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02:04:09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4호선에서 넘어옴
수도권 전철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1호선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천 2호선
]]
경강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중앙선
]]
경춘선 공항철도 서해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인·분당선
]]
신분당선 신림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우이신설선
]]
[[용인 에버라인|
용인 에버라인
]]
GTX-A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 ||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진접선 진접 ~ 당고개
(14.9km, 16.57%)
서울 지하철 4호선 불암산 ~ 남태령
(31.7km, 36.29%)
과천선 남태령 ~ 금정
(14.4km, 16.80%)
안산선 금정 ~ 오이도
(26.0km, 30.34%)
역 목록 | 연장 | 사건 사고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首都圈 電鐵 4號線
Seoul Metropolitan Metro Line 4
}}} ||
파일:341B56.jpg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파일:SD4055.jpg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수도권 전철 4호선 노선도(2024_12).svg
노선 정보
분류 도시철도(지하철 4호선 구간)
일반철도( 진접선, 과천선, 안산선 구간)
광역철도
지정구간
진접선 구간
차량 분류 대형 중전철
기점 진접역
종점 오이도역
역 수 51개
구성 노선 진접선( 진접~ 불암산)
서울 지하철 4호선( 불암산~ 남태령)
과천선( 선바위~ 금정), 안산선( 금정~ 오이도)
상징색
파란색 (#00A4E3)
개통일 1985년 4월 20일([age(1985-04-20)]주년)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구간1][구간3]
서울특별시[구간2]
운영사 한국철도공사[구간1][구간3][6]
서울교통공사[구간2][구간3][9]
남양주도시공사[구간3]
사용차량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차량기지 진접차량사업소
시흥차량사업소
창동차량사업소
안산차량사업소
노선 제원
노선연장 85.7km
궤간 1,435mm
선로구성 복선
급전방식 (지상: 카테너리가선, 지하: T-bar식 가공강체가선)
(지상: 카테너리가선, 지하: R-bar식 가공강체가선)
신호장비 US&S[11] ATC(진접역 ↔ 금정역)
ATS-S2(금정역 ↔ 오이도역)[12]
최고속도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110㎞/h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100㎞/h[13]
표정속도 불암산 오이도 37.3km/h
진접 사당 38.3km/h
불암산 오이도 급행 39.0km/h
지상구간 진접선/407정거장(예정)
불암산 창동
동작
금정 오이도
지하구간 진접 오남
별내별가람
쌍문 이촌
총신대입구 범계
통행방향 우측통행 ( 진접 남태령)
좌측통행 ( 선바위 오이도)
개통 연혁 1985. 04. 20. 상계 삼선교
1985. 10. 18. 삼선교 사당
1988. 10. 25. 금정 안산
1992. 03. 02. 고잔
1992. 05. 01. 산본
1993. 01. 15. 인덕원 금정
1993. 04. 21. 당고개 상계
1994. 01. 10. 초지
1994. 04. 01. 사당 인덕원
2000. 07. 28. 안산 오이도
2003. 07. 18. 수리산
2022. 03. 19. 당고개 진접
개통 예정 2027. 01~02. 과천정보타운
2028. 진접선/407정거장

1. 개요2. 건설 목적3. 역사4. 구성 노선5. 역할6. 운행 환경
6.1. 안내방송6.2. 혼잡 구간
7. 전 구간 주행 영상8. 역 목록9. 환승역10. 소재지11. 현존 행선지 및 열차번호12. 운행 차량13. 급행열차14. 역별 승하차 통계15. 미래 논의
15.1. 연장 논의15.2. 급행 운행 구간 확대
16. 사건 사고17. 여담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 4호선과 북측의 진접선, 남측의 과천선 안산선이 직결한 수도권 전철의 운행계통이다.

운영·관리 주체는 남양주도시공사,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이다. 노선색은 파란색이며, 노선 색의 뜻은 하늘이다. 전철에서 4호선으로 환승하는 안내방송에서는 청색을 의미하는 Blue line이라고 말하며, 1호선은 군청색을 의미하는 Dark Blue line이라고 말한다.

1994년 4월 1일 기존 4호선 서울시내 구간, 과천선, 안산선 3개 노선이 당고개 ↔ 안산 직결 운행을 시작함으로서 현재의 수도권 4호선 통합 운행 계통이 확립됐다. 기존에는 과천선은 1994년 3월 31일까지, 안산선은 2003년 4월 30일까지 1호선 차량이 운행했으나 그 후로는 이들 구간에는 4호선 차량만 운행되고 있다.

진접역 별내별가람역 구간은 남양주도시공사와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가 공동 운영하며, 불암산역 남태령역 구간은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고, 선바위역 오이도역 구간은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한다. 진접역 남태령역 구간은 우측통행, 선바위역 오이도역 구간은 좌측통행이다. 통행방식이 다르기에 남태령역과 선바위역 사이에는 상하 입체교차 형식의 꽈배기굴이 위치한다.

사용열차는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이며 대한민국 최초의 VVVF 전동차들이다.[14]

파일:지하철4호선.jpg [15]

2. 건설 목적

  • 전차 폐지 후 과포화 상태가 된 서울 관내의 도로 교통 분산
    1기 지하철의 건설 목적.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시절부터 서울의 주된 대중교통 수단이었던 서울 전차가 1968년 차량 노후화와 누적되는 적자를 견디지 못하고 폐지되자 자연스레 버스를 비롯한 사대문 안의 도로 교통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이를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2호선이 상당수 해결하였으나, 이외의 서울 지역은 아직도 대체재가 빈약했기 때문에 도로 교통난이 심각한 상황이었다. 이를 해결할 목적으로 4호선이 건설되었다.
  • 남양주시 북부와 서울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 확충
    진접선의 건설 목적. 남양주시에는 경의·중앙선 경춘선이라는 2개의 전철 노선이 이미 지나고 있었지만, 경의·중앙선은 다산신도시( 도농역)와 덕소, 팔당 등 남쪽 한강변으로 지나가고, 경춘선은 별내신도시와 퇴계원, 평내호평, 화도( 마석역) 등 시 중앙을 관통하기 때문에 남양주 북부에 위치한 진접지구는 철도에서 소외되어 있었다. 진접선의 개통으로 진접·오남지구와 별내신도시 북부, 그리고 추후 건설될 왕숙신도시에서 서울로 더 빠르고 편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3. 역사

