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12:29:18

서구(부산광역시)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E5007F>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중구(부산광역시) CI.svg
중구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서구
파일:동구(부산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영도구 CI.svg
영도구
파일:부산진구 CI.svg
부산진구
파일:동래구 CI.svg
동래구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남구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북구
파일:해운대구 CI.svg
해운대구
파일:사하구 CI.svg
사하구
파일:금정구 CI.svg
금정구
파일:강서구(부산광역시) CI.svg
강서구
파일:연제구 CI.svg
[[부산광역시청|
시청
]] 연제구
파일:수영구 CI.svg
수영구
파일:사상구 CI.svg
사상구
파일:기장군 CI.svg
기장군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5ea9>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05ea9> 동대신1동 동대신동1가
동대신2동 동대신동2가
동대신3동 동대신동3가
서대신1동 서대신동1가 서대신동2가
서대신3, 4동 서대신동3가
부민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부민동1가 부민동2가 부민동3가 부용동1가 부용동2가 }}}
아미동 아미동1가 아미동2가
초장동 초장동
충무동 충무동1가 충무동2가 충무동3가 토성동1가
토성동2가 토성동3가
구청
토성동4가
토성동5가
남부민1, 2동 남부민동
암남동 암남동 }}}}}}}}}
부산광역시 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서구
西區
Seo-gu
}}}
<colbgcolor=#005ea9><colcolor=#fff> 구청 소재지 구덕로 120 (토성동4가)
광역자치단체 부산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13[1]
면적 13.96㎢
인구 103,239명[2]
인구밀도 7,402.36명/㎢[3]
구청장
공한수 (재선)
구의회
5석[4]

2석[5]
시의원
2석[6]
국회의원
곽규택
( 서·동 / 초선)
상징 <colbgcolor=#005ea9><colcolor=#fff> 구화 목련
구목 해송
구어 고등어
구가 서구찬가·남항등대
지역번호 051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지역 특징
3.1. 주거지
4. 인구5. 교통
5.1. 관내 도시철도 목록5.2. 항구.어항
6. 경제
6.1. 금융
7. 관광8. 생활문화
8.1. 교육8.2. 문화시설8.3. 의료기관8.4. 스포츠
9. 정치10. 하위 행정구역11. 사건사고 및 논란12.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 남부[7]에 위치한 자치구. 1957년 부산시에 구(區)제가 실시되면서 설치된 6개 구 중 하나인데, 당시의 서구는 지금의 사하구까지 포함된 넓은 구였다.

부산광역시에서 가장 조용한 동네 중 하나로, 한 때 부산의 중심지였던 구도심에 속한다. 김영삼 대통령의 지역구이자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의 법률사무소가 위치했던 곳으로, 연제구로 이전하기 전에는 부산 법원[8]이 이곳에 있었다. 또한, 한국 전쟁 당시에는 임시수도 청사와 대통령 청사가 이 곳에 몰려 있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들이 많이 살았던 곳이다. 덕분에, 한국 정부 주도의 국토 개발이 이루어지기 전에 만들어진 시가지치고는 도시구성이 잘 된 편이다. 다만 고전적 도시 설계로 인해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사이 개발을 거친 이후의 도시에서 사는 사람들이 보면 많이 적적해 보일 것이다. 그만큼 조용한 분위기가 좋다는 외지인들도 종종 있긴 하다. 낮이고 밤이고 굉장히 조용한 편에 속하는 동네로, 민방위 훈련이라도 하게 되면 그야말로 적막 그 자체.

대신공원, 암남공원, 대한민국 현존 최고(最古)의 해수욕장이자 부산 제3의 해수욕장인 송도해수욕장이 이 곳에 있다. 그 외 시가지에는 임시수도기념로, 임시수도 정부청사 등 근현대유적이 많은 편이다. 요즘은 송도해수욕장과 2017년 5월에 개통된 송도와 암남공원을 잇는 송도해상케이블카가 인기를 누리는 편. 또한 공원으로는 암남공원 대신공원이 있으며 구덕산에 위치한 구덕꽃마을이 유명하다.

최근에 암남동(송도) 일대에 재개발이 예정되어 있는데, 완공되면 서부산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 될 현대 힐스테이트 이진베이시티가 이곳에 건설되었고, 2022년 5월 말부터 입주가 시작되어 현재 서부산에서 가장 높은 아파트가 되었다. 높이 245m에 69층.

서구청사는 오랫동안 서부산세무서, 부산서부경찰서와 나란히 옆에 있었다.[9] 하지만 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1999년에 폐교된 충무초등학교로 이전을 하였으며 신청사 건립을 하지않고 충무초등학교 건물을 그대로 보존해 내부 리모델링을 거쳐 이전하게 되었다.

2. 상징

서구의 CI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서구의 마스코트
파일:송이덕이.png
현 서구의 마스코트인 덕이 & 송이

3. 지역 특징

동대신동과 송도해수욕장 인근 빌라는 과거 부산의 대표적인 부촌지역이었던 곳이다. 부촌에서 볼법한 유려한 저택, 빌라들과 산복도로 풍경을 모두 볼 수 있는 곳이댜.

사람이 산지 오래 된 동네라서 까지도 집들이 빽빽하게 들어서 있다. 산이나 계곡을 깎아서 만든 도로에 첩첩히 쌓아놓은 도시를 보면 장관. 산간 동네에는 좁은 산복도로가 지난다. 단, 이런 산간 주택들은 한국 전쟁 이후에 한국 사람들이 개발한 것이다. 일제강점기까지만 해도 전부 기와집 아니면 초가집이었고, 지금만큼 경사진 고지대까지 집들이 올라가있지도 않았다.

