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16 01:11:23

그래미 어워드

EGOT
파일:_Emmy_.png 파일:_Grammy_.png 파일:Oscar.png 파일:_Tony_.png

<colbgcolor=#000,#353535><colcolor=#fff,#b69858> Grammy Awards
그래미 어워드
파일:그래미 어워드 콤비네이션 로고.png
국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주최 미국 레코딩 아카데미 (NARAS)
첫 시상 1959년 5월 14일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후보 및 수상자 선정 절차3. 카테고리4. 주요 수상 내역
4.1. 최우수 랩 앨범
5. 기록
5.1. 최다 그래미 수상자5.2. 최다 여성 그래미 수상자5.3. 최다 그룹 그래미 수상자5.4. 하루에 가장 많은 그래미를 수상한 아티스트5.5. 제너럴 필드를 모두 수상한 아티스트5.6. 올해의 앨범을 가장 많이 수상한 아티스트5.7. 수상하지 못한 아티스트 가운데 최다 노미네이션5.8. 그래미상 수상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음악대학교
6. 논란과 비판7. 기타8. 참조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bruno-mars-grammy-award-2018-billboard-1548-compressed.jpg
2018년 제60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올해의 앨범상을 수상하는 브루노 마스

미국에서 가장 유서 깊은 대중음악 시상식이다. 전미 레코딩 예술 과학 아카데미(NARAS: National Academy of Recording Arts and Sciences, 통칭 레코딩 아카데미)가 주최한다. 대중음악의 흐름을 주도하는 미국이라는 나라의 최대 시상식인 만큼 전 세계에서 가장 위상있는 대중음악 시상식, 대중 음악가라면 누구나 가장 받고 싶어하는 상이다.

그래미란 " 축음기"란 뜻의 "Gramophone"에서 비롯된 말이며 트로피 역시 축음기를 본 따 만들었다. 대중 음악의 시작과 발전이 축음기에서 비롯되었다는 의미이다. 1959년에 시작되어 2021년까지 총 63회의 시상식을 열었고, 지금까지 수여된 트로피의 개수는 8,000개에 육박한다고 한다..

2. 후보 및 수상자 선정 절차

파일:grammygold_dates_infographic_part1.png
그래미 어워드의 선정 및 시상 과정

NARAS[1]가 한 해에 가장 뛰어나고 성공적이었던 음악들을 투표를 통해 시상한다. 미국에서 이전해 10월부터 당해 9월까지 발매된 모든 레코드들은 심사 자격을 부여받는다.[2] 이후 다음 다섯 단계를 통해 최종 수상작이 선정된다.

2020년 시상식부터 규정이 바뀌었는데 기존 발매일 제한인 9월 30일에서 8월 31일로 바뀌고 시상식 또한 1월로 1개월 앞당겨져 열리게 된다. 따라서 2020년 시상식은 2018년 10월부터 2019년 8월 31일까지 발매 작품이 심사 대상이 된다.

그래미 심사위원이 되기 위해선 다음의 요건을 모두 충족시켜야 한다.
  • 본인 명의로 된 12개 이상의 트랙이 있어야 한다.
  • 트랙 중 최소 하나는 5년 이내에 발매되었어야 한다.
  • 해당 트랙들은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이용 가능하거나 다운로드가 가능해야 한다.
  • 작업물들은 검증된 문서와 함께 동봉되어 있어야 한다.

1) 출품 (Submission)
각 음악 레이블은 자회사 소속의 아티스트가 그래미 후보에 오르길 원한다면 아티스트들의 음반, 트랙을 그래미에 출품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대략 2만개 이상의 레코딩들이 제출된다고 한다. 단, 욕설과 비속어가 포함되지 않은 'Clean Version'의 레코딩만이 출품 가능하다.[3]

2) 스크리닝 (Screening)
150여명 이상의 전문가들이 출품된 레코딩들을 들어보고 장르를 분류한다. 아티스트 측에서 "이 노래는 알앤비"라고 주장해도 분류를 맡은 전문가들이 "이건 팝이다" 라고 선언하면 베스트 알앤비 송, 베스트 알앤비 퍼포먼스 등이 아니라 베스트 팝 송, 베스트 팝 퍼포먼스 등의 부문에서 경쟁해야 한다. 이 때문에 아티스트 측에서 분류 결과에 항의하며 논란이 되는 경우도 있다.

3) 후보 선정 (Nomination)
NARAS 회원들의 첫번째 투표가 이루어진다.[4] 자신이 전문인 장르에서 최대 15개의 카테고리에 투표를 할 수 있다. 다만, 예외적으로 제너럴 부분[5]에는 모든 회원들이 투표할 수 있다.