3.1. 서울 지하철 4호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울 지하철 4호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양택식 서울시장이 1970년 서울 지하철 노선을 구상할 당시에 계획된 4호선은 독산-신림-사당-서초-이태원-동대문-종각-서울역-이촌-서초-도곡-석촌-방이로 이어지는, 자세히 보면 서초역에서 P턴을 하는 선형의 노선이었다. 그러나 후임으로 들어온 구자춘 시장은 양 전 시장의 2~5호선 계획을 파기하고 새로이 2~4호선을 계획했는데, 이 때의 3호선은 불광-서울역-사당으로 3호선의 강북 구간과 4호선의 강남 구간을 섞어놓은 듯한 모양이었고, 반대로 4호선은 미아-동대문-보광동-강남으로 4호선의 강북 구간과 3호선의 강남 구간을 섞어놓은 듯한 모양이었다. 그러다 1977년 계획이 수정되며 현재의 3호선과 4호선의 계획이 완성됐다. 방사형 노선들이 충분히 건설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울 지하철 2호선이 이례적으로 순환선으로 지어졌기에 이 순환선이 보조해줘야 할 방사형 노선인 3호선과 4호선 역시 빨리 지어질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당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모두 재정이 빈약했기에 원하는 만큼 지하철을 짓기가 어려웠고, 서울시는 3호선과 4호선을 민간투자사업으로 건설하려 했으나 경제위기와 인플레이션으로 공사비가 치솟자 사업에 참여하기로 했던 기업들이 하나둘 발을 빼는 상황에 이르렀다. 결국 서울시는 민간투자사업 방식을 포기하고 지방공기업 방식으로 지하철을 건설 및 운영하기로 했으니, 이렇게 생긴 공기업이 현 서울교통공사의 전신인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이다. 한편 4호선 공사는 순조롭게 진행되어 난공사가 많았던 3호선보다 빠른 1985년 4월에 상계~한성대입구 구간이 최초 개통했고, 그해 10월에 사당역까지 완전 개통했다. 나중에 산비탈에 위치해 있어 교통이 불편한 상계 3,4동 주민들을 위해 2기 지하철 계획의 일부로 4호선이 불암산역까지 연장됐다.

3.2. 안산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산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안산선은 반월국가산업단지 및 그 인근에 조성될 신도시에 대한 교통수단으로서 1984년에 최초 계획됐다. 서울의 공장을 옮겨오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도시인 안산 입장에서는 수인선보다도 서울 가는 노선이 필요했는데, 당시 안산에 있는 철도노선이란 수인선 협궤철도밖에 없었고, 서울로 가려면 수인선을 타고 수원역까지 가서 1호선이나 일반열차로 갈아타야 했다. 게다가 도로교통도 서울로 통하는 길이 왕복 4차로에 불과했던 47번 국도 수인로 - 광명로 경로밖에 없어서 서울에서 드나들기 매우 불편했다. 이에 따라 경부선에서 분기하여 안산에 이르는 철도 노선이 계획됐는데, 최초에는 분기역 후보로 경부선 명학역 군포역 등이 거론됐으나 두 역 모두 입체교차 시설을 새로 만들기에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되어 두 역 사이에 경부선-안산선 분기를 위한 신역사를 세우기로 결정됐다. 이렇게 생긴 역이 금정역이다.

안산선은 1988년 금정역~ 안산역 구간이 개통했는데, 당시에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일부로 운행했다. 청량리역에서 1호선을 타고 금정역까지 내려온 6량 1편성 열차가 안산선으로 분기해 안산역까지 운행하는 방식이었고, 금정-안산만을 왕복 운행하는 안산선 셔틀열차도 있었다. 과천선이 금정~인덕원 구간만 개통했을 때는 안산~금정~인덕원을 왕복 운행하는 열차도 존재했다. 1994년 과천선 완전 개통 후 안산선은 4호선으로 편입되어 4호선 전동차가 운행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00년에 시흥차량사업소 인입선 건설 및 시화국가산업단지에 대한 교통대책으로 안산선이 오이도역까지 연장됐다.

안산선이 4호선으로 편입된 후에도 1호선 열차는 하루 3회 운행을 이어갔다. 안산선 오이도역 연장 후에도 이 열차는 안산역까지만 운행됐다. 이 열차의 서울 쪽 종점은 청량리역에서 용산역으로 단축됐고, 용산역 민자역사 건설로 노량진역으로 한 번 더 단축됐다가 2003년 공식 폐지됐다.

3.3. 과천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과천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호선은 1980년대 계획 당시부터 서울대공원을 거쳐 정부청사가 있는 과천시로 연장하고자 했으나, 당시에는 재정 부족으로 실현되지 못했다. 1980년대 후반 1기 신도시 계획으로 안양에 평촌신도시, 군포에 산본신도시의 조성이 확정되면서 두 신도시의 개발이익금을 교통 인프라 투자금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됐고, 이에 사당에서 과천시내와 평촌신도시를 거쳐 금정역에 이르는 과천선 계획이 수립됐다. 이때 서울 지하철 4호선-과천선-안산선의 직결 운행도 결정됐다. 그런데 서울 4호선은 직류+우측통행으로 운행 중이었고, 안산선은 교류+좌측통행으로 운행 중이었기에 과천선을 어떤 규격으로 건설해야 하는지를 두고 지하철공사와 철도청이 자신의 방식을 고집하며 대립했다. 결국 직류에 비해 더 저렴한 교류 및 좌측통행으로 운행하기로 결정됐으며, 서울 4호선과 직결되는 선바위~남태령 구간에 꽈배기굴이 만들어졌다.

원래는 평촌신도시와 산본신도시의 입주 시점을 고려해 1992년에 전구간 개통하려 했으나 공사가 지연되는 바람에 1993년 인덕원역~ 금정역 구간만 먼저 개통했고, 이 당시에는 안산선처럼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일부로 운행했다. 6량 편성 셔틀열차가 인덕원역에서 안산역까지 운행하는 방식이었다. 1994년 4월 사당역~ 인덕원역 구간이 개통하며 과천선이 완전 개통하게 됐고, 서울 지하철 4호선-과천선-안산선 직결 운행이 개시되면서 안산선과 함께 4호선에 편입됐다. 직결운행 후에도 주민 편의를 위해 1호선 열차가 드문드문 들어오던 안산선과 달리 과천선은 완전히 4호선 열차만 다녔다. 서류상으로는 남태령역~ 금정역만 과천선 소속인데, 이는 철도청에서 서울특별시에 속해 있는 사당~남태령 구간을 지하철공사에 양도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울 지하철 4호선도 사당역에서 남태령으로 한 정거장 연장됐다.

3.4. 진접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진접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서울특별시 노원구 한복판을 차지하고 있던 창동차량사업소를 서울시 밖으로 이전하고자 했는데, 먼저 2003년 포천시와 손을 잡고 차량사업소를 포천으로 이전하는 대신 4호선을 포천으로 연장하려 했지만, 타당성이 낮아서 무산됐다. 한편 남양주시 진접지구는 철도 접근성이 심각하게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는데, 그나마 가까운 경춘선 사릉역까지 버스로 30분이나 걸렸다. 결국 서울시와 남양주시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며 차량기지를 진접으로 이전하고 4호선을 진접까지 연장하기로 했고, 이번에는 타당성이 만족스럽게 나오며 진접선 건설이 확정됐다. 진접선은 2022년 3월에 개통했는데, 광역철도로서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시공했으나 4호선과의 직통운행을 위해서 직류+우측통행 규격을 사용한다. 서울교통공사 차량만 들어오며 한국철도공사 차량은 들어오지 않고, 모든 진접발 열차는 사당역까지만 운행한다.

