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배정한자
{{{#!wiki style="margin:-8px -10px" | <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000> | '''''' | }}} | |||||||
급수별 배정한자 | ||||||||||
8급 50字 |
7급Ⅱ 100字 |
7급 150字 |
6급Ⅱ 225字 |
6급 300字 |
||||||
5급Ⅱ 400字 |
5급 500字 |
4급Ⅱ 750字 |
4급 1,000字 |
3급Ⅱ 1,500字 |
||||||
3급 1,817字 |
2급 2,355字 |
1급 3,500字 |
특급Ⅱ 4,650字 |
특급 5,978字 |
||||||
※
어문회에서 안내하는 준특급 배정한자 4,918字는 완성형의 중복 한자 268字를 중복 집계한 잘못된 수치임. |
||||||||||
문제 유형 | ||||||||||
|
1. 개요
한국어문회 배정 한자를 기준으로 3급II에 추가되는 한자 목록을 정리 해 놓은 문서.- 준3급 이상의 급수는 국가 공인 취급을 받는다.
-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외국어/한문 영역(한문I)을 대비하려면 이 급수가 아니라 상위 급수인 3급까지도 알아야 한다.
- 독음 뒤에 ':'이 붙으면 무조건 장음, '(:)'이 붙으면 경우에 따라 장음과 단음이 혼용되는 한자다. 고급 한자가 포함된 경우에는 볼드체로, 굳이 외울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취소선으로 처리하였다.
- 어문회 기준으로 이 급수부터 100문항에서 150문항으로 늘어나고 합격 문항도 70에서 105문항으로 늘어난다.
이 레벨부터는 학생 수험생의 비율이 줄어들고 성인 수험생이 많아지기 시작한다. 국가공인 자격증으로 인정이 되기 때문에 취준생들이 많이 취득한다.
2. 목록
2.1. ㄱ
佳 아름다울 가: |
架 시렁 가: |
脚 다리 각 |
閣 집 각 |
刊 새길 간 |
幹 줄기 간 |
懇 간절할 간: |
肝 간 간(:)[1] |
鑑 거울 감 |
剛 굳셀 강 |
綱 벼리 강 |
鋼 강철 강 |
槪 대개 개: |
介 낄 개: |
蓋 덮을 개(:)[2] |
距 상거할 거: |
乾 하늘/마를 건 |
劍 칼 검: |
隔 사이 뜰 격 |
訣 이별할 결 |
兼 겸할 겸 |
謙 겸손할 겸 |
頃 이랑/잠깐 경 |
徑 지름길/길 경 |
硬 굳을 경 |
耕 밭갈 경 |
契 맺을 계(:)[3] |
桂 계수나무 계: |
啓 열 계: |
溪 시내 계 |
械 기계 계: |
姑 시어미 고 |
稿 원고/볏짚 고 |
鼓 북 고 |
哭 울 곡 |
谷 골 곡 |
貢 바칠 공: |
供 이바지할 공: |
恐 두려울 공(:)[4] |
恭 공손할 공 |
誇 자랑할 과: |
寡 적을 과: |
寬 너그러울 관 |
貫 꿸 관(:)[5] |
館 집 관 |
慣 익숙할 관 |
冠 갓 관 |
狂 미칠 광 |
壞 무너질 괴: |
怪 괴이할 괴(:)[6] |
巧 공교할 교 |
較 견줄/비교할 교 |
久 오랠 구: |
拘 잡을 구 |
丘 언덕 구 |