서구의 경계인 산기슭을 따라서 산간주택가도 죽 이어지는데, 이중에서 바다를 보는 동네에는 다른 지역에서도 유명한 해안 주택가들이 있다. 검색을 쳐보면 바닷가를 바라보고 있는 작은 집들을 볼 수 있다.

서구에서 제일 번화한 동네는 부민동 동대신동, 서대신동 부근인데 이곳은 과거에 일본인들이 꽤나 거주하던 지역이라서 그런지 척 보기에도 꽤나 평수가 커보이는 주택이 많으나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가 조성되면서 주택들이 철거되고 원룸 건물들이 상당히 늘어나면서 현대식 건축물(부민캠퍼스 건물, 신축 원룸)과 적산가옥 같은 근현대식 주택이 섞인 특이한 풍경을 보인다. 허나 같은 대신동이라 해도 서대신동쪽 고운들로 일대(특히 재개발이 한창인 서대시장 맞은편 약간 위의 예전 모습) 및 그위에 있는 해돋이로 일대는 아미동 까치고개쪽 동네를 서대신동에다 그대로 갖다 옮겨놓은 듯한 분위기다. 동대신동에도 부산터널 입구 바로 옆동네(동일교회 근처) 역시 아미동 까치고개쪽 동네를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분위기다. 부산대, 동아대 병원+ 동아대학교+시가지로의 접근성을 갖춘 덕에 신축건물이 아니라도 방세는 상당히 높은 편. 최근에는 동일본 대지진 때문인지 일본 사람들도 이곳에 집을 구하는 경우가 있는 듯 하다.

전체적으로 다른 시가지에서 주택가만 떨어져 나와서 독립시켜놓은 동네. 외부인들에게는 송도해수욕장이나 케이블카 외엔 따로 구경거리가 없지만, 주택가가 밀접해서 그런지 인구밀도는 높다. 그리고 위쪽에 전술하였듯 이렇게 적당히 시가지에서 이격한 입지에 적절한 대학병원이 세 개나 있다.[10] 그 밖에도 삼육부산병원을 비롯하여 부산에서 가장 큰 병원이 여러 개 있다. 이건 서구가 워낙 세로로 넓어서 그런 탓도 있지만 부산광역시청이 이전하기 전까지 원도심 버프를 받아 6.25 전쟁 이후부터 여러 가지로 생활 기본 시설들이 집중적으로 발달한 지역이기 때문이다.

주택가를 접한 동네라서 학교도 엄청나게 많다. 특히 서대신동 동대신동 일대는 대신초, 구덕초, 동신초, 화랑초, 부산여중, 중앙여중, 부경고, 경성전자고, 대신중, 대신여중, 경남고, 서여고, 혜광고[11] 등이 모두 인접해 있어서 항상 학생들로 북적거린다. 또한 학교도 많기에 구덕로 연선에는 크고작은 학원가가 형성되어있다. 부민동 이남 지역의 경우 경남중학교와 초장동의 초장중학교, 남부민동의 경우 송도중학교가 각 동네마다 있을 정도다. 따라서 서구 시내를 걷다보면 초중고 학생들이나 노인들을 항상 볼 수 있다. 하지만 대학생 청년층 인구는 다른 지역의 대학이나 도심에 전부 빼앗겨서 거의 보이지 않는다. 동아대학교 구덕캠퍼스 및 부민캠퍼스가 있긴 하지만 남포동이 가까워 상권이 크게 발달하지 않았고 학생들도 교내에 머무르거나 승학캠퍼스가 있는 하단동이나 남포동, 서면 등의 시가지로 나가는 편이다.

서구와 중구가 접하는 보수대로 구간은 보수천을 복개시킨 구간이다. 따라서 서울 청계천처럼 복원할 계획은 갖추고 있다고 하나 서구청이 돈이 없어서 밀리는 중이다.

3.1. 주거지


비교적 깔끔한 평지 주택들과 산간 및 해안 주택으로 큰 격차가 벌어지는데, 서로 간에 알력 같은 건 없다. 아니, 서로 별로 관심이 없다. 실제로 같은 서구 사람들이라도 워낙 세로로 길다보니 별로 만날 일이 없다. 오히려 서구 주민들은 가까운 남포동이나 자갈치를 이웃으로 생각할 정도다. 실제로 어디서든 10~30분만 걸어나가면 남포동이 나온다.

반대로, 시가지 쪽에서는 송도 쪽을 제외하면 서구로 들어올 일이 많지 않다. 가끔씩 현인가요제 같은 행사를 즐기려고 송도해수욕장에 들어오거나, 아미동 비석마을로 놀러가거나, 아니면 남항대교를 타고 사하구에서 영도구를 갈 때나 영도구에서 사하구를 갈 때 경유하는 용도 정도다. 산에 막힌 탓에 다른 구로 나가는 터널만 해도 대티터널, 구덕터널, 부산터널, 천마산터널 넷이나 되며 대티터널의 교통정체를 줄이기 위해 현재 제2대티터널 건설을 계획중이다.

