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20:35:16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405486,#000031> 서부전선 교전
194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인근 교전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포천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옹진-은파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양양 돌입 사건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지리산 공비 토벌전
1951 ~ 195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남로당 깃발.png 조선인민유격대
일본 해상보안청의 평화선 침범 사건
1952 ~ 1965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일본 해상보안청의 독도 무단침범 및 점령시도 사건
1953 ~ 1956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독도 대첩
1954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
1966 ~ 196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1.21 사태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베트남 전쟁
1965 ~ 1973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3.7 완전작전
197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3.23 완전작전
198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판문점 총격사건
198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헤자즈 왕국 국기.svg 이라크
5.22 완전작전
199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제1연평해전
199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07
파일:탈레반 기(1996~2021).svg 탈레반 정권
제2연평해전
200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이라크 전쟁
2003 ~ 201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바트당 당기.svg 이라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및 저항 세력
항구적 자유 작전
2009 ~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대청해전
200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연평도 포격전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아덴만 여명 작전
2011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IS 군사 개입
2015 ~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L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파일:북한 국장.svg 북한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ed1c27> 서부전선 교전
194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성 인근 교전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포천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옹진-은파산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양양 돌입 사건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UN기.svg 유엔군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
1966 ~ 196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베트남 전쟁
1967 ~ 1969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남베트남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21 사태
19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EC-121 격추 사건
196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제4차 중동전쟁
197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앙골라 내전
1975 ~ 1980년대
파일: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당기.svg 앙골라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파일:앙골라 민족해방전선 당기.svg FNLA 파일:카빈다 월경지 해방전선기.svg FLEC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3.23 완전작전
198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우간다 내전
1980 ~ 1986
파일:우간다 국기.svg 민족저항군
판문점 총격사건
198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제1연평해전
199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일본 순시선 괴선박 격침 사건
200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제2연평해전
200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대홍단호 사건
2007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Flag_of_Edward_England.svg.png 소말리아 해적
대청해전
200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연평도 포격전
20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시리아 내전
2011 ~ 2024
파일:시리아 국기.svg 자유 시리아군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4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colbgcolor=#c0c0ff,#00003f> 시기 1995년 10월 24일
장소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
교전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병력 대한민국 육군
제203특공여단
제32보병사단
충남지방경찰청
국가안전기획부
조선로동당 작전부
피해 사망 2명 사망 1명, 생포 1명
결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승리

1. 개요2. 침투3. 총격4. 토벌5. 특징6. 이후

[clearfix]

1. 개요


1995년 10월 24일 북한 무장간첩 김동식과 박광남이 접선을 위해 충청남도 부여군의 한 사찰에서 만나던 중 첩보를 받은 국가안전기획부의 협조에 불응해 군, 경찰 병력과 총격전을 벌인 사건.

2. 침투

북한 무장간첩 김동식과 박광남은 조선로동당의 군관으로 1995년 8월 29일 5t급 공작선으로 북한 황해도 해주를 출발해 8월 30일 자정 인천 강화군 양도면 진평리 해안에 침투했다.

이들은 10월 24일 부여 정각사 인근에서 군경 합동 수색망에 토벌 될 때까지 성남과 대전에 있는 여인숙을 활동거점으로 확보하고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희생자 유가족으로 행세하면서 간첩 활동을 전개했다.

이들은 위조한 주민등록증 4매를 소지하고 지역과 여건에 따라 바꿔 사용하면서 서울·대구·광주·경기·강원·충남 일원을 활보하며 간첩 활동을 했고 남대문시장 등지에서 지령 수신용 라디오·의류·시계 등의 공작을 위한 장비를 구입하기도 했다.

또 남한의 운동권, 진보 인사[1]들과 접촉해 자신들을 북한에서 온 당 연락원이며 같이 통일 운동을 하자는 등 노골적인 포섭 행위를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3. 총격

1995년 4월부터 충남 부여지역에 고정간첩이 활동하고 있다는 첩보를 포착한 안기부는 10월 충남 부여군 석성면에 있는 사찰 정각사에서 고정간첩과 북한 남파공비의 접선 징후를 포착하고 안기부 및 경찰 대공요원등 10여명이 정각사 인근에서 잠복해 북한 무장공비와 고정간첩과의 접선을 기다렸다.

무장공비들은 몰랐지만, 이들이 접선하기로 한 1960년대 침투했던 고정간첩 '봉화 1호'는 이미 80년대 초반에 대한민국으로 전향하여 북한에 허위 정보를 보내주었고 그 덕분에 1983년 부산 다대포에 침투했던 무장간첩 2명을 체포할 수 있었다.

1995년 국가안전기획부는 봉화 1호를 시켜 '고령으로 간첩 활동이 어려우니 월북을 도와줄 공작원을 보내달라'는 연락을 북한에 넣었다. 당시 북한 정보기관은 부산 다대포 사건의 진행 과정을 보고 봉화 1호의 전향 여부를 의심하고 있었다. 이에 북한에서는 봉화 1호의 처분을 놓고 토론한 끝에 전향하지 않았다는 쪽이 우세해서 2명의 공작원을 남파하되, 의심스러우면 봉화 1호를 사살하고 도망치라는 명령을 내렸다.

봉화 1호는 스님 신분으로 위장했기 때문에 정각사에서 지냈다. 경찰 대공부서 2명과 국가안전기획부 대공부서 2명, 봉화 1호가 6개월 동안 무작정 기다렸다. 이 절에는 주지스님 1명이 있었는데 스님은 아무것도 상황을 몰랐다. 방첩요원 4명은 매일 법당 청소를 하고 절 담장을 고치는 등을 하며 6개월 넘게 무작정 기다리기만 했다. 그러던 중 드디어 무장공비들이 봉화 1호를 접선하려고 7개월 만에 나타났다.

