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8:38:19

빌리 마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894년생 동명이인 야구 선수에 대한 내용은 빌리 마틴(1894)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빌리 마틴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132448>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뉴욕 양키스
영구결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빌리 마틴.jpg 파일:데릭 지터.jpg 파일:베이브 루스.jpg 파일:루 게릭.jpg 파일:조 디마지오.jpg 파일:조 토레.jpg 파일:미키 맨틀.jpg 파일:빌 디키&요기 베라.jpg
빌리 마틴 데릭 지터 베이브 루스 루 게릭 조 디마지오 조 토레 미키 맨틀 빌 디키
파일:빌 디키&요기 베라.jpg 파일:로저 매리스.jpg 파일:필 리주토.jpg 파일:서머 먼슨.jpg 파일:화이티 포드.jpg 파일:호르헤 포사다.jpg 파일:폴 오닐.jpg 파일:돈 매팅리.jpg
요기 베라 로저 매리스 필 리주토 서먼 먼슨 화이티 포드 호르헤 포사다 폴 오닐 돈 매팅리
파일:엘스턴 하워드.jpg 파일:케이시 스탱겔 감독.jpg 파일:마리아노 리베라.jpg 파일:재키 로빈슨.jpg 파일:래지 잭슨.jpg 파일:앤디 패팃.jpg 파일:론 기드리.jpg 파일:버니 윌리엄스.jpg
엘스턴 하워드 케이시 스텡겔 마리아노 리베라 재키 로빈슨 레지 잭슨 앤디 페티트 론 기드리 버니 윌리엄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132448>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뉴욕 양키스
모뉴먼트 파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밀러 허긴스 루 게릭 제이콥 루퍼트 베이브 루스 에드 바로우
조 디마지오 미키 맨틀 조 맥카시 케이시 스텡겔 서먼 먼슨
엘스턴 하워드 로저 매리스 필 리주토 빌리 마틴 레프티 고메즈
화이티 포드 빌 디키 요기 베라 앨리 레이놀즈 돈 매팅리
멜 앨런 밥 셰퍼드 레지 잭슨 론 기드리 레드 러핑
재키 로빈슨 조지 스타인브레너 마리아노 리베라 티노 마르티네스 구스 고시지
폴 오닐 조 토레 버니 윌리엄스 윌리 랜돌프 멜 스토틀마이어
호르헤 포사다 앤디 페티트 데릭 지터
}}}}}}}}} ||

빌리 마틴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1947~1967).png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1950 1951 1952 1953 1956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MLB 월드 시리즈
우승감독
1977

파일:1956 MLB 올스타전 로고.gif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1956

덴버 베어스 역대 감독
미네소타 트윈스 산하
자니 그롤
(1967~1968)
빌리 마틴
(1968)
돈 헤프너
(1969)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91f40>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화이트 로고.svg 미네소타 트윈스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워싱턴 세네터스 시대 (1901~1960)
1대
짐 매닝
파일:미국 국기.svg
1901
2대
톰 로프터스
파일:미국 국기.svg
1902~1903
3대
말라치 키트리지
파일:미국 국기.svg
1904
4대
패트시 도노반
파일:미국 국기.svg
1904
5대
제이크 스탈
파일:미국 국기.svg
1905~1906
6대
조 칸티욘
파일:미국 국기.svg
1907~1909
7대
지미 맥알리어
파일:미국 국기.svg
1910~1911
8대
클락 그리피스
파일:미국 국기.svg
1912~1920
9대
조지 맥브라이드
파일:미국 국기.svg
1921
10대
클라이드 밀란
파일:미국 국기.svg
1922
11대
도니 부시
파일:미국 국기.svg
1923
12대
버키 해리스
파일:미국 국기.svg

1924~1928
13대
월터 존슨
파일:미국 국기.svg
1929~1932
14대
조 크로닌
파일:미국 국기.svg

1933~1934
12대
버키 해리스
파일:미국 국기.svg
1935~1942
15대
오시 블루지
파일:미국 국기.svg
1943~1947
16대
조 쿠헬
파일:미국 국기.svg
1948~1949
12대
버키 해리스
파일:미국 국기.svg
1950~1954
17대
척 드레센
파일:미국 국기.svg
1955~1957
파일:워싱턴 세네터스 엠블럼(1959~1960).gif
미네소타 트윈스 시대 (1961~)
18대
쿠키 라바제토
파일:미국 국기.svg
1957~1961
19대
샘 멜
파일:미국 국기.svg

1961~1967
20대
칼 어머
파일:미국 국기.svg
1967~1968
21대
빌리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1969
22대
빌 리그니
파일:미국 국기.svg
1970~1972
23대
프랭크 퀼리치
파일:미국 국기.svg
1972~1975
24대
진 모크
파일:미국 국기.svg
1976~1980
25대
조니 고릴
파일:미국 국기.svg
1980~1981
26대
빌리 가드너
파일:미국 국기.svg
1981~1985
27대
레이 밀러
파일:미국 국기.svg
1985~1986
28대
톰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1986~2001
29대
론 가든하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2002~2014
30대
폴 몰리터
파일:미국 국기.svg
2015~2018
31대
로코 발델리
파일:미국 국기.svg
2019~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svg
: 월드 시리즈 우승 / : 월드 시리즈 준우승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82d55><tablebgcolor=#182d55>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화이트 로고.svg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대
조지 스탈링스
파일:미국 국기.svg
1901
2대
프랭크 드와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1902
3대
에드 바로우
파일:미국 국기.svg
1903~1904
4대
바비 로우
파일:미국 국기.svg
1904
5대
빌 아무어
파일:미국 국기.svg
1905~1906
6대
휴이 제닝스
파일:미국 국기.svg

1907~1920
7대
타이 콥
파일:미국 국기.svg
1921~1926
8대
조지 모리아티
파일:미국 국기.svg
1927~1928
9대
버키 해리스
파일:미국 국기.svg
1929~1933
10대
델 베이커
파일:미국 국기.svg
1933
11대
미키 코크런
파일:미국 국기.svg

1934~1936
10대
델 베이커
파일:미국 국기.svg
1936
11대
미키 코크런
파일:미국 국기.svg
1936~1937
10대
델 베이커
파일:미국 국기.svg
1937
11대
미키 코크런
파일:미국 국기.svg
1937
10대
델 베이커
파일:미국 국기.svg
1937
12대
사이 퍼킨스
파일:미국 국기.svg
1937
11대
미키 코크런
파일:미국 국기.svg
1938
10대
델 베이커
파일:미국 국기.svg

