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 |
BBC 뮤직 매거진 선정
역대 최고의 피아니스트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 2019년 BBC 뮤직 매거진이 전세계 저명한 현역 피아노 연주자 100명에게 레코딩 시대의 가장 위대한 피아니스트 2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목록이다. 출처 | ||
<rowcolor=#000> 순위 | 피아니스트 | ||
<colcolor=#000><colbgcolor=#fff> 1위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
2위 |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 ||
3위 |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 ||
4위 |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 ||
5위 | 알프레드 코르토 | ||
6위 | 디누 리파티 | ||
7위 | 아르투르 슈나벨 | ||
8위 | 에밀 길렐스 | ||
9위 | 마르타 아르헤리치○ | ||
10위 |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
11위 | 크리스티안 지메르만○ | ||
12위 | 이그나츠 프리드만 | ||
13위 | 라두 루푸† | ||
14위 | 에드빈 피셔 | ||
15위 | 빌헬름 켐프 | ||
16위 | 머리 페라이어○ | ||
17위 | 글렌 굴드 | ||
18위 | 발터 기제킹 | ||
19위 | 요제프 호프만 | ||
20위 | 클라우디오 아라우 | ||
○: 생존 피아니스트 †: 목록 선정 당시 생존하였으나 나중에 사망한 경우 |
그라모폰 명예의 전당 헌액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tablebgcolor=#FFF,#1f2023> |
그라모폰 명예의 전당은 예술적 탁월함, 혁신, 혹은 상상력을 통해 클래식 음악 녹음에 기여한 예술가들을 기리기 위해 만들었다. ★는 첫 발표(2012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는 두번째 발표(2013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지휘자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
★ |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 게오르그 솔티 | 클라우디오 아바도 | 존 바비롤리 | 다니엘 바렌보임 | 토머스 비첨 | 레너드 번스타인 | 피에르 불레즈 | 존 엘리엇 가디너 |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 카를로스 클라이버 | 오토 클렘페러 | 사이먼 래틀 | |||||||
☆ | 카를 뵘 | 에이드리언 볼트 | 세르주 첼리비다케 | 콜린 데이비스 |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 마리스 얀손스 | 라파엘 쿠벨릭 | 제임스 리바인 | 찰스 매케러스 | 주빈 메타 | 조지 셀 | 브루노 발터 | 구스타보 두다멜 | ||||||||
벤저민 브리튼 | 리카르도 샤이 | 크리스토퍼 호그우드 | 네빌 마리너 | 예브게니 므라빈스키 | 유진 오르만디 | 안토니오 파파노 | 트레버 피노크 | 프리츠 라이너 |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 | 마이클 틸슨 토머스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성악가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
★ | 루치아노 파바로티 | 플라시도 도밍고 | 마리아 칼라스 | 유시 비욜링 | 자네트 베이커 | 안젤라 게오르기우 | 체칠리아 바르톨리 | 엔리코 카루소 |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 | 비르기트 닐손 | 엘리자베트 슈바르츠코프 | 조안 서덜랜드 | 조이스 디도나토 | ||||||
☆ | 몽세라 카바예 | 르네 플레밍 | 토머스 햄프슨 | 안나 네트렙코 | 레온타인 프라이스 | 브린 터펠 | 프리츠 분더리히 | ||||||||
토머스 앨렌 | 빅토리아 데 로스 앙헬레스 | 호세 카레라스 | 표도르 샬리아핀 | 캐슬린 페리어 | 시르스텐 플라그스타 | 니콜라이 갸로프 | 티토 고비 | 마릴린 혼 | 한스 호터 | 드미트리 흐보로스톱스키 | 군둘라 야노비츠 | 요나스 카우프만 | 사이먼 킨리사이드 | 엠마 커크비 | 제시 노먼 | 안네 소피 폰 오터 | 레나타 테발디 | 키리 테 카나와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피아니스트 & 오르가니스트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
★ | 글렌 굴드 | 마르타 아르헤리치 | 클라우디오 아라우 | 알프레드 브렌델 |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 머리 페라이어 | 마우리치오 폴리니 |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 다니엘 바렌보임 | ||||||
☆ |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 | 에밀 길렐스 | 빌헬름 켐프 |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그리고리 소콜로프 | 레이프 오베 안스네스 | ||||||||
