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2:27:12

광동어 정음 운동

파일:漢.svg 파일:漢_White.sv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 표준자형) · 간체자( 간체자 논쟁) · 신자체( 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통용규범한자표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 목록) · 학년별한자배당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 광동어 정음 운동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 한어병음 · 월어병음) · 한글( 동국정운)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중국 한자음 ( 문백이독 · 상고음 · 중고음 · 근고음 · 양안 간 독음) · 일본 한자음 · 베트남 한자음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국가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 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 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방언자 · 주음부호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쯔놈 · 고장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입력 · 검색 한자/입력기 · 창힐수입법 ( 목록) · 오필자형수입법 · 대이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 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 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 한문(교과) (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 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 한자 }}}}}}}}}


1. 개요2. 광동어와 중고음과의 관계3. 정음 운동의 역사4. 광동어 독음에는 표준이 없는가?5. 정음 및 통용음 대조
5.1. 단음자5.2. 다음자5.3. 불규칙 다음자
6. 여파7. 리처드 호 이후8. 비판9. 외부 링크

1. 개요


정음 운동을 주장하는 리처드 호 교수와, 반대하는 趙善軒(조선헌) 교수와의 토론.
정음01(正音)[정ː-]
「명사」
「1」글자의 바른 음. ≒제소리02「1」.
「2」한자의 속음(俗音)이나 와음(訛音)이 아닌 본디의 바른 음.

粵語正音運動[1]

홍콩중문대학 교수들을 중심으로 광동어의 '정확한' 발음을 보급하는 운동이다. 이들이 교정하려는 홍콩 젊은이들의 '잘못된 발음'과 교정사항은 아래와 같이 예시한다.
'정확한 발음' 홍콩 젊은이들의 발음
두음 /ŋ-/ 두음을 탈락시킴
두음 /n-/ /l-/로 발음함
두음 /gw-/와 /kw-/ 두음 /w/를 탈락시킴[2]
종성 /-ŋ/ /-n/로 발음함
종성 /-k/ /-t/로 발음함

음절의 '정확한 발음'을 보급하는 규범주의적 과정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기도 했는데, 바로 '한자의 정확한 독음'이 무엇이냐에 관한 것이다. 홍콩 중문대학의 명예교수였던 리처드 호(何文匯, 하문회) (위키백과) 중고음의 반절(反切) 표기를 바탕으로 재구(reconstruct)한 발음을 정확한 발음으로 제시했다. 홍콩의 아나운서들은 이 정확한 발음에 따라 발음하기 때문에, 광동어를 사용하는 일반 언중과 발음 상 괴리가 있다. 한국어에서 유사한 예로, '효과', '관건' 등의 발음이 아나운서와 일반 언중의 발음이 다른 것과 비슷하다.

광동어 노래에서도 간혹 자전에 나오는 독음과 노래의 독음이 다른 경우가 많은데, 몇몇 경우를 제외하고는 너무 보편화되어서 틀리다고 하기에도 애매하다.

정말 틀린 독음인 경우로는 불사전설을 부른 陳奕迅(진혁신)의 天下無雙(천하무쌍)이라는 노래에서 難行日子不削我對生命眷戀(어렵게 보내는 생활도 내가 생명에 대한 그리움을 깎아내리지 못했어, 1분)이라는 가사의 削(깎을 삭, soek3)을 肖(닮을 초, ciu4)로 부른 것이 있다. 녹음할 때에는 잘못 불렀지만, 다행히 이후 진행되는 콘서트에서는 제대로 된 독음으로 부른다.

국내 유일의 광동어 사전인 문오선의 "광한사전"에서는 '광동어 발음 정화(...) 운동'이라고 풀이하였다.

2. 광동어와 중고음과의 관계

광동어 정음 운동을 이해하려면, 광동어와 중고음과의 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 군모(群母, /ɡ/), 견모(見母, /k/), 계모(溪母, /kʰ/), 갑모(匣母, /ɣ/), 효모(曉母, /x/) 사이에 혼란이 있다. 이와 똑같은 현상이 한국에도 있지만 한국에서는 계모가 견모에 흡수된 것과 달리 광동에서는 효모에 흡수되었다.
  • 광동어에서는 성모의 청탁에 따라 성조가 달라진다. 이는 중고음의 清聲(청성) 성모가 광동어의 제1, 2, 3성, 濁聲(탁성) 성모가 광동어의 제4, 5, 6성에 재구되었기 때문이다. 참고로 이 현상은 양상이 다르긴 하지만 모든 중국어 방언에서 확인할 수 있다.[3]
    • 제4, 5성은 무기음 성모인 /b-/, /d-/, /g-/, /z-/와 절대 결합할 수 없고 오로지 유기음 성모인 /p-/, /t-/, /k-/, /c-/와 결합할 수 있다.
    • 제6성은 及(미칠 급, kap6), 劇(심할 극, kek6), 屐(나막신 극, kek6)[4]을 제외하고는 오로지 무기음 성모인 /b-/, /d-/, /g-/, /z-/와 결합할 수 있다. 이는 중고음의 濁上作去(탁상작거, 전탁 성모의 상성은 거성으로 한다)와 관련이 있는데, 구어음으로 유기음 성모 제5성인 글자 중 서면어음으로 무기음 성모 제6성으로 읽는 글자가 있다.
      한자 광동어 구어음 광동어 서면어음 보통화 독음 한국어 훈음