4. 인구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부산광역시 서구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90,796명
1970년 328,261명
1975년 368,184명
1975년 10월 1일 부산시 서구 사하출장소 → 부산시 직할 출장소로 승격
1980년 235,023명
1985년 212,189명
1990년 203,434명
1995년 178,910명
2000년 154,753명
2005년 139,607명
2010년 126,040명
2015년 115,963명
2020년 108,135명
2024년 10월 103,33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0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암남동 15,139명
서대신제1동 14,966명
충무동 9,600명
남부민제2동 8,108명
서대신제3동 7,541명
부민동 7,388명
동대신제3동 7,377명
서대신제4동 7,227명
동대신제2동 6,749명
아미동 6,320명
동대신제1동 5,329명
남부민제1동 4,537명
초장동 3,911명
2023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
법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암남동 15,226명
서대신동3가 14,704명
남부민동 12,554명
서대신동2가 9,375명
동대신동3가 7,351명
동대신동2가 6,706명
아미동2가 6,126명
서대신동1가 5,492명
동대신동1가 5,288명
초장동 3,884명
부민동3가 3,088명
토성동1가 2,682명
토성동5가 1,868명
부용동1가 1,477명
충무동1가 1,338명
부민동1가 1,234명
부용동2가 1,214명
충무동2가 1,103명
토성동2가 956명
토성동3가 683명
충무동3가 657명
토성동4가 318명
아미동1가 285명
부민동2가 280명
2024년 1월 기준 행정안전부 법정동별(행정동 통반 단위) 성/연령별 주민등록 인구수,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


===# 행정동별 인구 #===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동대신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258명
1970년 12,833명
1975년 13,415명
1980년 12,235명
1985년 11,011명
1990년 9,767명
1995년 8,400명
2000년 7,481명
2005년 6,447명
2010년 6,112명
2015년 5,545명
2020년 4,563명
2024년 8월 5,25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동대신제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8,976명
1970년 18,789명
1975년 18,024명
1980년 19,744명
1985년 17,689명
1990년 16,783명
1995년 13,967명
2000년 12,155명
2005년 10,574명
2010년 10,035명
2015년 8,972명
2020년 7,635명
2024년 8월 6,58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동대신제3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5,510명
1970년 14,304명
1975년 14,159명
1980년 13,713명
1985년 11,112명
1990년 11,170명
1995년 10,017명
2000년 8,689명
2005년 8,876명
2010년 8,338명
2015년 7,850명
2020년 7,775명
2024년 8월 7,18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서대신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6,650명[1966서대신제1동]
1970년 25,502명[1970서대신제1동]
1975년 26,135명[1975서대신제1동]
1980년 23,548명[1980서대신제1동]
1985년 21,743명[1985서대신제1동]
1990년 19,823명[1990서대신제1동]
1995년 17,695명[1995서대신제1동]
2000년 14,614명[2000서대신제1동]
2005년 13,552명[2005서대신제1동]
2006년 1월 1일 서대신제1동 + 서대신제2동서대신제1동으로 합동
2010년 13,812명
2015년 11,232명
2020년 13,689명
2024년 8월 14,86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서대신제3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6,442명
1970년 7월 1일 서대신제3동서대신제3동, 서대신제4동 분동
1970년 14,869명
1975년 12,118명
1980년 11,873명
1985년 10,497명
1990년 9,767명
1995년 8,360명
2000년 7,557명
2005년 8,712명
2010년 7,288명
2015년 9,157명
2020년 8,639명
2024년 8월 7,36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서대신제4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
1970년 7월 1일 서대신제3동 → 서대신제3동, 서대신제4동 분동
1970년 12,491명
1975년 10,222명
1978년 2월 15일 부산시 부산진구 학장동 일부 → 서대신제4동 편입
1980년 10,180명
1985년 8,747명
1990년 8,718명
1995년 7,525명
2000년 8,369명
2005년 8,429명
2010년 7,608명
2015년 7,443명
2020년 7,908명
2023년 4월 7,36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부민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5,811명[1966부민동]
1970년 15,845명[1970부민동]
1975년 14,547명[1975부민동]
1980년 13,966명[1980부민동]
1985년 11,895명[1985부민동]
1990년 11,321명[1990부민동]
1995년 9,287명[1995부민동]
1998년 10월 1일 부민동 + 부용동 → 부민동 합동
2000년 7,202명
2005년 8,003명
2010년 7,926명
2015년 7,962명
2020년 7,829명
2024년 8월 7,31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아미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월 1일 아미동 → 아미제1동, 아미제2동 분동
1966년 25,805명[1966아미동]
1970년 26,979명[1970아미동]
1975년 28,405명[1975아미동]
1980년 27,940명[1980아미동]
1985년 25,830명[1985아미동]
1990년 24,308명[1990아미동]
1995년 20,522명[1995아미동]
1998년 10월 1일 아미제1동 + 아미제2동 → 아미동 합동
2000년 15,204명
2005년 12,227명
2010년 11,017명
2015년 9,201명
2020년 7,080명
2024년 8월 6,31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초장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0,894명
1970년 21,125명
1975년 21,179명
1980년 18,347명
1985년 15,642명
1990년 14,057명
1995년 11,700명
2000년 9,459명
2005년 7,372명
2010년 6,758명
2015년 5,665명
2020년 4,657명
2024년 8월 3,76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충무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0,806명[1966충무동]
1970년 19,445명[1970충무동]
1975년 19,043명[1975충무동]
1980년 18,824명[1980충무동]
1985년 14,782명[1985충무동]
1990년 13,214명[1990충무동]
1995년 11,430명[1995충무동]
1998년 10월 1일 토성동 + 충무동충무동 합동
2000년 8,542명
2005년 8,118명
2010년 8,582명
2015년 8,541명
2020년 10,088명
2024년 8월 9,59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남부민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1,313명
1970년 14,340명
1975년 13,873명
1980년 15,422명
1985년 13,886명
1990년 13,192명
1995년 10,130명
2000년 8,468명
2005년 6,753명
2010년 6,601명
2015년 5,520명
2020년 5,081명
2024년 8월 4,41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남부민제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1,963명
1970년 7월 1일 남부민제2동남부민제2동, 남부민제3동 분동
1970년 24,444명[1970남부민제2동]
1975년 28,309명[1975남부민제2동]
1980년 29,722명[1980남부민제2동]
1985년 27,243명[1985남부민제2동]
1990년 25,309명[1990남부민제2동]
1995년 20,704명[1995남부민제2동]
2000년 17,222명[2000남부민제2동]
2005년 13,932명[2005남부민제2동]
2009년 1월 1일 남부민제2동 + 남부민제3동 → 남부민제2동 합동
2010년 12,025명
2015년 11,497명
2020년 9,587명
2024년 8월 7,83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암남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037명
1970년 12,237명
1975년 16,954명
1980년 19,651명
1985년 22,193명
1990년 26,070명
1995년 24,970명
2000년 22,987명
2005년 20,019명
2010년 19,938명
2015년 17,378명
2020년 13,604명
2024년 8월 15,30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5.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5ea9><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5ea9>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005ea9> 감천로 · 고운들로 · 구덕로 · 까치고개로 · 꽃마을로
남부민로
대신공원로 · 대신로 · 대영로 · 대청로 · 대티로 · 동대로 · 등대로
망양로
부용로
송도해변로 · 시약로
아미로 · 아미초장로 · 암남로 · 암남공원로 · 엄광산로 · 옥천로 · 원양로 · 임시수도기념로
자갈치로 · 자갈치해안로 · 장군산로 · 중앙공원로
천마로 · 천마산로 · 천해남로 · 천해로 · 초장로
태종로
해돋이로 · 해양로 · 흑교로
부산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지도에서 보면 이상할 정도로 상하로 길게 뻗어있는데 그 때문에 전체적인 면적은 좁으면서도 포함하고 있는 지역은 넓은 다소 기형적인 구조를 띄고있다. 사실 돈 되는 지역은 주변 구에 전부 빼앗긴 탓이다. 이로 인해 구도심의 주거지만 따로 떼서 모아놓은 형태가 되었다. 특히 사하구가 치명타인데 사하구는 서구에서 분리 신설한 자치구이기 때문이다. 사하구 - 서구 나눌 때 구덕산-옥녀봉-천마산으로 이어지는 지리적 경계를 따라 나누다 보니 사하구에 서구 면적의 80%가 들어가고 말았다.

