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라모폰 명예의 전당 헌액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tablebgcolor=#FFF,#1f2023> |
그라모폰 명예의 전당은 예술적 탁월함, 혁신, 혹은 상상력을 통해 클래식 음악 녹음에 기여한 예술가들을 기리기 위해 만들었다. ★는 첫 발표(2012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는 두번째 발표(2013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지휘자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
★ |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 게오르그 솔티 | 클라우디오 아바도 | 존 바비롤리 | 다니엘 바렌보임 | 토머스 비첨 | 레너드 번스타인 | 피에르 불레즈 | 존 엘리엇 가디너 |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 카를로스 클라이버 | 오토 클렘페러 | 사이먼 래틀 | |||||||
☆ | 카를 뵘 | 에이드리언 볼트 | 세르주 첼리비다케 | 콜린 데이비스 |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 마리스 얀손스 | 라파엘 쿠벨릭 | 제임스 리바인 | 찰스 매케러스 | 주빈 메타 | 조지 셀 | 브루노 발터 | 구스타보 두다멜 | ||||||||
벤저민 브리튼 | 리카르도 샤이 | 크리스토퍼 호그우드 | 네빌 마리너 | 예브게니 므라빈스키 | 유진 오르만디 | 안토니오 파파노 | 트레버 피노크 | 프리츠 라이너 |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 | 마이클 틸슨 토머스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성악가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
★ | 루치아노 파바로티 | 플라시도 도밍고 | 마리아 칼라스 | 유시 비욜링 | 자네트 베이커 | 안젤라 게오르기우 | 체칠리아 바르톨리 | 엔리코 카루소 |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 | 비르기트 닐손 | 엘리자베트 슈바르츠코프 | 조안 서덜랜드 | 조이스 디도나토 | ||||||
☆ | 몽세라 카바예 | 르네 플레밍 | 토머스 햄프슨 | 안나 네트렙코 | 레온타인 프라이스 | 브린 터펠 | 프리츠 분더리히 | ||||||||
토머스 앨렌 | 빅토리아 데 로스 앙헬레스 | 호세 카레라스 | 표도르 샬리아핀 | 캐슬린 페리어 | 시르스텐 플라그스타 | 니콜라이 갸로프 | 티토 고비 | 마릴린 혼 | 한스 호터 | 드미트리 흐보로스톱스키 | 군둘라 야노비츠 | 요나스 카우프만 | 사이먼 킨리사이드 | 엠마 커크비 | 제시 노먼 | 안네 소피 폰 오터 | 레나타 테발디 | 키리 테 카나와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피아니스트 & 오르가니스트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
★ | 글렌 굴드 | 마르타 아르헤리치 | 클라우디오 아라우 | 알프레드 브렌델 |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 머리 페라이어 | 마우리치오 폴리니 |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 다니엘 바렌보임 | ||||||
☆ |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 | 에밀 길렐스 | 빌헬름 켐프 |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그리고리 소콜로프 | 레이프 오베 안스네스 | ||||||||
