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꽃(동음이의어) 문서 참고하십시오.
생식 기관 Reproductive Organs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사람 및 동물 | ||
남성( 수컷)의 성기 | <colbgcolor=#fff,#191919> 분류 | <colbgcolor=#fff,#191919> 음경 ( 귀두 · 포피 · 해면체 · 진주양음경구진) · 음낭 ( 고환 · 정낭 · 정소 · 부정소) · 전립선 | |
같이 보기 | 정자 · 정액 · 쿠퍼액 | ||
여성( 암컷)의 성기 | 분류 | 음문 ( 음렬 · 대음순 · 소음순 · 음핵) · 질 · 나팔관 · 자궁 · 난소 · 난황샘 · 난형성강 · 산란관 · G스팟 · 자궁경부 | |
같이 보기 | 난자( 알) · 애액 · 냉 · 월경 | ||
관련 문서 | 총배설강 · 요도 | ||
동물의 번식( 성관계) | 배란 → 사정 → 수정( 체외수정) → 임신( 태반 · 임신선) → ( 산란 · 출산 · 부화) | ||
식물 및 균류 | |||
식물의 성기 | 꽃 · 꽃잎 · 수술(꽃밥 · 수술대 · 장정기) · 암술(심피 · 암술머리 · 암술대 · 씨방 · 밑씨 · 꽃받침 · 장란기) · 홀씨주머니(포자낭) | ||
식물의 번식 | 포자 · 수분 · 꽃가루 · 열매 · 구과 · 씨앗 | ||
균류의 번식 | 포자 · 버섯(자실체 · 버섯모) |
[clearfix]
1. 개요
花, 榮 | Flower(초본), Blossom(목본)속씨식물의 생식 기관으로[1], 꽃이 화석상으로 처음 등장한 시기는 쥐라기 초기인 1억 7천만년 전으로 확인되며 이 화석은 중국 난징 동쪽 쥐라기 지층에서 나왔다. 기사
2. 특징
식물들 중 고등식물의 경우 다른 개체의 유전자를 받는 유성생식을 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관으로, 자신들의 꽃가루를 다른 개체의 꽃에 전달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꽃은 보통 꽃가루를 생성하는 수술과 꽃가루를 받는 암술을 기본으로 씨방, 꽃잎, 꿀샘 등의 보조 기관들이 모인 의외로 정교한 구조다.[2]-
식물의 성
암술만 지닌 암꽃과 수술만 지닌 수꽃이 따로 나뉘면 단성화, 암술과 수술이 모두 지닌 꽃은 양성화로 구분한다. 또한 단성화 식물 중에서는 한 나무에 암꽃과 수꽃이 모두 펴면 자웅동주, 암꽃만 피거나 수꽃만 피는 자웅이주로 구분한다.
-
꽃의 수정
식물들은 스스로 움직일 수가 없으므로 꽃가루를 퍼뜨리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동원하게 된다. 가장 대표적인 분류로는 우리가 익히 아는 다양한 색을 띠고 꿀을 품은 꽃인 충매화가 있다. 대부분의 꽃들이 충매화이다.
충매화는 벌레들을 꼬이게 하여 그 벌레의 몸에 꽃가루를 묻혀 다른 꽃으로 날아가 수정이 되게 하는 전략을 택하는데, 벌레가 꼬이게 하기 위해 다양한 색감과 꿀을 공급한다. 색과 꿀에 이끌린 벌레들은 꿀샘을 빨기 위해 암술과 수술을 건드리면서 지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꽃가루가 전달되어 수분이 된다.
풍매화는 바람에 꽃가루를 날리게 하여 수분을 시키는 전략을 택한다. 물고기들에서나 보이는 전략으로서 꽃가루 철이 되면 수많은 사람이 알레르기로 고생하게하는 주범. 대표적인 풍매화는 소나무와 벼가 있다.
이외에 물을 이용하는 수매화[3], 새를 이용하는 조매화 등이 소수 있다. 조매화의 예시로 겨울에 피는 동백꽃이 있는데, 한국의 겨울은 벌레가 활동하기에 너무 춥기 때문에, 겨울에 꽃을 피는 동백꽃은 벌레보다 덩치가 큰 동박새를 유혹하기 위해 꿀의 양이 많게 진화했다.[4]
3. 구조
- 꽃잎(화판(花辦), petal): 꽃의 본체를 둘러싸는 변형된 잎. 영양기관이다. 나비, 벌 등 수분(受粉)을 하는 곤충들을 유혹하기 위해 화사한 색을 띄고 있으며 인간이 꽃에 부여하는 미(美)의 가치의 핵심이 된다.[5] 몇몇 꽃은 꽃잎이 퇴화되어 있다.