4) 최종 후보 선별 (Final Nomination)
투표를 바탕으로 그래미 측은 마지막으로 선별 과정을 거친다. 너무 아니다 싶은 후보는 투표를 많이 받았더라도 이 과정에서 걸러지고 최종 후보가 선별된다. 후보는 일반적으로 투표를 가장 많이 받은 다섯 아티스트/그룹이지만 동률일 경우가 생긴다면 후보가 추가된다. 최종 그래미 어워드 후보 명단은 일반적으로 11월 말에서 12월 초 사이에 공개된다.

5) 최종 투표 (Final Voting)
후보가 공개되고 NARAS 회원들이 투표로 수상자를 선정한다. 똑같이 전문 장르에서 최대 15개의 카테고리에 투표할 수 있으며 제너럴 부분엔 장르를 막론하고 투표가 가능하다. 이후 가장 많은 투표를 받은 레코딩이 수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6) 시상식 (Awards Ceremony)
시상식은 1월 말에 열린다.[6] 시상하는 부문이 워낙 많다보니 대부분 시상식 직전 사전 행사에서 발표하며, 실제 시상식 생중계에서 발표되는 부문은 극히 일부다.

3. 카테고리

3.1. 제너럴 필드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s-3.1|그래미 어워드 본상]]'''
SONG OF THE YEAR RECORD OF THE YEAR ALBUM OF THE YEAR BEST NEW ARTIST


Record of the Year, Album of the Year, Song of the Year, Best New Artist 네 부문의 상을 제너럴 필드(본상)이라고 지칭하고, '이 상을 누가 받느냐?'가 가장 이슈가 된다. 다른 상들은 대부분이 공개 방송 전에 별도의 행사에서 시상하고 생중계에서는 랜덤으로 몇 부문만 시상하는데, 본상 네 부문은 무조건 매년 생중계에서 시상한다.

원래는 제너럴 필드도 다른 부문들과 마찬가지로 후보가 다섯 씩이었지만 2019년부터 여덟 후보로 늘렸다.[7] 2022년부터는 10개로 더 늘어났다.

3.1.1. Album of the Year (올해의 앨범상)

Album of the Year는 그래미에서 가장 권위있는 부문이며, 본상 4부문 중에서도 가장 이목이 집중되는 상인만큼 수상 결과와 관련된 논란도 많이 일어나곤 한다. 앨범에 참여한 모든 이에게 상이 주어진다.

3.1.2. Record of the Year (올해의 레코드상)

Record of the Year은 음원 제작에 참여한 아티스트, 프로듀서, 기술자에게 상이 주어진다. 노래 자체만 평가하여 작곡가 및 작사가에게 상을 주는 Song of the Year과는 달리 가창력, 편곡, 믹싱 등을 포함하여 음원의 전체적 완성도를 따지는 상이라고 볼 수 있다.

3.1.3. Song of the Year (올해의 노래상)

Song of the Year은 곡의 작곡가와 작사가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즉, 노래를 부른 아티스트는 작곡이나 작사에 참여하지 않았다면 이 상을 받지 못한다. 가수의 가창력 및 음원의 기술적인 완성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상을 주는 Record of the Year과는 달리, 노래 자체만 평가한다.

3.1.4. Best New Artist (최고의 신인상)

Best New Artist는 그 해 최고의 신인, 혹은 데뷔기간이 약간 지났음에도 괄목상대한 그래도 신인급에 끼는 가수가 노미네이트되며, 본상 4부문 중 가장 기준이 자주 변동하는 상이다. 덕분에 당해에 괄목할 만한 성적과 인지도를 올린 신인 아티스트들이 후보에 조차 오르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게다가 인생에 단 한 번 밖에 수상할 기회가 없다는 점에서 다른 상들과는 여러모로 값진 의미를 담고있는 상이기도 하다. 정규 앨범을 1장 이상 3장 이하로 발매한 아티스트 또는 싱글 및 트랙이 30곡 이하여야만 후보 자격이 주어진다. 과거에는 앨범이 나오기 전 싱글 및 트랙이 먼저 다른 후보 부문에 올라 신인상 후보 자격이 사라지는 규정이 있었다. 하지만 대형 신인이였던 레이디 가가가 이로 인해 후보에 오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자 부당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의견을 반영해 이 전 시상식이나 다른 후보에 올라도 신인상 후보에 선정될 수 있도록 규정이 바뀌었다. 그 덕을 본 아티스트는 에드 시런 메간 트레이너가 있고 에드 시런은 후보에 그쳤지만 메간 트레이너는 신인상을 수상하였다.

3.2. 장르 필드

제너럴 필드 다음으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부분은 장르 필드이다. 그 해 최고의 레코드를 본상에 수여한다면 그 해 최고는 아니었으나 그에 비견될 만한 레코드들이 각 장르 내에서 수상하게 된다. 때문에 장르 필드에서 상을 수상했으나 본상에서 수상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부문의 이름 끝에 Song 과 Performance의 차이가 무엇인지 몰라 헷갈리는 사람들이 많은데, Song은 '송 라이터'에게 가는 상이고 Performance는 곡을 부른 '아티스트'에게 가는 상이다.