      co5 zo6 zuò 앉을 좌

      kan5 gan6 jìn 가까울 근

      pei5 bei6 bèi 입을 피

      taam5 daam6 dàn 맑을 담

      tyun5 dyun6 duàn 끊을 단
    • 예를 들어 斷(끊을 단)의 반절 표기는 徒管切인데, 광동어 독음으로 tou4(陽平)와 gun2(陰上)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광동어로 합치면 tyun5(陽上)이 된다. 그런데 중고음의 濁上作去의 변화에 따르면 陽上은 陽去(광동어 성조 제6성)로 변하고 제6성은 무기음 성모만 결합할 수 있으니까 dyun6으로도 읽을 수 있는 것이다. 보통화로도 濁上作去에 따라 去聲인 제4성 duàn으로 읽는 것이다.
  • 다만 중고음으로부터 세월이 천 년 이상 흘렀기 때문에 어느 정도 참고만 할 수 있을 뿐이다.

3. 정음 운동의 역사

광동어 정음 운동은 사실 리처드 호 교수 이전에도 黃錫凌(황석릉) 교수가 1941년 광동어 발음 기호로 간이 국제음성기호를 만들면서 粵音韻彙(월음운휘)라는 운서[5]를 편찬했다. 먼 훗날에 홍콩 중문대학에서 전자판으로 구축하기에 이른다. 당시에도 홍콩 사람들의 광동어 발음과 괴리가 있어서 어느 정도 반발이 있었는데, 이 사전이 현재 홍콩에서 출간되는 자전의 광동어 독음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 홍콩에서 출간되는 자전을 보면 소위 正音(정음)을 앞에 놓고, 그 다음에 홍콩 사람들이 자주 읽는 독음을 (語)[6], (又)[7], (俗)[8] 등으로 표기하였다.

1970년대 후반, 劉殿爵(유전작) 교수가 時間(시간)의 광동어 통용음 si4gaan3에서 보통화처럼 제1성인 si4gaan1으로 고치려고 했다. 하지만 잘 안 됐는지, 현재는 아나운서들조차 제3성으로 읽는다.[9]


1995년, 리처드 호가 RTHK에서 홍콩의 여러 스타들과 羣星匯正音(여러 스타들이 모여 발음을 바로잡기)[10]이라는 프로그램을 기획 및 직접 출연했다. 전체 보기 이 중 국내에 알려진 연예인으로는 장학우, 양조위, 곽부성, 여명 등이 있다.

1996년에는 正讀妙探顯神通(정확한 독음으로 묘한 탐정이 신통방통하다)이라는 탐정물 드라마도 기획 및 직접 출연했으며, 역시 홍콩 스타들을 초대하는 粵音正讀過三關(광동어의 정확한 독음의 세 관문)이라는 라디오 프로그램도 진행했다.

2003년에서 2004년 사이에 RTHK에서 粵講粵啱一分鐘(광동어 정확하게 말하기 1분)이라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홍콩 중문대학의 黃念欣(황념흔) 교수가 정확한 음운을, 리처드 호가 정확한 독음을 다루었다.

2006년에서 2007년 사이에 TVB에서 最緊要正字(정확한 글자가 중요해)라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리처드 호를 비롯한 홍콩 중문대학 교수들이 한자를 잘못 쓰고, 잘못 읽는 현상을 다루었는데, 한자를 잘못 읽는 현상을 다룰 때에도 역시나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그 밖에도 리처드 호의 저서로는 粵音平仄入門-粵語正音示例(合訂本)(광동어 독음 평측 입문, 광동어 정음 예시 합본판)[11] 粵讀(광동어 읽기)[12] 廣粵讀(더 넓은 광동어 읽기)[13] 등이 있다. 사실 리처드 호의 전공은 철학이기 때문에 철학 관련 책도 많이 썼으며, 언어학을 전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비판받는 측면도 있다.

리처드 호가 직접 쓴 사전도 있다. 粵音正讀字彙(월음정독자휘)와 축약판 粵音正讀手冊(월음정독수책)이 그것으로, 현재 제4판까지 나왔다. 그런데 제3판을 편찬하는 과정에서 몇몇 글자의 통용음을 인정했다. 이를테면, 雛(병아리 추)의 발음 co1를 부정해오다가 제3판에서 슬쩍 통용음으로 인정했다. 보기

그리고 몇몇 사전[14]을 감수하면서 자기가 주장하는 정음을 슬쩍 집어넣기도 했다.

4. 광동어 독음에는 표준이 없는가?

표준 중국어에는 중국 대륙에서의 普通話異讀詞審音表(보통화이독사심음표, 1985)나 대만에서의 國語一字多音審訂表(국어일자다음심정표, 1999년 초판, 2012년 수정) 같은 독음의 표준이 있다. 홍콩 교육국에서도 나름대로의 표준을 만들어서 보급했는데, 1990년 常用字廣州話讀音表(상용자광주화독음표)가 그것이다. 그러나 표준중국어에서의 표준과 같은 구속력이 없었기 때문에 이런 정음 운동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 2003년 香港小學學習字詞表(홍콩소학학습자사표)에 표준중국어음과 광동어음을 병기하였는데, 정음 운동의 영향을 받은 독음이 몇몇 보인다.