4. 구성 노선

5. 역할

4호선은 서울 동북부 및 경기도 서남부의 주거지역과 서울 시내를 연결하는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우선 한강 이북 구간에서는 진접지구에서 출발해 별내신도시, 상계동, 창동, 쌍문동, 수유동, 미아동, 길음동, 돈암동 등의 주거지역을 거쳐 시내 지역인 동대문과 명동, 서울역, 용산으로 향하며, 한강 이남 구간에서는 시흥 배곧신도시에서 출발해 안산시내, 고잔신도시, 산본신도시, 평촌신도시, 과천시내 등의 주거지역을 거쳐 2호선으로 환승해 강남으로 갈 수 있는 사당역으로 향한다. 이처럼 주거지역을 많이 경유하다 보니 이용객 수도 2호선, 1호선 이어 3위를 기록하고 있다. 함께 X축을 형성하고 있는 수도권 전철 3호선과 비교를 해보면, 3호선은 일산선 은평구 쪽에서만 주거지역을 지나고 경복궁역부터는 거의 업무/상업지구 구간이지만 4호선은 대부분의 구간이 주거지역인 것을 알 수 있다. 거기에 이용객 수로 보아도 3호선은 일부 구간만 많고 그 외는 거의 대부분이 평균에 겨우 미치는 수준이지만, 4호선은 역별 이용객 수가 대부분 일정하고 어느 한쪽에 치우지지 않으면서도 골고루 분산되어 있으며 이마저도 평균보다 높다. 대부분의 노선은 반드시 평균의 못미치는 수요구간이 있는데 4호선이 유일하게 없는게 가장 큰 특징이다. 게다가 주요 대학교들도 많이 경유하고 있다. 유독 1호선과의 환승이 많다.[17] 이는 4호선 구성 계획당시 용산기지를 피해 돌아가는 형태로 계획이 변경 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18]

6. 운행 환경

6.1. 안내방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차내 안내방송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안내방송/열차/도시철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역내 안내방송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안내방송/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d8bfd8,#3f263f> 운영사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어 강희선 보이스웨어 혜련
영어 제니퍼 클라이드 보이스웨어 Julie
중국어 조홍매
일본어 도이 미호 교코
출발 BGM 서울교통공사 로고송(일부) 코레일 ID송
환승 BGM 풍년 얼씨구야
종착 BGM 서울교통공사 로고송 코레일 로고송
한국어 안내방송 담당 성우는 2010년부터 2019년 중순까지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모두 강희선이었다. 같은 기간, 영어 안내방송 담당은 제니퍼 클라이드였다. 그 후 한국철도공사는 안내방송을 TTS로 교체했다. 서울교통공사는 계속 강희선-제니퍼 클라이드의 목소리가 송출된다. 따라서 사당행과 사당발 불암산/진접행 직류전용 열차는 반드시 강희선, 제니퍼 클라이드의 안내방송이 송출된다. 반면에 오이도 급행, 불암산 급행 열차는 반드시 TTS로 송출된다.

한국철도 전동열차 (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의 출입문 안내방송은 강희선 성우 안내방송을 계속 사용했으나 2020년 5월부터는 출입문 안내방송도 TTS로 교체됐다.

서울교통공사 1차분에서는 오이도역 종착은 서울교통공사 로고송이 하이라이트버전으로 송출된다.

6.2. 혼잡 구간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최대 혼잡 구간 데이터 서술에 색을 넣지 않고 금정역 서술을 특정 서술로 고정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최대 혼잡 구간 데이터 서술에 색을 넣지 않고 금정역 서술을 특정 서술로 고정하기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축수송(교통)/사례/대한민국/철도 문서
3.1.4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2년 최대 혼잡 구간 성신여대입구 한성대입구 185.5%

우선 한강 이북 구간( 진접선· 서울 4호선)의 진접역부터 혜화역까지는 출근시간에 승객들이 계속 타기만 하며, 진접발 열차는 별내별가람역부터[19], 불암산발 열차는 상계역이나 노원역부터, 심하면 불암산역 출발 때부터 입석이 발생한다. 창동역에서 의정부/양주 쪽에서 온 1호선 환승객들이 탑승하면 점차 혼잡해지기 시작한다. 서울시, 더 나아가 전국 최대의 인구 밀집지역 중 하나인 도봉구- 강북구- 성북구 구간을 거치며 열차 안은 더욱 가축수송이 되어간다. 창동역과 동대문역 사이 약 11.8km에 달하는 구간에 환승역이 성신여대입구역 하나밖에 없어 승객 교환도 잘이루어지지 않는 탓에 혼잡도가 더욱 높아진다. 성신여대입구역에서 우이신설선 환승객들까지 합류하고 나면 혼잡도가 최고조에 이른다. 시내 구간에 접어들면 동대문역[20]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충무로역에서 환승객들이 대거 하차하고 서울역에서 환승객과 철도 이용객들까지 대거 하차한 다음부터는 열차 안이 한산해진다.

한편 한강 이남 구간( 안산선· 과천선)의 수요는 한강 이북 구간에 비해 다소 낮지만[21] 사당행 열차의 존재로 배차 간격이 2배로 벌어져 똑같이 혼잡하다. 먼저 안산시와 서울 도심을 잇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은 아예 없고 그 이동 수요를 철도가 독점하고 있으므로 안산선의 수요가 높다. 서부간선도로 등 서울시내 주요 도로의 교통정체 때문에 버스의 경쟁력이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금정역에서는 1호선과의 승객 교환이 일어나는데, 1호선 열차들이 시간을 잘 지키지 않아서 1호선 2~3대에서 내린 환승객들이 4호선 1대로 한꺼번에 밀려들어 4호선의 혼잡도가 매우 높아진다.[22] 과천선에선 평촌신도시의 중심지인 범계역, 평촌역과 교통 거점 역할을 하는 인덕원역, 그리고 인천행 광역버스 정류장이 위치한 선바위역을 거치며 가축수송이 됐다가 사당역에서 2호선으로 환승하기 위해서 대부분 하차한다. 다만 이 지역들도 혼잡도가 오를 가능성이 높은데 중앙역 인덕원역에 각각 신안산선, 경강선 승객들이 합세하면 혼잡도가 늘어날 수 있다. 특히 금정역 서쪽에서 졸다가 인덕원역 동쪽에서 깨어나거나 그 반대의 경우 과반수의 승객이 바뀌어 있음을 보게 된다.

7. 전 구간 주행 영상

<nopad>
오이도역 불암산역 전 구간 주행 영상 (안산선 → 과천선 → 서울 지하철 4호선)
<nopad>
불암산역 오이도역 전 구간 주행 영상 (서울 지하철 4호선 → 과천선 → 안산선)
<nopad>
진접역 사당역 전 구간 주행 영상 (진접선 → 서울 지하철 4호선)
<nopad>
사당역 진접역 전 구간 주행 영상 (서울 지하철 4호선 → 진접선)

8. 역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4호선/역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환승역

10. 소재지

파일:Seoulmetro4_icon.svg 운영사 및 소재지 일람
운영사 소재지 구간 구별 역 갯수
남양주도시공사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역 별내별가람역 3
서울교통공사 서울특별시 노원구 불암산역 노원역 3
도봉구 창동역 쌍문역 2
강북구 수유역 미아사거리역 3
성북구 길음역 한성대입구역 3
종로구 혜화역 동대문역 2
중구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회현역 4
용산구 서울역 이촌역 5
동작구 동작역 사당역 3
서초구 남태령역 1
한국철도공사 경기도 과천시 선바위역 정부과천청사역 5
안양시 인덕원역 범계역 3
군포시 금정역 대야미역 4
안산시 반월역 신길온천역 8
시흥시 정왕역 오이도역 2