1938~1942
13대
스티브 오닐
파일:미국 국기.svg

1943~1948
14대
레드 롤프
파일:미국 국기.svg
1949~1952
15대
프레드 허친슨
파일:미국 국기.svg
1952~1954
9대
버키 해리스
파일:미국 국기.svg
1955~1956
16대
잭 타이
파일:미국 국기.svg
1957~1958
17대
빌 노먼
파일:미국 국기.svg
1958~1959
18대
지미 다익스
파일:미국 국기.svg
1959~1960
19대
빌리 히치콕
파일:미국 국기.svg
1960
20대
조 고든
파일:미국 국기.svg
1960
21대
밥 셰핑
파일:미국 국기.svg
1961~1963
22대
척 드레슨
파일:미국 국기.svg
1963~1964
23대
밥 스위프트
파일:미국 국기.svg
1965
22대
척 드레슨
파일:미국 국기.svg
1965~1966
23대
밥 스위프트
파일:미국 국기.svg
1966
24대
프랭크 스카프
파일:미국 국기.svg
1966
25대
메이요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1967~1970
26대
빌리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1971~1973
27대
조 슐츠
파일:미국 국기.svg
1973
28대
랄프 호크
파일:미국 국기.svg
1974~1978
29대
레스 모스
파일:미국 국기.svg
1979
30대
딕 트러세프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1979
31대
스파키 앤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1979~1995
32대
버디 벨
파일:미국 국기.svg
1996~1998
33대
래리 패리쉬
파일:미국 국기.svg
1998~1999
34대
필 가너
파일:미국 국기.svg
2000~2002
35대
루이스 푸홀스
파일:미국 국기.svg
2002
36대
앨런 트래멀
파일:미국 국기.svg
2003~2005
37대
짐 릴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2006~2013
38대
브래드 어스무스
파일:미국 국기.svg
2014~2017
39대
론 가든하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2018~2020
40대
로이드 맥클렌던
파일:미국 국기.svg
2020
41대
A.J. 힌치
파일:미국 국기.svg
2021~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엠블럼.svg
: 월드 시리즈 우승 / : 월드 시리즈 준우승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3278>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화이트 로고.svg 텍사스 레인저스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워싱턴 세네터스 시대 (1961~1971)
1대
미키 버논
파일:미국 국기.svg
1961~1963
2대
에디 요스트
파일:미국 국기.svg
1963
3대
길 호지스
파일:미국 국기.svg
1963~1967
4대
짐 레몬
파일:미국 국기.svg
1968
파일:워싱턴 세네터스 엠블럼(1961~1971).png
텍사스 레인저스 시대 (1972~)
5대
테드 윌리엄스
파일:미국 국기.svg
1969~1972
6대
화이티 허조그
파일:미국 국기.svg
1973
7대
델 윌버
파일:미국 국기.svg
1973
8대
빌리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1973~1975
9대
프랭크 루체시
파일:미국 국기.svg
1975~1977
10대
에디 스탱키
파일:미국 국기.svg
1977
11대
코니 라이언
파일:미국 국기.svg
1977
12대
빌리 헌터
파일:미국 국기.svg
1977~1978
13대
팻 코랄레스
파일:미국 국기.svg
1978~1980
14대
돈 짐머
파일:미국 국기.svg
1981~1982
15대
대럴 존슨
파일:미국 국기.svg
1982
16대
덕 레이더
파일:미국 국기.svg
1983~1985
17대
바비 발렌타인
파일:미국 국기.svg
1985~1992
18대
토비 하라
파일:미국 국기.svg
1992
19대
케빈 케네디
파일:미국 국기.svg
1993~1994
20대
자니 오츠
파일:미국 국기.svg
1995~2001
21대
제리 내론
파일:미국 국기.svg
2001~2002
22대
벅 쇼월터
파일:미국 국기.svg
2003~2006
23대
론 워싱턴
파일:미국 국기.svg

2007~2014
24대
팀 보거
파일:미국 국기.svg
2014
25대
제프 배니스터
파일:미국 국기.svg
2015~2018
26대
돈 와카마츠
파일:미국 국기.svg
2018
27대
크리스 우드워드
파일:미국 국기.svg
2019~2022
28대
토니 비슬리
파일:미국 국기.svg
2022
29대
브루스 보치
파일:미국 국기.svg
2023~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엠블럼.svg
: 월드 시리즈 우승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32448><tablebgcolor=#132448>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뉴욕 양키스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132448,#b6c7ec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볼티모어 오리올스 ~ 뉴욕 하이랜더스 시대 (1901~1912)
1대
존 맥그로
파일:미국 국기.svg
(1901~1902)
2대
윌버트 로빈슨
파일:미국 국기.svg
(1902)
3대
클락 그리피스
파일:미국 국기.svg
(1903~1908)
4대
키드 엘버팰드
파일:미국 국기.svg
(1908)
5대
조지 스탈링스
파일:미국 국기.svg
(1909~1910)
6대
할 체이스
파일:미국 국기.svg
(1910~1911)
7대
해리 울버튼
파일:미국 국기.svg
(1912)
파일:뉴욕 하이랜더스 엠블럼(1909~1912).svg
뉴욕 양키스 시대 (1913~)
8대
프랭크 챈스
파일:미국 국기.svg
(1913~1914)
9대
로저 페킨포
파일:미국 국기.svg
(1914)
10대
빌 도노번
파일:미국 국기.svg
(1915~1917)
11대
밀러 허긴스
파일:미국 국기.svg

(1918~1929)
12대
아트 플레처
파일:미국 국기.svg
(1929)
13대
밥 쇼키
파일:미국 국기.svg
(1930)
14대
조 맥카시
파일:미국 국기.svg

(1931~1946)
15대
빌 디키
파일:미국 국기.svg
(1946)
16대
조니 눈
파일:미국 국기.svg
(1946)
17대
버키 해리스
파일:미국 국기.svg

(1947~1948)
18대
케이시 스텡겔
파일:미국 국기.svg

(1949~1960)
19대
랄프 후크
파일:미국 국기.svg

(1961~1963)
20대
요기 베라
파일:미국 국기.svg

(1964)
21대
조니 킨
파일:미국 국기.svg
(1965~1966)
19대
랄프 후크
파일:미국 국기.svg
(1966~1973)
22대
빌 버든
파일:미국 국기.svg
(1974~1975)
23대
빌리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1975~1978)
24대
딕 하우저
파일:미국 국기.svg
(1978)
25대
밥 레몬
파일:미국 국기.svg