중국 대륙에서는 2002년 중국 대륙, 홍콩, 마카오 세 지역의 학자들이 모여 광동어 표준을 정한 廣州話正音字典(광주화정음자전)이 있다. 중국 대륙에서 출판하였기 때문에 본문은 간체자로 되어 있다. 위 동영상의 유튜버는 糾(꼴 규)의 발음이 어떻게 되는지 혼란스러워하다 廣州話正音字典을 찾아서 해결했다.


앞서 소개한 동영상에서의 유튜버가 廣州話正音字典을 토대로 나머지 단어들의 정확한 발음을 소개하고 있다.

홍콩에서 많이 쓰는 사전 및 자전으로는 상무인서관에서 나온 商務新字典(상무신자전)과 商務新詞典(상무신사전)이 있고, 중화서국에서 나온 中華新字典(중화신자전)과 中華新詞典(중화신사전)이 있다. 크기가 작기 때문에 휴대하기도 좋다. 이 중 商務新詞典은 2008년에 개정되어 많은 독음이 변경되었다.

5. 정음 및 통용음 대조

  • 리처드 호가 주장하는 독음 위주로 정리했다.
  • 홍콩 중문대학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광동어의 발음과 문자에 대해 알려 주는 사이트 한어다공능자고에서는 黃, 周, 李, 何 이런 식으로 어떤 표준음을 주장하는지 알 수 있다. 黃은 황석릉의 월음운휘, 周는 주무기의 광주화표준음자휘, 李는 이씨중문자전 그리고 何는 리처드 호의 월음정독자휘를 뜻한다.
  • 何 표시만 너무 보고 광동어 독음을 찾다가는 홍콩 사람들과 의사소통이 안 될 수 있으니, 많이 쓰는 독음을 따라서 배우도록 하자.

5.1. 단음자

한자 광동어 정음 광동어 통용음 보통화 독음 한국어 훈음
aat3 kit3 è 막을 알
baak1 bik1[15] 닥칠 박
bok6 pok3
paak3[16]
머무를 박
ceoi2 cyun2 chuǎi 헤아릴 췌
ci5
zi6
si6[17] zhì 우뚝 솟을 치
cing4 cing1 qíng 시안 청
co4 co1 chú 병아리 추
coeng3 zoeng3 chàng 슬퍼할 창
cong2 tong2 chǎng 넓을 창
cung1 tung4 chōng 그리워할 동[18]
cung4 zung1 cóng 물소리 종
cyu4[A] cyu5 chǔ[20] 쌓을 저
dai3 tai3 살필 체
dai3 tai3 가시 체
dai3 tai3 맺을 체
dit3 tit3[21] diē[22] 넘어질 질
din3 zin3 diàn 깔개 전
dou6 tou1[23] dǎo[24] 밟을 도
duk6 zuk6 도랑 독
faan6 faan4 fàn 범어 범
fei1 fei2 fēi[25] 붉을 비
fo2 gwo2[26] 낟알 과
fu2 pou1[27] 클 보
gaak3 gaap3[28] 가죽 혁
gaak3 lok6 뼈 격
gaam1 zam1 jiān[29] 꿰맬 함
gaap3 haap3 jiá 뺨 협
gam6[A] gam3 jìn 입다물 금
gei2 gei3[31] [32] 벼리 기
gau2 dau2[33] jiū 꼴 규
gau3 kau3 gòu 얽을 구
gau3 kau3 gòu 살 구
ging3[A] ging6 jìng 굳셀 경
ging6 ging3 jìng 다툴 경
gok8[A] lok8
gaak8
팔 각
haai5 haat6 hài 놀랄 해
ham1 am1 kān 감실 감
ham2 ham1[36] kǎn 구덩이 감
hit3 kit3 xiē 쉴 헐
hik1[A] jik1 아이 다툴 혁
hei3 tim5[38] 쉴 게
ho2 ho1 평탄하지 않을 가
hon1 hon2 kān 새길 간
heoi3 jyu3[39] 주정할 후
hyun3 gyun3 quàn[40] 문서 권
hyun3 seon1 xuàn 무늬 현
jap6[A] jap1 빛날 습
ji1 ji2 물놀이 의
ji5 ji4 비길 의
ji6 ji4 [42] 정분 의
jim4 sim4
jam4
yán 처마 첨
jin4 jyun4 xián[D] 활시위 현
jin4 jyun4 xián[D] 악기줄 현
jin2
jin5[45]
hin2[46] yǎn 널리 퍼질 연
jit6 kit3 아뢸 알
jiu1 jiu2 yāo 요망할 요
jiu2 jiu1 yāo 일찍 죽을 요
joek6 joek3 yuè[47] 뛸 약
jyu4 jyu6[48] 즐거울 유
jyu4 jyu6[49] [50] 넘을 유
jyun4 jyun2[51] wán 둥글 환
jyun5 jyu4 [52] 꿈틀거릴 연
jyut6[B][54] leot6 붓 율
jyut6[B] leot6 도요새 휼
kau1[A] gau1 jiū 비둘기 구
kau1[A] gau1 jiū 제비 구
kwok3 kwong3 kuò 넓힐 확
lai6[A] loey6 어그러질 려
lai6[A] loey6 울 려
leoi5 lau5 실 루
lit6 loey6 liè[60] 비틀 렬
man4 man5 mǐn 종족 이름 민
mau4 mau6 móu 눈동자 모
mou5 mou4
fu2
[61] 아름다울 무
mei4 nei4[62] 두루 미
mei4 nei4 물 넓을 미
mei4 nei4 원숭이 미
mei6 mei4 mèi 아첨할 미
mei6 mui6 mèi 도깨비 매
ming4 ming5 míng 새길 명
ming4 ming5 míng 어두울 명
ming4 ming5 míng 어두울 명
ming4 ming5 míng 눈 감을 명
neot6 naap6 말 더듬을 눌
ngai4[A] wai4 wéi 돛대 외
ngou4 ngou6 áo 놀 오
oi1 aai1 āi 티끌 애
ong1 hong1 āng 더러울 항
paang1[C] ping4 pēng 탄핵할 평
paang1[C] ping4 pēng 조급할 평
paang1[C] ping4 pēng 돌 구르는 소리 팽
pou2 pou4 물가 포
saap3 gip6 떫을 삽
sau1 sau2[67] sōu 찾을 수
sau1 sau2 sōu 찾을 수
seon4 ceon1 chún 메추라기 순
si6[A] saai2
saai5[69]
shì 핥을 시
soek3 lik1 shuò 번쩍일 삭
sou3 sok3 [E] 토우 소
sou3 sok3 [E] 거슬러 올라갈 소[72]
syu5 cyu5 shǔ[73] 새벽 서
syun3 hyun1 xuàn 바림 선
tan3 teoi3 tuì[74] 바랠 퇴
tim4 tim5 tián 편안할 념
tyun1[75] cyun2 tuān 여울 단
wai4 wai5 wéi 가죽 위
wan4 gwan1[76] yún[77] 대나무 균
wun6 wun4 huǎn 느릴 완
zaa3 cak1[78] zhà 꾸짖을 타
zeoi3 cyun2 zhuì 근심할 췌
zim3 cim3 jiàn 주제 넘을 참
zip3 gaap3 jiā[79] 두루 미칠 협
zin3 cin2 jiān 뿌릴 천
zit6 zit3 jié 이길 첩
zo2
zo3
zeoi2 저주할 저
zoek3 coek3 zhuó 불사를 작
zoek3 coek3 què 까치 작
zok6 zok3 zuó 어제 작
zou2 sat7[80] zǎo 벼룩 조
zung3 zung1 zōng[81] 잉아 종
zyut3[82] cyut3 duō[83] 꾸짖을 돌
zyut3 cyut3 zhuó 싹 날 줄