프리드리히 굴다 | 마르크 앙드레 아믈랭 | 안젤라 휴이트 | 스테판 허프 | 예브게니 키신 | 구스타프 레온하르트 | 디누 리파티 | 라두 루푸 | 안드라스 쉬프 | 아르투르 슈나벨 | 우치다 미츠코 | 랑랑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현악기 & 관악기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 | 파블로 카잘스 | 자클린 뒤 프레 | 야샤 하이페츠 | 예후디 메뉴인 | 다비드 오이스트라흐 | 이작 펄만 |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 ||||||
☆ | 모리스 앙드레 | 줄리안 브림 | 제임스 골웨이 | 하인츠 홀리거 | 스티븐 이설리스 | 요요마 | 윈튼 마살리스 | 알브레흐트 마이어 | 안네 소피 무터 | 엠마누엘 파후드 | 장 피에르 랑팔 | 조르디 사발 | 안드레스 세고비아 | ||||||||
데니스 브레인 | 정경화 | 아르튀르 그뤼미오 | 프리츠 크라이슬러 | 기돈 크레머 | 나탄 밀스타인 | 존 윌리엄스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세기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27/1928년 | 1928/1929년 | 1929/1930년 | 1930/1931년 | |||||
워너 브라더스 | 찰리 채플린 | 없음 | |||||||
1931/1932년 | 1932/1933년 | 1934년 | 1935년 | 1936년 | |||||
월트 디즈니 | 없음 | 셜리 템플 | 데이비드 와크 그리피스 | 시간의 행진 | |||||
1936년 | 1937년 | ||||||||
W. 하워드 그린 해럴드 로슨 |
에드가 버겐 | W. 하워드 그린 | 현대미술관 영화도서관 | 맥 세네트 | |||||
1938년 | |||||||||
J. 아서 볼 | 월트 디즈니 |
디아나 더빈 미키 루니 |
고든 제닝스 외 10인 |
올리버 T. 마쉬 앨런 데이비 |
|||||
1938년 | 1939년 | ||||||||
해리 워너 | 더글러스 페어뱅크스 | 주디 갈랜드 | 윌리엄 카메론 멘지스 | 영화구호기금 | |||||
1939년 | 1940년 | 1941년 | |||||||
테크니컬러 USA | 밥 호프 | 네이선 레빈슨 |
월트 디즈니 윌리엄 가리티 존 N. A. 호킨스 RCA |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와 그의 동료들 | |||||
1941년 | 1942년 | ||||||||
레이 스콧 | 영국 정보부 | 샤를 부아예 | 노엘 코워드 |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 | |||||
1943년 | 1944년 | 1945년 | |||||||
조지 팔 | 밥 호프 | 마가렛 오브라이언 |
리퍼블릭 스튜디오 대니얼 J. 블룸버그 리퍼블릭 스튜디오 사운드 부서 |
월터 웡거 | |||||
1945년 | 1946년 | ||||||||
내가 사는 집 (영화) | 페기 앤 가너 | 해롤드 러셀 | 로런스 올리비에 | 에른스트 루비치 | |||||
1946년 | 1947년 | ||||||||
클로드 자먼 주니어 | 제임스 바스켓 |
윌리엄 니콜라스 세릭 앨버트 E. 스미스 조지 커크 스푸어 |
빌과 쿠 (영화) | 구두닦이 (영화) | |||||
1948년 | 1949년 | ||||||||
월터 웡거 | 무슈 빈센트 (영화) | 시드 그라우만 | 아돌프 주커 | 진 허솔트 | |||||
1949년 | 1950년 | ||||||||
프레드 아스테어 | 세실 B. 드밀 | 자전거 도둑 (영화) | 루이스 B. 메이어 | 조지 머피 | |||||
1950년 | 1951년 | 1952년 | |||||||
말라파가의 벽 (영화) | 진 켈리 | 라쇼몽 (영화) | 메리안 C. 쿠퍼 | 밥 호프 | |||||
1952년 | 1953년 | ||||||||
해럴드 로이드 | 조지 미첼 | 조셉 M. 쉔크 | 금지된 게임 (영화) | 20세기 폭스 | |||||
1953년 | 1954년 | ||||||||
벨 & 하웰 컴퍼니 | 조셉 브린 | 피트 스미스 | 부스 & 롬 컴퍼니 | 대니 케이 | |||||
1954년 | |||||||||
켐프 니버 | 그레타 가르보 | 존 휘틀리 | 빈센트 윈터 | 지옥문 (영화) | |||||
1955년 | 1956년 | 1957년 | |||||||