菊 국화 국 |
弓 활 궁 |
拳 주먹 권: |
鬼 귀신 귀: |
菌 버섯 균 |
克 이길 극 |
禽 새 금 |
錦 비단 금: |
琴 거문고 금 |
及 미칠 급 |
騎 말탈 기 |
祈 빌 기 |
畿 경기 기 |
其 그 기 |
企 꾀할 기 |
緊 긴할 긴 |
2.2. ㄴ
諾 허락할 낙 |
娘 계집 낭 |
耐 견딜 내: |
寧 편안 녕 |
奴 종 노 |
腦 골/뇌수 뇌 |
泥 진흙 니 |
2.3. ㄷ
茶 차 다 | 차 차 |
旦 아침 단 |
但 다만 단: |
丹 붉을 단 |
淡 맑을 담 |
踏 밟을 답 |
糖 엿 당[7] |
唐 당나라/당황할 당(:)[8] |
臺 대 대 |
貸 빌릴/뀔 대: |
渡 건널 도 |
桃 복숭아 도 |
倒 넘어질 도: |
陶 질그릇 도 |
途 길 도: |
刀 칼 도 |
突 갑자기 돌 |
凍 얼 동: |
2.4. ㄹ
絡 이을/얽을 락 |
欄 난간 란 |
蘭 난초 란 |
浪 물결 랑(:)[9] |
廊 사랑채/행랑 랑 |
郞 사내 랑 |
涼 서늘할 량 |
梁 들보/돌다리 량 |
勵 힘쓸 려: |
曆 책력 력 |
鍊 쇠불릴/단련할 련: |
蓮 연꽃 련 |
聯 연이을 련 |
戀 그리워할/그릴 련: |
裂 찢어질 렬 |
靈 신령 령 |
嶺 고개 령 |
露 이슬 로(:)[10] |
爐 화로 로 |
祿 녹 록 |
弄 희롱할 롱: |
賴 의뢰할 뢰: |
雷 우레 뢰 |
漏 샐 루: |
樓 다락 루 |
累 여러/자주 루 |
倫 인륜 륜 |
率 비율 률 | 거느릴 솔 |
栗 밤 률 |
隆 높을 륭 |
陵 언덕 릉 |
吏 벼슬아치/관리 리: |
履 밟을 리: |
裏 속 리: |
臨 임할 림 |
2.5. ㅁ
磨 갈 마 |
麻 삼 마(:)[11] |
漠 넓을 막 |
莫 없을 막 |
幕 장막 막 |
晩 늦을 만: |
妄 망령될 망: |
媒 중매 매 |
梅 매화 매 |
麥 보리 맥 |
孟 맏 맹(:)[12] |
猛 사나울 맹: |
盲 소경/눈멀 맹 |
盟 맹세 맹 |
眠 잘 면 |
綿 솜 면 |
免 면할 면: |
滅 꺼질/멸할 멸 |
銘 새길 명 |
謀 꾀 모 |
貌 모양 모 |
慕 그릴 모: |
睦 화목할 목 |
沒 빠질 몰 |
蒙 어두울 몽 |
夢 꿈 몽 |
貿 무역할 무: |
茂 무성할 무: |
墨 먹 묵 |
默 잠잠할 묵 |
紋 무늬 문 |
勿 말 물 |
微 작을 미 |
尾 꼬리 미: |
2.6. ㅂ
迫 핍박할 박 |
薄 엷을 박 |
般 가지/일반 반 |
盤 소반 반 |
飯 밥 반 |
拔 뽑을 발 |
芳 꽃다울 방 |
輩 무리 배: |
培 북돋울 배: |
排 밀칠 배[13] |
伯 맏 백 |
繁 번성할 번 |
凡 무릇 범(:)[14] |
碧 푸를 벽 |
丙 남녘 병: |
譜 족보 보: |
補 기울 보: |
覆 덮을 부 | 다시 복 |
腹 배 복 |
鳳 봉새 봉: |
封 봉할 봉 |
峯 봉우리 봉 |
逢 만날 봉 |
符 부호 부(:)[15] |
付 부칠 부: |
浮 뜰 부 |
賦 부세 부: |
腐 썩을 부: |
附 붙을 부(:)[16] |
簿 문서 부: |
扶 도울 부 |
奔 달릴 분 |
奮 떨칠 분: |
紛 어지러울 분 |
拂 떨칠 불 |
妃 왕비 비 |
婢 계집종 비: |
肥 살찔 비 |
卑 낮을 비: |
2.7. ㅅ
邪 간사할 사 |
沙 모래 사[17] |