한적한 주택이 끝없이 길게 이어지는 동네인데 주요 시가지 인근의 주택가만 모아놓은 지역이 구덕산 내에 위치한 대신공원에서부터 해안가 지역인 송도해수욕장까지 길게 이어진다.

사하구/ 사상구와는 천마산이나 구덕산을 경계를 삼는 상태. 서구에 속하는 동네는 대부분 사하구 사상구와의 경계가 되는 을 접하고 있다. 이건 좌우로 좁아서 그렇다. 구덕터널처럼 긴 터널이나 구덕꽃마을 고갯길을 넘어가면 사상구와 이어지고, 반대쪽의 평지로 나가면 서면이나 남포동 같은 주요 도심으로 이어진다. 여름/ 겨울 러시아워에 만원버스에 서서 통과하게 되면 그야말로 헬게이트. 기본적으로 사람은 걸어서 통과하면 안 되고, 자전거도 아무리 자신이 괴물 실력[50]이라도 통과하면 안 되지만 오토바이는 통과할 수 있다.

지리적으로는 부산의 번화가 중 상당수와 접하여 있고(서면[51], 부산역, 남포동 등), 실제로 교통이 편리하긴 하다. 그러나 편리한 만큼 교통 체증도 많이 발생한다. 주로 서구를 경유하여 다른 로 넘어가려는 차량들이 많기 때문이다. 주로 대티터널, 부산터널 인근. 출퇴근 시간대에는 구덕터널도 정체가 상당히 심하다. 주로 서부산낙동강교 감전IC 쪽으로 가려는 차량들이 많기 때문. 반대쪽 북구, 사상구 일대에서도 빠르게 남포동, 자갈치시장으로 진입할 수 있기때문에 정체가 심하다.

송도해안산책로를 따라 해안 절벽이 존재한다. 지구과학 교과서에도 관련 사진이 실려있을만큼 유명한 중생대 백악기 지층을 볼 수 있다. 암남공원 아래 저 멀리 '두도'라는 섬이 있다.

5.1. 관내 도시철도 목록


아쉽게도 남부민동, 아미동, 초장동, 암남동 지역은 도시철도 비수혜지역이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선형이 서구 중심가 부분만 대충 훑어서 지나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버스를 타고와서 환승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때문에 도시철도 송도선 계획이 있다.

5.2. 항구.어항

연안항 : 부산남항
소규모어항 : 암남항
총 : 1개소(연안항 제외)

6. 경제

어항으로써의 부산을 잘 보여주는 곳이다. 단적으로 전국 최대의 수산물 위탁판매장[52] 부산공동어시장이 서구의 남부민동에 있다. 또한 2008년 개장한 수산물 유통시장인 부산국제수산물도매시장[53] 송도 외곽에 위치한다. 건어물이 지천에 깔려 있고 소매업 종사자들이 현장에서 판매하는 일반 수산물 시장 이미지는 아니며, 현대식 고층 건물이라 행정, 금융 사무실 느낌을 준다. 주거지와는 멀리 떨어져 있기에 시내버스를 타고 모지포마을과 냉동공장 인근을 지나야 나온다. 감천항과 인접한 냉동, 수산 공장 일대에 수산가공선진화단지가 들어서 있다. 송도 외곽에서부터 이 곳~사하구에 소속된 감천항까지 냉동, 수산공장이 상당히 많다. 감천항(감천부두)이 인근에 있어 러시아인을 비교적 흔하게 볼 수 있다.

