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2:37:10

목련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같은 단어에 대한 다른 의미에 대한 내용은 목련(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흔히 목련으로 알려져 있는 꽃나무에 대한 내용은 백목련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꽃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05em"
<colbgcolor=#00a495><colcolor=#fff>ㄱ 가락지나물 · 개나리 · 개망초 · 개양귀비 · 거베라 · 게발선인장 · 겨자 · 구근베고니아 · 국화 · 구절초 · 군자란 · 금강초롱꽃 · 금낭화 · 금어초 · 금잔화 · 김일성화 · 꽃며느리밥풀
나팔꽃 · 난초 · 눈풀꽃 · 능소화
달래 · 달리아 · 달맞이꽃 · 닭의장풀 · 데이지 · 델피니움 · 도라지 · 동백꽃 · 들국화
라넌큘러스 · 라벤더 · 라일락 · 라차프륵 · 라플레시아 · 락교 · 로벨리아 · 로즈마리 · 리시안셔스
마거릿 · 만수국 · 망초 · 매발톱 · 매실꽃 · 맨드라미 · 메꽃 · 모란 · 목련 · 목서 · 목화꽃 · 무궁화 · 무화과 · 문주란 · 물망초 · 미나리아재비 · 미선꽃 · 민감초 · 민들레
배초향 · 백일홍 · 백합 · 벚꽃 · 베고니아 · 별꽃 · 별봄맞이꽃 · 복수초 · 봉선화 · 부용 · 붓꽃 · 브로콜리 · 블루벨
사프란 · 산수유 · 상사화 · 샐비어 · 생강나무 · 석곡 · 석산 · 쇠채아재비 · 수국 · 수레국화 · 수련 · 수선화 · 스위트피 · 시계꽃 · 시클라멘
아네모네 · 아델라이데 · 아르메리아 · 아마릴리스 · 아스포델 · 아카시아 · 아티초크 · 안개꽃 · 앵초 · 양귀비 · 양골담초 · 엉겅퀴 · 오히아 레후아 · 에델바이스 · 에리카 · 연꽃 · 영산홍 · 영춘화 · 용담 · 우담바라 · 원추리 · 월계화 · 월하향 · 유채 · 윤노리꽃 · 은방울꽃 · 은방울수선화 · 잇꽃
작약 · 장미 · 재스민 · 접시꽃 · 제라늄 · 제비꽃 · 제충국 · 제피란테스 · 진달래 · 찔레꽃
차바 · 참나리 · 참파 · 채송화 · 천수국 · 철쭉
카네이션 · 카틀레야 · 칸나 · 칼라 · 코스모스 · 크로커스
투구꽃 · 튤립
패랭이꽃 · 팬지 · 페튜니아 · 포인세티아 · 프리지어
함박꽃 · 할미꽃 · 해당화 · 해바라기 · 히아신스 }}}}}}}}}

파일:한국갤럽 CI_White.svg
한국인이 좋아하는 꽃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04년 한국갤럽이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인이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는 한국인이 좋아하는 조사 시리즈를 기획해 2004년부터 5년 주기로 발표하고 있다.
2004년
※ 2004년 한국갤럽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꽃'을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장미 백합 국화 안개꽃 프리지아
6위 7위 8위 9위 10위
튤립 개나리 살살이꽃(코스모스) 벚꽃 진달래
2019년
※ 2019년 한국갤럽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꽃'을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장미 벚꽃 안개꽃 국화 튤립
6위 7위 8위 9위 10위
개나리 프리지아 살살이꽃(코스모스) 진달래 무궁화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백합 라일락 수국 철쭉 해바라기
16위 17위
아까시나무 목련
같이 보기: 한국인이 좋아하는 꽃,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 좋아하는 산, 좋아하는 한식 }}}}}}}}}
목련
 Mokryeon[1]
파일:한라산 목련 1.jpg
학명 Magnolia kobus
DC. 1817
분류
<colbgcolor=#d7ffce,#0f4a02> 식물계(Plantae)
분류군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속씨식물군(Angiosperms)
목련군(Magnoliids)
목련목(Magnoliales)
목련과(Magnoliaceae)
목련속(Magnolia)
목련(M. kobus)