5.2. 다음자

한자 광동어 정음 광동어 통용음 보통화 독음 한국어 훈음
bok6
tok6
pok3
tuò
머무를 박
영락할 탁
co3
cok3
co3 cuò 그릇될 착
섞일 착
cyun5[A]
zeon3
syun5
zeon3
juàn
jùn
맛있을 준
준걸 준
cung4
cung1
cung4
sung1
cóng[85] 따를 종
고요할 종
fuk1
fau6
fuk1 뒤집을 복
덮을 부
fuk6
fau6[86]
fuk6 [87] 돌이킬 복
다시 부
gam1
gam3
gam3 jīn
jìn
견딜 금
금할 금
gwat1
waat6
waat6 huá[88] 어지러울 골
미끄러울 활
Jam4
jam6
jam6 Rén
rèn
성씨 임
맡길 임
jyu5
jyu6
jyu5
더불어 여
참여할 여
saak3
sok3
sok3 suǒ 찾을 색
새끼줄 삭
ze6
zik6
zik6[89]
jiè
깔개 자
짓밟을 적
zeoi3
zyut6
zyut6 zhuì
chuò
이을 철
막을 철

5.3. 불규칙 다음자

몇몇 단어는 광동어와 보통화의 다음자 규칙이 맞지 않아서, 리처드 호를 비롯한 정음 운동을 주장하는 학자들의 떡밥이 되었다. 상술한 時間(시간)이 그 좋은 예이다. 그리고 朝鮮(조선)이나 土著(토착) 같은 단어는 한국 사람들이 생각하기에 정음이 더 맞는 독음인 것처럼 보이지만, 홍콩 사람들은 그 나름대로의 통용음으로 읽기 때문에, 의사소통을 위해서 주의해야 한다.