하지만 구의 재정자립도나 주민들 소득이나 삶의 질 등 각종 경제지표는 부산에서도 낮은 축에 속한다. 젊은층의 취업/학업을 이유로 하는 인구 유출이 상당하고, 고령화도 대도시 최고 수준에 달해 시골에서만 볼 수 있는 초고령사회에 이미 진입했다.[54] 특히 아미동~초장동~남부민동 등 주택가가 밀집한 곳의 낙후도는 부산에서 동구 수정동 좌천동 다음으로 가장 심각한 수준이다. 오래된 주택은 대부분 산동네에 모여 있다. 경사진 계단과 산복도로도 흔하게 볼 수 있다. 전통적인 부산의 원도심을 상징하는 지역이라 각종 건물이나 시설들도 오래돼 칙칙한 느낌을 받기 쉽다.

감천항과 가까운 송도 일부 지역의 냉동, 수산공장을 제외하면 마땅한 경제 활성화 동력도 찾기가 쉽지 않다. 행정구역부터가 서대신~부민~충무~암남(송도) 라인으로 이어져 전부 주택가만 즐비한 곳이기 때문. 구에서도 이를 알고 있기에 최근에는 관광객 유치에 안간 힘을 쏟는 중이다. 이를 위해 송도해안산책로, 송도해상케이블카가 건설되었고, 송도해수욕장이 정비됐다. 송도해상케이블카, 송도해수욕장은 꽤 성공했다.

6.1. 금융

서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부산우체국 (4)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1)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2)
시중은행
신한은행 (1) 하나은행 (1)
국민은행 (2)
지방은행
부산은행 (8)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서부산농협 (1) 부경양돈농협 (1)
수산업협동조합
대형기선저인망수협 (1) 부산시수협 (1)
새마을금고
서부새마을금고 (1) 서구중앙새마을금고 (2) 동대신동새마을금고 (3) 천마새마을금고 (2)
송남새마을금고 (1) 대신동새마을금고 (2) 부산대학교병원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동아대학교병원신용협동조합 (1) 송도신용협동조합 (2) 구덕신용협동조합 (3)

7. 관광

부산이 임시수도로 지정되었던 6.25 전쟁 당시 정부 관련 주요 시설들은 대부분 서구에 몰려있다. 옛 경남도청이자 현대에는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으로 쓰이고 있는 임시수도 정부청사[58], 임시수도기념관[59], 지금은 철거된 임시수도 국회 등. 별로 알려지지 않았었으나 최근에는 임시수도기념로를 테마거리로 조성하고 홍보를 시작하였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 중이다. 6.25 전쟁 당시 현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건물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가건물로 사용했으며 추계 내과학회를 개최했다.
송도해상케이블카는 동쪽 송림공원에서 서쪽의 암남공원까지 이어지는 해상 케이블카로 20세기에 사라진 케이블카가 2017년 재개장 되어 지역 랜드마크로 급부상했다. 멀리서 보면 바닷가 위에 대관람차 모양의 둥근 통이 둥둥 떠다닌다. 불빛이 켜지는 밤중의 야경이 장관이다.

송도해수욕장은 외지인들에게 가장 유명한 서구의 명소이다. 1913년 개장한 우리나라 현존 최고(最古)의 해수욕장. 60~70년대 케이블카 건설 등으로 한창 관광객이 넘치던 시기가 있었으나 해운대, 광안리의 발전에 맞물려 쇠퇴하고 말았다. 2000년대 이후 송도해상케이블카가 다시 들어서고, 피서객들의 수요를 위한 백사장 개발도 상당히 이루어졌다.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앞에는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부산전차 차량이 전시되어 있다. 평소에는 들어가볼 수 없지만, 피란수도 부산야행 기간에는 내부관람이 허용되기도 한다

아미동에는 아미동 비석마을이라는 곳에는 골목을 걷다보면 주택 담벼락이나 옹벽, 계단 등에 웬 한자들이 박혀있는 것을 볼수 있다. 그 한자들은 다름아닌 일제강점기 한반도에 거주했던 일본인의 묘비에 새겨져 있던 법명을 일컫는 것으로, 해방 이후 집 지을 자재를 구하지 못했던 부산 거주인들이 묘비를 떼다가 계단이나 담벼락의 재료로 썼기 때문이다. 다시말해 그 한자들이 적혀있는 돌은 진짜 묘비들이며, 그 묘비석이 바로 아미동 비석마을의 " 비석"이라는 용어의 유래이다. 그런데 비석문화마을을 중심으로 피란생활 역사거리를 조성한다던 서구청은 까치고개 4차로 도로확장을 이유로 피란민들의 역사의 산증인이 되는 건물을 모두 철거하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이 발생했다.
또한 광성사라는 명칭의 대한민국 유일의 티베트 불교 사원이 있는데, 멀리서 보아도 황금색 지붕과 독특한 기와양식 등으로 대단히 이채로운 건축물이다.

