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19:29:46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405486,#000031> 독립운동
1920~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서부전선 교전
194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인근 교전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포천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옹진-은파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양양 돌입 사건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지리산 공비 토벌전
1951 ~ 195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남로당 깃발.png 조선인민유격대
일본 해상보안청의 평화선 침범 사건
1952 ~ 1965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일본 해상보안청의 독도 무단침범 및 점령시도 사건
1953 ~ 1956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독도 대첩
1954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
1966 ~ 196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1.21 사태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베트남 전쟁
1965 ~ 1973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3.7 완전작전
197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3.23 완전작전
198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판문점 총격사건
198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헤자즈 왕국 국기.svg 이라크
5.22 완전작전
199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제1연평해전
199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07
파일:탈레반 기(1996~2021).svg 탈레반 정권
제2연평해전
200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이라크 전쟁
2003 ~ 201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바트당 당기.svg 이라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 카에다 및 저항 세력
항구적 자유 작전
2009 ~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대청해전
200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연평도 포격전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아덴만 여명 작전
2011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 IS 군사 개입
2015 ~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L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파일:북한 국장.svg 북한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ed1c27> 서부전선 교전
194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성 인근 교전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포천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옹진-은파산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양양 돌입 사건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UN기.svg 유엔군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
1966 ~ 196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베트남 전쟁
1967 ~ 1969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남베트남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21 사태
19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EC-121 격추 사건
196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제4차 중동전쟁
197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앙골라 내전
1975 ~ 1980년대
파일: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당기.svg 앙골라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파일:앙골라 민족해방전선 당기.svg FNLA 파일:카빈다 월경지 해방전선기.svg FLEC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3.23 완전작전
198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우간다 내전
1980 ~ 1986
파일:우간다 국기.svg 민족저항군
판문점 총격사건
198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제1연평해전
199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일본 순시선 괴선박 격침 사건
200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제2연평해전
200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대홍단호 사건
2007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Flag_of_Edward_England.svg.png 소말리아 해적
대청해전
200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연평도 포격전
20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시리아 내전
2011 ~
파일:시리아 임시정부 깃발.svg 자유 시리아군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 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4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1. 개요2. 배경

1. 개요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은 1966년 10월 5일부터 1969년 12월 3일까지 한미 연합군과 북한군 특수부대 간 임진강 일대 비무장지대에서 벌어진 분쟁이다. 흔히 2차 한국전쟁, 혹은 조용한 전쟁(The Quiet War)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1966년 50건에 달하던 정전협정 위반사례가 1967년 566건, 1968년 761건으로 급증하며 치열하게 교전이 벌어졌고, 1969년 99건으로 다시 사그라드는 모습을 보였다.

2. 배경

1960년대 북한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국제사회로부터 고립되기 시작한다. 1956년 김일성의 8월 종파 사건에 대한 중국과 소련의 내정간섭을 민족의 자주에 대한 위협으로 받아들이며, 자주 노선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기 시작한다. 곧이어 1960년대 니키타 흐루쇼프의 탈스탈린주의 정책 및 서방과의 평화공존 추구에 따라 중소 간의 이념 갈등이 심화되며 양국간의 균형 외교를 취하지만, 소련의 경제적, 기술적 지원을 필요로 하면서도 이념적 기조에 차이를 보였기 때문에 중소 양국과 차례로 외교적 마찰을 빚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방의 자주를 추구하며 북한이 제시한 것이 국방-경제 병진노선과 4대 군사노선으로, 1962년을 시작으로 대대적인 국방비 증가와 군사력 증강이 이루어졌다.

비슷한 시기, 대한민국의 국력과 국제사회에서의 입지는 계속해서 강화되고 있었다. 1965년 한일기본조약을 통해 대한민국과 일본 양국의 관계가 정상화되었고, 대한민국은 이에 따라 일본으로부터 여러 경제적/기술적 원조를 받으며 경제 성장에 집중하였다. 1966년에는 박정희의 주도 하에 서울에서 아시아태평양이사회가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을 국가승인국으로 인정한 국가가 두 배로 증가하였다. 또한, 베트남 전쟁으로의 파병을 통해 미국으로부터 한미행정협정을 이끌어 내며 주한미군의 주둔을 공고히 하였으며 여러 대한 원조를 약속 받으며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김일성은 대한민국의 베트남 전쟁 파병을 기회로 보았다. 비록 베트남에서의 전투 경험과 미국과의 협정은 북한에 있어 큰 위협임을 사실이나, 당장 일부 한국군이 파병으로 인해 한반도를 떠나 있으며 미국의 시선이 베트남에 쏠려 있는 현재를 대남 혁명의 적기로 판단한 것이다. 또한 김일성은 예로부터 호치민과도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기 때문에 북베트남을 돕기 위해 전투병을 지원하는 대신 유엔군의 전선을 확대하기 위해 한반도에 안보 위기를 이끌어내기로 결정하였다.

위의 상황과 맞물려, 김일성은 1970년도를 적화통일의 목표 시기로 잡은 채 1967년을 남한의 지하당 조직과 유격활동에 대한 가능성을 시험하는 해로 삼았다. 1966년 10월 5일 제2차 노동당 대표자회의 강연에서 김일성은 남한에서의 폭력투쟁에 대해 강조하며 비정규적 무력도발의 필요성을 시사하였고, 당시 유엔군사령관이자 주한미군사령관이었던 찰스 H. 본스틸 3세 대장은 이를 2차 한국전쟁에 대한 선전포고로 받아들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