1. 개요2. 상세3. 목련속
3.1. 고대 식물3.2. 설화
4. 미디어 믹스에서5. 언어별 명칭6. 여담

[clearfix]

1. 개요

목련(, Mokryeon)은 한국(제주도)과 일본에 자생하는 Magnolia kobus를 가리킨다. 흔히 국내에서는 중국 원산의 백목련(Magnolia denudata)을 '목련'이라고 부르는데, 엄밀히 말하면 둘은 같은 속 다른 종이다.

2. 상세

파일:목련1.jpg

높이 10m 정도 자라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한국에서는 제주도에서만 자생하는 희귀종이다. 일본에서는 생각보다 흔한데, 꽃봉오리가 주먹처럼 생겼다고 해서 '코부시'(コブシ)라고 부른다.

가지는 굵고 털이 없으며, 잎은 넓은 달걀모양으로 끝이 급히 뾰족해진다. 꽃은 양성꽃으로서 3~4월 중순부터 잎이 나오기 전에 피는데, 6개의 하얀 꽃잎이 힘이 없이 축 늘어지고 꽃의 밑부분에 어린잎 1개가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열매는 울룩불룩한 원통형으로 곧거나 구부러지고, 9~10월에 열매가 익으면 터지면서 종자가 나오는데, 종자는 타원형으로 빨갛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흔히 '목련'이라 부르는 꽃나무는 백목련으로, 백목련은 6장의 꽃잎과 마치 꽃잎처럼 보이는 3장의 꽃받침을 갖고 있고, 꽃잎에 힘이 있어서 꽃모양이 잘 잡혀 있으며, 꽃의 밑부분에는 어린잎이 달려 있지 않다. 백목련 외에, 목련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꽃잎이 2배 더 많은 별목련, 자줏빛 꽃의 자목련과 일본 원산의 일본목련, 한국 자생종인 함박꽃나무 등이 있다.

꽃이 개화하기 전 꽃봉오리를 따서 목련차를 만들어 먹기도 한다.

2024년 1월, 온두라스의 피코 보니토 국립공원에서 새로운 목련 종인 Magnolia ciroorum이 발견되었다고 했다. 이 새로운 종은 온두라스의 두 명의 보전주의자를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졌으며, 현재까지 다섯 그루만 확인된 매우 희귀한 종이라고. 이 목련은 현지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중요한 탄소 흡수원으로 알려져 있다​.

3. 목련속

한국에서 '목련'이라고 함은 M. kobus 한 종을 가리킨다. 그러나 광의의 의미로 목련을 말할 때는 목련속(Magnolia)에 속하는 약 300여종을 총칭하는 말이다.[2]
  • 한국에 자생하는 목련속 식물
  • 외국에 들여온 목련속 식물
    • 백목련 (M. denudata): 우리가 흔히 '목련'이라고 알고 있는 나무는 대부분 백목련이다.
    • 별목련 (M. stellata): 꽃잎에 힘이 없는 것은 목련과 비슷하나, 꽃잎이 12 -18개로 훨씬 많다.
    • 자목련 (M. liliiflora): 목련은 대부분 교목인데, 자목련은 유독 관목이다. 자주색 꽃이 핀다.
    • 일본목련 (M. obovata)
    • 중국목련 (M. officinalis): 이 나무의 껍질을 한약재 '후박(厚朴)'으로 쓴다.
    • 버지니아목련 (M. virginiana): 미국 동부 지역에 자생하는 목련. 모든 속씨식물(현화식물)의 모식종이다.
    • 태산목 (M. grandiflora): 미국 남동부 원산의 목련, 한국에서도 남부지방에서 심어 기른다.
    • 초령목 (M. compressa)