3.2.1.

  • Best Pop Vocal Album
  • Best Pop Solo Performance
  • Best Pop Duo/Group Performance
    외국에는 그룹보다 솔로로 활동을 많이 하기에, 대다수의 노미네이션은 다른 가수들과 함께한 피쳐링, 리믹스가 많이 후보에 오른다.
  • Best Traditional Pop Vocal Album
    댄스/일렉트로닉, 신스, 모듈라 등이 사용되지 않은 전통적인 아메리칸 송북 스타일의 앨범이 심사 대상이다. 주로 재즈 보컬 앨범이 후보에 올라 재즈 필드로 분류하는 매체도 있다. 1992년 'Traditional Pop Performance'로, 2000년에는 'Traditional Pop Vocal Performance', 이후 2001년 현재의 이름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3.2.2. R&B

  • Best Progressive R&B Album
    현대 알앤비 앨범이 심사 대상이다. 2021년부터 Best Urban Contemporary Album에서 현재의 이름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Best R&B Song
    모든 알앤비 트랙이 심사 대상이다.
  • Best R&B Performance
    현대 알앤비 트랙이 심사 대상이다. 2012년부터 Best Male/Female R&B Vocal Performance, Best R&B Performance by a Duo Group with Vocal, Best Urban/Alternative Performance 카테고리를 하나로 합쳐 현재의 이름으로 시상한다. 때문에 성별 및 솔로/듀오/그룹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한꺼번에 심사한다.
  • Best Traditional R&B Performance
    전통 알앤비 트랙이 심사 대상이다.

3.2.3. 힙합

  • Best Rap Song
    모든 랩 트랙들이 심사 대상이다.
  • Best Rap Performance
  • Best Melodic Rap Performance
    랩과 보컬이 함께 들어간 트랙(멜로딕 랩)이 심사 대상이다. 보컬 없이 래퍼의 단독 싱잉 랩만 있는 경우는 Rap Performance에 속한다. 2021년부터 Rap/Sung Performance에서 현재의 이름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3.2.4. 컨트리

  • Best Country Album
  • Best Country Song
  • Best Country Solo Performance
  • Best Country Duo/Group Performance

3.2.5. 일렉트로닉

  • Best Dance/Electronic Album
  • Best Dance Recording

3.2.6.

  • Best Rock Album
  • Best Rock Song
  • Best Rock Performance
  • Best Metal Performance
    모든 메탈 트랙이 심사 대상이다.

3.2.7. 얼터너티브

  • Best Alternative Music Album

3.2.8. 재즈

  • Best Jazz Vocal Album
  • Best Jazz Instrumental Album
  • Best Jazz Latin Album
  • Best Jazz Ensemble Album
  • Best Improvised Jazz Solo

3.2.9. 가스펠

  • Best Gospel Album
    모든 전통 가스펠 앨범이 심사 대상이다.
  • Best Gospel/Song Performance
    모든 전통 가스펠 트랙이 심사 대상이다.
  • Best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Performance/Song
    모든 현대 크리스천 음악(CCM)트랙이 심사 대상이다.
  • Best Roots Gospel Album
    모든 서던 가스펠 앨범이 심사 대상이다.

