하지 않는 것이 연기자로서 가져야 할 바른 자세일 것이다.극 장르에서의 연기는 시각과 청각의 형태로 전달되기 때문에, '연기력이 뛰어나다'고 평가받기 위해서는 '시각적 형태의 연기 요소(시선 처리, 움직임 및 태도)'와 '청각적 형태의 연기 요소(대사 처리, 발성)'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시청각 형태로는 쉽게 알아챌 수 없는 영역(작품과 배역에 대한 이해, 몰입 등)의 중요성을 절대 무시할 수 없다.
후술할 요소들을 갖추지 못하면, 작품을 통해 묘사하고자 하는 주제의식이나 배역의 성격이 잘 드러나지 않고 시청자들이 작품에 몰입할 수 없다.
2.1. 배우에게 요구되는 것
|
배우 주상욱의 <태종 이방원> 촬영 현장[설명] |
2.1.1. 알맞은 배역 선택
연기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자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목소리도 가냘프고 체격도 호리호리한 남성 배우가, 영화 < 범죄도시>의 마석도(배우 마동석 분)나 < 공공의 적>의 강철중(배우 설경구 분) 같은 배역을 맡는 건 처음부터 잘못된 섭외이다. 물론 나름의 노력을 통해 연기 변신을 할 수 있겠지만 그것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한편 알맞지 않는 캐릭터라도 '연기 속 연기'에서는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게 있다.
|
<식샤를 합시다 2> 배우 서현진의 연기 속 연기 |
tvN 월화 드라마 < 식샤를 합시다 2>에서 백수지(배우 서현진 분)는 원래 털털하고 선머슴같은 성격의 인물인데, 이상우(배우 권율 분)에게 잘 보이려고 '연기 속 연기'를 하는 장면이다. 백수지에게 걸맞지 않는 성격이기는 하나 극중 백수지에게 이런 어설픈 발연기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당연히 허용이 되는 것이다.
2.1.2. 작품과 배역에 대한 이해
연기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 중 하나다. 작가 이환경이 만든 세계관 내(드라마 < 태조 왕건>)의 ' 궁예'라는 캐릭터는 오로지 배우 김영철만이 소화할 수 있고 그 배역에 대해서는 그 누구보다도 김영철이 가장 잘 알아야 한다.[4] 그러기 위해서 배우는 대본을 꼼꼼히 확인하거나 작가와의 긴밀한 소통을 하여 작가가 표현하고 싶은 세계관은 어떤 곳이고, 그 안에 자신이 맡은 캐릭터는 어떤 성격이며 배우 개인의 성향과 잘 맞아 떨어지는지 등을 면밀히 분석하고 해석해내는 단계가 필요하다. 그런 과정을 거친 후에야 연기를 시작할 수 있다.
|
<태조 왕건> 배우 김영철의 연기 |
2.1.3. 시선 처리 및 움직임, 태도
시선 처리나 움직임, 태도는 '시각적 형태의 연기 요소'에 해당된다. 이게 부자연스러우면 시청자들 눈에는 바로 걸리기 때문에 자신감이 없거나 연기에 몰입하지 못한다는 인상을 심어줄 수 있다.
|
<원 더 우먼> 배우 진서연의 연기 |
SBS 금토 드라마 < 원 더 우먼>에서 강미나의 고모 강은화(배우 황영희 분)가 조카 강미나인 척 하는 조연주(배우 이하늬 분)의 친자검사 결과를 공표하는 장면. 예상과 달리 조연주가 강미나의 사망한 부친인 강장수 유민그룹 전 회장의 친자로 결과가 나오자 모두가 놀라는 장면이다. 여기서 특히 한성혜 역의 배우 진서연의 연기가 돋보이는데, 극중 소시오패스로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감정이 거세된 모습을 보였음에도 유독 이때는 자신이 미리 꾸몄던 내용과 전혀 다른 상황이 벌어지자 미묘하게 눈동자가 흔들리면서 놀라고 있다. 그녀의 시선 처리가 돋보이는 장면이다.
또한 연기에 임하는 태도도 중요하다. 주연은 주연답게, 조연은 조연답게, 단역은 단역다워야 한다. 주연을 빛내줘야 할 단역이나 조연이 주연처럼 눈에 띄려고 하면 안 된다.[5] 이런 식으로 연기하면 혼자서만 동떨어진 연기를 한다는 인상을 심어줄 수 있다.
2.1.4. 대사 처리
'청각적 형태의 연기 요소' 중 하나. 반드시 작가가 쓴 대본대로만 처리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배우 개인의 스타일이나 배역의 성격, 감독과의 협의를 통해 유연하게 대사 처리하는 게 필요하다.
|
<철인왕후> 배우 신혜선의 연기 |
예를 들어 tvN 토일 드라마 < 철인왕후>에서 김소용 역을 맡은 배우 신혜선의 원래 대사와 실제로 친 대사는 아래와 같다.극중 조선의 왕비 김소용에게는 ' 2020년대 대한민국을 살고 있는 남성 장봉환이 빙의된 상태'라는 기본 설정값이 존재한다. 원래 대사보다 배우 신혜선이 처리한 대사를 통해 비아냥대는 거친 장봉환의 캐릭터가 더 잘 살아났다.