(1978~1979)
23대
빌리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1979)
24대
딕 하우저
파일:미국 국기.svg
(1980)
26대
진 마이클
파일:미국 국기.svg
(1981)
25대
밥 레몬
파일:미국 국기.svg

(1981~1982)
26대
진 마이클
파일:미국 국기.svg
(1982)
27대
클라이드 킹
파일:미국 국기.svg
(1982)
23대
빌리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1983)
20대
요기 베라
파일:미국 국기.svg
(1984~1985)
23대
빌리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1985)
28대
루 피넬라
파일:미국 국기.svg
(1986~1987)
23대
빌리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1988)
28대
루 피넬라
파일:미국 국기.svg
(1988)
29대
댈러스 그린
파일:미국 국기.svg
(1989)
30대
버키 덴트
파일:미국 국기.svg
(1989~1990)
31대
스텀프 메릴
파일:미국 국기.svg
(1990~1991)
32대
벅 쇼월터
파일:미국 국기.svg
(1992~1995)
33대
조 토레
파일:미국 국기.svg

(1996~2007)
34대
조 지라디
파일:미국 국기.svg

(2008~2017)
35대
애런 분
파일:미국 국기.svg
(2018~)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 월드 시리즈 우승 / : 월드 시리즈 준우승
※ 현 MLB 팀 볼티모어 오리올스와 혼동 주의.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3831> 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엠블럼.svg 애슬레틱스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시대
1대
코니 맥
파일:미국 국기.svg

1901~1950
2대
얼 맥
파일:미국 국기.svg
1937, 1939
3대
지미 다익스
파일:미국 국기.svg
1951~1953
4대
에디 주스트
파일:미국 국기.svg
1954
파일: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엠블럼(1954).gif
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시대
5대
루 보드로
파일:미국 국기.svg
1955~1957
6대
해리 크래프트
파일:미국 국기.svg
1957~1959
7대
밥 엘리엇
파일:미국 국기.svg
1960
8대
조 고든
파일:미국 국기.svg
1961
9대
행크 바우어
파일:미국 국기.svg
1961~1962
10대
에디 로팟
파일:미국 국기.svg
1963~1964
11대
멜 머게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1964~1965
12대
헤이우드 설리반
파일:미국 국기.svg
1965
13대
앨빈 다크
파일:미국 국기.svg
1966~1967
14대
루크 애플링
파일:미국 국기.svg
1967
파일: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엠블럼.png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시대
15대
밥 케네디
파일:미국 국기.svg
1968
9대
행크 바우어
파일:미국 국기.svg
1969
16대
존 맥나마라
파일:미국 국기.svg
1969~1970
17대
딕 윌리엄스
파일:미국 국기.svg

1971~1973
13대
앨빈 다크
파일:미국 국기.svg

1974~1975
18대
척 태너
파일:미국 국기.svg
1976
19대
잭 매키언
파일:미국 국기.svg
1977
20대
바비 윙클스
파일:미국 국기.svg
1977~1978
19대
잭 매키언
파일:미국 국기.svg
1978
21대
짐 마셜
파일:미국 국기.svg
1979
22대
빌리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1980~1982
23대
스티브 보로스
파일:미국 국기.svg
1983~1984
24대
재키 무어
파일:미국 국기.svg
1984~1986
25대
제프 뉴먼
파일:미국 국기.svg
1986
26대
토니 라 루사
파일:미국 국기.svg

1986~1995
27대
아트 하우
파일:미국 국기.svg
1996~2002
28대
켄 마카
파일:미국 국기.svg
2003~2006
29대
밥 게런
파일:미국 국기.svg
2007~2011
30대
밥 멜빈
파일:미국 국기.svg
2011~2021
31대
마크 캇세이
파일:미국 국기.svg
2022~
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엠블럼.svg
: 월드 시리즈 우승 / : 월드 시리즈 준우승 / : 첫 월드 시리즈(1903년) 이전 아메리칸 리그 우승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3831> 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 애슬레틱스
역대 단장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시대
초대
코니 맥
파일:미국 국기.svg
1901~1950
2대
미키 코크런
파일:미국 국기.svg
1950
3대
아더 엘러스
파일:미국 국기.svg
1950~1953
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시대
4대
조지 셀커크
파일:미국 국기.svg
1954~1959
5대
파크 캐롤
파일:미국 국기.svg
1959~1960
6대
프랭크 레인
파일:미국 국기.svg
1961
7대
팻 프라이데이
파일:미국 국기.svg
1961~1965
8대
행크 피터스
파일:미국 국기.svg
1965~1967
9대
에디 로팟
파일:미국 국기.svg
1967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시대
-대
찰리 핀리
파일:미국 국기.svg
1968~1980
10대
빌리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1981~1982
11대
샌디 앨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1983~1997
12대
빌리 빈
파일:미국 국기.svg
1998~2015
13대
데이비드 포스트
파일:미국 국기.svg
2015~
}}}}}}}}} ||

}}} ||
}}} ||
파일:270037_crop_exact.jpg
<colbgcolor=#132448><colcolor=#ffffff> 뉴욕 양키스 No. 1
알프레드 매뉴얼 "빌리" 마틴 주니어
Alfred Manuel "Billy" Martin Jr.
출생 1928년 5월 16일
사망 1989년 12월 25일 (향년 61세)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출신지 캘리포니아 주 버클리
신체 180cm / 74kg
포지션 2루수, 3루수, 유격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46년 아마추어 자유계약 ( OAK)
소속팀 뉴욕 양키스 (1950~1957)
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1957)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58)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59)
신시내티 레즈 (1960)
밀워키 브레이브스 (1961)
미네소타 트윈스 (1961)
지도자 덴버 베어스 감독 (1968)
미네소타 트윈스 감독 (1969)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감독 (1971~1973)
텍사스 레인저스 감독 (1973~1975)
뉴욕 양키스 감독 (1975~1979)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감독 (1980~1982)
뉴욕 양키스 감독 (1983, 1985, 1988)
프런트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단장 (1981~1982)
1. 개요2. 선수 경력
2.1. 선수 기록
3. 지도자 경력4. 이모저모
4.1. 조지 스타인브레너와의 관계4.2. 사건사고
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나는 양키스 유니폼을 입었던 가장 위대한 사람은 아닐지도 모르지만, 양키스 유니폼을 가장 자랑스럽게 생각하던 사람이었다.
마틴의 묘비석에서
미국의 전 야구인으로, MLB에서 선수로 4번, 감독으로 1번 월드 시리즈 우승을 경험했다. 약팀을 조련해서 좋은 성적을 내는 데 능한 감독으로 서로 다른 4팀( 미네소타 트윈스,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뉴욕 양키스,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을 지구 우승으로 이끌었다. 대신 베테랑 선수나 구단주와 잦은 불화를 일으켰고 잊을 만하면 사고를 치는 통에 한 팀에서 오래 감독 생활을 하지는 못 했다. 실제로 감독 생활 동안 단 한 번도 계약 기간을 채워보지 못 하고 모두 해임당했다.