司 맡을 사 |
蛇 긴뱀 사 |
斜 비낄 사 |
詞 말/글 사 |
祀 제사 사 |
削 깎을 삭 |
森 수풀 삼 |
霜 서리 상 |
裳 치마 상 |
桑 뽕나무 상 |
喪 잃을 상(:) |
詳 자세할 상 |
尙 오히려 상(:)[18] |
像 모양 상 |
償 갚을 상 |
索 찾을 색 | 노 삭 |
塞 막힐 색 | 변방 새 |
恕 용서할 서: |
緖 실마리 서: |
徐 천천할 서(:)[19] |
署 마을 서: |
惜 아낄 석 |
釋 풀 석 |
禪 선 선 |
旋 돌 선 |
訴 호소할 소 |
燒 사를 소(:)[20] |
疏 소통할 소 |
蘇 되살아날 소 |
訟 송사할 송: |
鎖 쇠사슬 쇄: |
刷 인쇄할 쇄: |
衰 쇠할 쇠 |
愁 근심 수 |
壽 목숨 수 |
帥 장수 수 |
殊 다를 수 |
輸 보낼 수 |
隨 따를 수 |
需 쓰일/쓸 수 |
垂 드리울 수 |
獸 짐승 수 |
淑 맑을 숙 |
熟 익을 숙 |
旬 열흘 순 |
瞬 눈 깜짝일 순 |
巡 돌/순행할 순 |
述 펼 술 |
濕 젖을 습 |
拾 주울 습 | 열 십 |
襲 엄습할 습 |
乘 탈 승 |
昇 오를 승 |
僧 중 승 |
侍 모실 시: |
飾 꾸밀 식 |
愼 삼갈 신: |
甚 심할 심 |
審 살필 심(:)[21] |
2.8. ㅆ
雙 두 쌍 |
2.9. ㅇ
雅 맑을 아(:)[22] |
我 나 아: |
阿 언덕 아 |
亞 버금 아(:)[23] |
芽 싹 아 |
牙 어금니 아 |
顔 낯 안: |
岸 언덕 안: |
巖 바위 암 |
仰 우러를 앙: |
央 가운데 앙 |
哀 슬플 애 |
若 같을 약 | 반야 야 |
讓 사양할 양: |
壤 흙덩이 양: |
揚 날릴 양[24] |
御 거느릴 어: |
憶 생각할 억 |
抑 누를 억 |
疫 전염병 역 |
亦 또 역 |
役 부릴 역 |
譯 번역할 역 |
驛 역 역 |
沿 물따라갈/따를 연(:) |
軟 연할 연: |
宴 잔치 연: |
燕 제비 연(:)[25] |
悅 기쁠 열 |
染 물들 염: |
鹽 소금 염 |
炎 불꽃 염 |
影 그림자 영: |
譽 기릴/명예 예: |
烏 까마귀 오 |
悟 깨달을 오: |
獄 옥 옥 |
瓦 기와 와: |
緩 느릴 완: |
慾 욕심 욕 |
欲 하고자할 욕 |
辱 욕될 욕 |
憂 근심 우 |
偶 짝 우: |
宇 집 우: |
愚 어리석을 우 |
羽 깃 우: |
韻 운 운: |
越 넘을 월 |
胃 밥통 위 |
僞 거짓 위 |
謂 이를 위 |
猶 오히려 유 |
幽 그윽할 유 |
幼 어릴 유 |
柔 부드러울 유 |
維 벼리 유 |
裕 넉넉할 유: |
誘 꾈 유 |
悠 멀 유 |
潤 불을 윤: |
乙 새 을 |
淫 음란할 음 |
已 이미 이: |
翼 날개 익 |
忍 참을 인 |
逸 편안할 일 |
壬 북방 임: |
賃 품삯 임: |
2.10. ㅈ
紫 자줏빛 자 |
慈 사랑 자 |
刺 찌를 자: | 찌를 척[26] |
暫 잠깐 잠(:)[27] |
潛 잠길 잠 |
莊 씩씩할 장 |
葬 장사지낼 장: |
臟 오장 장: |
粧 단장할 장 |
掌 손바닥 장: |
丈 어른 장: |
藏 감출 장: |
栽 심을 재: |
裁 옷마를 재 |
載 실을 재: |
著 나타날 저: |
抵 막을 저: |
跡 발자취 적 |
寂 고요할 적 |
笛 피리 적 |
摘 딸 적 |