사무라이 i: 미야모토 무사시 (영화) | 에디 캔터 | 영화 및 텔레비전 기술자 협회 | 길버트 M. 앤더슨 | 찰스 브래킷 | |||||
1957년 | 1958년 | 1959년 | 1960년 | ||||||
B. B, 카헤인 | 모리스 슈발리에 | 버스터 키튼 | 리 드 포레스트 | 게리 쿠퍼 | |||||
1960년 | 1961년 | ||||||||
스탠 로렐 | 헤일리 밀스 | 윌리엄 L. 헨드릭스 | 프레드 L. 메츨러 | 제롬 로빈스 | |||||
1962년 | 1963년 | 1964년 | 1965년 | 1966년 | |||||
없음 | 윌리엄 J. 터틀 | 밥 호프 | 야키마 카넛 | ||||||
1966년 | 1967년 | 1968년 | 1969년 | ||||||
Y. 프랭크 프리먼 | 아서 프리드 | 존 챔버스 | 오나 화이트 | 케리 그랜트 | |||||
1970년 | 1971년 | 1972년 | |||||||
릴리안 기시 | 오슨 웰스 | 찰리 채플린 | 찰스 S. 보렌 | 에드워드 G. 로빈슨 | |||||
1972년 | 1973년 | 1974년 | |||||||
앙리 랑글로아 | 그루초 막스 | 하워드 혹스 | 장 르누아르 | 메리 픽포드 | |||||
1976년 | 1977년 | 1978년 | |||||||
없음 | 마가렛 부스 | 월터 란츠 | 로런스 올리비에 | 킹 비더 | |||||
1978년 | 1979년 | 1980년 | 1981년 | ||||||
현대미술관 영화과 | 할 엘리아스 | 알렉 기네스 | 헨리 폰다 | 바버라 스탠윅 | |||||
1982년 | 1983년 | 1984년 | 1985년 | ||||||
미키 루니 | 할 로치 | 제임스 스튜어트 | 국립예술기금 | 폴 뉴먼 | |||||
1985년 | 1986년 | 1987년 | 1988년 | ||||||
알렉스 노스 | 랄프 벨라미 | 없음 | 코닥 | 캐나다 국립영화위원회 | |||||
1989년 | 1990년 | 1991년 | 1992년 | ||||||
구로사와 아키라 | 소피아 로렌 | 머나 로이 | 사티야지트 레이 | 페데리코 펠리니 | |||||
1993년 | 1994년 | 1995년 | 1996년 | ||||||
데보라 카 |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 커크 더글러스 | 척 존스 | 마이클 키드 |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
스탠리 도넌 | 엘리아 카잔 | 안제이 바이다 | 잭 카디프 | 어니스트 리먼 |
21세기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
시드니 푸아티에 | 로버트 레드포드 | 피터 오툴 | 블레이크 에드워즈 | 시드니 루멧 |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로버트 올트먼 | 엔니오 모리코네 | 로버트 F. 보일 | 없음 | 로렌 바콜 | |||||
2009년 | 2010년 | ||||||||
로저 코먼 | 고든 윌리스 | 케빈 브라운로 | 장뤽 고다르 | 일라이 월랙 | |||||
2011년 | 2012년 | ||||||||
제임스 얼 존스 | 딕 스미스 | 돈 앨런 페네베이커 | 할 니덤 | 조지 스티븐스 주니어 | |||||
2013년 | 2014년 | ||||||||
안젤라 랜스버리 | 스티브 마틴 | 피에로 토시 | 장클로드 카리에 | 미야자키 하야오 |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모린 오하라 | 스파이크 리 | 제나 로우랜즈 | 성룡 | 린 스털마스터 | |||||
2016년 | 2017년 | ||||||||
앤 V. 코츠 | 프레더릭 와이즈먼 | 찰스 버넷 | 오웬 로이즈먼 | 도날드 서덜랜드 |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아녜스 바르다 | 마빈 레비 | 랄로 쉬프린 | 시실리 타이슨 | 데이비드 린치 |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웨스 스투디 | 리나 베르트뮐러 | 없음 | 새뮤얼 L. 잭슨 | 일레인 메이 |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리브 울먼 | 피터 위어 | 유잔 팔시 | 다이앤 워런 | 안젤라 바셋 | |||||