대본에는 특정 대사를 어떤 뉘앙스로 처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세세하게 드러나 있지 않다. 이때 배우 개인의 경험과 성향 및 언어습관, 제작진과의 협의 등을 통해서 해당 배역의 설정값을 감안하여 잘 맞는 느낌대로 처리하는 게 필요하다.
2.1.5. 발성
'청각적 형태의 연기 요소' 중 하나. 아무리 시끄러운 환경이더라도, 작은 목소리로 대사를 처리하더라도 시청자들의 귀에 쏙쏙 들어오게끔 음마다 끊어서 또박또박 소리가 나와야 한다.2.1.6. 배역에 대한 몰입
배역에 몰입한 사례를 들자면, 영화 < 다크 나이트>에서 조커 역을 맡은 히스 레저를 들 수 있다. 그가 배역에 과도하게 몰입한 나머지 우울증으로 자살했다는 낭설이 있으나 그 진위 여부를 차치하더라도,[6] 히스 레저가 조커 역에 몰입하기 위해서 스스로 조커처럼 되려고 노력한 건 사실이라고 한다.배우는 작가가 만들어 낸 배역을 나름대로 해석하고 시청자나 관객이 먹기 좋게 다듬어서 전달해주는 역할이므로, 배우 스스로 그 배역에 몰입하지 못하면 그 작품은 성공하기 힘들다.
|
<다크 나이트> 배우 히스 레저의 연기 |
이와 같은 메소드 연기는 연기력으로써 인정 받으려는 배우들에게 권장할 만한 것이기는 하나, 자칫 그 역할에 심취하여 배우 스스로를 파괴할 위험성이 있어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2.2. 부수적 요소
2.2.1. 다른 배우와의 팀워크
독백으로만 구성된 작품이 아니고서야, 다른 배우와의 팀워크는 필수적이다. 어느 배우가 맡은 배역은 작가가 만든 세계를 구성하는 일부일 뿐이며 다른 배역과의 관계 속에서만 존재가 가능하고 의미를 갖는다. 물론 촬영장 내 배우들 간에 화목하다고 해서 반드시 좋은 작품이 나오는 건 아니지만, 적어도 촬영에 들어간 순간만큼 배우 간의 합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절대로 좋은 작품이 나올 수 없다.[7]
|
<고독한 미식가> 배우 마츠시게 유타카와 다른 배우들의 연기 |
TV 도쿄 드라마 < 고독한 미식가>의 한 에피소드. 이 드라마는 전문배우와 비전문배우의 연기가 유기적으로 융합된 작품 중 하나이다. 주인공 이노가시라 고로 역의 마츠시게 유타카 이외에도 항상 특별출연 배우나 단역 배우들이 다수 출연하는데, 그들 배우들은 오로지 주인공을 빛내기 위한 '배경', 거칠게 표현하면 ' 병풍'에 가까운 역할을 충실히 표현해내는 게 이색적이다.[8]
2.2.2. 작가의 대본
배우 개개인의 고유의 연기력뿐만 아니라 작가가 쓴 대본도 연기력에 대한 평가를 가르는 데 핵심요소이다. 드라마, 영화 등 특정 창작물의 뼈대는 결국 대본이므로, 대본의 구성이 탄탄하지 못할 경우 아무리 배우가 수준 높은 연기력을 선보여도 빛을 발하지 못한다.2.2.3. 감독과 기타 제작진의 역할
감독은 작가의 의도를 잘 파악하여 배우들의 연기를 살릴 수 있도록 적절한 개입을 통해 지도해야 할 책임이 있다. 또한 촬영분을 잘 구성하여 다듬는 작업인 '편집'도 연기력에 대한 평가에 마침표를 찍는 요소 중 하나이다.2.2.4. 탄탄한 투자
배우의 대부분은 전업 연기자이기 때문에 제때 적정한 출연료가 지급되지 않거나 연약한 환경에서 촬영을 하게 된다면, 극에 온전히 몰입할 수 없어서 연기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없다.3. 여담
3.1. 주연과 조연의 연기력 차이
유해진, 박성웅, 조우진, 신혜선처럼 단역, 조연 중에 뛰어난 연기력을 보여서 주연으로 거듭난 경우도 많지만, 주연이라고 해서 반드시 조연, 단역보다 연기력이 나은 건 아니다. 대체로 주연과 조연을 가르는 건 스타성, 즉 '팬들이 소비할 수 있는 이미지나 상업적 역량'에서 비롯된다. 조연들 중에서는 주연보다 잔뼈 굵은, 탁월한 연기력을 보이면서도 아이돌· 모델 출신 어린 배우들보다 스타성이 부족하여 주연으로 못 올라서는 경우가 많다. 조금 더 범위를 넓히면 연극이나 뮤지컬에서 항상 주연을 맡는 배우라도 드라마나 영화로 넘어가는데는 큰 장벽이 존재하고, 막상 넘어가도 단역이나 조연부터 다시 커리어를 시작해야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 역시도 스타성의 차이에서 비롯된다.따라서 주연이라고 해서 조연보다 연기력이 낫다는 보장은 없다.