蹟 자취 적 |
殿 전각 전: |
漸 점점 점: |
淨 깨끗할 정 |
頂 정수리 정 |
井 우물 정(:)[28] |
亭 정자 정 |
廷 조정 정 |
貞 곧을 정 |
征 칠 정 |
諸 모두 제 |
齊 가지런할 제 |
租 조세 조 |
照 비칠 조: |
兆 억조 조 |
縱 세로 종 |
坐 앉을 좌: |
柱 기둥 주 |
珠 구슬 주 |
株 그루 주 |
奏 아뢸 주(:)[29] |
洲 물가 주 |
鑄 쇠불릴 주 |
宙 집 주: |
仲 버금 중(:)[30] |
卽 곧 즉 |
憎 미울 증 |
曾 일찍 증 |
症 증세 증(:)[31] |
蒸 찔 증 |
之 갈 지 |
池 못 지 |
枝 가지 지 |
陳 베풀 진: / 묵을 진[32] |
震 우레 진 |
鎭 진압할 진(:)[33] |
辰 별 진 | 때 신 |
振 떨칠 진: |
疾 병 질 |
秩 차례 질 |
執 잡을 집 |
徵 부를 징 |
ㅈ: 63자
2.11. ㅊ
此 이 차 |
借 빌/빌릴 차 |
錯 어긋날 착 |
贊 도울 찬: |
昌 창성할 창(:)[34] |
蒼 푸를 창 |
倉 곳집 창(:)[35] |
債 빚 채: |
彩 채색 채: |
菜 나물 채: |
策 꾀 책 |
妻 아내 처 |
尺 자 척 |
戚 친척 척 |
拓 넓힐 척 |
踐 밟을 천: |
賤 천할 천: |
淺 얕을 천: |
遷 옮길 천: |
哲 밝을 철 |
徹 통할 철 |
滯 막힐 체 |
超 뛰어넘을 초 |
肖 닮을/같을 초 |
礎 주춧돌 초 |
觸 닿을 촉 |
促 재촉할 촉 |
催 재촉할 최: |
追 쫓을/따를 추 |
畜 짐승 축 |
衝 찌를 충 |
吹 불 취: |
醉 취할 취: |
側 곁 측[36] |
値 값 치 |
恥 부끄러울 치 |
稚 어릴 치 |
漆 옻 칠 |
浸 잠길 침: |
沈 잠길 침(:), 성씨 심:[37] |
2.12. ㅌ
奪 빼앗을 탈 |
塔 탑 탑 |
湯 끓일 탕: |
殆 거의 태 |
泰 클 태 |
澤 못 택 |
吐 토할 토(:) |
兔 토끼 토 |
透 사무칠 투 |
2.13. ㅍ
版 판목 판 |
編 엮을 편 |
片 조각 편(:)[38] |
偏 치우칠 편 |
肺 허파 폐: |
廢 폐할/버릴 폐: |
弊 폐단/해질 폐: |
捕 잡을 포: |
浦 개 포 |
楓 단풍 풍 |
被 입을 피: |
皮 가죽 피 |
彼 저 피: |
畢 마칠 필 |
2.14. ㅎ
荷 멜 하(:)[39][40] |
賀 하례할 하: |
何 어찌 하 |
鶴 학 학 |
汗 땀 한(:)[41] |
割 벨 할 |
含 머금을 함 |
陷 빠질 함: |
恒 항상 항 |
項 항목 항: |
響 울릴 향: |
獻 드릴 헌: |
懸 달 현: |
玄 검을 현 |
穴 굴 혈 |
脅 위협할 협[42] |
衡 저울대 형 |
慧 슬기로울 혜: |
浩 넓을 호: |
豪 호걸 호 |
胡 되 호 |
虎 범 호(:)[43] |
惑 미혹할 혹 |
魂 넋 혼 |
忽 갑자기 홀 |
洪 넓을 홍 |
禍 재앙 화: |
還 돌아올 환 |
換 바꿀 환: |
皇 임금 황 |
荒 거칠 황 |
懷 품을 회 |
悔 뉘우칠 회: |
獲 얻을 획 |
劃 그을 획 |
橫 가로 횡 |
胸 가슴 흉 |
稀 드물 희 |
戲 놀이 희 |
3. 총합
총 500자
[1]
肝(간기), 肝油(간유), 肝腸(간장)만 단음이고 나머지는 다 장음이다.