2023년 | |||||||||
멜 브룩스 | 캐롤 리틀턴 |
}}}}}}}}} ||
'''[[그래미 어워드#s-3.3.1|그래미 어워드 공로상 수상자]]''' |
||
{{{#!wiki style="margin:0 -10px;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
<colbgcolor=#fff,#353535> 1967년 | 게오르그 솔티, 존 컬쇼 |
1968년 | 듀크 엘링턴, 빌리 스트레이혼,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 | |
1970년 | 로버트 무그 | |
1971년 | 크리스 알버트슨, 존 하몬드, 레리 힐러, 폴 웨스턴 | |
1972년 | 비틀즈 | |
1977년 | 토머스 에디슨,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 | |
1979년 | 고다드 리버슨, 프랭크 시나트라 | |
1981년 | 카운트 베이시, 에런 코플런드 | |
1983년 | 레스 폴 | |
1984년 | 버르토크 벨러 | |
1985년 | 엘드릿지 R. 존슨 | |
1986년 | 조지 거슈윈, 아이라 거슈윈 | |
1987년 | 해럴드 알렌, 에밀 벌리너, 제롬 컨, 조니 머서 | |
1989년 | 월트 디즈니, 퀸시 존스, 콜 포터 | |
1990년 | 딕 클라크 | |
1991년 | 밀트 가블러, 베리 골디, 샘 필립스 | |
1992년 | 토마스 A. 도시, 크리스틴 파논,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 로렌즈 하트 | |
1993년 | 아흐메트 에르테군, 네스시 에르테군, W. C. 핸디, 조지 T. 사이먼 | |
1994년 | 노먼 그란츠 | |
1995년 | 피에르 코세트 | |
1996년 | 조지 마틴, 제리 웩슬러 | |
1997년 | 허브 앨퍼트, 제리 모스, 버트 배커랙, 핼 데이비드, 알란 제이 러너, 프레드릭 뢰베, 제리 리버와 마이크 스톨러 | |
1998년 | 홀렌드-호지어-홀렌드, 프란시스 W. 프레스톤, 리처드 로저스 | |
1999년 | 갬블 & 허프 | |
2000년 | 클라이브 데이비스, 필 스펙터 | |
2001년 | 아리프 말딘, 필 라몬 | |
2002년 | 톰 다우드, 앨런 프리드 | |
2003년 | 알란 로막스, 뉴욕 필하모닉 | |
2004년 | 게리 고핀 & 캐롤 킹, 오린 키프뉴스, 마리안 멕파랜드 | |
2005년 | 호기 카마이클, 돈 코넬리우스, 알프레드 라이언, 빌리 테일러 | |
2006년 | 크리스 블랙웰, 오웬 브래들리, 알 슈미트 | |
2007년 | 에스텔 액스턴, 코시마 마타사, 스티븐 손드하임 | |
2008년 | 클라렌스 애반트, 잭 홀츠만, 윌리 미첼 | |
2009년 | 조지 아바키안, 엘리엇 카터, 알렌 투생 | |
2010년 | 해롤드 브래들리, 플로렌스 그린버그, 월터 C. 밀러 | |
2011년 | 알 벨, 윌마 코자트 파인, 브루스 룬드벌 | |
2012년 | 데이브 바솔로뮤, 스티브 잡스, 루디 반 겔더 | |
2013년 | 알란 버그만 & 마릴린 버그만, 레오나드 체스 & 필 체스, 알란 W. 리빙스턴 | |
2014년 | 엔니오 모리코네, 릭 홀, 짐 마샬 | |
2015년 | 베리 만 & 신시아 웨일, 리차드 페리, 조지 웨인 | |
2016년 | 존 케이지, 프레드 포스터, 크리스 스트레비치 | |
2017년 | 톰 벨, 모 오스틴, 랄프 피어 | |
2018년 | 빌 그레이엄, 세이무어 스테인, 존 윌리엄스 | |
2019년 | 루 애들러, 애쉬포드 & 심슨, 조니 멘델 | |
2020년 | 프랭크 버클리 워커, 켄 에를리히, 필립 글래스 | |
2021년 | 에드 처니, 베니 골슨, 베이비페이스 | |
2023년 | 헨리 딜츠, 엘리스 마살리스, 짐 스튜어트 | |
같이 보기: 평생 공로상 수상자 · 레전드상 수상자 | }}}}}}}}} |
<colbgcolor=#fff,#191919><colcolor=#000,#fff>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 Leopold Anthony Stokowski |
|
출생 | 1882년 4월 18일 |
영국 런던 | |
사망 | 1977년 9월 13일 (향년 95세) |
헴프셔 | |
직업 | 지휘자 |