단음자에도 비슷한 양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면 愉(즐거울 유)는 광동어로 원래 jyu4라고 읽어야 하는데, 愉快(유쾌)라는 단어에서는 jyu6faai3라고 많이 읽는다. 아래 단어도 '똑같은 뜻인데 왜 저렇게 읽지?'라고 의구심이 들 수도 있겠지만, 광동어만의 예외라고 생각하면 된다.
단어 광동어 정음 광동어 통용음 보통화 독음 한국어 독음
傍晚 bong6maan5 pong4maan5 bàngwǎn[90] 방만[91]
傳奇 cyun4kei4 zyun6kei4 chuánqí 전기
調查 diu6caa4 tiu4caa4 diàochá 조사
傾聽 king1ting1 king1ting3[92] qīngtīng[93] 경청
排行 paai4hong4 paai4hang4 páiháng 배항[94]
時間 si4gaan1 si4gaan3 shíjiān 시간
土著 tou2zoek9 tou2zyu3 tǔzhù[95] 토착[96]
朝鮮 Ziu4sin1 Ciu4sin1 Cháoxiǎn[97] 조선

6. 여파

그 밖에도 광동어 정음 운동은 다음과 같은 파장을 일으켰으나, 광동어를 사용하는 홍콩 언중들의 지지를 얻지는 못하였다.
  • 2009년 홍콩에서 개최된 동아시안 게임의 구호는 創造傳奇一刻(전설을 창조하자!)였는데, 傳奇(전기)를 수십 년 전부터 사용한 독음 zyun6kei4가 아닌 cyun4kei4[98]로 읽어서 논란이 되었다.[99] 또 동아시안 게임의 개막식 때 북한 선수들이 입장할 때 북한을 뜻하는 朝鮮(조선)을 Ciu4sin1이 아닌 Ziu1sin1[100]이라고 읽었다.
  • 나루토 여주인공 휴우가 히나타의 중국어 이름 日向雛田[101]의 雛(병아리 추)를 TVB 광동어판 성우가 통용되는 광동어음 co1가 아니라 co4로 읽어서, Co1tin4이 아닌 Co4tin4이 되었다. 나루토에게 연고를 전해주는 히나타, 질풍전 소극장. 심지어 홍콩에서 개봉된 나루토 더 라스트에서도 Co4tin4이라고 발음한 것을 보면 최근까지도 이런 현상이 이어지고 있는 것 같다.
  • 홍콩의 대표적인 자국어 사전인 상무신사전(商務新詞典)을 2008년을 기준으로 통용음에서 정음으로 수록된 광동어 독음을 바꾸어서 논란이 되었다. 다행히 현재 이 사전을 홍콩에서 구매했을 때에는 그런 현상이 많이 줄었다.[102]
  • 광동어 문화 전파 협회 같은 단체가 반대하고 나섰고, 급기야 解救正讀(올바른 독음을 구하라)같은 책을 출판하기에 이른다. 이들은 심지어 정음 운동 이전의 기존에 실린 광동어 음까지 반대하면서, 사전에 실린 독음과 실제 활용되는 독음이 다른 차이를 좁히려고 하였다.

7. 리처드 호 이후


벤자민 아우영(歐陽偉豪, 구양위호)[103] 또한 상술한 傳奇의 발음을 표준중국어처럼 해설하여 비판을 많이 받았다. 위의 동영상 제목[104]도 정음운동 반대자가 올린 것이다.[105]

그 밖에도 재스퍼 창(曾鈺成, 증옥성)[106]은 입법회 주석(한국의 국회의장에 해당) 시절 입법회 의원의 발음을 교정해서 화제가 되었다.

입법회 주석 퇴임 이후인 2017년 이후에는 재스퍼 창이 매주 화요일마다 AM730이라는 언론에 字言字語[107]라는 글자에 대해 설명해주는 동영상을 연재하고 있는데, 정음운동에 상당히 관용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전체 시리즈 보기 2020년 이후로 연재를 그만두었다.

재스퍼 창 이외에도 건제파 정치인이자 TVB 방송인 출신의 프랭키 로(羅榮焜, 나영혼)가 있는데, 역시 리처드 호처럼 傳奇를 cyun4kei4라고 읽고 가르치는 등의 정음파이다. 대학 강연 자료

정음 운동 반대파들도 2014년 解.救.正讀──香港粵讀問題探索(정음을 구하라 - 홍콩 광동어 독음 문제 탐색)을 출판하면서 정음 운동 논쟁은 일단락되었다. 무료로 내려받을 수도 있다.

8. 비판

蓋時有古今,地有南北;字有更革,音有轉移,亦埶[108]所必至。
대개 때에는 옛날과 오늘이 있고, 땅에는 남과 북이 있고, 글자에는 변혁이 있고, 소리에는 전이가 있으며, 대세 또한 이를 따라야 한다.
- 명나라 음운학자 陳第(진제) '毛詩古音考(모시고음고)'

最緊要正字(최긴요정자) 15회 중에서. isthiscantonese라는 유튜버가 정음 운동을 비판했다. 이 동영상에서는 절대 다수가 많이 쓰이고, 절대 다수의 사전에 실린 독음을 '어떤 사람들이 잘못 읽는 독음'으로 매도하고, 리처드 호가 지은 사전의 독음만이 옳다는 부분을 지적했다.

리처드 호가 주장하는 반절 표기는 광동어뿐만 아니라 표준 중국어, 일본 한자음, 한국 한자음의 근거가 되기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참고 사항일 뿐이다. 반절 표기에서 반영된 중고음으로부터 현대 광동어 발음까지는 천 년 이상의 차이가 나며 그때부터 지금까지 독음의 변화가 없었다면 더 이상한 셈이다. 반절 표기 근거에 맞든 맞지 않든, 그 광동어 발음을 홍콩 언중들 절대 다수가 실제로 사용한다면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결국 의도만 좋았다. 자세한 사항은 속음 문서 참조.