[2]
蓋棺(개관), 蓋草(개초) 빼고 다 장음이다.
[3]
거란의 한자 이름인 契丹(계단)만 단음이다.
[4]
恐怖(공포)빼고 다 장음이다.
[5]
貫珠(관:주), 貫革(관:혁)만 장음이다.
[6]
怪怪(괴괴), 怪常(괴상), 怪惡(괴악), 怪異(괴이), 怪歎(괴탄)만 단음이고 나머지는 장음이다.
[7]
과거에는 '사탕 탕'이라는 훈음도 존재했었으나, 언젠가부터 삭제되었다.
[8]
唐突(당:돌)만 장음이다.
[9]
浪太(낭태)빼고 나머지는 장음이나, 표준국어대사전의 경우 낭태 역시도 장음으로 되어 있다.
[10]
露積(노:적)만 장음이다.
[11]
麻雀(마:작)만 장음이다.
[12]
孟浪(맹랑) 빼고 다 장음이다. 단,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장음으로 기록돼 있다.
[13]
배구(排球),
배척(排斥),
배란(排卵) 등에 이 한자를 쓴다.
[14]
성씨를 의미하거나 凡節(범절)은 단음이고 나머지는 장음이다. 단, 범절의 경우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장음으로 처리하고 있다.
[15]
符信(부:신), 符作(부:작), 符籍(부:적), 符合(부:합), 符號(부:호), 符讖(부:참)(특급책에는 부첨으로 되어있는데 오타로 추정된다.)은 장음, 기타는 단음이다.
[16]
附子(부자)(
한의학; 바꽃의 어린 뿌리)만 단음이고 나머지는 장음이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부자도 장음으로 기록되어 있다.
[17]
이체자로
砂가 있으며, 준특급에 속해 있다.
[18]
성씨, 벼슬, 관청명(官廳名), 尙友(상우), 尙子(상자), 尙齒(상치)는 단음이고 높인다는 뜻은 대부분 장음, 아직, 오히려라는 뜻과, 尙論(상:론)은 무조건 장음이다.
[19]
성씨, 國名, 地名은 단음이다.
[20]
燒餠(소:병), 燒紙(소:지)만 장음이다.
[21]
審藥(심:약), 審議(심:의), 審判(심:판)만 장음이다.
[22]
雅淡(아담)빼고 장음이나, 국립국어원에서는 아담 역시도 장음으로 취급하고 있다.
[23]
亞細亞(아세아) 같은 음역어, 亞麻(아마) 같은 풀이름, 亞鉛(아연)같이 광물이름은 단음,
亞炭(아:탄) 같은 생물, 화학물질 관련용어, 亞房(아:방) 같은 벼슬 관련 용어, 버금이라는 뜻은 장음. [24] 게양(揭揚), 부양(浮揚), 양력(揚力), 억양(抑揚), 인양(引揚), 찬양(讚揚), 국위선양(國威宣揚), 의기양양(意氣揚揚) 등에 이 한자를 쓴다. [25] 人名, 地名과 관련 되면 단음이고 나머지는 장음이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전부 장음으로 처리하고 있다. [26] '자'음만 장음이다. [27] 暫時(잠:시)만 장음이다. [28] 井邑詞(정:읍사)만 장음이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단음이다. [29] 奏效(주효) 빼고 장음이다. [30] 친인척과 관련된 것만 장음이다. [31] 화병의 뜻 빼고 다 단음이다. [32] 베푼다는 뜻(陳述 등)은 장음, 낡다는 뜻(陳腐 등)은 단음이다. [33] 地名이나, 鎭靜(진정), 鎭魂(진혼)빼고 다 장음이다. 국립국어원에서는 지명만 단음으로 인정하고 있다. [34] 昌慶苑(창경원), 昌德宮(창덕궁) 昌盛(창성)만 장음이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모두 단음이다. [35] 倉卒(창:졸)만 장음이다. [36] 좌측(左側), 우측(右側)의 '측(側)'과 측백나무(側柏-)의 '측(側)'이 이 한자다. [37] '심'음은 장음이다. 