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7 04:43:35

반훈

파일:漢.svg 파일:漢_White.sv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 표준자형) · 간체자( 간체자 논쟁) · 신자체( 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통용규범한자표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 목록) · 학년별한자배당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 광동어 정음 운동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 한어병음 · 월어병음) · 한글( 동국정운)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중국 한자음 ( 문백이독 · 상고음 · 중고음 · 근고음 · 양안 간 독음) · 일본 한자음 · 베트남 한자음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국가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 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 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방언자 · 주음부호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쯔놈 · 고장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입력 · 검색 한자/입력기 · 창힐수입법 ( 목록) · 오필자형수입법 · 대이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 재춘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 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 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 한문(교과) (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 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 한자 }}}}}}}}}

1. 개요2. 설명3. 참고 문헌

1. 개요

반훈()은 하나의 한자가 상반된 의미를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이다. 옛 고서, 유교 서적에서 많이 발견되어 훈고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이며 반훈 현상이 나타나는 사()를 반훈사()라고 한다.[1] 두 한자가 반대되는 의미를 갖는 반의사()[2]와는 다른 개념이다.
예를 들어 '어지러울 란'()은 '다스리다'라는 의미를 갖기도 하며 동자인 '어지러울 란'( 𤔔)의 영어 뜻을 찾아보면 to govern(통치하다)로 설명한다.
대한민국 태극기에 포함된 4괘(건곤감리) 중 이괘(, ☲)도 본래 분리하다라는 의미이지만 반훈인 붙다라는 의미에서 유래한 불의 의미를 담고 있다.[3]

2. 설명

반훈은 하나의 문자가 문장과 맥락에 따라 반대되는 의미를 갖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용어의 정의는 곽박()이 주석을 단「 이아ㆍ석고[4]」(爾雅ㆍ釋詁)에 언급된 내용에서 시작되었다고 본다.[A]
"좋고 나쁜 것을 같은 이름으로 부르는 것을 꺼리지 않는 것"
"의미가 반대되지만 서로 겸하여 통용되는 것"
주석은 반훈의 예로 다음을 들었다.
(가다)를 (머무르다)란 뜻이라 한 것은 (어지럽다)을 (다스리다)라 한 것, (옛날)을 (잠깐,얼마전)이라 한 것, (옛날)를 (지금)이라 한 것과 같다.
곽박은 이 외에도 여러 책을 통해 많은 예시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어떤 학자들은 반훈을 부정하거나, 곽박이 제시한 많은 예시들 중 반훈으로 성립될 수 없는 글자도 있음을 주장하고 분석하기도 하였다.

반훈의 정의에 '동 시대에 동일사가 반대의 의미로 사용된 것'으로 시간과 용법에 제한을 둔 학자도 있다.[B]
가 옛날을, 이 지금을 의미하는 것은 각각 형용사, 명사로 쓰일 때이고, 둘이 통하여 사용된 것은 ''와 더불어 모두 연결사, 접속사의 의미로 고대중국어의 ''나 또는 현대 중국어의 ''(인과관계 연결)를 의미하는 용법이다. 즉, 고대에는 가 모두 같은 연결사로 사용되었고 이를 반훈이라고 잘못 분류했다는 것이다.

위의 조건을 만족하는 반훈에 걸맞은 예시도 존재한다.
는 받다라는 의미를 갖지만 반대로 주다, 수여하다의 의미도 가지며,
는 모두 빌리다라는 의미와 빌려주다라는 의미를 갖는다.

반훈의 예시는 고대 학자들이 "그 숫자를 모두 다 열거할 수 없음"이라 표현할 만큼[A] 많다고 한다.

반훈이 생겨난 원인은 여러가지일 수 있지만 그 중 대표적으로 설명되는 것은 한자가 양 방향의 의미를 담고 있는 내재적 특성이거나 음을 빌린 가차자 또는 통가자의 경우, 의미가 파생된 인신인 경우이다.
위에서 언급한 (받을 수)의 경우 글자형이 본래 주고받는 모양에서 나왔고, 이후 주다와 받다로 분화되어 반훈이 되었다는 설명이 내재적 특성의 한 예시이다.

3. 참고 문헌

* 禹在鎬, <古代漢語 反訓의 類型分析>, ≪인문연구≫ 제40,41호,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1년
* 禹在鎬, <古代漢語 反訓에 관하여>, ≪인문연구≫ 제37호,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9
* 유성은, <중국어 의미연구 방식에 대하여 - 反訓현상을 중심으로 ->, ≪중국어문학논집≫ 제27호, 중국어문학연구회, 2004년
* 진광호, <古漢語 訓詁上 反訓 現狀>, ≪중국학≫ 제47집, 대한중국학회, 2014년 #



[1] 중국어에서는 단어를 의미하는 '사()'를 의미 단위 중 하나로 말하며, 형용사, 동사와 같은 것을 말한다. [2] 한국어에서의 반의어, 상대어와 같은 개념을 의미한다. [3] 이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옛 사람들이 이용한 동의어를 분류한 책 [A] 禹在鎬, <古代漢語 反訓의 類型分析>, ≪인문연구≫ 제40,41호,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1년 [B] 유성은, <중국어 의미연구 방식에 대하여 - 反訓현상을 중심으로 ->, ≪중국어문학논집≫ 제27호, 중국어문학연구회, 2004년 [A]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