사실 이런 운동이 생길 수 있는 것도 광동어의 음운 변화가 그나마 규칙적으로 일어났기 때문이다. 만약 성모고 운모고 체계가 거의 완전히 박살난 한국 한자음을 대상으로는 절대 이런 운동을 일으킬 수가 없다. 실제로 변화가 덜했을 조선 초기에 세종 동국정운을 통해 시도하고 실패한 사례가 있다. 어차피 언어는 언중의 것이고 언중에게 어색하게 느껴지는 것을 억지로 주입하는 일은 결국 억지일 뿐이다. 이는 언어의 사회성과 역사성을 전면 부정하는 처사이며 인공어도 아닌 항시 변화하는 자연어를 쓰는 전체를 그 중 일부가 통제하려 하는 것은 언어학을 한다는 사람들의 태도일 수 없을 것이다.

9. 외부 링크



[1] jyut6 jyu5 zing3 jam1 wan6 dung6 윗위젱얌완둥 [2] 반모음 /w/는 한국어와 달리 광동어에서는 두음의 구성요소이다. [3] 이 때문에 광동어에서 1성이면 보통화에서도 거의 1성, 광동어에서 4성이면 보통화에서는 거의 2성이다. [4] 표준중국어로 나막신을 木屐(mùjī)라고 한다. 광동어로 스케이트를 雪屐(syut3kek6)이라고 음역하기도 한다. [5] 운모 순으로 배열했기 때문에 자전은 아니다. [6] 구어에서 많이 쓴다는 뜻. [7] 又讀音(우독음)으로, '또한 그렇게도 읽는다.'라는 뜻이다. 홍콩 사람들이 쓰는 독음이 기존 사전의 독음을 압도할 때, 혹은 둘 다 똑같이 쓰일 때 이 표시를 붙이곤 한다. 표준 중국어의 독음 기준이 정해지기 이전에 출간된 사전에도 표준중국어 독음에 이 표시를 쓰곤 했다. [8] 속음이라는 뜻. [9] 間은 '사이 간'에서는 표준중국어 jiān, 광동어 gaan1으로 읽고, '틈 간'에서는 표준중국어 jiàn, 광동어 gaan3으로 읽는다. 하지만 空間, 中間에서의 間(사이 간)은 보통화와 광동어 모두 제1성인 데 반해, 時間만은 예외로 보통화는 제1성, 광동어는 제3성이다. [10] 匯(물 돌 회)는 會(모일 회)와 비슷하게 '모여 움직이다'라는 뜻도 있지만, 리처드 호의 이름자이기도 한 중의적 표현이다. [11] 平仄(평측)이란 성조를 달리 이르는 말이다. 표준중국어의 경우는 1, 2성이 平聲에 속하고 3, 4성이 仄聲에 속하며, 광동어는 1, 4성이 平聲에 속하고 2, 3, 5, 6성이 仄聲에 속한다. 처음 이 책이 나왔을 때에는 두 책을 따로 출판했었다. [12] 상술한 粵講粵啱一分鐘의 방송 원고를 출판한 책. [13] 粵讀의 확장판으로, 홍콩 사람들이 틀리기 쉬운 영어, 표준중국어, 광동어 독음에 관한 내용. [14] 商務學生詞典, 商務學生字典, 現代漢語詳解字典, 牛津中文初階字典 등 [15] 逼迫(핍박)의 경우에는 bik1bik1삑삑이 되기 때문에, 예외로 bik1baak1으로 읽는다. [16] '주차하다'라는 뜻으로, 영어 park에 한자 泊를 붙여 泊車라고 쓴다. [17] 월음운휘를 비롯한 많은 사전이 si6라고 적어놓고 있고, 寺(절 사, zi6)에서 온 듯한 zi6로도 많이 읽는다. [18] 일본어로도 憧憬(동경)은 ショウケイ가 정음이고 ドウケイ가 관용음이다. 한국, 일본, 홍콩에서 童(아이 동)에 이끌려 읽고 있다. [A] 리처드 호 혼자 주장하는 독음이다. [20] 대만에서는 chú로 읽는다. [21] 跌打醫館(질타의관, 한방 접골원)에 한하는 독음이다. [22] 대만에서는 dié로 읽는다. [23] 重蹈覆轍(중도복철, 전철을 밟다)에 한하는 독음으로, 舞蹈(무도) 같은 다른 단어에서는 dou6로 잘만 읽는다. 이 때문에 많은 학자들이 틀린 독음으로 규정한다. [24] 대만에서는 dào로 읽는다. [25] 표준중국어로도 fěi로 잘못 읽는 경우가 많다. [26] 7,80년대 초반에 나온 광동어 노래만 해도 gwo2라고 부르는 일이 종종 있었으나, 현재는 사라졌다. 어찌 보면 정음 운동의 성공 사례인 셈. [27] 甫士(포즈, pou1si6-2)라고 할 때 쓰이는 독음이다. [28] 革命(혁명)에 한하는 독음으로, 革의 종성 /-k/와 命(목숨 명, ming6)의 자음 /m-/이 동화되어서 생긴 독음. [29] 표준중국어로도 zhēn으로 잘못 읽는 경우가 많다. [A] [31] 紀念(기념), 紀錄(기록)을 記念, 記錄으로도 쓸 수 있어서 생긴 독음이다. [32] 성씨에 한해서 Jǐ로 읽기도 했으나, 이마저도 지금은 Jì로 많이 읽는다. [33] 糾正(규정, 바로잡음)에 한해서 giu2zing6으로 읽기도 했으나, 이건 矯正을 읽은 것이다. [A] [A] [36] 坎坷(감가, 길이나 인생이 가기 힘든 모양)에 한하는 독음. 