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 전쟁·전투 | 교전국 |
<colbgcolor=#405486,#000031>
서부전선 교전 1948 |
북한 | |
개성 인근 교전 1949 |
북한 | |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
북한 | |
포천 전투 1949 |
북한 | |
옹진-은파산 전투 1949 |
북한 | |
양양 돌입 사건 1949 |
북한 | |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
북한 | |
6.25 전쟁 1950 ~ 1953 |
북한 소련 중국 |
|
지리산 공비 토벌전 1951 ~ 1954 |
북한 조선인민유격대 |
|
일본 해상보안청의 평화선 침범 사건 1952 ~ 1965 |
일본 | |
일본 해상보안청의 독도 무단침범 및 점령시도 사건 1953 ~ 1956 |
일본 | |
독도 대첩 1954 |
일본 | |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
북한 | |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 1966 ~ 1969 |
북한 | |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
북한 | |
1.21 사태 1968 |
북한 |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
북한 | |
베트남 전쟁 1965 ~ 1973 |
북베트남 베트콩 |
|
3.7 완전작전 1973 |
북한 | |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
북한 | |
3.23 완전작전 1980 |
북한 | |
판문점 총격사건 1984 |
북한 | |
걸프 전쟁 1990 ~ 1991 |
이라크 | |
5.22 완전작전 1992 |
북한 | |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
북한 | |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
북한 | |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
북한 | |
제1연평해전 1999 |
북한 | |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07 |
탈레반 정권 | |
제2연평해전 2002 |
북한 | |
이라크 전쟁 2003 ~ 2011 |
이라크 알 카에다 및 저항 세력 |
|
항구적 자유 작전 2009 ~ |
소말리아 해적 | |
대청해전 2009 |
북한 | |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
북한 | |
연평도 포격전 2010 |
북한 | |
아덴만 여명 작전 2011 |
소말리아 해적 | |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
북한 | |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
북한 | |
대 IS 군사 개입 2015 ~ |
ISIL | |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
북한 | |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
북한 |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 ||
<colbgcolor=#c0c0ff,#00003f> 시기 | 1998년 12월 17일 | |
장소 | 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 | |
교전국 | 대한민국 | 북한 |
병력 |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공군
전남지방경찰청 해양경찰청 여수해양경찰서 |
조선로동당 작전부: 반잠수정 1척 |
피해 | 없음 | 전사 6명 |
결과 | 대한민국 해군의 승리 |
[clearfix]
1. 개요
1998년 12월 17일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돌산도)에서 북한군의 반잠수정이 격침된 사건.2. 상세
1998년 12월 17일 오후 11시 15분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임포리 앞 임포초소에서 열상감시장비(TOD)를 이용해 바다를 응시하던 대한민국 육군 제31보병사단 95연대 1대대 김태완(당시 나이 21) 이병[2]은 소초로부터 2㎞ 떨어진 방죽포 해수욕장 부근에서 해안 쪽으로 접근하는 반잠수정을 발견했다. 경비정 2척이 출동해 추격에 나서자 이 반잠수정은 일본 측 EEZ를 목표로 도주했다.다음날 새벽 대한민국 국군의 경고사격과 정지명령에 기관총으로 대응하던 북한 반잠수정은 최초 발견 7시간 35분 만인 18일 오전 6시 50분경 거제도 남서쪽 100km 공해상에서 광명, 남원함 등 해군함정들의 76mm 함포와 40mm 등 각종 함포 사격에 의해 격파되어 격침되었다. <북한 반잠수정 침투사건> 육,해,공 입체작전의 개가 아군의 손실은 인명피해 없이 함선 좌현에 7.62mm 기관총 탄두와 탄흔이 두어발 남은 게 전부였다.
침몰한 반잠수정 내외에서는 숨진 북한군 6명의 주검이 발견됐으며 교전 과정에서 아군의 인명피해는 없었다.[3][4] 침몰한 반잠수정의 유류품을 수색하는 과정에서 북한 공작원의 노트가 발견되었는데 종북 조직 "민족민주혁명당"에 관한 상세한 기록이 적혀 있었다. 이 증거를 토대로 이석기, 김영환 등의 조직원들을 적발해 기소할 수 있었다. 이것이 바로 민족민주혁명당 사건이다.
북한군이 이용한 반잠수정은 길이 12.5m, 폭 3m, 높이 1.4m에 6~8명이 탑승할 수 있었으며 수면 아래로 20m까지 잠수해 시속 7~80km로 이동할 수 있었고 반잠수 상태일 때는 물 위로 6~70cm만 드러나 대한민국 해군에 들키지 않고 여수까지 내려올 수 있었다. 이후 해군은 이 반잠수정과 동일한 스펙의 선박을 만들어 침투 식별 및 저지 훈련을 하기도 하였다.
이후 노획한 반잠수정과 기관권총, 수류탄, 야전삽 같은 노획물 33점을 인근 율림리의 율림초등학교를 전시관으로 개조해 전시해 두었다. 전시관은 여수시나 돌산읍에서 향일암으로 가는 길에 있어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반잠수정을 처음 발견한 제31보병사단에서는 이 사건을 기념하며 교육 및 훈련 과정에서 자주 언급한다. 루머 중 하나로 최초로 반잠수정을 발견한 TOD 병이 컵라면을 먹고 있다가 우연히 발견했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며 평범하게 근무하다가 발견했다고 한다.
2021년 9월 27일 기사 이등병이 잡은 간첩 선박… 국방부 간부가 뜬금없이 나타나 공적 가로챘다(위키트리 김정연 기자)에서 이 사건이 언급되었다. 국회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해안 레이더가 유지비로 상당한 비용을 소모하며 일부를 관리 부대 간부들이 가로챈다"는 제보를 확인하기 위해 관련 자료를 요구했다. 이에 국방부는 23일 '여수 반잠수정 격침 사건'을 레이더 장비로 얻은 실적 중 하나로 발표했다.
이 잠수정은 사건 한 달 전 강화도로 침투하려던 중 이를 발견한 대한민국 해병대의 잘못된 조치에 도망갔다는 소문이 있다.
777사령부를 다룬 기사에서 해당 사건에 대한 뒷이야기도 짧게 언급된다. #
[1]
조명탄 투하 작전에 동원되었다.
[2]
해당 병사의 관등성명 및 소속은 언론에도 공개되어 있다.
https://news.joins.com/article/3739903
[3]
https://imnews.imbc.com/replay/1998/nwdesk/article/1775114_30723.html
[4]
https://www.yna.co.kr/view/AKR20151218079600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