11. 현존 행선지 및 열차번호

  • 현존 행선지
    볼드체는 자주 있는 행선지이다.
    • 상행
      • 진접행 - 2024년 현재 사당발 진접행 서울교통공사 열차만 운행하며, 진접차량사업소가 개업하는 2026년 이후부터 서울교통공사/한국철도공사 안산발 · 오이도발 진접행도 운행 예정이다. 첫차시간대에는 불암산발 · 평일 남태령발 진접행, 평일 서울역발 진접행이 운행한다.
      • 불암산행 - 평시에는 안산발 · 오이도발 불암산행과 일부 사당발 불암산행이 운행하지만, 첫차시간대에는 산본발 · 불암산행, 주말 · 공휴일 서울역발 진접행이 운행한다.
      • 노원행 - 주말 · 공휴일 오이도발 노원행 막차가 운행한다.
      • 한성대입구행 - 오이도발 한성대입구행 막차가 운행한다.
      • 사당행 - 주말 · 공휴일 오이도발 사당행 막차가 운행한다.
      • 금정행 - 오이도발 금정행 막차가 운행한다.
    • 하행
      • 오이도행: 2024년 현재 불암산발 오이도행만 운행하며, 진접차량사업소가 개업하는 2026년 이후부터 진접발 오이도행도 운행 예정이다. 첫차시간대에는 안산발 · 금정발 · 사당발 · 한성대입구발 오이도행, 평일 노원발 오이도행이 운행한다.
      • 안산행 - 2024년 현재 불암산발 안산행만 운행하며, 진접차량사업소가 개업하는 2026년 이후부터 진접발 안산행도 운행 예정이다.
      • 사당행 - 평시 진접발 · 불암산발 사당행 서울교통공사 열차가 운행한다.
      • 금정행 - 평일 불암산발 금정행 막차가 운행한다.
      • 산본행 - 주말 · 공휴일 불암산발 산본행 막차가 운행한다.
      • 서울역행 - 진접발 서울역행 막차가 운행한다.[23]
      • 불암산행 - 진접발 불암산행 막차가 운행한다.
  • 현존 열차번호
    • 진접역~사당역 구간: #4000번대~#4200번대
    • 불암산역~안산역 구간: #4300번대
    • 불암산역~오이도역 급행 구간: #4400번대
    • 불암산역~오이도역 구간: #4500번대~4700번대
    • 회송, 시운전: #4800번대
    • 창동차량사업소 입출고: #4900번대

서울교통공사 전동차는 한국철도공사 구간의 부역명을 전혀 방송하지 않는다. 한국철도공사 전동차는 총신대입구역( 이수역)을 제외한 서울교통공사 구간의 부역명을 전혀 방송하지 않는다.

12. 운행 차량

13. 급행열차

<nopad>
불암산 급행 오이도역 ~ 산본역 구간 주행 영상
오이도 급행 금정역 ~ 오이도역 구간 주행 영상

2010년 1월 18일부터 안산선 구간에 한하여 급행열차가 운행하고 있다. 정차역은 오이도 - 정왕 - 안산 - 초지 - 중앙 - 상록수 - 산본이며 산본부터 불암산까지는 모든 역에 정차한다. 과거에는 신길온천역도 급행 정차역이었고 초지역은 통과역이었지만 초지역이 2020년 9월 수인·분당선 개통으로 3개 노선 환승역이 되자 두 역의 위치가 뒤바뀌었다. 오이도역부터 금정역까지 완행은 36분, 급행은 30분 소요되므로 급행이 6분 정도 더 빠르다. 운행횟수는 평일 출근 시간 상행 4회, 퇴근 시간 하행 3회이며 주말에는 운행하지 않는다. 초창기에는 출근 시간 상행만 운행했지만 수도권 광역버스 입석금지에 대한 대책으로 2014년 9월부터 퇴근 시간 하행 급행이 신설됐고, 원래는 안산역에서 시종착했으나 2017년 7월부터 종점인 오이도역까지 연장 운행하게 됐다. 그리고 서울교통공사 차량은 급행에 투입되지 않으며 모든 급행열차는 한국철도공사 소속 차량이다.

여담으로, 서울교통공사 구간 역(불암산~남태령)의 행선안내표시기에는 그냥 오이도행으로 안내되고 있다. 그래서 일반전동열차인 줄 알고 탔다가, 안산선 구간에 들어선 후 내려야 할 역을 통과하는 것을 보고 당황하는 경우도 있다. 하단 열차 아이콘에 표기되는 열차번호(44xx)로 구분할 수 있긴 하지만, 일반적인 이용객들이 그런 것까지 아는 경우는 많지 않으니...[24]
오이도 - 불암산 급행 시간표
(2023년 6월 기준)
상행 (출근시간)
오이도 정왕 안산 초지 중앙 상록수 산본 금정 사당 불암산
06:42 06:45 06:49 06:52 06:56 07:00 07:08 07:13 07:38 08:30
06:59 07:02 07:07 07:10 07:13 07:17 07:26 07:30 07:56 08:49
07:49 07:52 07:57 08:00 08:03 08:07 08:16 08:21 08:48 09:41
08:03 08:06 08:11 08:14 08:17 08:21 08:30 08:34 08:59 09:52
하행 (퇴근시간)
불암산 사당 금정 산본 상록수 중앙 초지 안산 정왕 오이도
18:19 19:12 19:37 19:42 19:50 19:54 19:58 20:01 20:06 20:08
19:30 20:23 20:48 20:53 21:01 21:05 21:09 21:12 21:17 21:19
20:17 21:10 21:35 21:40 21:48 21:52 21:56 21:59 22:04 22:06