아미동 비석마을 인근에 묘법사라는 자그마한 사찰이 있는데, 건물 양식이 우리가 사찰이라고 들으면 흔히 떠올리는 가람양식이 아니라 양옥주택이다. 그러나 파란 담벼락에 커다랗게 그려진 관음화, 그리고 들어오면서 보았을 빨간 나무문에서 절이 맞다는 것을 그나마 느낄수 있다. 그리고 가장 인상적인 것은 묘법사 바로 위에 있다. 사실 절 가까이 오지 않아도, 부산 시내 웬만한 건물옥상에서 봐도 산쪽에 하얀 조각들이 빼곡히 박힌 것에 누구라도 시선을 뺏기게 되는데 바로 묘법사의 불상들이다. 특이한 점은 안개 새벽에 먼 곳에서 보면 마치 파란 오로라 비슷한 착시를 불러 일으킨다는 점이다.

암남공원 조개구이촌은 암남공원 입구의 주차장 한켠에 있는 포장마차 모임이다. 위성으로 보면 큰 규모는 아니지만 빼곡하게 조개구이 포장마차들이 들어서 있는데, 암남동에서는 상당히 유명하며, 부산으로 오는 외지인들이 방문하기도 한다. 조개구이는 각종 반찬들과 새우, 홍합탕 등과 같이 나오며, 주로 가리비로 제공되고, 양은 상당히 많은 편이다.

그 밖에도 암남공원, 대신공원, 구덕꽃마을, 내원정사, 동대신동 닥밭골 벽화마을, 천마산조각공원, 송도해안산책로 등 여러 명소가 있다.

8. 생활문화

8.1. 교육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부산광역시 서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구덕초등학교 남부민초등학교 대신초등학교 동신초등학교
부민초등학교 부산알로이시오초등학교 송도초등학교 아미초등학교
천마초등학교 토성초등학교 화랑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부산광역시 서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경남중학교 대신여자중학교 부산대신중학교 부산여자중학교
부산중앙여자중학교 송도중학교 초장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부산광역시 서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경남고등학교 경성전자고등학교 부경고등학교 부산관광고등학교 부산서여자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초등학교는 예전에 지어진 학교들이 많다 보니 재건축을 한 학교들이 여럿 보이는데 대표적으로 남부민초등학교와 아미초등학교가 있다. 또한 알로이시오초등학교가 가장 최근에 신설되었다.

젊은 층 인구가 적다 보니 초등학교도 학생 수 부족 문제에 시달리고 있는데 1999년 충무초등학교가 학생수 부족으로 폐교하였고 최근 초1부터 초6까지 전교생 숫자가 100명도 채 되지 않는 학교들까지 있을 정도다.[60]

중학교의 경우 서구 구내의 중학교는 남녀공학이 아니라 모두 남자중학교 여자중학교로 구분되어 있다. 따라서 남녀공학 중학교를 만들거나 단성학교를 남녀공학으로 형간전환시키라는 요구가 간간히 나오고 있으나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61] 또한 영도구보다 학령 인구는 배로 많지만 중학교 수는 3곳 더 적다. 특히 여자중학교의 경우 전부 동대신동 서대신동에 몰려 있어 아미동, 초장동, 남부민동, 암남동 등 서구 아랫동네에서 통학하는데 도보로 통학할 수 없는 관계상 애로사항이 손꼽히기도 한다.[62]

대학교는 다음과 같다.
특수학교는 한 군데 있다.
  • 부산혜송학교 (남부민동 611-43): 부산관광고등학교와 송도중학교와 멀지 않은 거리에 나란히 붙어있다.

8.2. 문화시설

영화관은 따로 없다. 구가 위아래로 길쭉하고 바로 옆에 남포동, 광복로라는 초대형 상권이 있기 때문. 게다가 구 전체적으로 주택가나 공원이 밀집해 독자적 상권이 발달하기 어렵다. 때문에 주민들은 같은 원도심인 중구, 특히 남포동에서 문화 생활을 한다.

부산광역시립 구덕도서관 서대신동3가에 자리한다.

8.3. 의료기관

부산 소재 의과대학 부속 대학병원들 중에 부산대학교병원(1,182병상), 동아대학교병원(993병상), 고신대학교 복음병원(929병상) 등 3개의 병원이 서구 관내에 위치해 있다.[63] 그 외에도 삼육부산병원(위생병원, 290병상)을 운영하는 재림교재단이 한때 의대를 노리고 서남대학교를 인수할 뻔 했다가 무산된 적이 있었는데, 만약에 인수가 실현되었으면 부산삼육병원(위생병원)도 대학병원으로 승격 되어서 한 동네에 대학병원이 4개나 존재했을 수도 있었다. 다만 고신대학교 복음병원이 추후 에코델타시티 개발예정부지로 이전이 확정되어서 에코델타시티로 이전된다면 대학병원이 하나 줄어들게 된다.[64]

대학병원만 무려 세 군데나 있다 보니 부산시내는 물론이거니와 전국 인구대비 의료인( 의사+ 간호사)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 추산되며[65] 응급 상황이 발생해도 대학병원 응급실이 서구 북쪽, 중앙, 남쪽에 골고루 배치되어 있는 덕분에 전국에서 응급환자 생존률이 매우 높다고 한다. 부산대학교병원의 경우 1003번 버스를 타고 기장읍이나 해운대구에서 원정오는 편이라고 한다.[66][67] 따라서 서구를 의료관광 특화 실버타운으로 개발하려는 공약이 매번 나온다.[68] 비단 유승우 후보 뿐만 아니라 공한수 현 구청장과 정진영 후보 또한 의료타운 관련 공약을 내걸고 있다.