다른 단어에서는 제대로 읽는다. [A] [38] 다른 학자들도 대부분 틀렸다고 주장한다. [39] 월음운휘를 비롯한 많은 사전이 jyu3라고 적어놓고 있다. [40] 표준중국어로도 juàn으로 잘못 읽는 경우가 많다. [A] [42] 표준중국어로도 yí로 잘못 읽는 경우가 많으며, 대만 여성 이름에 많이 쓰는데 높은 확률로 yí로 읽는다. [D] 표준중국어로도 xuán으로 잘못 읽는 경우가 많다. [D] [45] 홍콩에 있는 衍慶街(연경가)의 로마자 표기가 Yin Hing Street이기 때문에 아주 쓰이지 않는 독음은 아니다. [46] 홍콩의 건강식품 그룹으로 衍生(연생)이라는 회사가 있는데, 이를 Hin2sang1으로 읽는다. [47] 표준중국어로도 yào로 잘못 읽는 경우가 많다. [48] 愉快(유쾌)에 한하는 독음. 다른 단어에서는 제대로 읽는다 [49] 逾期(초과 기한)에 한하는 독음이다. [50] 표준중국어로도 yù로 잘못 읽는 경우가 많다. [51] 구어에서 낮은 성조가 높은 성조로 되는 과정에서 얻어진 독음이다. [52] 표준중국어로도 예전에는 ruǎn으로 읽곤 했었다. [B] 리처드 호 혼자 주장하는 독음으로, 다른 사전에서는 wat6으로 읽는다. [54] 중국계 미국인 건축가 이오밍 페이가 이 글자를 쓰며, 정음운동의 영향인지 jyut6으로 읽는 사람들도 있다. [B] [A] [A] [A] [A] [60] 표준중국어로도 lèi로 잘못 읽는 경우가 많다. [61] 張信哲의 愛如潮水(사랑은 조수 같아)라는 노래에서도 嫵媚를 fǔmèi로 잘못 불렀다.(1분 35초) [62] 홍콩 구룡반도의 몽콕에 있는 彌敦道(미돈도)는 Nathan Street를 음역한 것이다. [A] [C] 리처드 호 혼자 주장하는 독음으로, 다른 사전에서는 ping1이라고 읽는다. [C] [C] [67] 처음으로 리처드 호가 인정하기 시작한 통용음으로, 搜身(수신, 몸 수색)을 sau2san1이 아닌 sau1san1으로 읽었을 경우, 修身(수신, 몸을 닦음)과 헷갈릴 수 있다는 이유에서이다. 그러나 이런 식으로 통용음을 인정해주면 형평성이 깨져서 결국 정음 운동은 실패하게 되었다. [A] [69] 광동어 구어로는 laai1나 lem1이라고 하는 말에 舐라는 글자를 붙여쓴다. [E] 표준중국어로도 shuò로 잘못 읽는 경우가 많다. [E] [72] 일본어로도 遡及(소급)은 ソキュウ가 정음이고 サッキュウ가 통용음이다. 한국을 제외한 한자문화권에서 朔(초하루 삭)에 이끌려 읽고 있다. 遡는 溯의 이체자. [73] 대만에서는 shù로 읽는다. [74] 대만에서는 tùn으로 읽는다. [75] 리처드 호 혼자 주장하는 독음으로, 다른 사전에서는 teon1이라고 읽는다. [76] 장국영의 옛 연인이었던 여배우 毛舜筠(모순균)을 로마자로 Mo, Shun-Kwan이라고 쓴다. [77] 표준중국어로도 jūn으로 잘못 읽는 사람들이 많아, 본명이 鄧麗筠인 등려군은 아예 鄧麗君으로 예명을 지었다. [78] 홍콩 라디오 방송 중에 叱咤(질타)903이라는 채널이 있고, 여기서의 홍콩 음악 차트를 叱咤樂壇(질타악단)이라고 하는데, 모두 cik1cak1으로 읽는다. [79] 대만에서는 jiá로 읽는다. [80] 蝨(이 슬)과 헷갈려서 생긴 독음이다. 둘 다 아주 작은 곤충이라 그런 모양. 이 때문에 跳蚤市場( 벼룩시장)을 跳蝨市場이라고 쓰거나 읽는다. 벼룩은 뛰는데 는 뛰지 못한다. [81] 대만에서는 zòng으로 읽는다. [82] 월음운휘를 비롯한 다른 사전에서는 deot1으로 읽기도 한다. [83] 대만에서는 duò로 읽는다. [A] [85] 대만에서는 從容이라고 할 때에는 cōng으로 읽는다. [86] 시를 읊거나, 불경을 외울 때 간혹 쓰이는 독음이다. [87] fau6에 해당하는 독음 fòu가 있었으나 도태되었다. [88] gwat1에 해당하는 독음 gǔ가 있었으나 도태되었다. [89] 藉口(자구, 핑계)를 借口로도 쓰기 때문에 借의 독음 ze3로 읽기도 한다. 