학력 | 옥스퍼드 대학교 퀸즈 칼리지 (1903년 졸업) |
[clearfix]
1. 개요
생상스, 죽음의 무도 (rec. 1936) | 본 윌리엄스, 푸른 소매 환상곡 (rec. 1949) |
파야, Ritual Fire Dance (rec. 1960) | 바그너, 신들의 발할라 입성(rec. 1960-1961) |
폴란드와 아일랜드 혈통의 영국 지휘자.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20세기 전반기를 대표하는 지휘자 중의 한 사람이다.
2. 생애
1882년 4월 18일에 영국 런던에서 태어나고 런던에서 유년기를 보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버지는 폴란드계이며, 어머니는 아일랜드계이다. 그러나 스토코프스키의 인기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미권에서는 스토코스프키가 브리티쉬 악센트가 아닌 독특한 악센트를 사용한다는 점을 들어 그가 어렸을 때 영국 이외 지역에서 자랐을 것이라 추정하기도 한다. 영문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스토코프스키가 지인에서 자신이 독일 포메른에서 태어났다고 했다는 증언도 소개되어 있다. 한편 독일에서는 스토코프스키의 성에 있는 Stock이 독일에서 쓰이는 이름이기 때문에 스토크프스키가 독일 혈통과 연관되어 있을 것이라는 소문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스토코프스키의 출생 증명서가 영국에 남아 있기 때문에 그가 영국에서 태어났다는 사실은 확실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악센트에 관해서는 그가 젊은 시절 미국으로 건너가서 1960년대 말까지 미국에서 주로 살았기 때문에 자연스레 미국식 억양이 배였을 것이라고 이해되고 있다.1903년 옥스퍼드 대학교 퀸즈 칼리지를 졸업했다.
1905년 뉴욕으로 건너가 뉴욕에서 교회 오르간 연주가, 합창단 지휘자로 활동했다.
1909년 파리에서 오케스트라 지휘자로 정식 데뷔를 했다.
1912년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의 상임지휘자가 되었다. 이후 1938년까지 26년이라는 오랜 시간 동안 이 악단에 있으면서 소위 '필라델피아 사운드'라는 특유의 색채감있는 사운드를 만들어 냈다. 필라델피아의 지휘자였던 중장년기 시절에는 매력있는 외모와 지휘봉 없이 맨손을 이용한 절도 있는 지휘 동작으로 여성팬들에게 큰 인기를 끌기도 했다. 또 월트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환타지아를 비롯한 몇 편의 영화에 직접 출연하여 지휘는 물론 배우로서 연기까지 선보였다. 그는 미국에서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를 선도하였다.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를 그만둔 후 1940년 25세 이하 유망주들을 모아 올-아메리칸 유스 오케스트라를 창단했다. 그러나 1942년 진주만 공습 후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게 되면서 해단했다.
1941년 토스카니니가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에서 물러나자 뒤를 이었다가 이듬해 토스카니니가 다시 복귀하자 자리를 내주었다. 그러나 1944년까지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와의 관계를 유지했다. 1944년 뉴욕 시티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상임지휘자가 되었으며 1946년에는 뉴욕 필하모닉의 수석 객원지휘자가 되었다. 또한 여러 곳의 오케스트라를 객원 지휘하며 국제적인 활동을 했다. 1954년 토스카니니가 은퇴하자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1]를 이끌었으며, 1955년 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상임지휘자가 되었다.