특히나 영구 결번까지 된 뉴욕 양키스에서는 무려 5번이나 해임되었다. 당시 양키스엔 불같고 급한 성격으로 유명한 조지 스타인브레너 구단주가 있었고, 마틴 역시 스타인브레너를 상대로 자신의 스타일을 접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5번이나 해임당했다는 것은 5번이나 선임되었다는 의미이기도 하므로, 마틴과 스타인브레너 및 양키스의 관계는 매우 독특한 관계라고 할 수 있다.

2. 선수 경력

1946년, 고등학교를 졸업한 마틴은 오클랜드 오크스와 계약을 맺고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는데 그때 케이시 스텡겔[1]과 인연을 맺은 것이 마틴의 운명을 바꾸게 된다. 스텡겔은 이듬해 양키스 감독으로 부임하게 되었는데, 마틴의 플레이를 눈여겨 본 스텡겔의 추천으로 마틴은 1950년 양키스 선수로 메이저리그에 데뷔할 수 있었다.

1952년 월드 시리즈 7차전 7회 2사 만루의 위기에서 투수, 1루수, 2루수 사이의 삼각지대에 떨어지는 공을 마틴이 극적으로 잡아냈고 이 수비 덕에 양키스는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미키 맨틀, 요기 베라 등 스타 플레이어들에게 가려져 있던 마틴은 이 수비 하나로 유명세를 타게 되었다. 이듬해인 1953년 15홈런 75타점으로 커리어 하이를 기록, 월드 시리즈에서는 타율 5할로 맹타를 휘둘렀다. 이후 군 문제로 인해 1954년~1955년 전반기를 넘긴 뒤, 1956년 양키스의 주전 2루수로서 선수생활 유일의 올스타전에 출장한다.[2]

다만 마틴에게는 치명적인 문제가 하나 있었으니, 바로 이었다. 마틴은 알아주는 주당이었고 그에 필적할 만한 주사까지 가지고 있었다. 양키스는 마틴이 화이티 포드 미키 맨틀 등 동료들에게 나쁜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3] 1957년 마틴이 나이트 클럽에서 난동을 부린 것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자 양키스는 마틴을 캔자스시티 로열스로 트레이드시켜버렸다.
양키스의 酒신 미키 맨틀, 화이티 포드, 빌리 마틴.

양키스를 떠난 뒤 마틴은 매년 팀을 옮기는 저니맨 신세가 되었고, 1959년에는 공에 맞아 턱뼈가 부러지는 중상을 입으며 시즌 아웃까지 당한다. 마틴은 끝내 재기하지 못하였고 1961년 미네소타 트윈스에서 은퇴한다.

2.1. 선수 기록

파일:MLB 로고.svg 빌리 마틴의 역대 MLB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1950 NYY 34 39 9 1 0 1 10 8 0 3 33 .250 .308 .361 .669 0.0 0.0
1951 51 65 15 1 2 0 10 2 0 4 9 .259 .328 .345 .673 0.4 0.2
1952 109 401 97 13 3 3 32 33 3 22 31 .267 .323 .344 .668 2.6 2.6
1953 149 644 151 24 6 15 72 75 6 43 56 .257 .314 .395 .710 2.1 1.6
1955 20 80 21 2 0 1 8 7 1 7 9 .300 .354 .371 .726 0.5 0.5
1956 121 504 121 24 5 9 76 49 7 30 56 .264 .310 .397 .708 1.0 1.3
<rowcolor=#ffffff>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1957 NYY/ KCA 116 439 103 14 5 10 45 39 9 15 34 .251 .282 .383 .665 -0.4 -0.5
<rowcolor=#ffffff>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1958 DET 131 536 127 19 1 7 56 42 5 16 62 .255 .279 .339 .619 -1.0 -1.3
<rowcolor=#ffffff>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1959 CLE 73 258 63 7 0 9 37 24 0 8 18 .260 .290 .401 .691 0.9 0.8
<rowcolor=#ffffff>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1960 CIN 103 346 78 17 1 3 34 16 0 27 34 .246 .304 .334 .639 -1.0 -1.4
<rowcolor=#ffffff>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1961 MLN/ MIN 114 404 92 15 5 6 45 36 3 13 43 .242 .271 .355 .626 -1.2 -0.9
MLB 통산
(11시즌)
1021 3716 877 137 28 64 425 33 34 188 355 .257 .300 .369 .669 3.9 3.0

3. 지도자 경력

"히틀러나 무솔리니, 혹은 히로히토가 내 팀에서 야구를 한다 해도, 나는 그들을 이끌고 감독직을 잘 해낼 수 있다. 그렇다고 내가 그들을 좋아한다는 뜻은 전혀 아니지만, 분명히 나는 그들의 감독이 될 자신이 있다."

3.1. 미네소타 트윈스

은퇴한 후 스카우트(1962년~1964년), 3루 베이스 코치(1965년~1968년 상반기)를 거친 마틴은 1968년 하반기에 미네소타 트윈스 산하의 트리플 A 팀 덴버 베어스의 감독을 맡았고, 시즌 종료 후 미네소타 트윈스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1969년 마틴은 전년도보다 16승을 더 거두면서 미네소타를 아메리칸리그 서부 지구 우승으로 이끌었으나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볼티모어 오리올스에게 3-0으로 스윕을 당하고 말았다. 당시 볼티모어는 1969~1971년 아메리칸리그 3연패를 달성한 팀으로 짐 파머, 프랭크 로빈슨, 브룩스 로빈슨 등 팀의 레전드급 선수들이 최전성기를 달리던 시기였다. 따라서 감독 데뷔 시즌으로는 훌륭한 시즌이었는데, 술집에서 자기 팀 투수와 주먹다짐을 하는 바람에 시즌 종료 후 해고당했다. 그렇게 마틴이 떠나보낸 미네소타는 1970년 지구 우승을 끝으로 1970년대 내내 비밀번호를 찍고 만다.