프리드리히 굴다 | 마르크 앙드레 아믈랭 | 안젤라 휴이트 | 스테판 허프 | 예브게니 키신 | 구스타프 레온하르트 | 디누 리파티 | 라두 루푸 | 안드라스 쉬프 | 아르투르 슈나벨 | 우치다 미츠코 | 랑랑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현악기 & 관악기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 | 파블로 카잘스 | 자클린 뒤 프레 | 야샤 하이페츠 | 예후디 메뉴인 | 다비드 오이스트라흐 | 이작 펄만 |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 ||||||
☆ | 모리스 앙드레 | 줄리안 브림 | 제임스 골웨이 | 하인츠 홀리거 | 스티븐 이설리스 | 요요마 | 윈튼 마살리스 | 알브레흐트 마이어 | 안네 소피 무터 | 엠마누엘 파후드 | 장 피에르 랑팔 | 조르디 사발 | 안드레스 세고비아 | ||||||||
데니스 브레인 | 정경화 | 아르튀르 그뤼미오 | 프리츠 크라이슬러 | 기돈 크레머 | 나탄 밀스타인 | 존 윌리엄스 |
}}}}}}}}} }}} |
Claudio Arrau | ||
본명 |
클라우디오 아라우 Claudio Arrau |
|
출생 |
1903년
2월 6일 ( 칠레 칠란) |
|
사망 |
1991년
6월 9일 (향년 88세) ( 오스트리아 뮈르츠쉴리크) |
|
국적 |
[[칠레| ]][[틀:국기| ]][[틀:국기| ]] |
[clearfix]
1. 소개
칠레 출신의 피아니스트.2. 생애
1903년, 칠레의 칠란이라는 도시에서 안과의사인 아버지와 피아노 교사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태어나자마자 승마사고로 아버지가 세상을 떠났고 어머니로부터 음악교육을 받으며 성장했다. 이후 3세 무렵 베토벤의 소나타를 누구의 가르침도 받지 않고 암보로 연주했다고 하며, 5세로 최초의 리사이틀을 열어 신동으로 이름을 날렸다. 그 재능을 인정한 칠레 정부의 원조로 1911년에 가족과 함께 유럽으로 옮겨, 베를린에서 슈테른 음악원의 교수이자 리스트의 제자였던 마르틴 크라우제에게 사사했다. 크라우제는 어린 아라우의 재능을 한눈에 알아보고 무보수로 그를 가르쳤다고 한다. 11세인 1914년에 베를린에서 정식으로 데뷔했으며 순식간에 독일 내에서 그 명성을 높여, 2년 연속해서 리스트 상을 비롯한 각종 상을 수상했다. 니키시 무크, 멩겔베르크, 푸르트벵글러 등의 대지휘자들에게 인정되어 자주 협연했다.이후 1918년, 스승이던 크라우제가 사망한 후 아라우는 일체의 가르침을 거부한 채 독학에 전념한다. 1921년부터는 조국 칠레를 비롯하여 남미 각지, 영국, 북미 등 세계 각지를 오가며 10대에 압도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1925년에는 22세의 젊은 나이로 슈테른 음악원의 교수로 취임하고, 1927년, 24세에는 제네바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우승했다. 1940년대 나치 독일을 떠나 미국으로 활동의 본거지를 옮겼고, 전쟁이 끝난 후 다시 유럽에서도 왕성한 활동을 하였다. 칠레 정부에서도 특별한 외교관 여권을 주고, 수도인 산티아고에 '아라우 거리'를 만드는 등 국보급 영예를 보내기도 했다.
88세가 되던 1991년, 유럽 연주여행을 진행하던 아라우는 오스트리아의 뮈르츠쉴리크에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떴다.
3. 연주
연주 성향은 1800년대 후반 피아니즘의 낭만적 성향을 현대로 계승하는 동시에 1900년대 초반에서 중후반으로 넘어오는 현대적 해석의 계기를 마련한 연주로 평가된다. 베토벤과 리스트 두 작곡가에 천착하여 많은 음반(베토벤 소나타 전곡, 주요 리스트 작품)을 남겼고, 모짜르트, 슈만, 쇼팽 등 고전, 낭만 주요 작곡가의 작품에 두루 능했다. 러시아 피아니즘에 대비되는 유럽의 전통을 고수하면서도 본인이 남미 출신이기 때문에 전통적인 해석과도 차별점을 지닌다.기교적으로 뛰어났기 때문에 리스트 작품에 탁월한 해석을 보여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교에만 함몰되지 않고 낭만성을 충분히 표현하기 때문에 그의 초절기교연습곡 음반은 음악사적으로도 명반으로 꼽히며, 기교가 전혀 부족하지 않으면서도 낭만적으로 흘러가는 음악의 흐름이 훌륭하다.
바흐, 반음계적 환상곡과 푸가 BWV 903 (rec. 1945) | 모차르트, 아다지오 K.540 (rec. 1983)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Op.106 (rec. 1963) |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Op.111 (rec. 1985) |
슈베르트, 즉흥곡 D.935 No.2 (rec. 1990) | 멘델스존, 론도 카프리치오소 (rec. 1951) |
쇼팽, 녹턴, Op.62 No.1 (rec. 1971) | 쇼팽, 에튀드 Op.10 No.8 (rec. 1956) |
쇼팽, 발라드 Op.52 (rec. 1971) | 슈만, 교향적 연습곡 Op.13 (rec. 1976) |
슈만, 노벨레테 Op.21 No.1 (rec. 1973) | 슈만, 환상곡 Op.17 (rec. 1966) |
리스트, 메피스토 왈츠 1번 (rec. 1963) | 리스트, 고독 속의 신의 축복 (rec. 1970) |
리스트, 3개의 연주회용 연습곡 3번 (rec. 1976) | 리스트, 헝가리 광시곡 13번 (rec. 1951) |
브람스, 헨델 주제에 의한 변주곡 Op.24 (rec. 1963) | 드뷔시, 델피의 무희들 (rec. 197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