본래 목련과 식물은 많은 속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워낙 오래 전에 출현한 종이고, 그에따라 여러 지질학적 사건을 겪었기 때문에, 외형상으로 많이 달랐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DNA조사 결과로 목련속 하나로 통일되었다. 그러나 중국 학계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3.1. 고대 식물

파일:external/aa75449ec8133dc261b2535878c96900373e32a94db09a4225fff3c6481e1a0a.jpg
백악기 후기에 서식한 트로오돈 공룡들 옆의 목련
목련속(Magnolia)의 나무는 백악기 때부터 현대에까지 살아남은 가장 오래된 꽃 식물 중 하나이다. 즉, 최초의 꽃 중 하나이며, 이 꽃이 아직까지도 살아남아 우리들이 볼 수 있는 것이다.

과거에는 미나리아재비목이라고 생각되어왔으나, 21세기 들어 분자생물학 기술이 발달되면서 목련과 그와 비슷한 계통의 식물들이 다른 쌍떡잎식물들과는 전혀 다른 원시적인 속씨식물이라는 사실이 밝혀졌고, 이에 따라서 목련군(Magnoliid)라는 독립적인 군으로 독립되었다.[3] 목련이 출현한 시기는 벌과 나비가 출현하기 전이다. 그래서 꿀샘이 없고 대신 꽃가루를 먹는 딱정벌레 등을 유인하며, 때문인지 목련군에는 유달리 향이 강하고 멀리 퍼지는 꽃이 피는 나무가 많다.

3.2. 설화

백목련 자목련에 관해서 전해져내려오는 설화가 있는데, 옥황상제가 딸을 시집보내기 위해 사윗감을 물색하고 있었으나 공주는 옥황상제가 골라준 사윗감들은 거들떠보지 않았다. 그녀는 사납다고 알려진 북쪽 바다의 신만을 바라보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공주는 기회를 엿보아 몰래 궁을 빠져나와 북쪽 바다의 신이 사는 궁으로 갔으나 안타깝게도 북쪽 바다의 신은 유부남이었고, 충격을 받은 공주는 바다에 몸을 던져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 소식을 알게 된 북쪽 바다의 신은 그녀의 죽음을 슬퍼하면서 자신의 아내에게 독약을 먹인 다음 (...) 두 여자의 장례를 성대히 치러준 뒤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고 한다. 이후, 두 여인의 무덤에서 목련이 자라났는데 공주의 무덤에서는 백목련이, 북쪽 바다의 신의 아내의 무덤에서는 자목련이 피어났다고 한다.

꽃말은 '숭고한 정신', '고귀함', '우애', '자연애'.

4. 미디어 믹스에서

  • 목련화: 목련을 찬양한 가곡으로 조영식 작사, 김동진이 작곡했다. 해당 작사자는 경희대학교 설립자이고, 경희대의 교화도 목련이다. 많은 성악가들이 이 노래를 불렀지만 경희대 교수로 재직한 성악가 엄정행이 부른 것이 널리 알려졌다.
  • 목련꽃 필 때면: 가수 최성수의 노래이다. 그의 모친이 작고할 적에 목련꽃을 보고 작곡한 노래라고 한다.