3.2.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71년 마틴은 디트로이트 감독으로 부임한다. 1972년 아메리칸리그 동부 지구 우승을 차지한 디트로이트는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 격돌하게 되었다. 연장 11회에 먼저 1점을 내고도 끝내기 안타를 맞고 패하면서 1차전을 내주면서 팀 분위기가 가라앉을 위기에 처한다. 그러나 2차전에서 벤치 클리어링 상황에서 마틴이 직접 오클랜드 유격수 버트 캄파네리스와 격돌 # [4]하면서 분위기는 묘하게 흘러갔다. 2차전을 내주기는 했으나 마틴의 분전(?)에 선수들이 버프를 받았는지 3, 4차전을 모두 이기면서 시리즈는 최종 5차전까지 진행되었다. 5차전에서도 디트로이트는 선취점을 내며 기세를 올렸으나 곧바로 동점을 내주더니, 4회에 유격수 실책으로 역전까지 허용했다. 이때 송구를 받는 1루수의 발이 떨어졌다는 판정이 내려졌는데 마틴은 격렬하게 욕설을 퍼붓고 땅을 걷어차며 항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5차전을 내주며 시리즈 전적 3-2로 아깝게 패하고 말았다. 이를 기점으로, 오클랜드는 72년~74년 월드시리즈 3연패에 성공하며 당대 최강의 팀으로 올라섰다. 그리고 마틴은 1973년 투수에게 고의 빈볼을 지시했는데 그 사실을 공공연히 언론에 흘리는 바람에 해임되었다.[5]

3.3. 텍사스 레인저스

1974년, 마틴은 2년 연속 100패를 기록한 텍사스 레인저스 감독으로 부임한다. 마틴은 막장 상태였던 텍사스를 1974년에 84승 76패 성적으로 아메리칸리그 서부 지구 2위에 올려놓았다. 그해 텍사스는 신인왕(마이크 하그로브)과 MVP(제프 버로우스)까지 쓸어왔는데 팀 에이스였던 퍼거슨 젠킨스(사이 영 2위)가 사이 영까지 가져왔으면 신인왕, MVP, 사이 영이 모두 나온 최초의 지구 2위 팀이 될 뻔했다. 하지만 이후 전년도 329.1이닝에 29완투를 기록했던 퍼거슨 젠킨스가 무너지면서 팀은 하위권을 맴돌았고 1975년 7월 20일 44승 51패의 전적을 남기고 해임되었다. 성적 부진으로 잘린 건 처음이라는 건 비밀

3.4. 뉴욕 양키스 전반기

파일:external/www.bronxbanterblog.com/0.george-steinbrenner.53242141.jpg
조지 스타인브레너와 빌리 마틴은 구단주와 감독이 어디까지 갈 수 있는지 제대로 보여줬다.

마틴의 감독 일생에서 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리즈 시절. 텍사스에서 해고된 지 2주가 지나기도 전에 양키스는 마틴을 새 감독으로 선임하였고 번개 같은 재취업 마틴은 18년 만에 다시 양키스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 마틴은 남은 56경기에서 30승 26패 성적을 거두면서 팀을 추스렸고, 이듬해인 1976년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캔자스시티 로열스를 꺾으며 양키스를 11년 만에 아메리칸리그 챔피언으로 만들며 감독으로서 첫 월드시리즈 무대를 경함하게 된다. 그러나 월드시리즈 맞상대가 피트 로즈, 자니 벤치, 토니 페레스, 조 모건, 켄 그리피 시니어, 데이브 콘셉시온, 조지 포스터, 세자르 헤로니모 등이 버티고 있던 70년대 최강의 팀이자 월드시리즈 2연패(75~76 시즌)에 성공한 마지막 내셔널리그 팀, '빅 레드 머신' 신시내티 레즈였다.8명 중에서 단 한 명도 거를 수가 없다[6] 마틴 입장에서는 올라갔다 하면 당대 볼티모어, 오클랜드, 신시내티까지 70년대 전후의 최강팀들을 만났던 셈이다. 결국 양키스는 팀 역사상 처음으로 월드시리즈에서 4-0으로 박살이 났다.

76 시즌 종료 후 발려서 빡친 스타인브레너는 거포 외야수 레지 잭슨돈지랄영입을 시도한다. 마틴은 잭슨이 타격 실력은 뛰어나지만 개성과 자부심이 강하고 자기 중심적인 성격이라 팀 케미스트리를 깨트릴 거라며 반대했으나 본인이 어땠는지는 생각 안 해봤나? 스타인브레너는 마틴의 말을 씹어버리고 잭슨과 계약했다. 잭슨은 양키스에 입단하고 가진 인터뷰에서 "양키스의 리더는 당연히 나 아니겠음?"이라고 말하는 대형 실언을 터뜨렸다. 당시 팀 주장이었던 서먼 먼슨은 굉장히 기분 나빠했으며 먼슨과 잭슨의 관계는 내내 최악이었다.[7]

양키스에 입단한 잭슨은 원래 달았던 9번 대신[8] 자신이 존경했던 재키 로빈슨의 42번을 달려고 했는데, 스타인브레너가 자기 말을 씹은 앙갚음으로 마틴은 42번을 투수 코치에게 줘 버린다. 잭슨을 마뜩찮게 생각했던 마틴과 자존심에 상처를 입은 잭슨의 사이는 벌어지기 시작했다.

1977년 6월 18일 결국 사단이 난다. 우익수로 나선 잭슨이 느슨한 플레이로 얕은 외야 플라이 타구를 2루타로 만들었고, 뚜껑 열린 마틴은 잭슨을 교체해버린다. 잭슨이 덕아웃에 들어오자마자 마틴은 잭슨과 말다툼을 벌이더니 급기야 멱살 잡고 맞짱을 떠버렸다. 하필이면 이 경기가 펜웨이 파크 원정 경기였고 전국 라이브 중계였다. 더욱이 이 경기를 질 경우 보스턴이 시리즈를 스윕할 상황이었다. 그리고 보스께서 노발대발했겠지 보스턴 관중은 양키스 덕아웃에서 벌어지는 구경거리에 야! 신난다~ 환호성을 질렀고, 양키스는 전국적으로 망신을 당했다.