3.3. 특별 공로상

3.3.1. 공로상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s-3.3.1|그래미 어워드 공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colbgcolor=#fff,#353535> 1967년 게오르그 솔티, 존 컬쇼
1968년 듀크 엘링턴, 빌리 스트레이혼,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
1970년 로버트 무그
1971년 크리스 알버트슨, 존 하몬드, 레리 힐러, 폴 웨스턴
1972년 비틀즈
1977년 토머스 에디슨,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
1979년 고다드 리버슨, 프랭크 시나트라
1981년 카운트 베이시, 에런 코플런드
1983년 레스 폴
1984년 벨라 바르톡
1985년 엘드릿지 R. 존슨
1986년 조지 거슈윈, 아이라 거슈윈
1987년 해럴드 알렌, 에밀 벌리너, 제롬 컨, 조니 머서
1989년 월트 디즈니, 퀸시 존스, 콜 포터
1990년 딕 클라크
1991년 밀트 가블러, 베리 골디, 샘 필립스
1992년 토마스 A. 도시, 크리스틴 파논,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 로렌즈 하트
1993년 아흐메트 에르테군, 네스시 에르테군, W. C. 핸디, 조지 T. 사이먼
1994년 노먼 그란츠
1995년 피에르 코세트
1996년 조지 마틴, 제리 웩슬러
1997년 허브 앨퍼트, 제리 모스, 버트 배커랙, 핼 데이비드, 알란 제이 러너, 프레드릭 뢰베, 제리 리버와 마이크 스톨러
1998년 홀렌드-호지어-홀렌드, 프란시스 W. 프레스톤, 리처드 로저스
1999년 갬블 & 허프
2000년 클라이브 데이비스, 필 스펙터
2001년 아리프 말딘, 필 라몬
2002년 톰 다우드, 앨런 프리드
2003년 알란 로막스, 뉴욕 필하모닉
2004년 게리 고핀 & 캐롤 킹, 오린 키프뉴스, 마리안 멕파랜드
2005년 호기 카마이클, 돈 코넬리우스, 알프레드 라이언, 빌리 테일러
2006년 크리스 블랙웰, 오웬 브래들리, 알 슈미트
2007년 에스텔 액스턴, 코시마 마타사, 스티븐 손드하임
2008년 클라렌스 애반트, 잭 홀츠만, 윌리 미첼
2009년 조지 아바키안, 엘리엇 카터, 알렌 투생
2010년 해롤드 브래들리, 플로렌스 그린버그, 월터 C. 밀러
2011년 알 벨, 윌마 코자트 파인, 브루스 룬드벌
2012년 데이브 바솔로뮤, 스티브 잡스, 루디 반 겔더
2013년 알란 버그만 & 마릴린 버그만, 레오나드 체스 & 필 체스, 알란 W. 리빙스턴
2014년 엔니오 모리코네, 릭 홀, 짐 마샬
2015년 베리 만 & 신시아 웨일, 리차드 페리, 조지 웨인
2016년 존 케이지, 프레드 포스터, 크리스 스트레비치
2017년 톰 벨, 모 오스틴, 랄프 피어
2018년 빌 그레이엄, 세이무어 스테인, 존 윌리엄스
2019년 루 애들러, 애쉬포드 & 심슨, 조니 멘델
2020년 프랭크 버클리 워커, 켄 에를리히, 필립 글래스
같이 보기: 평생 공로상 수상자 · 레전드상 수상자 }}}}}}}}}

음악 분야에서의 경력 동안 공연 이외에 중요한 공헌을 한 개인들에게 수여하는 특별 공로상이다. 이 상은 퍼포머들에게 수여되는 그래미 평생 공로상과는 다르다.

3.3.2. 평생 공로상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s-3.3.2|그래미 어워드 평생 공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colbgcolor=#fff,#353535> 1963년 빙 크로스비
1965년 프랭크 시나트라
1966년 듀크 엘링턴
1967년 엘라 피츠제럴드
1968년 어빙 벌린
1971년 엘비스 프레슬리
1972년 루이 암스트롱, 마할리아 잭슨
1984년 척 베리, 찰리 파커
1985년 레너드 번스타인
1986년 베니 굿맨, 롤링 스톤스, 안드레스 세고비아
1987년 로이 에이커프, 베니 카터, 엔리코 카루소, 레이 찰스, 패츠 도미노, 우디 허먼, 빌리 홀리데이, 비비 킹, 아이작 스턴,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행크 윌리엄스
1989년 프레드 아스테어, 파블로 카잘스, 디지 길레스피, 야샤 하이페츠, 리나 혼, 레온타인 프라이스, 베시 스미스, 아트 테이텀, 사라 본
1990년 냇 킹 콜, 마일스 데이비스,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폴 매카트니
1991년 매리언 앤더슨, 밥 딜런, 존 레논, 줄리 스턴, 키티 웰스
1992년 제임스 브라운, 존 콜트레인, 지미 헨드릭스, 머디 워터스
1993년 쳇 앳킨스, 리틀 리처드, 델로니어스 몽크, 빌 먼로, 피트 시거, 패츠 월러
1994년 빌 에반스, 아레사 프랭클린,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1995년 팻시 클라인, 페기 리, 헨리 맨시니, 커티스 메이필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996년 데이브 브루벡, 마빈 게이, 게오르그 솔티, 스티비 원더
1997년 바비 블랜드, 에벌리 브라더스, 주디 갈란드, 스테판 그라펠리, 버디 홀리, 찰스 밍거스, 오스카 피터슨, 프랭크 자파
1998년 보 디들리, 밀스 브라더스, 로이 오비슨, 폴 로브슨
1999년 조니 캐쉬, 샘 쿡, 오티스 레딩, 스모키 로빈슨, 멜빈 토메
2000년 해리 벨라폰테, 우디 거스리, 존 리 후커, 미치 밀러, 윌리 넬슨
2001년 비치 보이스, 토니 베넷,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밥 말리, 더 후
2002년 카운트 베이시, 로즈메리 클루니, 페리 코모, 알 그린, 조니 미첼
2003년 에타 제임스, 조니 마티스, 글렌 밀러, 티토 푸엔테, 사이먼 앤 가펑클
2004년 밴 클라이번, 펑크 브라더스, 엘라 젠킨스, 소니 롤린스, 아티 쇼, 독 왓슨
2005년 에디 아놀드, 아트 블래키, 카더 패밀리, 모턴 굴드, 재니스 조플린, 레드 제플린, 제리 리 루이스, 젤리 롤 모턴, 파인톱 퍼킨스, 스태플 싱어즈
2006년 데이비드 보위, 크림, 멀 해거드, 로버트 존슨, 제시 노먼, 리처드 프라이어, 더 위버스
2007년 조안 바에즈, 부커 티 앤 엠지 에스, 마리아 칼라스, 오넷 콜맨, 도어즈, 그레이트풀 데드, 밥 윌스
2008년 버트 배커랙, 더 밴드, 캡 캘러웨이, 도리스 데이, 이작 펄만, 맥스 로치, 얼 스크럭스
2009년 진 오트리, 더 블라인드 보이즈 오브 알라바마, 포 탑스, 행크 존스, 브렌다 리, 딘 마틴, 톰 팩스톤
2010년 레너드 코헨, 바비 다린, 데이비드 "허니보이" 에드워즈, 마이클 잭슨, 로레타 린, 앙드레 프레빈, 클락 테리
2011년 줄리 앤드루스, 로이 헤인즈, 줄리아드 현악 콰르텟, 킹스턴 트리오, 돌리 파튼, 라몬즈, 조지 비벌리 시어
2012년 올맨 브라더스 밴드, 글렌 캠벨,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 조지 존스, 더 멤피스 혼즈, 다이애나 로스, 길 스콧 헤론
2013년 글렌 굴드, 찰리 헤이든, 라이트닝 홉킨스, 캐롤 킹, 패티 페이지, 템테이션스
2014년 비틀즈, 클리프턴 체니어, 아이즐리 브라더스, 크라프트베르크,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아르만도 만사네로, 마우드 파웰
2015년 비 지스, 피에르 불레즈, 버디 가이, 조지 해리슨, 플라코 지메네즈, 루빈 브라더스, 웨인 쇼터
2016년 루스 브라운, 셀리아 크루즈, 어스 윈드 앤 파이어, 허비 행콕, 제퍼슨 에어플레인, 린다 론스태드, Run-D.M.C.
2017년 셜리 시저, 아마드 자말, 찰리 프라이드, 지미 로저스, 니나 시몬, 슬라이 스톤, 벨벳 언더그라운드
2018년 할 블레인, 닐 다이아몬드, 에밀루 해리스, 루이스 조던, 더 미터스, , 티나 터너
2019년 블랙 사바스, 조지 클린턴 / 팔리아멘트-펑카델릭, 빌리 엑스타인, 도니 해서웨이,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샘 & 데이브, 디온 워윅
2020년 시카고, 로버타 플랙, 아이작 헤이즈, 이기 팝, 존 프린, 퍼블릭 에너미, 시스터 로제타 사프
2021년 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앤 더 퓨리어스 파이브, 라이오넬 햄프턴, 마릴린 혼, 솔트 앤 페파, 셀레나, 토킹 헤즈
같이 보기: 공로상 수상자 · 레전드상 수상자 }}}}}}}}}