10월 24일 정각사에 나타난 신원 미상의 2명이 안기부 수사관의 불심검문을 뿌리치고 도주하던 중 안기부 소속 수사관과 총격전을 벌이며 30여분간 대치했다.

안기부 직원의 협조 요구를 받고 112 타격대가 토벌차 출동해 무장공비와 총격전을 벌였는데 이 과정에서 충남 부여경찰서 소속 장진희 경사가 숨졌고 나성주 경사도 병원으로 이송되어 치료를 받던 중 순직[2]했다.

이어 경찰의 지원 요청을 받은 육군 병력이 출동하고 북한 공비 김동식은 군경 토벌대와의 총격전 끝에 종아리에 관통상을 입고 4번 국도에서 생포됐다.

또 다른 한 명인 박광남은 인근 야산으로 도주했다.

경찰과 안기부는 무장 공비들이 경기도 분당 중앙공원 약수터 부근 묘지에 설치해 놓은 무인 ‘드보크[3]'를 찾아내 은닉해 둔 송신기와 난수표, 암호표, 비상식량 등 간첩 장비를 확보했다.

4. 토벌

박광남이 석성산으로 도주하자 다음날 25일 군·경 통합작전본부가 조직돼 공비토벌에 대비했고 공수특전여단, 203특공여단 소속 병력 6000여명이 증파됐다.

통합작전본부는 오후 6시부터 부여와 공주, 논산 지역에 야간 통행 금지령을 발령하고 간첩의 식량 약탈 등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야간 투시장비 등을 탑재한 헬기를 출격시켰다.

26일 경찰과 군은 203특공여단을 동원해 석성산 외곽에 4겹의 포위망을 치고 공수부대원 6000여명을 투입해 정밀수색을 벌이는 한편 도주공비 박광남의 몽타주를 제작해 부여 인근 청양, 공주, 논산 지역에 배포했다.

석성산 근처 부여시내와 논산, 공주 지역에는 오전 6시까지 야간통행금지가 실시되었고 임시휴교에 들어갔던 석성면 내 학교는 오전 단축수업만 실시하면서 토벌에 협조했다.

그리고 27일 오전 10시 50분경 부여군 초촌면 신암리 야산에서 무장공비 박광남이 토벌대(203특공여단)에 의해 총에 맞았는데 서울 경찰병원 중환자실로 압송되어 치료를 받던 중 사망했다.

토벌대는 사살한 박광남에게서 벨기에제 베이비 브라우닝 권총 1자루와 소음기, 청바지, 티셔츠 등의 피복, 공작금 한화 9만 3800원과 미화 1500달러, 서울시 지하철 노선도, 버스 토큰과 전화카드가 들어있는 지갑을 찾아냈다.

5. 특징

이들은 조선로동당에서 철저한 이남화 교육을 시켜 북한 사투리를 쓰지 않고 남한 환경에 익숙하게 훈련시킨 이른바 신세대 공작원으로 정교하게 위조된 주민등록증을 사용하면서 남파 간첩들의 지문을 직접 찍고 컴퓨터 조회에서도 걸리지 않도록 하는 치밀함을 보였다.

과거 분실 주민등록증을 습득해 조잡하게 위조해 사용한 간첩들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또 이들은 하이테크와 볼펜 모양의 독침과 최신형 무전기를 휴대하고 있었으며 권총 이외에도 독총과 독약앰플, 무전기 15대 난수표 18종 등 첨단 간첩장비를 휴대하고 있었다.

2개월 간의 비교적 단기 공작 활동임에도 미화 6만 1000불, 한화 400만원 등 거액의 공작금으로 확보해 남한 전역에 설치된 7개소의 무인 포스트를 통해 무전기, 권총과 공작금 등 간첩장비를 고정간첩들에게 전달하려고 했다.

이로 인해 1995년 ‘부여 무장간첩 사건’은 당시 남한 운동권 세력에 주체사상 등이 만연되어 있는 점 등을 이용해 그들에게 접근해 북한에서 온 공작원이라고 노골적으로 신분을 밝히는 대담하고 과감한 공작전술을 구사한 북한의 거칠 것 없는 대남공작을 입증한 사건으로 기록됐다.

6. 이후

체포된 김동식은 리선실 귀환작전 등을 성공시켜 20대에 공화국영웅 칭호를 받은 거물 간첩이었으나 체포된 뒤 대한민국으로 전향하여 대북정보부서에서 자문역을 맡았으며, 이후 북한학 박사학위를 취득, 이를 바탕으로 북한 대남전략의 실체라는 책을 출간하였다. 비슷한 시기에 아무도 나를 신고하지 않았다라는 회고록을 썼다.
[1] 접선 대상은 우상호, 이인영, 김태년 등 현재 민주당계열의 운동권 출신 정치인이었다. 김태년은 간첩들이 체포되며 접선이 불발되었고, 앞의 두 명은 간첩과 접선 이후에도 당국에 신고하지 않았다. # [2] 당시 계급은 순경이었으나 순직 후에 2계급 특진이 결정되었다. [3] dvoke: 간첩장비 비밀 매설지로 주로 남파된 북한 공작원들이 고정간첩에게 줄 무기 등을 숨겨놓는 장소를 가리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