이 점을 높이 사서 의료관광특구 지정 요구가 많이 올라왔는데 드디어 2022년 1월 19일, 중소벤처기업부가 부산 서구를 의료관광특구로 지정하였다(!!) # 이로써 경제효과 약 2000억 정도가 기대될 전망이다. # 서구는 특구 지정에 따라 2025년까지 총 사업비 1700억 원을 들여 의료연구산업 클러스터 조성 등 특화 사업 3개와 6개 세부 사업을 추진할 전망이다.

8.4. 스포츠

사직 야구장에 밀려서 별로 유명하진 않지만, 부산에서 한때는 상당히 중요한 야구장이었던 구덕 야구장이 있었다. 하지만 서구의 시설들이 대부분 그렇듯이, 이곳도 한국이 제대로 개발되기 전에 만든 시설이라 규모도 작고 인접한 편의 시설도 적다. 그래서 부산 외부에선 사직 야구장밖에 없는 줄 아는 사람이 많다. 구덕 야구장은 2017년 하반기에 완전히 철거되었다.

부산 아이파크의 홈구장인 구덕운동장 서대신동에 위치한다. 1920년 9월 조그만 동물원을 곁에 둔 넓은 빈터로 마을 체육대회 장소로 사용하다 1928년 9월에 부산공설운동장으로 건립되었다가 1982년 사직운동장이 건립되어 그해 6월에 구덕운동장으로 개칭되었다.

대한민국 5부 축구리그인 K5리그 부산/경남리그에 참가하는 부산 토성 FC가 소재해있다.

9.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구(부산광역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구(부산광역시)/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사건사고 및 논란


* 2023년 2월 10일, 2년 넘게 명확한 이유 없이 공사중지 행정명령을 통해 한 건물 공사를 막고 있다고 보도되었다. 취재 결과 해당 부지를 서구청에서 매입하려 하였으나 부지 주인이 거부 및 건물 건설 공사를 진행하였으나 행정명령을 통해 중지당했으며, 옆 부지가 서구청 소유로 이 자리에 공한수 구청장의 공약 사업인 외국인 환자 유치를 위한 게스트하우스 설입을 추진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공사중지 명령과 관련하여 행정 소송을 통해 법적 분쟁을 진행 중이었으며 서구가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패소하였다. 또한, 구청장 및 공무원에 대해 공사 중지에 따른 민사 소송이 제기되었다고 한다.
  • 부산시에서 유일하게 하나 남은 1950년대 석조건축물인 은천교회가 아미동에 위치하고 있었다. 은천교회는 6.25 당시 피란민들의 쉼터이자 관련된 역사가 온전하게 보전되어있는 곳이다보니 역사적인 가치가 매우 높아 보존하자는 목소리가 높았었다. 또한 서구는 아미동 비석마을 일대를 중심으로 관광지를 조성하고 피란민들의 역사를 온전하게 보존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어처구니가 없게도 까치고개길을 4차선 확장을 이유로 해당 부지가 도로부지로 결정이 나면서 강제로 철거하였다.