14. 역별 승하차 통계

2023년 기준 수도권 전철 4호선 일평균 승하차 순위이다.
  1. 환승역 승하차량은 다른 노선의 승하차량을 제외한 수치이다.
  2. 모든 이용객이 1호선으로 집계되는 금정역은 통계에서 제외한다.
  3. 창동역은 1호선과의 환승역이지만 출입구 게이트를 4호선이 독점하므로 경원선의 이용객이 전부 포함되어 있다.
  4. 충무로역은 3호선과의 환승역이지만 출입구 게이트를 4호선이 독점하므로 3호선의 이용객이 전부 포함되어 있다.
  5. 한대앞역, 중앙역, 고잔역, 초지역, 안산역, 신길온천역, 정왕역, 오이도역은 수인·분당선과의 환승역이지만 출입구 게이트를 4호선이 독점하므로 수인·분당선의 이용객이 전부 포함되어 있다.
수도권 전철 4호선
노선 총합
역수 구간 역당 일평균 이용객 일평균 승하차량 2023년 승하차량 최다 이용역 최저 이용역
51개 진접 ↔ 오이도 28,894명 1,444,708명 474,203,513명 혜화 남태령
26개 서울 지하철 4호선 37,940명 986,444명 360,052,213명 혜화 남태령
8개 과천선 23,004명 184,031명 67,171,229명 범계 대공원
14개 안산선 16,687명 216,933명 79,180,655명 중앙 신길온천
3개 진접선 8,628명 25,883명 7,454,324명 별내별가람 진접
일일 이용객 수
역수 구간 10만명 이상 5만명~10만명 2만명~5만명 1만명~2만명 1만명 이하
51개 진접 ↔ 오이도 없음 9개역
(역별 순위 1~9위)
20개역
(역별 순위 10~29위)
11개역
(역별 순위 30~40위)
10개역
(역별 순위 41~50위)
||<-1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3><bgcolor=#00a4e3> 수도권 전철 4호선 ||
역별 순위
순위 역명 일평균 승하차량 2023년 승하차량
1위 혜화 71,660명 26,155,848명
2위 수유 65,726명 23,989,946명
3위 명동 63,958명 23,344,555명
4위 충무로 55,318명 20,191,111명
5위 쌍문 53,300명 19,454,402명
6위 범계 51,126명 18,661,018명
7위 미아사거리 51,065명 18,638,840명
8위 회현 50,984명 18,609,290명
9위 창동 50,227명 18,332,990명
10위 사당 48,910명 17,852,140명
11위 인덕원 47,005명 17,156,820명
12위 길음 40,828명 14,902,234명
13위 성신여대입구 40,495명 14,780,523명
14위 노원 40,476명 14,773,583명
15위 동대문 38,117명 13,912,599명
16위 총신대입구(이수) 37,913명 13,838,392명
17위 중앙 37,251명 13,596,600명
18위 신용산 36,868명 13,456,980명
19위 상계 35,866명 13,091,207명
20위 동대문역사문화공원 33,545명 12,243,787명
21위 산본 32,270명 11,778,490명
22위 평촌 31,962명 11,666,353명
23위 서울역 31,878명 11,635,624명
24위 상록수 30,216명 11,028,792명
25위 미아 28,744명 10,491,421명
26위 숙대입구 27,623명 10,082,224명
27위 한성대입구 26,780명 9,774,643명
28위 안산 23,318명 8,510,940명
29위 정부과천청사[KN] 20,716명 7,561,429명
30위 이촌 19,440명 7,095,687명
31위 정왕[KN] 18,764명 6,848,769명
32위 한대앞 18,644명 6,805,181명
33위 불암산 17,661명 6,446,306명
34위 고잔[KN] 16,887명 6,163,512명
35위 오이도 16,283명 5,943,339명
36위 선바위[KN] 14,223명 5,191,564명
37위 삼각지 12,592명 4,596,040명
38위 과천[KN] 12,062명 4,402,720명
39위 경마공원[KN] 11,833명 4,319,203명
40위 별내별가람 11,169명 4,076,648명
41위 대공원 9,377명 3,422,652명
42위 오남 9,152명 3,340,645명
43위 대야미[KN] 9,144명 3.337,775명
44위 초지[KN] 8,929명 3,258,933명
45위 진접 8,751명 3,194,038명
46위 반월[KN] 8,163명 2,979,610명
47위 수리산[KN] 7,407명 2,703,641명
48위 동작 4,006명 1,462,009명
49위 신길온천[KN] 3,621명 1,321,721명
50위 남태령 2,465명 899,832명

15. 미래 논의

15.1. 연장 논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4호선/연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2. 급행 운행 구간 확대

  • 서울 지하철 4호선 급행
    2019년 2월 발표된 서울시 제2차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 서울 지하철 4호선 급행화가 반영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길음역 이촌역에 대피선이 설치될 예정이고 환승역 위주로 총 14개역에 급행이 정차할 예정이라고 한다.[36] 2019년 4월 위 발표와 관련된 시민 공청회를 다녀온 사람의 글에서는, 서울 지하철 4호선 급행화 계획의 사업 타당성을 가늠하는 B/C값이 2.8이 나왔다고 한다.[37] B/C값이 1을 넘기가 힘들어 탈락 위기에 처한 0.8~0.9짜리 사업들이 예타 면제를 추진하는 최근의 추세를 감안하면 2.8은 매우 높은 값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에 따르면 역시 B/C값이 1 이상으로 나왔다고 알려진 5호선 본선- 마천지선 직결과 함께 추진되며, 역대급 B/C값이 나온 4호선 급행화가 우선 진행된다고 한다. 한편 계획 발표 당시 서울시 관계자는 2021년 착공을 목표로 추진하겠다고 했지만[38] 이후로 아무 소식도 들려오지 않았고 2024년 4월, 서울시에서 3호선 급행화와 함께 4호선 급행화 재추진에 나선다고 한다.[39]
  • 과천선 급행
    19대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가 수도권 전철 급행운행 확대를 공약으로 제시했고 당선되면서 2017년 7월 과천선을 포함한 코레일 구간 급행열차 운행계획을 발표했다.[40] 계획에 따르면 대공원역 정부과천청사역에 대피선을 설치해 기존 일반열차보다 약 7분 빠른 급행열차를 2022년 하반기부터 운행한다고 한다. 이에 따라 현재는 금정역에서 남태령역까지 22분이 소요되지만 급행을 이용하면 15분 만에 갈 수 있게 되며, 현재 운행 중인 안산선 급행열차와 연계하여 안산선-과천선 급행열차가 신설된다면 안산 중앙역에서 서울 사당역까지 전철로 34분이면 갈 수 있게 된다.[41] 그러나 2022년 2월 21일, 과천선 급행화 계획이 B/C값 0.87을 받으며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탈락했다.[42] 이후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과천시장으로 당선된 신계용 후보는 과천선 급행화를 다시 약속했다.

16.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4호선/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7. 여담

17.1. 남태령역~ 선바위역 꽈배기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꽈배기굴/과천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7.2. 잦은 역명 분쟁

4호선은 유난히 다른 노선보다 역명 분쟁이 잦다. 우선 서울 지하철 4호선 개통 당시 무려 4개역의 역명이 인근 대학들의 로비로 인해 개통 직전 혹은 직후에 변경됐다. 돈암역은 개통 직전에 성신여대입구역으로, 갈월역은 개통 직전에 숙대입구역으로 바뀌었으며 삼선교역은 개통 직후에 한성대입구역으로 바뀌었다. 가장 압권은 총신대입구(이수)역으로, 원래 이름은 이수역이었으나 총신대학교의 로비로 개통 직후에 총신대입구역으로 바뀌었다. 그런데 15년이 지난 2000년에 총신대입구역보다 총신대에서 더 가까운 7호선 남성역이 개업하며 총신대입구역은 다시 이수역이 되고 남성역의 부역명으로 총신대입구가 들어갔으나, 총신대의 반발로 4호선 이수역이 다시 총신대입구역으로 돌아왔다. 그런데 이때 7호선 이수역은 이름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이수역으로 남아 있게 되면서 이수역은 환승역의 역명이 서로 다른 역이 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이수역/역명 논란 문서에 기술돼 있다.

과천선 경마장역은 인근 서울경마장이 '경마장'이라는 이름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우고자 '서울경마공원'으로 이름을 변경하면서 경마공원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제2종합청사역은 청사 이름 변경으로 인해 정부과천청사역으로 변경됐다. 안산선의 공단역은 반월국가산업단지(반월공단)과 거리가 상당한지라[43] 역이 소속된 법정동의 이름을 따 초지역으로 변경됐다. 그리고 신길온천역은 현재도 역명 분쟁이 진행중인데, 원래 역 인근에 온천수가 발견되어 역명이 정해진 것이나 정부가 산업공단 및 신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온천 개발을 거부하면서 신길온천역은 온천 없는 온천역이 됐다. 결국 2020년 3월 안산시에서 신길온천역의 역명 변경을 추진한다고 발표했고, 2021년 1월 국토교통부 고시를 통해 능길역으로의 역명 변경이 확정됐으나 아직까지 온천 개발에 대한 희망을 놓치 않았던 일부 주민들이 반발하며 역명 개정 집행정지 신청을 제기했고 2021년 3월 중앙행정심판위원회가 이를 인용하며 역명 개정절차는 중단된 상태이다.