그래미 평생 공로상은 “레코딩 분야의 뛰어난 예술적 가치와 창조적인 공헌을 일생 동안 기여한 퍼포머"에게 수여하는 특별 공로상이다. 그래미가 퍼포머의 수여하는 명예의 전당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상은 개인보다는 특정 음반을 명예롭게 여기는 ‘그래미 명예의 전당’과는 다르다.

3.3.3. 레전드상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s-3.3.3|그래미 어워드 레전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rowcolor=#b69858>1990 1991 1992 1993
앤드루 로이드 웨버, 라이자 미넬리, 스모키 로빈슨, 윌리 넬슨 아레사 프랭클린, 빌리 조엘, 조니 캐시, 퀸시 존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마이클 잭슨
<rowcolor=#b69858>1994 1998 1999 2003
프랭크 시나트라, 커티스 메이필드 루치아노 파바로티 엘튼 존 비 지스
같이 보기: 공로상 수상자 · 평생 공로상 수상자 }}}}}}}}}

그래미 레전드상은 음악의 지속적인 기여와 영향력을 행사하는 아티스트에게 수여하는 특별 공로상이다.

3.3.4. 명예의 전당

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헌액


목록

지속적으로 질적으로 뛰어난 음반 또는 역사적 중요성을 지닌 음반을 기리기 위한 명예의 전당이다. 모든 장르의 음반(싱글, 앨범)이 선정 대상이며, 발매 된 지 25년이 지나야 심사 대상이 된다.