沈默(침:묵), 沈潛(침:잠), 沈靜(침:정), 沈重(침:중), 沈醉(침:취), 沈溺(침:닉), 沈淪(침:륜)도 장음이나, 국립국어원에서는 '침' 발음이 날 때는 모두 단음으로 보고 있다. [38] 片紙(편:지)만 장음이다. [39] 荷物(하:물), 荷役(하:역)만 장음이나, 국립국어원에서는 모두 단음으로 간주한다. [40] 참고로 ' 연꽃'이라는 뜻도 있는데, 이 뜻으로 쓰인 단어는 박하(薄荷)와 천자문의 거하적력(渠荷的歷) 등이 있다. [41] 汗國(한국), 汗黨(한당)은 단음이고, 땀 관련 단어는 장음이다. 단, 국립국어원에서는 汗國도 장음으로 본다. [42] 이체자로 脇(준특급)이 있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脇(옆구리 협)과 脅(위협할 협)의 의미가 구분되어 있다. [43] 虎班(호반) 빼고 나머지는 장음이나, 국립국어원에서는 모두 장음으로 보고 있다.
亞炭(아:탄) 같은 생물, 화학물질 관련용어, 亞房(아:방) 같은 벼슬 관련 용어, 버금이라는 뜻은 장음. [24] 게양(揭揚), 부양(浮揚), 양력(揚力), 억양(抑揚), 인양(引揚), 찬양(讚揚), 국위선양(國威宣揚), 의기양양(意氣揚揚) 등에 이 한자를 쓴다. [25] 人名, 地名과 관련 되면 단음이고 나머지는 장음이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전부 장음으로 처리하고 있다. [26] '자'음만 장음이다. [27] 暫時(잠:시)만 장음이다. [28] 井邑詞(정:읍사)만 장음이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단음이다. [29] 奏效(주효) 빼고 장음이다. [30] 친인척과 관련된 것만 장음이다. [31] 화병의 뜻 빼고 다 단음이다. [32] 베푼다는 뜻(陳述 등)은 장음, 낡다는 뜻(陳腐 등)은 단음이다. [33] 地名이나, 鎭靜(진정), 鎭魂(진혼)빼고 다 장음이다. 국립국어원에서는 지명만 단음으로 인정하고 있다. [34] 昌慶苑(창경원), 昌德宮(창덕궁) 昌盛(창성)만 장음이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모두 단음이다. [35] 倉卒(창:졸)만 장음이다. [36] 좌측(左側), 우측(右側)의 '측(側)'과 측백나무(側柏-)의 '측(側)'이 이 한자다. [37] '심'음은 장음이다. 沈默(침:묵), 沈潛(침:잠), 沈靜(침:정), 沈重(침:중), 沈醉(침:취), 沈溺(침:닉), 沈淪(침:륜)도 장음이나, 국립국어원에서는 '침' 발음이 날 때는 모두 단음으로 보고 있다. [38] 片紙(편:지)만 장음이다. [39] 荷物(하:물), 荷役(하:역)만 장음이나, 국립국어원에서는 모두 단음으로 간주한다. [40] 참고로 ' 연꽃'이라는 뜻도 있는데, 이 뜻으로 쓰인 단어는 박하(薄荷)와 천자문의 거하적력(渠荷的歷) 등이 있다. [41] 汗國(한국), 汗黨(한당)은 단음이고, 땀 관련 단어는 장음이다. 단, 국립국어원에서는 汗國도 장음으로 본다. [42] 이체자로 脇(준특급)이 있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脇(옆구리 협)과 脅(위협할 협)의 의미가 구분되어 있다. [43] 虎班(호반) 빼고 나머지는 장음이나, 국립국어원에서는 모두 장음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