이런 상황에도 양키스는 기어코 월드시리즈까지 올라갔다. 올라갈 팀은 올라간다. 그리고 레지 잭슨의 진가가 발휘되었다. 1, 2차전 무안타로 부진한 잭슨을 먼슨이 'Mr. October'라고 우회적으로 조롱했는데 이게 오히려 잭슨을 분기시켰고, 잭슨은 6차전 3연타석 홈런을 포함해서 시리즈 기록 .450 5홈런 8타점의 무시무시한 활약으로 월드시리즈 우승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덤으로 'Mr. October'는 전혀 다른 의미로 잭슨의 별명이 되었다. 이 월드시리즈가 마틴 감독 경력의 처음이자 마지막 우승이었다.
파일:external/cdn.bleacherreport.net/billymartinreggie_original_original_display_image.jpg 파일:external/sineilleifer.files.wordpress.com/1181.jpg
야 신난다 그래 이 XX야. 왠지 자세를 보니 생각나는...
그러나 둘의 관계는 이미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넌 상황이었고 이듬해인 1978년 캔자스시티와의 경기에서 다시 충돌했다. 연장 10회 선두 타자였던 먼슨이 출루하자 마틴은 잭슨에게 번트를 지시했다. 잭슨의 초구 번트가 파울이 되자 마틴은 강공으로 전환하라고 지시했으나 잭슨은 이를 무시하고 계속 번트를 시도하다가 내야 플라이 아웃을 당했다. 해당 내용 경기는 연장 11회 캔자스시티의 9-7 승리로 끝났는데 경기 후 인터뷰에서 마틴은 폭탄 발언을 하고 만다.
둘 다 자업자득이다. 하나는 타고난 사기꾼(잭슨)이고 또 다른 하나는 범죄자(스타인브레너)다.
범죄자는 스타인브레너를 디스한 말이었다. 골수 공화당 지지자였던 스타인브레너는 1972년 대통령 선거 때 리처드 닉슨에게 연줄 대기 목적으로 불법 정치 자금을 제공했다가 적발되어 1974년 유죄 판결을 받았고, 이에 발맞춰 메이저리그 사무국도 2년간(74~75년) 구단주 자격 정지 명령을 내렸었다. 마틴은 바로 이 사건을 들추어 낸 것이었다. 자신의 흑역사를 지적당한 스타인브레너는 당연히 분기탱천했고 마틴은 곧바로 해임당했다.[9]

파일:external/img.timeinc.net/billy_martin.jpg
너 해고( You're Fired)! 다른 사람에게 많이 들어 본 말 아닌감? 그래도 양키즈는 시즌 도중에 임명된 밥 레몬[10] 감독의 지휘로 월드시리즈 2연패를 차지했다.

감독에서 해고되었지만 본래 양키스 선수였던 마틴은 1979년 양키 스타디움에서 열린 올드 타이머 친선 경기에 참석했다. 마틴이 입장하자 양키스 팬들은 대단한 성원을 보내줬는데 이 분위기에 휩쓸린 아나운서 밥 셰퍼드가 1980년 시즌부터 다음 감독이 될 마틴이라고 소개해버렸다. 당시 양키스 감독이었던 밥 레먼은 1980년부터 프론트에서 일하기로 예정되어 있어서 새 감독을 찾고 있었는데 마틴도 후보이기는 했다.자를 땐 언제고 스타인브레너도 차기 감독으로 마틴을 염두에 두고 접촉은 했지만 확실히 결정된 건 아니었는데 '어어' 하는 사이에 일이 너무 커져버렸다. 결국 스타인브레너와 마틴은 표면적으로는 갈등을 봉합하고 1980년부터 마틴이 감독을 맡기로 합의했다.

그런데 1979시즌 중반 투타의 핵심인 레지 잭슨과 구스 고시지가 연이어 부상당하더니 설상가상 주장 서먼 먼슨까지 자가용 비행기 사고로 갑자기 세상을 뜬다. 팀 리더와 투타 기둥이 모두 뽑혀나갔으니 팀이 제대로 굴러갈 리 없었고 다급해진 스타인브레너는 마틴을 예정보다 빨리 79년 시즌 도중 감독 자리에 앉힌다. 하지만 선수가 없는데 마틴이라고 뾰족한 수가 있을 리 없었고 결국 양키스는 지구 4위로 시즌을 마쳤다. 시즌 후 미네소타의 호텔에서 점원과 멱살잡이를 하는 일이 언론에 보도되는 바람에 원래 감독을 맡기로 했던 80년에 시즌 시작도 못 하고 마틴은 또 잘렸다.

3.5. 오클랜드 어슬레틱스

파일:external/athleticsfarm.files.wordpress.com/cmbillyball.jpg
고향 오니 좋구만

1980년 중반 오클랜드가 마틴을 감독으로 호출한다. 샌프란시스코 이스트 베이(East Bay)에서 태어난 마틴에게 오클랜드는 홈타운 팀이었다. 이 곳에서 마틴은 공격적인 베이스 러닝을 바탕으로 한 "빌리 볼" 스타일을 완성했고[11] 1981년 분할 시즌에[12] 오클랜드는 전반기 서부 지구 1위 올랐고, 후반기 1위인 캔자스시티 로열스와 치른 디비전 시리즈에서 승리했다.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만난 건 양키스, 그리고 3-0으로 완패했다. 스타인브레너와 잭슨의 미소가 보이는 건 그저 기분 탓 그래도 마틴은 스포팅뉴스 올해의 감독상을 수상했고 모처럼 포스트시즌에 올라간 것에 고무된 오클랜드는 마틴을 단장까지 겸직시킨다. 하지만 전년도 혹사당한 투수들이 1982년 모두 퍼져버리면서 팀은 68승 94패로 곤두박질쳤고 마틴은 두 직위에서 모두 해고당했다.

3.6. 뉴욕 양키스 후반기

보스: 트레이드는 그 누구도 침범할 수 없는 내 권한임.
마틴: 놀구있네, 난 그렇게 멋대로 하는 행동이 아니다.
보스: 그래? 그게 싫다면 넌 해고야!!
마틴: XXX야, 난 아직 너한테 돈 한 푼도 못 받았다.
감독 계약 기자 회견장에서.[13]

파일:external/static1.businessinsider.com/george-steinbrenner-billy-martin-yankees-baseball.jpg
마틴은 이후 1983년, 1985년, 1988년 이렇게 3번 양키스의 감독이 되었으나 파트타임이라 한 번도 시즌 전체를 치르지 못했다. 이때가 비밀번호를 찍고 스타인브레너의 만행이 극에 달했던 양키스 역사상 최악의 시기여서 마틴도 딱히 좋은 성적을 거두지는 못 했다. 구단주인 스타인브레너와 팀 최고 연봉 선수인 데이브 윈필드가 서로를 대놓고 까댔으니 팀 분위기가 엉망일 수밖에 없었다. 그 탓에 피를 본 건 돈 매팅리였는데 매팅리는 양키스 영구결번 선수 중 유일하게 월드시리즈에 올라가지 못했다.[14]

1986년 양키스는 마틴의 등번호 1번을 영구결번시켰다. 1988년 시즌 후 구단 특별 자문 위원으로 물러났으나, 1990년 감독으로 다시 내정되었다. 마틴은 코칭 스탭까지 인선을 마치고 다음 시즌을 기다렸으나 거하게 술을 마시고 친구와 함께 차 타고 자기 농장으로 가다가 교통사고로 사망하고 말았다.

