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30 10:30:59

이란-예멘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이란·아프가니스탄·타지키스탄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이란·이라크·시리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튀르키예·이란·아랍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이란·이스라엘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이란·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아프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유럽· 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북예멘 국기.svg 파일:남예멘 국기.svg
북예멘-남예멘 관계
}}}}}}}}} ||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이란 예멘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현대 이전2.2. 20세기2.3. 21세기
3. 대사관4. 관련 문서

1. 개요

이란 예멘의 관계. 예멘 인구의 절반이 약간 안되는 수가 시아파로, 과거에는 이란 시아파랑 서로 남남하던 사이였으나 오늘날 아라비아 반도 내에서 예멘의 입지가 약해지면서 예멘 내 시아파들이 과거와 다르게 이란에 원조를 요청하는 사이가 되었다. 21세기 예멘 내전에서 이란은 예멘의 후티 반군을 지원하고 있다.

양국은 이슬람 협력기구의 회원국들이다.

2. 역사적 관계

2.1. 현대 이전

예멘은 원래 이란보다 앞서 시아파 인구가 다수를 구성하던 지역이었다. 다만 예멘의 시아파 자이드파는 시대가 지나면서 시아파 내에서 비교적 온건하면서도 주류 순니파에 가까운 교리로 변했으나 이란의 경우 시아파 12이맘파는 근세 사파비 왕조의 발흥과 근본주의 반순니파 정책으로 인해 순니파에서 시아파로 개종한 경우로, 반 아랍 감정과 더해져서 반 순니파 감정이 강한 편이다. 예멘과 이란 내 시아파 사이의 연계는 사실상 현대부터 시작된 것이라 봐야 한다.

고대 동아프리카와 인도, 중국을 연결하던 해상 무역로에는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일대와 예멘이 포함되어 있었다. 호르무즈 해협 일대의 주민들은 이란 내 다른 지역보다도 오히려 예멘인들과 문화적으로도 가까운 편이며, 하플로그룹 조사 결과에서도 예멘 주민과 호르무즈 해협 일대 주민들이 생각보다 훨씬 가까운 관계로 나와서 관계자들을 놀라게 했다.

2.2. 20세기

예멘이 60년대에 남예멘 북예멘으로 나뉘어졌을 때에 이란과 각각 수교했다. 당시 이란과 예멘은 수교했지만, 관계가 미적지근했다. 이란이 70년대후반에 혁명이 일어나면서 팔레비 왕조가 몰락하고 이슬람 정권이 출범하자 양국간의 관계도 달라지기 시작했다.

90년대에 예멘에 통일되면서 이란은 통일 예멘과 외교관계를 맺었다.

2.3. 21세기

양국은 이슬람 협력기구의 회원국들이다.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예멘이 예멘 내전이 일어나면서 이란은 후티 반군을 지원했다. 후티 반군도 이란측에서 무기를 지원받는 등 밀월 관계를 가속화하자 예멘 주변국들은 이란을 견제하기 위해 예몐 내전에 개입했다.

그러나 이란을 견제할 목적으로 투입된 사우디군은 오히려 후티 반군에게 패전을 거듭하였다. 사우디로 망명한 하디 정권도 이란에 대해선 갈등이 있다보니 사우디와 다른 아랍 국가들과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3. 대사관

양국 모두 대사관을 두고 있다. 이란은 사나시에 주 예멘 이란 대사관, 예멘은 주 이란 예멘 대사관을 두고 있다.

2021년 12월 21일에 주 예멘 이란 대사가 코로나19로 사망했다. #

4. 관련 문서



[1] 후티 반군이 쉬아파에 속하다보니 이란측에서 후티 반군을 지원하고 있으며, 예멘의 후티가 속한 최고정치위원회를 지지하고 대통령지도위원회를 적대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