3.2. 다작의 필요성
고등학교나 대학 때 연극동아리, 단편영화로 나름 괜찮은 연기력을 보여주더라도,[9] 상업 드라마, 영화 무대로 넘어가면 살아남기에 턱없이 낮은 수준의 연기력이 되곤 한다. 이럴 때 많은 작품에 출연하여 다양한 연기 경험을 쌓는 것이 연기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게 어느 정도는 맞아 보인다. 다만 어느정도 주연으로서 입지를 다지고 나서는 '이미지 소진' 때문에 다작이 오히려 독이 되기도 한다.[10]일본의 이시하라 사토미는 대표적인 다작(多作) 배우인데, 데뷔한 2003년(당시 16세) 이래로 2021년 2월 기준 총 87개 작품에 출연했다. 데뷔 초반부터 주목받은 것도 사실이나, 많은 작품에서 각종 배역을 소화한 덕택에 연기력이 일취월장하게 되었다. 그 결과 2016년 이후로는 일본 내 연기력이 뛰어난 톱 배우 반열에 올랐고[11] 발음도 깔끔한 배우로 손꼽힌다. 앞서 언급한 유해진, 박성웅 등 배우들이 다작을 통해 연기력을 향상시킨 것도 같은 맥락이다. 원로배우 이순재가 배용준을 두고 "< 겨울연가> 하나로 끝난 사람."이라고 언급한 게 괜한 말이 아니다. 기사(아시아경제)
3.3. 문화권에 따른 평가의 엇갈림
일본 배우들의 연기 평가가 문화권에 따라서 유독 크게 엇갈리는 편이다. 일본 연기계는 언제부터인가 ' 아이돌· 모델 출신'이거나 정통 연기파 배우와는 거리가 먼, 이른바 '급이 낮은 배우들'에 의해 주도가 되면서 실제로 연기력 저하가 있는 것이 맞아 보이기는 하지만, 특별히 혹평을 더 받게 되는 이유가 따로 있었으니 바로 '과장되고 꽥꽥대는 연기'이다. #1 #2
|
<한자와 나오키> 배우 사카이 마사토의 연기 |
위의 영상은 TBS 테레비 일요극장 < 한자와 나오키>[12]와 후지 테레비 드라마 < 리갈 하이>[13] 속의 배우 사카이 마사토의 연기.
사카이 마사토의 연기력은 일본 배우들 중에서 최상위권에 해당되고 다른 외국 배우들과 비교했을 때도 특별히 흠잡을 데 없는 뛰어난 실력이지만, 일본 특유의 감정선[14] 때문에 '너무 꽥꽥대서 시끄러워서 못 봐주겠다'며 혹평하는 목소리도 간간이 나온다. 물론 사카이 마사토나 되니까 싫어하는 목소리가 심하게 안 나오는 거지, 다른 드라마에서 연기력이 턱없이 부족한 배우들이 내뱉는 "에(え)~", "우소(嘘)~" 등 심히 과장된 '나 연기 중이야' 톤이 나오면 혹평이 쏟아진다. #[15]
3.4. 동시녹음과 후시녹음
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국가에서 제작되는 드라마, 영화의 경우에는 동시녹음이 이뤄지기 때문에 차이를 모르는 경우가 많지만, 대표적으로 중국은 우리의 사극에 해당되는 '고장극(古裝劇)'[16]은 현실적인 어려움 때문에 영상만 촬영하고 후시녹음으로 소리를 입혀서 제작한다. 동시녹음 대신 후시녹음으로 처리하는 대표적인 이유는 아래와 같다.-
언제나 북적거리는 고장극 촬영지
중국 저장성 진화시에 소재한 헝디엔 월드 스튜디오(横店影视城)는 자금성 1:1 복제 스튜디오 뿐만 아니라 고대부터 근대까지의 스튜디오가 총망라된 중국 고장극의 산실이다. 기사(한국일보) 1년 내내 동시 촬영 중인 다른 드라마 배우와 제작진, 그리고 관람객으로 북적거린다. 중국에서 방영되는 대부분의 고장극이 이곳에서 찍힌다고 볼 수 있다. 그러다 보니 촬영장이 시끄러워서 녹음이 제대로 이뤄지기가 힘들며, 동시녹음을 위한 여러 고가의 장비를 쓰기에는 금전적 부담도 크다. -
중국 내 수많은 지역의 언어적 차이
2020년대 중국에서는 수십 년 동안 이어진 강력한 표준 중국어(보통화, 普通话) 보급 정책에 따라 대부분의 중국인들이 표준중국어를 구사할 수 있지만, 어떤 지방을 가면 광동어만 쓰는 경우도 있고 또 어떤 지역은 먀오어를 쓰기도 해서 언어적으로 전혀 통하지 않는 경우도 허다하다. 배우들마저 100% 전부 표준중국어를 능숙히 구사할 수 있는 것도 아니므로 동시녹음 뿐만 아니라 후시녹음으로도 처리하기 힘든 경우가 종종 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중국 고장극은 '후시녹음'으로 처리하며, 유명 배우일 경우에는 언어별로 망라하여 전담 성우들이 따라붙어서 그 배우 대신 목소리 연기를 하는 경우가 많다.[17] 이 때문에 성우의 목소리 연기력과 실제 배우의 연기력이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다. 그런 반면 헤이즈(黑子), 린위셴(林雨申), 리이통(李一桐) 같은 일부 배우들[18]은 바쁜 스케줄 와중에도 작품에 자기 목소리까지 덧입히기 위해서 후시녹음에도 참여한다.