12.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1] 24개 법정동, 13개 행정동 [2] 2024년 1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3] 2024년 10월 기준. [4] 서구 가선거구 (동대신제1동, 동대신제2동, 동대신제3동, 서대신제1동, 서대신제3동, 서대신제4동, 부민동): 김병근, 주지웅
서구 나선거구 (아미동, 초장동, 충무동, 남부민제1동, 남부민제2동, 암남동): 김혜경, 이현우
서구 비례대표: 강경미
[5] 서구 가선거구 (동대신제1동, 동대신제2동, 동대신제3동, 서대신제1동, 서대신제3동, 서대신제4동, 부민동): 황정재
서구 나선거구 (아미동, 초장동, 충무동, 남부민제1동, 남부민제2동, 암남동): 하명희
[6] 서구 제1선거구 (동대신제1동, 동대신제2동, 동대신제3동, 서대신제1동, 서대신제3동, 서대신제4동, 부민동): 송상조 (초선)
서구 제2선거구 (아미동, 초장동, 충무동, 남부민제1동, 남부민제2동, 암남동): 최도석 (재선)
[7] 부산 시가지가 구도심에 한정되어있던 과거에는 이름 그대로 부산 시가지의 서쪽 부분이었다. 여기서 방위의 기준은 중구. 부산의 남쪽은 남해 바다가 있으니 점차 북쪽 해운대, 서면, 동래 쪽으로만 시가지가 확장되면서 현재의 서구는 상대적으로 남쪽이 되어버렸다. [8] 현재 동아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건물로 쓰인다. [9] 서대신동2가 270번지, 현 보람더하임아파트 부지. [10] 부산대학교병원, 동아대학교병원,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11] 행정구역 상으로는 중구 소속이지만 학교 부지가 보수동과 동대신동에 걸쳐 있다. 학군도 같아 서구 학생들도 혜광고에 많이 배정되는 편. [1966서대신제1동] 서대신제1동 9,425명 + 서대신제2동 17,225명 [1970서대신제1동] 서대신제1동 9,216명 + 서대신제2동 16,286명 [1975서대신제1동] 서대신제1동 9,599명 + 서대신제2동 16,536명 [1980서대신제1동] 서대신제1동 9,149명 + 서대신제2동 14,399명 [1985서대신제1동] 서대신제1동 8,286명 + 서대신제2동 13,457명 [1990서대신제1동] 서대신제1동 7,271명 + 서대신제2동 12,552명 [1995서대신제1동] 서대신제1동 6,078명 + 서대신제2동 11,617명 [2000서대신제1동] 서대신제1동 5,049명 + 서대신제2동 9,565명 [2005서대신제1동] 서대신제1동 5,022명 + 서대신제2동 8,530명 [1966부민동] 부민동 10,170명 + 부용동 5,641명 [1970부민동] 부민동 10,197명 + 부용동 5,648명 [1975부민동] 부민동 9,518명 + 부용동 5,029명 [1980부민동] 부민동 8,634명 + 부용동 5,332명 [1985부민동] 부민동 7,064명 + 부용동 4,831명 [1990부민동] 부민동 6,946명 + 부용동 4,375명 [1995부민동] 부민동 5,522명 + 부용동 3,765명 [1966아미동] 아미제1동 8,239명 + 아미제2동 17,566명 [1970아미동] 아미제1동 7,712명 + 아미제2동 19,267명 [1975아미동] 아미제1동 7,958명 + 아미제2동 20,447명 [1980아미동] 아미제1동 7,365명 + 아미제2동 20,575명 [1985아미동] 아미제1동 6,942명 + 아미제2동 18,888명 [1990아미동] 아미제1동 6,298명 + 아미제2동 18,010명 [1995아미동] 아미제1동 4,860명 + 아미제2동 15,662명 [1966충무동] 토성동 8,779명 + 충무동 12,027명 [1970충무동] 토성동 8,584명 + 충무동 10,861명 [1975충무동] 토성동 8,118명 + 충무동 10,925명 [1980충무동] 토성동 8,254명 + 충무동 10,570명 [1985충무동] 토성동 7,032명 + 충무동 7,750명 [1990충무동] 토성동 6,151명 + 충무동 7,063명 [1995충무동] 토성동 5,226명 + 충무동 6,204명 [1970남부민제2동] 남부민제2동 14,832명 + 남부민제3동 9,612명 [1975남부민제2동] 남부민제2동 17,793명 + 남부민제3동 10,516명 [1980남부민제2동] 남부민제2동 18,337명 + 남부민제3동 11,385명 [1985남부민제2동] 남부민제2동 16,238명 + 남부민제3동 11,005명 [1990남부민제2동] 남부민제2동 15,082명 + 남부민제3동 10,227명 [1995남부민제2동] 남부민제2동 12,728명 + 남부민제3동 7,976명 [2000남부민제2동] 남부민제2동 9,367명 + 남부민제3동 7,855명 [2005남부민제2동] 남부민제2동 7,449명 + 남부민제3동 6,483명 [50] 구덕터널 내에서 40 km/h 정도의 실력으로 갈 수 있는 걸 의미한다. [51] 민주공원을 거쳐 부산진구로 자동차 기준 7분 내로 오갈 수 있다. 다만 산복도로를 오가기 때문에 걸어서 가기에는 매우 힘이 든다. 서면 중심지까지는 차로 약 15분 정도 걸린다. [52] 약 30%를 차지한다. [53] 정식 명칭은 부산국제수산물유통시설관리사업소 [54] 다른 원도심 지역인 중구, 동구, 영도구도 마찬가지.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58] 석당박물관은 한국 3대 대학박물관 중 하나이다. [59] 대통령 관저로 쓰였다. 그 전과 서울 환도 후에는 경남지사 관사였다. [60] 특히 아미초등학교의 경우 2019년 1학년 신입생이 무려 5명이라고 한다. [61] 학생 수가 적은 송도중학교는 사립이라 어렵고 학생 수 200명 내외로 매우 적은 초장중학교가 타겟이 되고 있으나 이마저도 학부모들이 남녀공학 전환에 부정적인 입장을 표하였다고 한다. [62] 중구의 경우 유일한 중학교인 덕원중학교의 경우 남자중학교라서 얄짤없이 대신동까지 가야만 한다. [63] 부울경에는 상급종합병원이 총 여덟 개 있는데 그 중 넷이 부산에 있으며, 그 중 세 개가 서구에 있다. 나머지 하나인 부산백병원도 서구와 경계를 맞대고 있는 부산진구 개금동에 있기 때문에 대신동지역에서 구덕터널을 지나가면 20분내로 도착이 가능할 정도다. [64] 기존 암남동 부지는 부지도 협소하고 건물 크기도 좁고 시설이 노후화되어있어서 내원객들이 불편함을 많이 겪고 있고 부산 시내에서 접근성이 떨어지는데 에코델타시티로 이전된다면 서부산이나 북부산 권에서 접근하기 더욱 편리해진다. [65] 최근 들어 부민동에 소규모 아파트와 오피스텔 건물을 여럿 짓고 있는데 의료인들의 입주 수요를 생각해서 짓고 있다는 얘기가 있다. 의료인들은 대체로 출퇴근하기 편리한 병원과 인접한 곳에서 자취하려는 경향이 많은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러한 건물을 짓고 있다. [66] 해운대 신시가지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도 있으나 부산대 인지도가 매우 높으므로 부산대병원으로 가는 내원객들도 상당 수 많다. [67] 기장이나 해운대 뿐만아니라 김해시에서도 123번을 이용해서 부산대병원으로 오는 수요가 많다. 김해에는 종합병원이 없기 때문에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으로 많이 가는데 123번이 한번에 바로 이어주기 때문에 부산대병원 내원 수요가 끝내주게 많다. [68]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출마한 무소속 유승우 서구청장 후보의 경우 실버타운 공약을 항상 일컫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