何 어찌 하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人,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7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カ
|
||||||
일본어 훈독
|
なに, (なん), いず-く, いず-くんぞ,
いず-れ, なんぞ, ど-の, ど-れ |
||||||
-
|
|||||||
표준 중국어
|
hé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何는 '어찌 하'라는 한자로, ' 어찌', '어느', '무엇' 등을 뜻한다.2. 설명
何의 획순 |
何의 자형 |
何의 갑골문 형태처럼 사실 이 한자는 짐을 메고 있는 사람의 모습이다. 그런데 '메다', '들다'라는 의미는 荷(멜 하)가 대신하게 되었고, '어찌'라는 뜻이 가차되었다.
한국어에서는 그다지 용례가 많지 않지만, 일본어나 중국어 등에서는 대단히 많이 쓰이는 글자이다. 특히 의문 표현으로 일본어 훈독인 ' 나니?'가 많이 사용된다. 현대중국어에서 何는 거의 관용구로만 쓰이며 대신 什么를 쓰는 경우가 많지만 사극작품에서는 什么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유니코드에는 U+4F55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MNR(人一弓口)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 기하( 幾何)
- 나하( 那何)
- 내하( 奈何)
- 무하옹( 無何 翁)
- 무하유( 無何 有)
- 수하( 誰何)
- 여하( 如何)
- 육하원칙( 六何 原 則)
- 하고(何 故)
- 하년(何 年)
- 하등(何 等)
- 하모(何 某)
- 하물(何 物)
- 하사(何 事)
- 하상(何 嘗)
- 하시(何 時)
- 하여(何 如)
- 하인(何 人)
- 하일(何 日)
- 하자(何 者)
- 하처(何 處)
- 하필(何 必)
3.2. 고사성어/ 숙어
- 간경하사( 干 卿何 事)
- 광인기여여하( 匡 人 其 如 予何)
- 동자하지( 童 子何 知)
- 막가내하( 莫 可 奈何)
- 막감수하( 莫 敢 誰何)
- 말여지하( 末 如 之何)
- 무가내하( 無 可 奈何)
- 무하지증( 無何 之 症)
- 부지하경( 不 知何 境)
- 부지하세월( 不 知何 歲 月)
- 선하심후하심( 先何 心 後何 心)
- 수질승가하증( 雖 嫉 僧 袈何 憎)
- 억하심사( 抑何 心 思)
- 억하심장( 抑何 心 腸)
- 억하심정( 抑何 心 情)
- 언지하익( 言 之何 益)
- 용지하처( 用 之何 處)
- 일귀하처( 一 歸何 處)
- 정신일도하사불성( 精 神 一 到 何 事 不 成)
- 천하언재( 天何 言 哉)
- 타상하설( 他 尙何 說)
- 하견지만(何 見 之 晚)
- 하기다야(何 其 多 也)
- 하난지유( 何難 之 有)
- 하대명년(何 待 明 年)
- 하대세월(何 待 歲 月)
- 하면목(何 面 目)
- 하상사지유(何 常 師 之 有)
- 하준약법(何 遵 約 法)
- 하필왈리(何 必 曰 利)
- 하후하박(何 厚何 薄)
- 하흥지포(何 興 之 暴)
3.3. 인명
- 글필하력( 契 苾何 力)
- 김수하( 金 秀何)
- 릿카 가주마루( 六何 我 樹 丸)
- 소하( 蕭何)
- 아하소과( 俄何 燒 戈)
- 하계균(何 繼 筠)
- 하린(何 琳): 좀비고등학교의 등장인물
- 하선고(何 仙 姑)
- 하지(何 祗): 삼국지의 인물
- 히카 소마( 此何 ソウマ)
3.4. 지명
3.5. 창작물
- 하여가(何 如 歌)
- 何でも言うことを聞いてくれるアカネチャン(아무말이나 해도 다 들어주는 아카네짱)
- 何度も言えるよ(몇 번이고 말할 수 있어)
- 何度目の青空か?(몇 번째의 푸른 하늘인가?)
- 何故 人は争うんだろう?(왜 사람들은 다투는 걸까?)