2024년 2월에는 노원구가 진접선 개통 이전까지 오랫동안 시종착이었던 당고개역의 역명을 불암산역으로 바꾼다고 하는데, 이에 일부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그러나 결국 2024년 10월 불암산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17.3. 4호선대

서울 지하철 2호선에 버금갈 정도로 대학가를 많이 끼고 있기도 하다. 대학교 이름 중 굵은 글씨로 되어 있는 역은 대학교 이름이 붙은 역명들 빼고 그 역을 도보로 갈 수 있는 대학교이다.
<rowcolor=white> 역 이름 관련 대학교
진접역 경복대학교(남양주캠퍼스)
별내별가람역 삼육대학교
수유역 덕성여자대학교(쌍문캠퍼스)
미아역 성신여자대학교(운정캠퍼스)
서울사이버대학교
길음역 국민대학교, 서경대학교
성신여대입구역 성신여자대학교(수정캠퍼스)
한성대입구역 한성대학교
혜화역 성균관대학교(인문사회과학캠퍼스)
서울대학교(의대, 치대, 간호대)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대학본부)
홍익대학교(대학로캠퍼스)
충무로역 동국대학교
숙대입구역 숙명여자대학교
총신대입구(이수)역 총신대학교
상록수역 안산대학교
중앙역 서울예술대학교(안산캠퍼스)
한대앞역 한양대학교(에리카캠퍼스)
초지역 신안산대학교
정왕역 한국공학대학교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오이도역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

이원화 캠퍼스들이 많다.

17.4. 기타

  • 진접~사당 전 구간 완주 시 1시간 8분, 불암산~오이도 전 구간 완주 시 1시간 55분이 소요된다.
  • 현재 3호선 차량들 중 몇몇은 4호선에서 운행하던 차량들로 1994년에 4호선 전동차가 새로 들어오면서 전부 2호선과 3호선으로 옮겨졌다. 오래된 4호선 사진이나 몇몇 교과서 사진에 3호선 열차가 '상계'행 행선지를 하고 달리는 사진이 있다.
  •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에 한해서 4호선은 근래까지 전면, 후면, 측면 행선지를 표시할 때 롤지식 행선기를 사용했다. 현재는 진접 연장에 대비하여 전면, 후면만 LED 행선지를 사용하고 측면은 서울교통공사 로고로 막았다.
  • 도시철도법에 따르면 우측통행을 해야 하나, 개통 당시 4호선은 '도시철도'이니 도시철도법의 영향을 받아 우측통행을 한 반면 안산선/과천선은 '일반철도'로 분류됐기 때문에 철도법의 영향을 받아 좌측통행을 했다. 그래서 과천선과 4호선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꽈배기굴이 탄생했다. 만약 4호선이 처음부터 안산선/과천선과 직결될 계획이었다면 서울 지하철 4호선 구간이 100% 좌측통행이 됐을 것이다. 도시철도법에 의하면 우측통행이 맞지만, 국철과 연계되는 노선은 예외적으로 좌측통행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철도청은 처음부터 안산선과 과천선을 4호선과 직결할 계획이 있었다.[44] 그러나 무화회송 시흥차량사업소로의 전동차 부품 조달을 제외한 화물취급은 2010년 9월 1일부로 중단됐다. 결국 안산선은 처음부터 4호선과 직결될 계획도 있었지만 과천선이 만들어지지 않은데다가 화물열차까지 연계해야 했기 때문에 경부선에 일시적으로 연계된 것으로 보인다.
  • 이 때문에 4호선이 전기동차를 몰 수 있는 제2종전기차량운전면허 기능시험구간으로 지정됐다. 남태령 - 산본 구간의 10개역에서 교직절환과 ATC-ATS 절환이 나오기 때문이다.
  • 스크린도어가 없던 시절에는 다른 노선들보다도 4호선에서 투신자살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4호선 역들 중 한성대입구역, 동작역, 남태령역, 중앙역(안산), 초지역이 제일 심각했으며, 전국적으로도 사상사고가 가장 잦은 역으로도 손꼽혔다. 지금은 스크린도어가 전부 설치됐다.
  • 이 노선 중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호돌이 벽화)과 한성대입구역(선녀도 벽화) 승강장 선로 쪽에는 벽화가 그려져 있다.
  • 극히 초기 때, 안산선이니 과천선이던 시절에는 중저항 열차가 운행하기도 했다. 이는 1호선 전동차가, 노량진 - 금정 - 안산 구간을 운행하던 시절까지도 어느 정도 유지됐다.
  • 2008년 7월 16일, 열차 행선판에 ' 안드로메다 행(To Andromeda)'이라는 글자가 표기된 적이 있다. 새로운 행선판을 시험하면서 담당자가 시험문구로 작성한 것이 표출된 것이라고 한다. 아래는 관련 문의에 대한 서울메트로 정비팀의 답변이다.
파일:attachment/andromeda1111.jpg
파일:attachment/andromeda2222.jpg
파일:attachment/수도권 전철 4호선/03_etwas0227_harid.jpg
  • 위의 안드로메다행 사건과 비슷한 시기에 행선판의 역명이 괴상하게 바뀌어서 뜨곤 했다. '상계 → 삲계계', '수유 → 수유ㅉㅉㅉㅉㅉ', '미아삼거리 → 뭐아삼뻐리', '길음 → 음', '한성대입구 → 한성대찝구', '동대문 → 동대뭔', '동대문운동장 → 옹대문운동장', '명동 → 몁동' 등이 관련 사례이다.[45] 신길온천역에서는 행선판에 '이번 역에서 5호선으로 갈아타시기 바랍니다'라고 떴고, 일부 열차는 2호선 환승 안내까지 표기됐다. 4호선과 5호선 간의 환승역은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밖에 없다. 다른 노선에 비해 4호선에 많이 일어났는데 오류가 일어난지 15년 만에 오류의 원인이 밝혀졌다. 요약하면 4호선 열차의 전광판 시스템은 한글 조합형을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오류가 생긴 역명을 한글 조합형으로 바이트 단위로 끊어서 16진수 HEX 값으로 표현하고 오류가 생긴 바이트를 이진수로 표현한 결과 비트(bit) 하나 차이로 오류가 생겼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다.[46] 문제를 일으킨 전광판은 현대정공 차량에 들어가던 구형 전광판으로, 2006년부터 잔고장으로 상당수가 전원을 끄고 다녔다가 2008년에 전면 교체됐다. 하지만 2019년에도 일부 열차에서는 'To Danggogae다다다다다다다다다다다다다다다다다다' 등의 표기 오류가 발생했다.[47]
  • 사당역~과천역 구간은 일명 경마공원 드리프트라 하여 과천대로와 관문사거리를 거쳐가는 직선 경로에 비해 상당히 돌아간다. 2호선에서 4호선으로 갈아타거나 북쪽에서 내려오는 거라면 사당역에서 버스를 타는 게 낫다. 하지만 버스를 통해 사당역으로 올 때는 역으로 내려가는 것에 대한 귀찮음과 드리프트, 비교적 긴 배차 간격 등으로 시간 손해를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책은 대개 버스들이 4번 출구 정류장을 거쳐가므로 여기서 내린 뒤, 안양 방면으로 가는 버스를 아무 거나 타면 된다. 경기과천교육도서관 정류장에서 내리면 과천역, KT과천지사에서 내리면 정부과천청사역을 통해 환승이 가능하나 남태령에서 막히기도 한다. 인덕원역까지 내려가도 된다. 인덕원역에서 한번 물갈이가 일어나게 되는데, 안양시 관양동, 평촌 동쪽과 의왕시 포일, 청계, 내손지구에서 지하철을 이용하려면 인덕원역을 통하는 게 제일 가깝기 때문이다.
  • 2016년 9월 1일 시간표 개정으로 안산행(평일 왕복 68회 → 35회(급행 8회 포함), 주말 왕복 71회 → 28회)이 줄고 오이도행(평일 왕복 203회 → 220회, 주말 왕복 147회 → 186회)이 증편됐다. 그만큼 오이도역에서 수인선-4호선 환승이 자리잡았고 배차 간격이 길던 오이도, 정왕역에서 지하철을 타기 쉽게 된 것이다. 하지만 차량은 그대로인 상태에서 오이도행을 늘리면서 전체 배차 간격은 미세하게 늘어났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에서 역간 거리가 가장 긴 구간은 오남역 ~ 별내별가람역 구간으로 7.7km이다. 이 구간은 전국 철도 직류 구간 및 우측통행 구간에서 가장 긴 역간 거리이다.
  • 역사 운영 기준으로 서울교통공사 구간(불암산~남태령)이 한국철도공사 구간(선바위~오이도)보다 전체 역 개수는 더 많지만, 전체 거리는 더 짧다. 또한 불암산~남태령 구간보다 선바위~오이도 구간 주행시간이 1분 정도 더 걸린다. 다만 급행열차라면 오히려 5분 적게 걸린다.
  • 2018년 3월 기준 전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가동 중이다.
  • 다른 노선보다도 투신이 잦아 당시 사상사고가 잦은 역들이 4호선 상에 가장 많이 있었다. 현재는 전 구간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어서 옛말이 됐다.
  • 80년대 후반~90년대 초반에는 신용산역 진입 전 차내방송에 오류가 있었다. "이번 역은 신용↘↗산, 신용↘↗산 역입니다."의 발음에서 문제가 있었는데 수정하지 않고 수년간 사용하다가 90년대 초중반 영어 안내방송이 도입될 때에야 수정됐다. 그리고 2000년대 후반~2010년대 초에 같은 오류가 수리산역 안내방송에 다시 발생했다.