4. 이모저모

  • 캔자스시티 로열스로 트레이드되었을 때, 아버지처럼 존경했던 케이시 스텡걸 감독이 트레이드를 막아주지 않은 것에 대해 마틴은 큰 배신감을 느꼈고, 이 때문에 몇 년 동안 스텡걸 감독을 경기장에서 만나도 말 한 마디 하지 않았다고 한다.
  • 1972년 시즌 중 미시간 주 감옥에서 론 르플로이를 발굴했는데, 마틴은 르플로이가 일일 가석방을 허가받아 트라이 아웃에 지원할 수 있도록 도와줬다. 1973년 여름, 디트로이트는 르플로이와 계약하면서 가석방까지 이끌어 냈다. 1974년 빅리그에 데뷔한 르플로이는 도루왕 2회를 하는 등 리그 정상급 중견수로 활약했는데 정작 마틴은 1973년 해임되는 바람에 르플로이를 써먹어 보지 못했다.
  • 1978년, 르플로이의 이야기를 다룬 CBS 방송국의 TV 영화 "One in a Million: The Ron LeFlore Story"에서 마틴 감독 역을 자신이 직접 연기했다. 양키스에서 잘려서 실업자였거든
  • 마틴은 심판에게 항의할 때 항상 욕설을 퍼부으며 스파이크로 땅을 걷어 찼다. 처음에는 심판들도 경고하거나 퇴장시켰지만 나중에는 그러려니하며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렸다. 안 때리는 게 어디야
  • 양키스 감독 시절 불 같은 승부욕을 가지고 있던 포수 서먼 먼슨을 각별히 아꼈는데, 먼슨을 루 게릭 이후 30년 넘게 공석이었던 공식 주장으로 임명했을 정도였다.[15] 자가용 비행기 사고로 먼슨이 갑작스럽게 사망했을 때 그 누구보다도 눈물을 많이 흘린건 마틴이었다. #
  • 켄 그리피 시니어가 양키스에서 뛰던 시절 클럽하우스에 놀러왔던 꼬꼬마 시절의 그의 아들 켄 그리피 주니어를 못마땅하게 여겨 주니어에게 호통을 치며 쫓아낸 적이 있다. 이 사건은 아직 어린이였던 그의 마음에 큰 상처로 남게 됐고 이는 커서도 양키스를 매우 싫어하게 되는 원인이 됐다. 99년 트레이드 시장에 나왔을 때도 양키스는 절대 안간다고 공언했었을 정도.

4.1. 조지 스타인브레너와의 관계

파일:external/2.bp.blogspot.com/george%2Bbilly2.jpg
양키스의 구단주인 조지 스타인브레너와는 애증의 관계. 이 둘은 언론 인터뷰 와중에도 대놓고 서로에게 욕설을 퍼부었다. 마틴은 감독의 권한을 침범하면서 온갖 것에 다 참견하는 스타인브레너를 용납할 수 없었고 스타인브레너는 다른 사람들처럼 고분고분하게 자기 말을 듣지 않는 마틴이 눈엣가시였다. 재밌는 건 스타인브레너가 당장 급해졌을 때 SOS를 보낸 사람은 언제나 마틴이었고, 마틴도 그렇게 잘렸으면서 SOS가 오면 곧바로 감독을 맡았다. 이 츤데레들 안되겠어 빨리 어떻게든 하지 않으면.

사실 스타인브레너는 구단주인 자신 앞에서도 당당하게 할말 다하는 마틴을 '남자중의 남자'로 인정하며 굉장히 마음에 들어했고, 나, 나한테 이렇게 구는건 니가 처음이야.마틴도 구단주 특별보좌를 제안받자마자 승낙했을만큼 스타인브레너를 인정하였다.[16] 둘의 충돌은 승리를 갈망하는 과정에서 생긴 것이라고 보면 된다.

마틴이 교통사고로 사망했을 때, 스타인브레너는 베이브 루스 묘소 근처에 자비로 그의 묫자리를 마련해 주며 15년 애증의 대상에게 마지막 예우를 표했다.역시 츤데레

4.2. 사건사고

  • 1957년 자신과 친했던 화이티 포드, 미키 맨틀과 코파카바나 나이트 클럽에서 자신의 29번째 생일파티를 열다 시비가 붙어 난동을 피웠다. 양키스는 곧바로 마틴을 트레이드 시켜버렸다. 그래놓고 감독으로 불렀다 내보내길 5번
  • 1959년 공에 맞아서 턱이 부러진 이후 위협구에 굉장히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였는데 1960년 8월 4일 시카고 컵스와의 경기에서 컵스 투수 짐 브루어가 몸쪽 위협구를 던지자 방망이를 마운드로 내동댕이친 다음 마운드까지 달려와 브루어의 오른쪽 눈 주위로 주먹으로 날려 광대뼈를 부러뜨렸다.
    파일:external/90feetofperfection.files.wordpress.com/u1242407.jpg
    브루어는 2달 동안 병원에 입원했고 마틴은 5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당했다. 병원에서 퇴원한 브루어는 소송을 냈고 1969년 법원은 마틴에게 1만 달러를 배상금으로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재판 후 마틴은 브루어에게 "현금으로 줄까? 수표로 줄까?"라고 비아냥거렸다.
  • 마틴은 선수 시절 지미 피어솔, 클린트 커트니, 맷 배츠, 그리고 토미 라소다 등 거의 매년 그라운드에서 쌈박질을 했다.
  • 1969년 8월, 소속팀 투수인 데이브 보스웰과 Lindell A.C. 바에서 대판 싸웠다. 결국 지구 우승을 하고도 미네소타에서 쫓겨났다.
  • 디트로이트 감독 시절 야구 카드를 위한 사진 촬영 중 가운데 손가락을 올린 것이 찍혀버렸는데 미처 확인하지 못 했던 카드 제작사는 사진이 담긴 카드를 그대로 시중에 풀어버렸다. 이후 고의 빈볼 사건까지 터지며 디트로이트는 마틴을 해고해 버린다.
    파일:external/www.baseball-cards.com/a72-a.jpg
    왼쪽 사진의 옹골찬 왼손을 주목하자.
  • 1982년 올스타전에서 AL 감독으로 뽑혔다. 보통 올스타전에서 각 팀의 감독들은 전년도 리그 챔피언팀의 감독이 올스타전에서 감독으로 나오는데, 1981 시즌 AL 우승팀인 뉴욕 양키스의 감독이 밥 레몬에서 진 마이클로 바뀌면서[17] 1981 ALCS 패전팀인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감독 빌리 마틴이 나오게 된 것.
  • 파인타르(송진 가루) 사건: 1983년 7월 23일, 캔자스시티 로열스와의 경기에서 9회 초 캔자스시티의 조지 브렛이 역전 투런을 날렸다. 브렛이 베이스를 도는 동안 마틴은 주심에게 브렛이 규정을 위반했다고 항의했다. 규정상 송진은 방망이 끝부터 17인치까지 바를 수 있는데 브렛의 방망이에는 24인치까지 발라져 있었던 것. 주심은 이를 받아들이고 브렛의 홈런을 무효 처리하며 아웃을 선언했고, 경기를 양키스의 승리로 종료시켰다. 순식간에 홈런을 도둑맞은 브렛은 불같이 화를 내며 황소처럼 덕아웃을 뛰쳐나와 심판에게 돌진했다. 참고로, 이후 브렛은 거친 이미지로 팬들의 기억에 남게 되었는데 정작 본인은 좋아했다. 그도 그럴 게 그 전까지 브렛의 이미지는 치질보이였다(...).