5. 언어별 명칭

<colbgcolor=#ffffff,#1f2023><colcolor=#000000,#ffffff> 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기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fff,#1f2023> 한국어 목련(), 목란(木)
한자 (목련), 木(목란)
그리스어 μαγνόλια(magnolía)
네덜란드어, 노르만어, 라틴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magnolia
독일어 Magnolie, Magnolien
러시아어 магно́лия(magnólija)
마인어 magnolia, pokok magnolia, bunga magnolia
베트남어 ngọc lan(), chi Mộc lan
아랍어 مغنولية(maghnulia)
에스페란토 magnolio
영어 magnolia(매그놀리아)
일본어 [ruby(木蓮, ruby=もくれん)](mokuren), モクレン(mokuren), [ruby(辛夷, ruby=こぶし)](kobushi)(Magnolia kobus), コブシ(kobushi)(Magnolia kobus)
중국어 玉蘭/ 玉兰(yùlán), /玉兰花(yùlánhuā), 木蘭/木兰( mùlán), 木蘭花/木兰花(mùlánhuā), 日本辛夷(rìběn xīnyí)(Magnolia kobus) ( 표준 중국어)
木蘭/ 木兰(muk6 laan4, 묵란/목란)[4]( 광동어)
玉蘭花/玉兰花(gio̍k-lân-hue)( 민남어)
튀르키예어 manolya
페르시아어 ماگنولیا
포르투갈어 magnolia, magnólia
히브리어 מגנוליה
네팔어 कनकचम्पा(kanakachampa)
노르웨이어 magnolia, magnoliaslekten, snømagnolia(Magnolia kobus)
라트비아어 magnolijas
루마니아어 magnolia, magnolie
리투아니아어 magnolija
마리어 магноли(magnoly)(서부)
마케도니아어 магно́лија(magnólija)
말라가시어 magnôlia
말라얄람어 മഗ്നോലിയ(magnoliya)
몰타어 magnolja
몽골어 замбага(zambaga), замбага цэцэг (zambaga ceceg)
미얀마어 စံကားဝါ(camka:wa)
바시키르어, 불가리아어, 카자흐어 магнолия(magnoliya)
벨라루스어 магнолія(mahnoliya)
볼라퓌크 magnol
세르보크로아트어 магнолија/magnolija
소르브어 lilijowc(상소르브어)
스웨덴어 magnolia, magnoliasläktet, japansk magnolia(Magnolia kobus)
슬로바키아어 magnólia
아르메니아어 մագնոլիա(magnolia)
아일랜드어 magnóilia
아제르바이잔어 maqnoliya
에스토니아어 magnoolia
오크어 manhòlia
우즈베크어 magnoliya
우크라이나어 магнолія(mahnoliya), магнолія японська(mahnoliya yaponsʹka
)(Magnolia kobus)
조지아어 მაგნოლია(magnolia)
체코어 magnólie, šácholan, šácholan japonský(Magnolia kobus)
카슈브어 magnoliô
카탈루냐어 magnòlia
칼미크어 замбһа((d)zambgha)
크메르어 ម៉ាក់ណូលា(meak nau lea)
태국어 แมกโนเลีย(mæk no leīy)
펀자브어 میگنولیا(서부)
폴란드어 magnolia japońska(Magnolia kobus)
프리지아어 magnoolien(북프리지아어)
핀란드어 magnolia, magnoliankukka, magnoliat, japaninmagnolia(Magnolia kobus)
필리핀어 magnolya
헝가리어 liliomfa, Japán liliomfa(Magnolia kobus) }}}}}}}}}

속명 혹은 서구권에서 부르는 이름은 매그놀리아(Magnolia)인데 이는 18세기 프랑스 식물학자인 피에르 마뇰[5]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래서 영어식 발음은 매그놀리아지만 프랑스어식 발음은 마뇰리아(/maɲoλa/)이다.

6. 여담

  • 한라산은 국내 유일의 목련(M. kobus) 자생지이다. 국내 최고령인 300년 된 목련도 여기에 있다.
  • 제인 일본 목련(Jane Japanese Magnolia)이 2024년 봄 루이지애나 슈퍼 플랜트로 선정되었다. 제인 목련은 화려한 꽃과 내한성이 뛰어난 특징으로 가정 정원에 적합한 나무로 알려져 있다. 이 목련은 늦봄에 피어 서리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높이와 넓이가 15~20피트에 달하는 중소형 나무로 자란다.

[1] 국가표준식물목록의 정식 명칭. [2] 한국에서 자생하는 목련속에 속하는 식물에는 M. kobusM. sieboldii 두 종만 있으며, 나머지는 전부 재배식물이다. [3] 여담으로 다른 일반적인 쌍떡잎식물들은 '쌍떡잎식물군(Eudicot)'으로 부른다. [4]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한글 '묵'과 '목'의 중간값으로 '모욱'을 빠르게 읽으면 비슷한 발음이 나온다. [5] 라틴어식은 마그누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