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태지와 아이들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하여가(서태지와 아이들) 문서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사건의 민중가요에 대한 내용은
하야가
문서
참고하십시오. 1. 개요
하여가( 何 如 歌)는 조선 태종 이방원이 고려 시절 포은 정몽주를 회유하기 위해서 지었다는 시조이다. 이에 정몽주는 단심가를 통해 거절의 뜻을 전달했고, 이방원의 부하 조영규와 고여에게 개성 선지교(善地橋)에서 처참하게 살해당했다. 후에 그가 숨진 자리에서 대나무가 자라 선죽교(善竹橋)라 했다.다만 이게 실제 역사적 진실인지는 학자간에도 의견이 분분한 편이다. 애초에 선죽교도 항목에 있듯 당대 기록엔 '정몽주가 돌아가는 길에 죽었다'고만 되어있지 선죽교에서 죽었다는 말은 없다.
한국사에서 중요하고 유명한 시조로, 단심가와 묶어서 배우는 경우가 많다. 용의 눈물이나 정도전 등처럼 여말선초 그 중에서도 조선 건국을 다룬 사극에선 거의 대부분 나온다. 다만, 드라마 태종 이방원에서의 경우, 하여가와 단심가 모두 생략됐다. 역사적 사실인지 아닌지 애매해서 뺀 듯하다.
이 시조는 단순히 정몽주 하나만을 상대했다기보다는 고려조 신하 전체를 향한 경향이 있는데 위화도 회군에 동참했던 변안열 또한 '불굴가'라는 시로 고려에 대한 충성이 변치 않음을 표현했다.
2. 시 전문
如此亦如何(여차역여하)
이런들 또 어떠하며,
如彼亦如何(여피역여하)
저런들 또 어떠하리.
城隍堂後苑(성황당후원)
성황당의 뒷담이
頹圮亦何如(퇴비역하여)
무너진들 또 어떠하리
吾輩若此爲(오배약차위)
우리들도 이 같이 하여
不死亦何如(불사역하여)
죽지 않은들 어떠할까.
이런들 또 어떠하며,
如彼亦如何(여피역여하)
저런들 또 어떠하리.
城隍堂後苑(성황당후원)
성황당의 뒷담이
頹圮亦何如(퇴비역하여)
무너진들 또 어떠하리
吾輩若此爲(오배약차위)
우리들도 이 같이 하여
不死亦何如(불사역하여)
죽지 않은들 어떠할까.
3. 그 외
야사에 의하면 계유정난 당시 세조는 옥에 갇힌 사육신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이 시를 보냈다고 한다. 이에 대한 답가로 성삼문은 '충의가', 박팽년은 '절의가'로 화답하였다고 한다.역사적으로 볼 때, '하여'와 '여하'는 '여지하(如之何)'와 함께 상고중국어에서 서로 공존하다가 현대중국어에 이르러 '여하'로 통일되었다. 이것만 봐도 양자를 엄밀히 구분하기 어렵다. 이에 관해서는 한경숙 교수의 <'如何', '如之何', '何如'의 통사적 변천 고찰>과 같은 논문도 있다.
1993년 발표된 서태지와 아이들의 히트곡 하여가(何如歌)도 이 시조에서 제목을 따온 것이다.
드라마 정도전에서는 조금 색다르게 해석했는데 방원이 정몽주를 마지막으로 회유하면서 만수산에서 따 온 칡으로 담은 술을 대접했다.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에서는 이를 백성의 입장으로 재해석한 대사를 사용하여 호평 받았다.
하여가와 단심가를 이방원과 정몽주 사이의 랩배틀 버전으로 각색해 AI 음악으로 편곡한 버전도 존재한다. 제작자는 튠테일이라는 유튜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