    마틴은 브렛이 규정 이상으로 방망이에 송진을 많이 바른다는 사실을 시즌 초 한 스카우트로부터 들었고 이를 써먹을 결정적인 순간을 기다리고 있었던 것이다. 경기 종료 후 캔자스시티는 곧바로 사무국에 제소했고 사무국은 브렛이 규정 위반을 한 건 맞지만 타석에 들어서기 전에 이를 제지하지 않았다면 플레이 자체는 유효하다는 판결을 내렸다. 경기는 25일 후 브렛이 홈런을 친 이후 상황부터 재개되었고 경기는 캔자스시티의 승리로 끝이 났다.
  • 1985년 9월 22일,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 있는 호텔 바에서 팀 투수인 에드 윈슨과 싸움을 벌이다가 한쪽 팔이 부러졌다. 85년 성적 부진을 이유로 해임되었지만 사람들은 이거 때문일 거라고 짐작했다.
  • 시카고에서는 야구보다 풋볼을 더 좋아한다는 이유만으로 택시 기사와 난투극을 벌였다. 야빠와 축빠의 무의미한 싸움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았다[18]

[kakaotv(381666146)]

5. 관련 문서


[1] 뉴욕 양키스를 이끌고 7차례 월드시리즈 우승을 한 명장. 양키스와 뉴욕 메츠 두 구단에서 영구결번되었고, 명예의 전당에도 헌액되었다. [2] 이 해의 시즌성적은 .264 9홈런 7도루 49타점으로 그저 그런 성적이었다. [3] 마틴의 영향인지는 알 수 없지만 포드와 맨틀은 스텡걸 감독도 걱정할 만큼 알아주는 주당들이었다. 특히나 맨틀은 은퇴 후 간 수술을 받고 가족들까지 알코올 중독에 빠지는 등 술 때문에 비참한 말년을 보낸다. [4] 이후 캄파네리스는 메이저리거로서의 마지막 해인 1983년에 양키스에 입단하며 마틴을 감독으로서 대하게 된다. 조지 브렛의 파인타르 사건에서 양키스의 2루수로 나와있던 선수가 캄파네리스였다. [5] 이 사건 이전에도 야구 카드 사건이 터지면서 한 차례 홍역을 치렀다. 사건사고 항목 참조. [6] 마지막 아메리칸리그 팀은 뉴욕 양키스(98~00 시즌). [7] 나중에 잭슨은 자신은 그런 말을 한 적이 없다며 언론이 자신의 말을 왜곡했다고 주장했다. [8] 당시 양키스 9번은 로저 매리스의 비공식 영구결번 상태였다. 공식 영구결번은 1984년에 이루어진다. [9] 해임이 아니라 자진사퇴했다는 설도 있다. [10] 클리블랜드에서 전성기를 보낸 명투수 출신으로 명예의 전당에도 헌액되었다. [11] 사실 공격적인 베이스 러닝은 이 시기 메이저리그의 대세였다. [12] 시즌 중반 파업으로 6월부터 8월 사이에 경기가 열리지 않아서 전기, 후기로 나누었다. [13] 진짜 설전을 벌인 건 아니고, 기자회견장 분위기를 띄우려고 둘이 암묵적으로 맞춘 상황극이었다. [14] 더더욱 기구한 것은 양키스는 그가 데뷔하기 직전 해에 올라가고, 그가 은퇴한 다음 해에 월드시리즈에 올라갔다. 그래서 양키스의 월드시리즈 진출은 매팅리의 선수 경력의 책버팀(Bookends)이라고 영문 위키에 나온다(...). [15] 양키스는 공식 주장을 두는 데 대단히 인색하다. 게릭 역시 전 주장 에버렛 스캇 이후 10년 만에 탄생한 공식 주장이었고, 데릭 지터가 공식 주장이 된 것도 돈 매팅리가 은퇴한 1995년으로부터 8년이 지난 후였다. [16] 스타인브레너에게 시즌 도중에 해임 당했었던 또다른 양키스의 전설 요기 베라는 "스타인브레너가 있는 한 다시는 양키 스타디움에 오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정말 14년간 양키스와 상종하지 않았다가 1999년 겨우 화해했다. 그에 비하면 5번이나 잘렸으면서도 스타인브레너의 요청이나 양키스 행사에 빠지지않고 참석했던 마틴은 대인배. [17] 웃기게도 밥 레몬과 진 마이클은 1978년부터 1981년까지 조지 스타인브레너의 희생양으로 보따리장수가 될 수밖에 없었는데, 1981 시즌에 AL 챔피언이었음에도 둘은 각각 82경기와 25경기를 맡았으며, 1982 시즌에도 각각 14경기와 86경기를 지휘했다. 사실상 요상하게 공동감독이 되긴 했지만 올스타전을 치를 즈음에는 클라이드 킹으로 감독이 바뀐 상태였다. [18] 미국에서 풋볼이면 당연히 미식축구 이야기다. 1970년대에 펠레가 뉴욕 코스모스에서 뛰어도, 1994년 미국 월드컵이 개최되어도 좀처럼 자리잡지 못한 게 미국 축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