4. 주요 수상 내역

4.1. 최우수 랩 앨범

||||||<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b69858><bgcolor=#b69858> 최우수 랩 앨범 - 2020년대 ||
<rowcolor=#000> 연도 수상 후보
2020 Tyler, The Creator
IGOR
*Dreamville
2021 Nas *D Smoke
2022 Tyler, The Creator * J. Cole
<rowcolor=#000> 이전 수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1990년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rowcolor=#000> 연도 수상 후보
1996 Naughty By Nature
Poverty's Paradise
* Bone Thugs-N-Harmony
1997 Fugees * 2Pac
1998 Puff Daddy And The Family * The Notorious B.I.G.
1999 Jay-Z * Big Punisher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2000년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rowcolor=#000> 연도 수상 후보
2000 Eminem * Missy Elliott
2001 Eminem * DMX
2002 OutKast * Ja Rule
2003 Eminem * Ludacris
2004 OutKast * Jay-Z
2005 Kanye West * Beastie Boys
2006 Kanye West * Eminem
2007 Ludacris
Release Therapy
* Lupe Fiasco
2008 Kanye West * T.I.
2009 Lil Wayne * Jay-Z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2010년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rowcolor=#000> 연도 수상 후보
2010 Eminem * Q-Tip
2011 Eminem * B.o.B
2012 Kanye West * JAY Z & Kanye West
2013 Drake * Lupe Fiasco
2014 Macklemore & Ryan Lewis
The Heist
* Kanye West
2015 Eminem * Iggy Azalea
2016 Kendrick Lamar * Nicki Minaj
2017 Chance The Rapper * De La Soul
2018 Kendrick Lamar
DAMN.
*Rapsody
2019 Cardi B * Mac Miller }}}}}}}}}

5. 기록

5.1. 최다 그래미 수상자

<rowcolor=#fff> 순위 아티스트 그래미 횟수
1위 게오르그 솔티 31개
2위 퀸시 존스 28개
비욘세
4위 앨리슨 크라우스 27개
5위 피에르 불레즈 26개
6위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25개
존 윌리엄스
칙 코리아
9위 제이지 24개
카니예 웨스트
10위 U2 22개
스티비 원더
빈스 길

5.2. 최다 여성 그래미 수상자

<rowcolor=#fff> 순위 아티스트 그래미 횟수
1위 비욘세 28개
2위 앨리슨 크라우스 27개
3위 아레사 프랭클린 18개
4위 아델 15개
앨리샤 키스
씨씨 위난스
7위 엘라 피츠제럴드 13개
에밀루 해리스
레온타인 프라이스
레이디 가가

5.3. 최다 그룹 그래미 수상자

<rowcolor=#fff> 순위 아티스트 그래미 횟수
1위 U2 22개
2위 푸 파이터스 15개
3위 앨리슨 크라우스 & 유니언 스테이션 14개
4위 딕시 칙스 13개
5위 팻 메스니 그룹 10개
6위 비틀즈 9개
에머슨 스트링 콰르텟
어슬립 엣 더 휠

5.4. 하루에 가장 많은 그래미를 수상한 아티스트

<rowcolor=#fff> 순위 아티스트 및 연도 그래미 횟수
1위 마이클 잭슨, 1984년 8개
산타나, 2000년
3위 퀸시 존스, 1991년 6개
에릭 클랩튼, 1993년
비욘세, 2010년
아델, 2012년
브루노 마스, 2018년

5.5. 제너럴 필드를 모두 수상한 아티스트

  • 아델: 한 해에 4개의 본상을 모두 수상하지는 못했지만, 2009년에 신인상을 받고 2012년과 2017년에 나머지 3개의 본상을 수상했다.(2012년 21, 2017년 25)
  • 빌리 아일리시: 크리스토퍼 크로스 이후 2 번째로 한 해에 4개의 본상을 모두 수상한 아티스트. 4개의 본상을 모두 보유한 최초의 여성 아티스트는 아델(2012 그래미 이후).

5.6. 올해의 앨범을 가장 많이 수상한 아티스트

<rowcolor=#fff> 횟수 아티스트 수상 앨범
파일:Grammy.svg 파일:Grammy.svg 파일:Grammy.svg 파일:Grammy.svg 파일:Grammy.svg 파일:Grammy.svg
3회 프랭크 시나트라
- 올해의 앨범을 최초로 2회, 3회 수상한 아티스트
- 올해의 앨범을 연속 두 번 수상한 최초의 아티스트
파일:57071BDE-1685-4AA2-AA9E-B69265972863.png
Come Dance With Me!
(1959)
파일:894E335B-4E83-4E15-80A3-BE97687175D0.png
September of My Years
(1965)
파일:667660D7-D3A2-478B-A801-2C27B83FB3BB.png A Man and His Music
(1965)
스티비 원더
- 올해의 앨범을 3회 수상한 2번째 아티스트
- 프랭크 시나트라와 함께 단 둘 뿐인 올해의 앨범을 연속 두 번 수상한 아티스트
파일:external/40.media.tumblr.com/tumblr_mqx5h5VwdJ1qejocno1_500.jpg
Innervisions
(1973)
파일:E06E9024-0DAA-460A-932F-4C70F0621EC0.png
Fulfillingness' First Finale
(1974)
파일:FDE7D172-223A-456E-A861-82FF10E0D336.png
Songs in the Key of Life
(1976)
폴 사이먼
- 올해의 앨범을 3회 수상한 3번째 아티스트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A1HtYRZSbwL._SL1500_.jpg
Bridge Over Troubled Water
(1970)
[8]
파일:C499C3F9-FE3F-47CA-9D94-A33CBA0D82F1.png
Still Crazy After All These Years
(1975)
파일:A1CBFCEE-BD23-4489-BE0D-BCC993C3AA5A.png
Graceland
(1986)
테일러 스위프트
- 올해의 앨범을 3회 수상한 4번째 아티스트
- 여성 아티스트 최초로 메인 아티스트로써 올해의 앨범을 2회, 3회 수상한 아티스트
파일:Fearless_standard_cover.png Fearless
(2008)
파일:1989_standard_cover.png 1989
(2014)
파일:folklore_cover.png folklore
(2020)
  • 아티스트가 아닌 엔지니어, 프로듀서 등을 전부 포함하여 따지면 3회 이상 수상한 사람도 존재한다.