그는 레너드 번스타인처럼 전형적인 콘서트 지휘자였지만, 1960년에는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와 뉴욕 시티 오페라에서 몇 편의 오페라를 지휘했다. 당시 미국에서 많은 화제를 뿌린 모양이지만 오페라 지휘에는 큰 매력을 못 느꼈는지 이후로 다시 콘서트 지휘에만 매진했다.
1962년에는 아메리칸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창단하여 1972년 미국을 떠날 때까지 이끌었다. 또한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주요 객원지휘자로 활동했다. 80세가 넘은 고령에도 불구하고 국제적인 활동을 이어갔으며 일본까지 가서 NHK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객원 지휘하기도 했다.
1960년대 후반부터는 고향인 런던에서의 활동이 크게 늘어났다. 상임지휘자인 오토 클렘페러가 고령으로 운신이 제한되었던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의 주요 객원지휘자가 되었고[2] 이어 앙드레 프레빈과 마찰을 빚고 있던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에서도 비슷한 롤을 맡았다. 60년대 후반부터 활동 무대가 미국에서 영국으로 바뀌면서 독일 오케스트라 객연도 늘어났다. 1972년 영국에 완전히 정착하여 사망할 때까지 런던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1975년 7월 22일에 프랑스 남부에서 바흐 편곡을 지휘한 것을 끝으로 공개적인 지휘 활동을 중단했고,[3] 1976년에는 컬럼비아 레코드와 100세까지 활동할 수 있는 녹음 계약을 체결했고, 1977년 6월까지도 펠릭스 멘델스존의 교향곡 제4번 '이탈리아'와 조르주 비제의 교향곡 C장조를 녹음할 정도로 정정했으나 동년 9월 13일에 헴프셔에서 심장마비로 향년 95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3. 특징
상당히 장수하여 1977년에 사망했기 때문에[4][5] 영상과 녹음이 많이 남아 있기에, 최근의 사람으로 기억되기도 하는 모양. 그러나 생각보다 나이가 많은 구시대의 인물이며, 1882년생으로 빌헬름 푸르트벵글러보다 4년 연상이다. 구스타프 말러가 한창 활동하던 1909년에 지휘자로 데뷔했고 그의 전성기였던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시절은 1912년부터 1938년까지였다. 워낙 장수한데다가 죽기 직전까지도 정력적으로 활동한 탓에 필라델피아에서 은퇴하고도 약 40년간 더 활동했던 것. 95세에 사망하기 직전까지 현역 지휘자로 68년간[6] 활발히 활동했다. 따라서 지금 남아있는 자료들은 그의 최만년 시기의 것이다.기존 작품에 음향 효과를 극대화 하는 가필 및 편곡을 적극적으로 하여 대중들에게는 큰 인기를 누렸다. 특히 바흐의 작품을 관현악으로 편곡한 것은 지금도 유명하다. 또 고전주의 이후에 작곡된 작품들도 현대 악기에 맞게 오케스트레이션을 가필해서 연주하는데도 적극적이었다. 일부 평론가들은 이를 비판했지만 많은 음악가들이 그를 높이 평가하였다. 다른 지휘자들에 대한 독설로 유명한 세르주 첼리비다케도 스토코프스키는 높이 평가하였는데, 그를 음색의 제왕(Ein König der Farben, der Klänge)이라 평했다. 카를로스 클라이버 역시 스토코프스키의 사운드를 부러워하여 재연하려고 노력했다고 한다. 스트코프스키가 편곡한 작품들은 오늘날에도 음반으로 취입되거나 연주회에서 종종 연주된다.
