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0 11:26:49

그리스-이스라엘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유럽 · 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다자관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UN기.svg
키프로스 5+1 회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아프리카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이란·이스라엘
}}}}}}}}}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그리스 이스라엘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고대2.2. 중세2.3. 근세2.4. 20세기2.5. 21세기
3. 교통교류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그리스 이스라엘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양국의 교류와 협력은 매우 활발한 편이다.

2. 역사적 관계

2.1. 고대

고대 히브리인의 주적이었던 필리스티아인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했는데, 그 중에서도 그리스어와 동계거나 친연관계가 있다는 설이 유력하다. 그것이 사실이라면 그리스와 이스라엘은 상고시대부터 접점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본격적인 그리스와 이스라엘의 접촉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방 원정을 통해 유대인들이 헬레니즘 제국의 지배를 받으면서 시작되었다.

두 민족은 셀레우코스 제국 유대교 탄압으로 인해 전쟁을 겪기도 했고, 로마 치하 아이깁투스 속주 그리스인들이 반유대주의 폭동을 일으킨 적도 있었지만, 코이네 그리스어 로 번역된 히브리 성경이 등장할 정도로 문화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또한 유대교와 마찬가지로 유대인들만의 종교로 시작했던 기독교를 가장 먼저 받아들인 이민족 가운데 하나가 바로 그리스인이었는데, 가장 오래된 신약성경은 유대인들의 전통 언어였던 히브리어도 아니고, 당시 유대인 대부분이 모어로 사용하던 아람어도 아닌, 코이네 그리스어로 저술되었다.

2.2. 중세

로마 제국이 기독교를 공인하고 국교화한 이래 그리스인 대부분은 자신들의 고유 종교를 버리고 기독교인이 되었다.

반면 유대인들은 비록 같은 아브라함계 종교지만 기독교와는 다른 고유 종교인 유대교를 계속 믿어서, 그리스인들이 다수를 차지하는 동로마 제국 내에서 종교적 소수자의 위치에 있었고, 유스티누스 1세 등 기독교를 강요하는 황제들의 탄압을 받기도 했다.

다만 동로마 제국은 훗날 나치 독일 홀로코스트만큼 강경한 유대인 말살을 추구한 적은 없었고, '로마니오테스' 또는 '로마니오팀'이라 불리는 그리스 및 아나톨리아[1] 유대인들은 그리스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대신 유대교 신앙은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동로마의 강요에 못이겨서 기독교로 개종한 유대인들도 적지 않은 편이다. 사실 같은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인 만큼 개종이 어렵지 않았다. 한편 기독교로 개종한 유대인들 중에는 동로마 주류 사회에 적극적으로 진출하여 출세한 사람들도 있었는데, 그 중에서 동로마 황제도 1명 배출되었다.

2.3. 근세

스페인 압스부르고 왕조에 의해 추방된 라디노어 를 모어로 사용하는 유대인 상당수가 당시 오스만 제국 영토였던 그리스에 정착했는데, 그들은 오스만 제국 정부의 보호를 받으며 무슬림 튀르크인 정교도 그리스인들과 공존했다.

2.4. 20세기

이스라엘이 건국된 이후, 그리스와 이스라엘은 공식 수교했다. 중동전쟁 당시에 그리스가 이스라엘을 지원했다. 그리고 그리스 내 일부 유대인들이 이스라엘로 이주한 적도 있었다.[2] 냉전 시대에는 그리스나 이스라엘 모두 제1세계 국가였고 교류와 협력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2.5. 21세기

양국은 현재에도 교류가 활발한 편이다. 그리스에도 수많은 이스라엘인 관광객들이 방문하고 있다. 또한, 전술했다시피 이스라엘 내에는 일부 그리스어 화자가 존재한다. 그리스와 이스라엘 사이의 국민 감정이 마냥 좋은 것은 아니지만 대신 키프로스-이스라엘 관계의 연장 선상에서 그리스와의 우호 관계 및 교류, 협력이 강화되는 면도 있다.

그리스가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튀르키예와 갈등을 겪자 이스라엘과 협력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021년 4월 18일에 그리스와 이스라엘이 대규모 국방조달 협약을 체결했다. #

그리스와 이스라엘이 코로나19 백신접종 증명서 상호 인정 합의를 체결했다. # 그리스를 여행, 방문하는 이스라엘 관광객들이 상당한 수준이기 때문에 관광 산업 부흥이 필요한 그리스에서 조속히 체결한 것으로 보인다.

3. 교통교류

양국을 잇는 항공노선이 존재한다. 전술했다시피 이스라엘인 관광객들은 그리스를 잇는 항공노선을 통해 그리스로 관광하러 가고 있다.

4. 여담

고대 로마의 역사 기록 혹은 마카베오서 등을 참고하면 알 수 있다시피 고대부터 그리스인과 유대인은 서로 사이가 마냥 좋지는 않았다. 물론 서로 싸우기만 한 것은 아니고 헬레니즘 시대 알렉산드리아에서 성경이 히브리어에서 이른바 70인역이라는 이름의 그리스어로 번역된 사례에서도 보듯 상호 교류도 활발했는데, 이러한 배경 하에서 오늘날 서구 학계에서는 고대 헬레니즘 문화와 고대 그리스 문화의 정반합이 기독교라는 관점에서 그리스인과 유대인 사이의 상호 교류를 연구하기도 한다.

5. 관련 문서



[1] 1071년 만지케르트 전투 이전까지 그리스계 주민이 다수였다. [2] 지금도 이스라엘 내에는 그리스 출신의 유대인들을 중심으로 그리스어 및 라디노어가 일부 쓰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