|
<구소한야난> 배우 리이통의 연기 |
[1]
오페라,
무용,
피겨 스케이팅 등도 연기력을 발휘하는 영역이기는 하나, 여기서 설명하고자 하는 '연기력'과는 궤가 다르다. 그리고 이 문서는 드라마와 영화에 특별히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점을 유의하기 바란다.
[2]
만약 관객 또는 시청자가 없다면, 배우의 연기는 '본래의 의미와 가치를 잃은
독백'에 불과할 것이다.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심지어 누구도 그 존재조차 알지 못하는 연기가 과연 의미가 있을까? 배우라면, 자신의 연기가 청중에게 감동, 영감 등을 일으키는 기능을 제대로 구현할 때에야 그에 걸맞은 가치를 지닐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설명]
위 영상은
KBS 대하드라마 <
태종 이방원>에서
이방원 역을 맡은 배우
주상욱이 연기하는 모습이다. 이 영상의 해당 지점 앞뒤에는 스크린 밖의 실제 촬영장 모습을 담고 있어서, 연기하는 배우들 뿐만 아니라 감독을 비롯한 스태프의 역할과 요구되는 태도 등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4]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것은, 실존인물
궁예가 아니라 작가가 만들어낸 세계관 속 캐릭터 '
궁예'를 말하는 것이다. 배우의 역할이란, 작가가 만들어낸 작품 속 배역을 시청자, 관객들이 이해하기 쉽게 해석하여 전달하고 감동을 유발하거나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5]
물론 능력있는 감독이라면 이럴 경우 촬영장에서 바로 걸러낼 것이다.
[6]
자세한 내용은
히스 레저 문서 참조.
[7]
이러한 이유로 촬영장에서 배우 간에 자존심 때문에 신경전을 벌이는 건 득보다 실이 더 크다.
[8]
이는
2.1.3. 문단에서 언급한 배우 개개인의 연기에 임하는 태도와도 관련되어 있다.
[9]
즉, 그 동네에서만 잘하는 배우였던 것.
[10]
이는 드라마나 영화의 장르나 소재가 한정된 것에 기인하는데, 그 때문에 배역도 덩달아 의사, 법조인, 경찰 등 흔히 떠오를 법한 직업에 치중되는 경우가 많다.
[11]
그녀도 일본 내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인기 연예인에 올라선
2016년 이후로는 출연 작품수를 급격히 줄였는데, 치솟는 몸값과 함께 이미지 소진도 그 이유 중 하나로 보인다.
[12]
한자와 나오키 역.
[13]
코미카도 켄스케 역.
[14]
만담 등의 문화를 봤을 때는 원래부터 일본은 과장된 언행이 기본적으로 깔린 문화인 것으로 보인다.
#
[15]
일본의 과장된 연기에 대해 분석한 유튜브 영상의 링크.
[16]
영어로는 'Chinese Costume Drama'로 번역된다. 말 그대로 '전통복장극'을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 일컫는 '사극(史劇)'에 대응된다.
[17]
해당 작품 속 배역의 목소리와 실제 배우의 목소리의 음색이 전혀 다른 경우가 있는데, 이게 후시녹음을 처리한 것이다. 배역 정보를 찾아보면 '普通话配音(표준중국어 성우)', '粤语配音(광동어 성우)'로 성우 이름이 기입되어 있다.
[18]
이런 배우들은 표준중국어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게 가능한 배우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