오케스트라를 통한 다양한 혁신과 도전을 하였다. 현대음악을 가장 많이 초연한 지휘자이며, 초기 전기녹음 시대부터 레코딩 취입에 매우 적극적이었다. 오케스트라 배치에 관해서도 다양한 실험을 했는데, 오늘날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미국식 오케스트라 배치법 역시 스토코프스키에 의해 고안되었다. 그러나 스토코프스키 본인은 한가지 배치에 연연하지 않고 작품의 성격과 홀의 울림, 그리고 오케스트라의 특성에 따라 연주회 때 마다 다양한 배치를 취했다.
그의 음악 해석 스타일은 20세기 전반기의 여러 지휘자들이 그랬던 것처럼 지휘자의 주관적 해석을 극대화한 편이다. 푸르트벵글러처럼 소위 주정주의 혹은 낭만주의적 해석이라고도 불리는 스타일의 선봉격인 지휘자였다. 특히 푸르트벵글러처럼 적극적인 템포 루바토를 구사한 것으로 유명하다. 다만 푸르트벵글러처럼 음악적인 전개에 철저히 몰입하여 이루어진 템포 루바토에 비해 스토코프스키의 템포 루바토는 극적인 과장이 심한 편이기 때문에 오늘날의 기준으로는 호불호가 다소 갈리는 편이다 스토코프스키 지휘의 진가는 사운드 그 자체의 유려함에서 나타난다. 그가 종종 사용했던 자유 운궁(프리 보잉)도 스토코프스키 특유의 사운드와 연관되어 있다. 스토코프스키가 만년에 자신이 창단한 청소년 오케스트라 등 그다지 뛰어나지 않은 오케스트라와 많이 공연하였기 때문에 그의 능력이 평가절하되는 경우가 많은데, 정상급 오케스트라를 지휘했을 때 스토코프스키 사운드의 진가가 드러난다. 당대에는 카라얀과 베를린 필과 10번 쯤 리허설한 컨디션 좋은 첼리비다케를 제외하면 그에 필적할 만한 사운드를 뽑아낼 수 있는 지휘자가 거의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카를로스 클라이버가 스토코프스키가 어떻게 그렇게 화려한 사운드를 만들어 냈는지 무척 궁금해하여 여러 사람들에게 묻고 다녔다고 한다. 만년에 데카에서 주로 음반을 녹음했지만 당시 데카는 잔향을 작게 잡는 편이었고 당시 런던의 녹음 홀 음향도 뛰어난 편이 아니었기 때문에 안타깝게도 스토코프스키 특유의 음향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1950년대 후반에 뱅가드 등 몇몇 마이너 레이블에서 녹음한 음반들이 비록 오케스트라 수준이 떨어지기는 해도 그의 사운드의 특성을 더 잘 드러낸 경우가 많다. 일부에서는 스토코프스키 특유의 화려한 색채감이 녹음빨이 아니냐고 의심하기도 하는데, 그가 실황으로 남긴 음원들, 특히 서독의 여러 방송 교향악단들과 녹음한 음원들을 같은 조건에서 녹음된 다른 지휘자들의 음원들과 비교해 보면 확실히 다른 지휘자들과는 차별화되는 음향을 뽑아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오늘날 바흐의 음악을 오케스트라로 편곡한 것이 많이 유명하지만, 이는 그의 음악의 일부분일 뿐이며 실제로 스토코프스키의 레퍼토리는 매우 방대하다. 고전주의에도 능했고 현대음악 연주에도 적극적이었다. 젊은 시절에는 당시에 널리 알려지지 않았던 말러의 교향곡을 자주 지휘하는 지휘자 중 한명이기도 했다. 무엇보다도 스토코프스키는 화려한 색채감과 극적인 루바토가 전매 특허인 지휘자였기 때문에 차이코프스키나 바그너, 국민악파 같은 후기 낭만주의 음악에서 진가가 드러난다. 차이코스키의 경우 교향곡 뿐만 아니라 발레에서도 훌륭한 녹음을 남겼고, 바그너의 경우 독일 지휘자들의 정공법적인 해석과는 차별화되어 있는데, 다른 연주에서 듣기 힘든 내성부나 숨어있는 선율미를 뽑아내는 내공이 대단하다. 또 오늘날 바흐 작품으로 유명한 것처럼 바로크 음악에도 많은 관심을 가졌다. 바흐 외에도 다른 바로크 작곡가들도 종종 지휘했고 심지어 몬테베르디나 프레스코발디와 같은 극초기 작곡가들과 그들 보다도 앞선 버드 등도 지휘하였다.