그래서 藉口는 광동어로 ze6hau2, ze3hau2, zik6hau2 세 가지 독음으로 읽을 수 있는 셈. 그런데 리처드 호는 ze6라는 발음을 안 쓴다며 zik6이라는 발음을 옹호하고 나섰다. 참조 [90] 대만에서는 bāngwǎn으로 읽는다. [91] '저녁'이라는 뜻이다. [92] 聽(들을 청)은 광동어 독음이 세 가지가 있는데, '듣다'라는 뜻으로는 구어에서 teng1, 문어에서의 앞글자에서는 ting1, 뒷글자에서는 ting3이라고 발음한다. '이튿날'이라는 뜻으로는 teng1으로 읽으며, '따르다'라는 뜻으로는 ting3으로 읽는다. [93] 대만에서 聽을 '따르다'라는 뜻으로는 tìng으로 읽는다. [94] '형제자매 사이의 순서'를 가리키는 말이다. 순위 차트를 排行榜이라고 한다. [95] 오래된 사전에는 tǔzhuó라는 독음도 실려 있지만 지금은 도태되었다. [96] '토저'가 아니다. 著(나타날 저)는 원래 着(붙을 착)의 본자로 대만에서는 著로 통합하였고, 중국과 홍콩은 著와 着을 분리해서 쓰는데, 유독 土著은 중국어권에서 土着이라고 적지 않는다. [97] 대만에서는 Cháoxiān으로 읽는다. [98] 傳(전할 전)은 보통화 chuán에 해당하는 독음은 cyun4이고(예: 傳說, 流傳), 보통화 zhuàn에 해당하는 독음은 zyun6이다.(예: 傳記, 經傳) 傳奇는 보통화로 chuánqí라고 읽지만, 광동어로는 노래에서도 zyun6kei4라고만 읽는다. 광동어에 해당되는 예외인 셈이다. [99] 時間의 독음을 si4 gaan1이라고 보급할 때와 달리 傳奇의 정음 cyun4 kei4는 동아시안 게임 이후 광동어 뉴스에서 정착되기에 이른다. [100] 朝鮮은 '고요한 아침의 나라(The Land of Morning Calm)'이라고 했었던 걸 생각하면 '아침'이라는 뜻인 보통화 zhāo, 광동어 ziu1를 써서 각각 Zhāoxiān, Ziu1sin1이라고 읽는 것이 맞는 것 같지만, 朝鮮은 보통화에서 Cháoxiǎn(대만에서 Cháoxiān), 광동어로 Ciu4sin1이라고 읽는다. 오래된 사전에는 Zhāoxiān이라는 독음도 실려 있지만 지금은 도태되었다. 애초에 '고요한 아침의 나라'도 외국인의 잘못된 표현이며, 사기의 주석에도 朝(아침 조)는 潮(조수 조, Cháo와 Ciu4에 해당)라고 읽는다고 되어있다. [101] 이름의 뜻을 생각하면 日向日向이 되어야 하겠지만, 日(히) + 向(나타)에서 雛(히나) + 田(타)의 구조로 재구성하여 다시 음역했다. [102] 唳(울 려)를 lai6 또는 lit6으로 읽는 등의 독음이 아주 조금 보이기는 하다. 이런 독음은 전혀 쓰이는 독음이 아니며, 제대로 된 광동어 독음으로는 leoi6라고 한다. [103] 홍콩 중문대학 중문과 부교수. Ben Sir라고 많이 불린다. 리처드 호와 같은 학교에 있으면서 정음운동의 실질적 후계자로 평가받았다. [104] 동영상 제목은 '사전도 안 찾아보고 고증도 안 했으면서 傳奇를 cyun4kei4라고 읽는다'라는 뜻. 실제로 홍콩에서 만든 사전은 각 낱글자의 광동어 발음은 달아놓았지만 단어의 발음은 지면 관계로 표준중국어 발음만 달아놓은 경우가 많다. [105] 그러다가 정음운동이 쇠퇴하자 TVB의 學是學非라는 프로그램에서 傳奇의 발음에 대해 더 포용적인 입장을 취했다. 이후 정음운동은 거의 하지 않으며 방송에 많이 출연하면서 광동어 수호 활동을 하고 있다. [106] 홍콩의 친중파 또는 건제파 정치인 중 한 명이다. [107] '글자를 말한다'라는 뜻인데 혼잣말이라는 뜻의 自言自語와 동음인 것을 이용한 중의적 표현. [108] 해석에 따라 勢(세력 세)와 藝(재주 예)로 쓰이는데, 여기서는 전자로 쓰였다. [109] 여러 사전을 참고하여 광동어 독음을 대조해볼 수 있는 사이트로, 획일적인 광동어 정음 운동에 대항하기 위해 만들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