- 虹の先に何があるか(무지개 너머엔 무엇이 있는가)
- 君さえ居れば何も要らない(너만 있으면 아무것도 필요없어)
3.6. 일본어
3.6.1. 훈독
なに, なん.何의 훈독은 なに 또는 なん이다. 다만 뒤에 오는 음절에 따라서 なに와 なん을 구별해서 쓴다. '무엇'이라는 뜻은 기본적으로 なに로 읽지만 조사, 조동사 등이 뒤에 오면 なん으로 읽는다. 또한 예외도 있지만 '몇'이라는 뜻은 기본 なん으로 읽는다.
- お前(まえ)何(なに)?: 너 뭐야?
- 何(なん)て: ~라고는, ~라니, ~하다니.
- 何(なん)で: 왜, 어째서.
- 何(なん)と: 어떻게, 얼마나, 대단히, 참.
- 何(なん)だと考(かんが)えますか: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 何時(なんじ): 몇 시
- 何番(なんばん): 몇 번째
- 何階(なんがい, なんかい): 몇 층
- 예외: 何曜日(なんようび): 무슨 요일
4. 유의자
- 曷(어찌 갈)
- 巨/ 詎/ 鉅(어찌 거)
- 豈(어찌 기)
- 哪(악귀쫓는소리/어찌 나)
- 那(어찌 나)
- 柰(사과/어찌 내)
- 奈(어찌 내)
- 焉(어찌 언)
- 怎(어찌 즘)
- 蓋(어찌 합)
- 奚(어찌 해)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柯(가지 가)
- 鴚(거위 가)
- 跒(걸을 가)
- 䶗(깨물 가)
- 呵/ 訶(꾸짖을 가)
- 蚵(도마뱀 가)
- 䯊/ 胢(무릎뼈 가)
- 舸(배 가)
- 牁/ 牱(배말뚝 가)
- 魺(복어 가)
- 炣(불 가)
- 㞹(산이름 가)
- 軻(수레/사람이름 가)
- 酠(쓴술 가)
- 珂(옥이름 가)
- 𠵲[⿰后可](옳을 가)
- 𠳌[⿰去可](탄식하는소리 가)
- 坷(평탄하지않을 가)
- 𥩤[⿰立可](키작은사람 개)
- 佝(곱사등이 구)
- 砢(돌쌓일 라, 옥버금가는돌 가)
- 䋍(가는비단 아)
- 鈳(노구솥 아)
- 妸(아름다울 아)
- 阿(언덕 아)
- 𥎵(알 지)[1]
- 河(물 하)
- 袔(소매 하)
- 𥘫[⿰示可](제사종류 하)
- 抲(지휘할 하, 움켜쥘 가, 체포할 나)
- 向(향할 향)
- 𧵛[⿰貝可](가)
- 𢘟[⿰心可](교)
- 𩈔[⿰面可](파)
- 𥞍[⿰禾可](하)
- 𪟡[⿰男可]
- 𡥚[⿰子可]
- 𠾟[⿰⿳口田八可]
- 𫮭[⿰堇可]
- 𪫧[⿰忄可]
- 𣧤[⿰歹可]
- 𪰏[⿰日可]
- 𰓎[⿰手可]
- 𣍳[⿰有可]
- 𭪋[⿰朵可]
- 𭭫[⿰武可]
- 𮐤[⿰苦可]
- 𰒚[⿰意可]
- 𪽎[⿰田可]
- 𭾨[⿰目可]
- 𭿋[⿰看可]
- 𧟫[⿰西可]
- 𰪲[⿰米可]
- 𲁚[⿰角可]
- 𧯶[⿰豈可]
- 𩊆[⿰革可]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𣵣[⿰氵何](강이름 가)
- 𨵅[⿵門何](기울 아)
- 哬(꾸짖을 하)
- 荷/ 𢬲[⿰扌何](멜 하)
- 𧨂[⿰言何](시끄러울 하)
- 𢚨[⿱何心](지)
- 𫱖[⿱如何]
- 𫳵[⿰牢何]
- 𣒍[⿰木何]
- 𭨸[⿰月何]
- 𰚚[⿺毛何]
- 𪱊[⿰星何]
- 𱱖[⿸疒何]
- 𥮆[⿱𥫗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