5.7. 수상하지 못한 아티스트 가운데 최다 노미네이션

  • 아티스트를 제외한 프로듀서 및 엔지니어는 제외함.
<rowcolor=#fff> 순위 아티스트 및 연도 노미네이션 횟수
1 스눕 독 17회
브라이언 맥나잇
3 비요크 15회
조 새트리아니
5 토시코 아키요시 14회
마트리나 맥브라이드
디억 벤틀리
프레드 허스
9 케이티 페리 13회
스피로 기라
뮤지크 소울차일드

5.8. 그래미상 수상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음악대학교

6. 논란과 비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그래미 어워드/논란과 비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기타

  • 가수들의 퍼포먼스 또한 기대할만하며, 유명한 퍼포먼스로는 핑크의 "Glitter In The Air"가 있다.[9] 그리고 2014년 그래미에서 비슷한 퍼포먼스를 또 했다. 2016년의 켄드릭 라마의 퍼포먼스도 역대급이었다는 평이 있다.[10]
  • 노미네이트된 곡들을 추려 낸 컴필레이션 앨범 Grammy Nominees가 매년 1월쯤에 발매된다.[11]
  • 매년 30초짜리 홍보영상이 나온다. #
  • 라틴 그래미 어워드라는 바리에이션이 있는데 이건 라틴 재즈(Latin Jazz), 라틴 팝, 탱고, 보사 노바 같은 남미 음악 장르에 한정해 시상하는 시상식이다. 주최 단체도 이 항목에서 서술하는 그래미 어워드와 다르다. 가끔 여기서 상을 받은 걸 가지고 '진짜' 그래미 어워드를 받은 양 프로모션에 써먹거나 하는 일이 있는데 혼동하지 않도록 하자. 그래미에도 라틴 음악 부문이 있는데 당연히 라틴 그래미 어워드 수상보다 그래미 어워드 라틴 음악 부문에서 수상하는 게 더 있어 보인다.
  • 본상은 물론이고 기타 상 후보에 노미네이트된 곡들에는 일절 비속어를 쓸 수 없다. 그래서 그래미 수상을 노리는 가수들은 가사에 영 좋지 않은 말이 들어갈 경우 원본 그대로의 앨범과 욕설을 제거한 앨범을 따로 발매한다. 2005년 그래미 어워드 Best Rap Performance by a Duo or Group[12]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었던 비스티 보이스의 "Ch-check it out"이 그 예인데, 가사 내용 일부가 아주 찰진(...)욕으로 이루어져서 수정된 버전을 발매하여 노미네이트 되었다.
  • 한국인 중에서는 소프라노 조수미가 3회 노미네이트, 1회 수상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 # 1992년 오페라 그림자 없는 여인 녹음앨범이 BEST CLASSICAL ALBUM 부문 노미네이트, BEST OPERA RECORDING 수상을 기록했고, 1995년 오페라 탄크레디 녹음앨범이 BEST OPERA RECORDING 부문 노미네이트를 기록.
  • 한국 대중음악에서는 처음으로, 방탄소년단(BTS)의 Dynamite가 BEST POP DUO/GROUP PERFORMANCE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다.
  • 방탄소년단이 한국 가수 처음으로 그래미 단독 퍼포머로의 참석이 2021년 3월 8일(한국시각) 발표되었다. #
  • 힙합 부문은 1989년[13] 31회 시상식부터 신설되어 수상을 하기 시작했으며[14] 초대 수상자는 DJ Jazzy Jeff & The Fresh Prince. The Fresh Prince는 알다시피 윌 스미스의 래퍼 시절 예명이다.[15] 즉, 윌 스미스는 그래미에서 상을 받은 최초의 래퍼.[16]
  • 옴니버스 설정으로 유명한 심슨 가족의 초기 시즌에 그래미 상을 디스하는 내용이 등장한다.[17]
  • 2021년 1월에 개최될 예정이었던 제63회 그래미 어워드가 로스앤젤레스 코로나19 상황이 악화됨에 따라 3월 14일(한국 시각 3월 15일 오전 4시)로 연기됐다. # 생중계
  • 2020년 The Weeknd 스넙으로 인한 전 세계 음악 커뮤니티 및 여론의 악화로 2021년 그래미 어워드는 역사상 최저 시청률을 기록했고, 무수히 많은 아티스트들의 보이콧을 받으며 최악의 시상식으로 남게되었다. 이로 인해 그래미 어워드의 대표 Harvey Mason Jr.는 2022년 그래미 어워드를 시작으로 계속해서 음악 커뮤니티 및 음악 제작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계속해서 그래미 어워드의 문제점을 개선해나갈 것임을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그래미 어워드/논란과 비판 참조.
  • 2022년 1월에 개최될 예정이었던 제64회 그래미 어워드도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코로나19 상황이 악화되어 연기됐다. 4월 3일 or 4월 10일에 개최될 예정이다. #1 #2 #3 이후 4월 3일 라스베이거스 MGM 그랜드 가든 아레나 개최를 확정했다.