  • 일부 4호선 열차의 행선판이 도스명조체이다.
  • 2020년 4월 서울시에서 창동역- 불암산역 구간 지하화 용역에 착수했다. 용역 결과가 나와야 지하화 여부를 확정할 수 있을 것이며 여러 현실적인 문제들로 인해 실제 지하화까지 가기는 험난할 듯하다.[48] 서울 지하철 구간 외에 안산선 구간을 지하화하려는 움직임도 존재한다. 이렇듯 수도권 전철 숫자 노선 중 1호선, 2호선과 함께 지하화 논의가 종종 거론된다.
  • 2020년 8월 26일 기준으로 한때 구형차만 다녔던 4호선에서 21년 만에 첫 신차가 정식운행을 시작했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과의 공용 구간인 중앙역 ~ 정왕역까지의 구간에서는 수인·분당선 차량의 왕십리/청량리/죽전/인천행이 진입할 때 "지금 ○○, ○○ 가는 수인·분당선 6량 편성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라고 방송한다.
  • 서울 지하철 4호선 구간은 타 노선 대비 가공전차선의 노후화가 심각하여 모든 차량에서 이선현상으로 인한 아크 방전이 발생하는 모습을 흔하게 볼 수 있다.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의 4차분 열차(일명 '주둥이')에서부터 이 문제가 상당히 심각하게 나타나서 시운전 당시에는 서울교통공사가 자사 구간 시운전 협조를 거부하기도 했다. M'차량 당 팬터그래프 1기를 추가로 설치했음에도 끝내 문제 해결에 실패했고, 결국 싱글암 팬터그래프를 그나마 문제가 덜한 더블암 팬터그래프로 교체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 차량뿐만 아니라 진접선 신차(481~485편성)에서도 기존 차량 대비 이선현상이 더욱 심하게 나타나는 등 구형 차량 대비 신형 차량에서 더 잦게 일어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같은 T-bar형 가공전차선을 사용함에도 이선현상이 심하지 않은 종로선, R-bar형 가공전차선을 사용해 신형 차량도 아크 방전 문제가 없다시피한 과천선과 대비된다.
  • 서울특별시 구간의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역 중 환승역을 제외하면 반대편 횡단이 가능한 역은 상계역 쌍문역 뿐이다. 쌍문역은 원래 횡단이 불가능했으나 리모델링을 거치면서 횡단이 가능하게 바뀌었다. 상계역도 동북선이 개통되면 환승역이 되므로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비환승역은 쌍문역을 제외하면 모두 횡단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경기도 구간에서는 선바위역 범계역을 제외하면 모두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다.
  • 4호선은 전체연장 85.7km로 이 규모는 수도권 전철 숫자 노선 중 2번째로, 수도권 전철 전체 노선 중 5번째로 길다. 1, 2위는 각각 1호선(200.6km)과 경의·중앙선(134.2km)이고, 3위는 수인·분당선(106.9km), 4위는 경춘선(90km)이다. 수도권 전철 노선들 중 3번째로 많은 지자체를 지난다. 남양주시, 서울특별시, 과천시, 안양시, 군포시, 안산시, 시흥시로 총 7개 도시를 지나간다. 1호선은 경부-장항선 계통으로 서울특별시, 안양시, 군포시, 의왕시, 수원시, 화성시, 오산시, 평택시, 천안시, 아산시를 지나가며, 광명셔틀로 광명시, 경인선 계통으로 부천시, 인천광역시, 경원선 계통으로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연천군의 총 17개의 도시를 지나 1위이다. 수인-분당선은 서울특별시, 성남시, 용인시, 수원시, 화성시, 안산시, 시흥시, 인천광역시의 8개 도시를 지나서 2위이다.
  • 4호선 동작구 구간의 사당역, 총신대입구역[49], 동작역은 전부 환승역(각각 2, 7, 9호선과의 환승 가능)이며, 서초구와의 경계에 있다. 그러나 세 역 모두 4호선 및 2/7/9호선 역무실은 전부 동작구에 있고, 셋 다 막장환승역이다. 사당역은 환승 동선은 짧지만 환승 인파가 과포화 상태이고, 총신대입구(이수)역은 환승 인파가 꽤 있어서 긴 환승 동선이 혼잡도 분산 효과를 주고 있다. 동작역은 대림역과 비슷한 수준으로 환승 난도가 매우 높다.[50]
    그나마 사당역은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이라는 대체 환승역이 있으며,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은 2 ↔ 4 환승은 개념환승이다. 문제는 총신대입구(이수)역과 동작역이다. 하필 이수역의 대체 환승역은 막장환승의 본좌급인 노원역이며, 동작역은 아예 대체 환승역 없이 유일한 4 ↔ 9 환승역이며, 2028년 진접선 407정거장이 개통해도 남양주시에 있는 데다 동작역보다 더한 고저차의 막장환승역이다.
  • 수도권 전철 중에서 전동차 노후화 비율이 제일 높은 편에 속했었다. 근래에 들어온 진접선 신조차량 및 직교류 대차분 신조 차량과 한국철도공사 신조차량이 운행하고 있기는 하나 소수에 불과했었으며 1993~1995년에 만든 전동차 대다수가 2023년 기준으로도 운행 중이었다. 1호선 전동차가 오래됐을 거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으나 실제로는 4호선의 노후화가 제일 심각했었다. 이 문제는 2023년 11월부터 한국철도공사 신조 차량들이 점차 늘어나고 서울교통공사 차량들 또한 신조 차량들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해결되어 가고 있으며, 2024년 12월 기준 운행되는 차량들 가운데 약 70% 정도[51]가 신차들로 다니고 있어 이젠 노후화가 제일 높은 편에 속했다는 것도 옛말이 되었다.
  •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 두 회사의 전동차들 모두 휴차된 전동차들도 꽤나 많아 4호선에서 다닐 수 있는 전동차 수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었으나 2024년 12월 기준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의 상황이 서로 다르다. 한국철도공사의 경우 대차분들이 전부 복귀하였고 3차분 차량들까지 대차를 완료해 모든 차량이 전부 신차이지만, 서울교통공사는 속속히 대차분이 반입되는 속도가 더뎌져 대차 시기가 조금씩 늦춰지는 중이다.
  • 서울교통공사 신차의 도입이 더디면서 자칫 잘못하면 경기북부와 남부간 차량 차별이라는 문제도 우려가 된다. 우선 경기남부의 경우 코레일의 신차도입이 빠르게 이루어 져서 높은 확률로 신형 차량을 탈수 있는 반면 경기북부의 경우 서울교통공사의 신차 도입이 더디어서 여전히 내구연한이 경과된 노후 전동차를 타는게 현실이며, 이는 자칫 잘못하면 경기북부와 남부간 지역의 4호선 전동차의 차별의 문제도 불거질 수 있는 문제도 우려된다.
  • 2023년 기준 일일 전국 승하차량 3위 노선[52]임과 동시에 혼잡도도 무려 185.5%로 9호선을 제외하면 최고로 혼잡한 괴물같은 노선으로 이를 인식한 건지 서울교통공사측에서는 2024년 1월 10일부터 서울교통공사 소속 열차 한 칸이 의자 없이 운행한다. 서울교통공사에서는 "최고 혼잡도 최대 40% 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 GTX-C노선이 현재 착공에 들어간 상태라 개통될 경우 정부과천청사~상록수 구간이 중복된다.