4. 기타
- 여성 편력이 매우 화려하였는데 3번의 정식 결혼 중 세 번째 부인이 미국의 대부호 가문 밴더빌트가의 상속녀이자 모델과 작가로도 유명한 글로리아 밴더빌트이다. 그 때 글로리아 밴더빌트의 나이는 22살이었고 스토코프스키는 64살이었다.[7] 한편 할리우드 유명 배우 그레타 가르보와 사귄 것으로도 유명하다. 당대의 스타 음악가였기 때문에 언론이 스토코프스키의 사생활을 캐기 위해 많이 노력했으나 사생활을 잘 관리했기 때문에 거의 가쉽이 없었다고 한다.
- 만년에는 레너드 번스타인이 주최한 청소년을 위한 음악회에 출연하기도 했다. 여기서 번스타인은 바흐의 오케스트라 편곡들을 소개하면서 스토코프스키를 모셔 그 곡에 한정해 지휘를 맏겼는데 반응이 꽤 좋았다고 한다.
- 아주 젊은 시절 유럽으로 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8]를 만나러 갔는데 당시 그도 이름이 알려진 지휘자가 아니여서 무시를 당했다고 한다. 그러자 그는 자신의 오케스트라와 녹음한 SP판 하나를 놓고 갔는데 스트라빈스키가 그 음반을 듣고 감명해 그와 친해졌다는 일화가 있다.
- 루니 툰의 벅스 버니가 자신을 괴롭힌[9] 오페라 가수를 골탕먹이기 위해 비슷하게 위장한 지휘자가 등장한다.레오폴드라고 나오는 이름하며 머리스타일도 또 지휘대에 오르자 지휘봉을 부러트리고 쓰지 않는 모습도 영락없는 스토코프스키. 링크
[1]
정확히는 후신격인 '심포니 오브 디 에어(Symphony of the Air)'.
[2]
정작 스토코프스키가 3살 더 나이가 많은데 클렘페러 사망 후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의 추모음악회도 지휘했다.
[3]
참고로 스토코프스키는 이때에도 앉아서 지휘할 때보다 서서 지휘할 때가 더 많았다고 한다.
[4]
어느 정도로 장수한 거냐면,
임오군란 3개월 전에 태어난 사람이
스타워즈 첫 영화 개봉 후에도 4개월 동안 살아 있었다.
[5]
물론 2025년 현재 98세로 현역 지휘자로서(!!!) 생존 중인
헤르베르트 블롬슈테트와 99세 생일 이틀 전에 죽은
쿠르트 잔데를링처럼 스토코프스키보다 장수한 지휘자도 있다. 하지만 이들은 모두 장수하는 사람이 많아진 20세기 초반 출생이고, 이들 중에서도 잔데를링은 이미 90세에 은퇴했다.
[6]
참고로 지휘자치고는 단명한 것으로 알려진 푸르트벵글러가 68세에 죽었다.
[7]
두 사람은 10년 뒤
이혼하였는데 글로리아 밴더빌트는 2번 더 결혼했고 네 번째 남편인
작가 와이어트 쿠퍼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이
CNN의 유명
앵커
앤더슨 쿠퍼이다.
[8]
스트라빈스키의 젊은 시절에는 미국에 없었다.
[9]
사실 자기가 시끄럽게 노래를 불렀기 때문에
쌍방과실이긴 하지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