8. 참조 문서



[1] the National Academy of Recording Arts and Sciences의 약자 [2] 아주 드물게, 만약 예전에 발매했던 곡이 무명 상태로 있다가 갑자기 인기를 얻게 되면, 인기를 얻게된 해에 심사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2017년에 발배된 Lizzo의 "Truth Hurts"는 2019년에 떴기 때문에 그 해 그래미상 후보에 올랐다. [3] 가수나 래퍼들이 Clean Version을 따로 만들어 앨범이나 싱글을 내놓는 이유는 전 연령층 라디오, TV 방송, 라이브 퍼포먼스 등을 위해서도 있지만 바로 그래미상을 받기 위한 것도 있다. [4] NARAS 회원들은 현직 음반 기획자부터 방송국 PD, DJ까지 미국 대중음악계의 현업 종사자들이며 2018년 기준으로 약 13,000명이다. # 2012년 버클리 음악대학 출신 음반 엔지니어 황병준이, 2016년 가야금 연주가 한테라가, 2017년 아시아 팝페라가수 최초로 팝페라테너 임형주가 5년 임기의 심사위원으로 위촉된 바 있으며, 2019년에는 방시혁 방탄소년단과 가야금 연주자 이루나가 심사위원으로 위촉되었다. [5] 올해의 앨범, 올해의 레코드, 올해의 노래, 올해의 신인 [6] 동계 올림픽 등 국제 행사가 겹쳐진 경우 시상식이 더 늦게 열릴 수 있다. 2020년 이전까지는 2월 초에 시상식이 열렸으나, 이후 현재와 같이 변경되었다. [7] 그래서 이전까지는 어떤 가수가 제너럴 필드에 몇 번이나 후보에 올랐는지가 중요한 커리어 지표 중 하나였으나, 후보 자리가 늘어난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노미네이션 횟수의 위상이 떨어졌다는 말도 나온다. [8] Simon & Garfunkel로 수상 [9] 2010 MAMA에서 원더걸스가 시도했던 그 퍼포먼스이다. # [10] 대놓고 흑인 노예에 아프리카를 상징하는 퍼포먼스를 하고 나와 사회적으로도 이슈가 되었다. [11] 주요 4개 부분을 중심으로 약 20여곡이 실려있다. CD 재생시간의 제한 때문인지 원곡보다 약간 짧게 편곡된 버전이 많다. [12] 두 명 이상의 힙합 그룹에게 주었던 상. 2012년부터 Best Rap Performance 부문에 통합. [13] 힙합 음악이 본격적으로 대중음악에 편입되기 시작한 해이다. [14] 신설되었을땐 앨범 부문 없이 'Best Rap Performance' 부문이 전부였다. [15] 래퍼 시절에 얻은 인지도로, 윌 스미스는 자신의 이름을 건 시트콤 더 프레시 프린스 오브 벨 에어에 출연하여 대단한 히트를 거두게 된다. [16] 파트너인 DJ Jazzy Jeff는 예명에도 나와있듯이 팀에서 프로듀싱을 담당하는 DJ였으며 랩은 윌 스미스 혼자 담당이었다. [17] 시즌5 1화 Homer's Barbershop Quartet 에피소드. 호머 심슨이 다른 등장인물들과 함께 중창단을 결성해 활동하면서 그래미 상까지 수상했다는 과거가 있다는 설정으로 등장하는 에피소드다. 호머가 술값을 내려고 하는데 돈이 없자 그래미 상 트로피를 대신 주는데, 점원은 트로피를 보고는 처음엔 좋아하다가 그래미 상이라는 걸 알고는 실망해서 창밖으로 던져버린다. 그리고 창밖에서 맞은 사람은 쓰레기 버리지 말라면서 다시 위로 던지는데 호머가 그걸 맞고 기절한다. 1993년 방영된 에피소드인데 21세기에 들어서 정말로 그래미 상이 여러 논란에 평가가 깎여나가는 지금 다시 보면 많은 생각이 드는 장면이다.예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