[구간1] 과천선( 435 443), 안산선( 443 456) [구간3] 진접선( 405 408) [구간2] 서울 지하철 4호선( 409 434) [구간1] [구간3] [6] 안산선 화물열차 등을 서울교통공사가 짠 다이아그램에서 따로 짠다. 자세한 사항은 일산선 문서의 운행 항목 참조. [구간2] [구간3] [9] 열차 다이아그램 수립. 자세한 사항은 일산선 문서의 운행 항목 참조. [구간3] [11] 히타치 레일 STS [12] 특이하게도 진접-남태령 구간은 ATC 직류방식이고 선바위-금정 구간은 ATC 교류방식이다. 같은 ATC 신호장비이기는하지만 직류 와 교류 두개로 나누어진다. [13] ATC 구간(진접~남태령) 80㎞/h [14] 현재는 대다수의 전동차가 신형 전동차로 교체되었다. [15] 수도권 전철 3호선과 함께 수도권을 X자로 이어준다. [16] 구 당고개 [17] 금정, 서울, 동대문, 창동 [18] 1호선과 4호선의 환승역 사이의 구간은 4호선이 더 빠르다. 지하철 노선도 앱에서는 1호선으로만 이동 가능한 구간을 찍어도 4호선을 끼고 가라고 안내하는 경우가 있다. [19] 간혹 오남역에서 입석이 생기기도 한다. 다만 진접역부터 입석이 생긴 경우는 진접선 개통 당시 정도밖에 없다. [20] 다만 동대문역은 상대적으로 환승 수요가 적어 내리는 사람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 동대문역 환승 수요는 99.9% 성북/강북구와 종로 연선을 오가는 사람들이다. [21] 어디까지나 한강 이북구간에 비해 다소 낮은거지 절대 낮은게 아니다. 다른 노선과 비교하면 엄청 높다. [22] 4호선은 일부차량이 직류전용이라서 사당 이남에서 배차간격이 벌어지는 반면, 1호선은 급행을 2선으로 옮기며 금정역 정차도 추가하는 바람에 엄청난 빗자루질이 된 탓이 크다. [23] 간혹 연쇄지연 등으로 인해 타절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24] 물론 불암산급행의 경우 어차피 전역정차이기 때문에 불암산행으로 표기되도 문제가 없다. [KN] 한국철도공사의 자회사인 코레일네트웍스가 운영하는 업무위탁역이다. [KN] [KN] [KN] [KN] [KN] [KN] [KN] [KN] [KN] [KN] [36] 제2차 서울특별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2021-2030) (PDF) [37] 관련 게시물,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38] 「지하철 4호선에 급행역 생긴다…기존 환승역 우선 검토」, 뉴스1, 2019-02-20 [39] 「서울시, 민자로 도시철도 구축 속도낸다」, MTN뉴스, 2024-04-04 [40] 「경부·분당·과천·일산 급행열차 확대…GTX 2025년까지 구축」, 전자신문, 2017-07-07 [41] 「4호선 금정~사당 급행열차 추진된다」, 중부일보, 2017-07-11 [42] 「SOC사업 투자 확대 시그널 '긍정적'」, 건설타임즈, 2022-02-21 [43] 반월국가산업단지는 안산역이 훨씬 가깝다. 안산역 2번 출구가 바로 공구유통상가와 연결되어 있기도 하다. [44] 「半月(반월)~軍浦(군포)간 電鐵(전철) 건설」, 매일경제, 1985-11-22 [45] 출처1 출처2, 현재 접속 불가 [46] 관련 게시물, 출처: 네이버 블로그 [47] 관련 영상 1(2019년 7월 20일 공개), 관련 영상 2(2019년 9월 13일 공개), 출처: 유튜브 [48] 「[단독]10년 묵은 '지하철 4호선 지하화'..서울시 본격 착수」, 이데일리, 2020-04-02 [49] 7호선 역명은 이수역이다. [50] 무빙워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환승통로의 길이가 전체적으로 긴 편이다. [51] 현재 다니는 모든 신차는 직교류 겸용 차량과 직류전용 차량 일부이며 약 66% 가량은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의 4~6차분 차량들이며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같은 경우 전체 신차들 중에서는 37% 비율로, 서울교통공사 직교류 전동차 내에서는 71%의 비율로 3차분과 4차분 차량들이 다니고 있으며 직류 전용 차량들의 경우 100% 구형 차량이었다. 그러나 최근에 W401편성이 운행을 개시하면서 이 타이틀은 깨졌다. [52]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450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