- 수술(웅예(雄蘂), stamen): 남성역에 해당하는 꽃의 생식 기관.
- 꽃밥(약, anther): 꽃밥부리가 달려 있으며 여기에서 꽃가루가 생성된다.
- 수술대(화사, filament): 꽃밥을 지지하는 기관. 꽃실이라는 다른 이름도 있다.
- 암술(자예(雌蘂), carpel/pistil)
- 심피(carpel): 암술의 구성단위. 원래 겉씨식물에서 밑씨를 달고 있던 잎(대포자엽)이 밑씨를 감싸고 가장자리가 봉합된 것. 떨어져 있는 형태의 심피는 갈래심피, 붙어 있는 심피는 통심피라고 부른다. 심피가 그대로 성숙해서 열리는 열매를 송편과라고 한다. 여기서 심피와 분리된 채로 성숙하게 되면 꽃 하나에 여러 개의 독립된 열매들이 열리게 되는데 이를 모임과라고 한다.
- 암술머리(stigma)
- 암술대(style)
- 씨방(ovary): 밑씨를 감싸는 부위. 이 부분이 나중에 커져서 과일의 과육이 된다.
- 밑씨(ovule): 배주(胚珠)라고도 한다.
- 태좌(placentation): 밑씨가 달려 있는 여러 형태.
- 꽃받침(악편(萼片), sepal): 꽃잎과 함께 변형된 잎이면서 꽃의 영양기관이다.[6] 꽃잎과 마찬가지로 생식기관을 감싸는 역할을 한다. 일부 꽃은 꽃받침이 꽃잎을 대신하기도 한다.
- 꽃턱(화탁(花托), receptacle)
- 꽃피(화피(花被), perianth): 원시적인 꽃에서 발견되는 영양기관으로 꽃받침과 꽃잎이 분화되지 않아 어느 것이 꽃잎인지 구별이 불가능하다. 갈래꽃이나 통꽃처럼 꽃피가 통합되어 있거나 분열되어 있는 부류가 있다.
이들 중에서 생장 기관은 꽃잎, 수술, 암술, 꽃받침이고 암술, 수술 외의 것은 씨방, 밑씨, 꽃받침, 꽃받기가 있다.
4. 식재료
일부 꽃은 식용으로도 쓰인다.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정향, 홉, 케이퍼 등이 그 예이다. 또한 튀르키예에선 장미로 만든 잼도 있다. 한국 요리 중에는 화전이라는 요리가 있는데, 진달래 등의 꽃으로 만든다. 다만 최근엔 먹고싶어도 먹기 힘들다.위의 특기할 사례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꽃은 식용으로 쓰기에 적절치 못하다. 상기된 브로콜리나 콜리플라워도 다 핀 꽃이 아니라 꽃이 피기 전의 봉오리를 먹는 것이다. 다 피어난 꽃잎은 질기고 쓰며 꽃술은 딱히 이렇다 할 맛이 없다. 꽃술은 요리하면 지저분하다고 떼고 조리하는 것이 보통. 꽃에서 나오는 꿀은 한 송이에서 나오는 양으로는 달지도 않다. 아티초크도 식재료 꽃이긴 하지만 이파리가 아니라 꽃대를 먹는 식물이며 역시 다 핀 꽃은 먹지 않는다. 식물의 입장에서 본다면 번식을 위해서 꽃을 최대한 눈에 띄게 하면서도 먹히지 않게 할 필요가 있으니 꽃에 맛을 투자하면 안 된다. 그러면 동물들이 꽃까지 다 먹어치워서 번식에 실패할 테니까.[7] 같은 이유로 인간의 입장에서도 꽃을 먹을 바에야 꽃을 냅둬서 식물이 맺은 열매를 먹는 것이 훨씬 이득이기에, 대체로 굳이 꽃을 먹기 위해 품종 개량을 거치지는 않는다. 대부분 식용 꽃은 식용으로 품종 개량이 된 게 아니라 원래부터 독이 적어 딱히 먹어도 해가 될 것이 없는 종류를 음식 장식으로 올리는 정도다.
또한 보통 잎채소들은 꽃이 피면 잎사귀와 줄기가 질기고 써서 꽃이 핀 잎채소는 웬만해선 먹지 않는다. 가능하면 꽃대가 올라오기 전에, 늦어서 꽃대가 보여도 꽃이 피기 전에 소비한다. 꽃이 핀다는 건 그 식물이 꽃을 피울 만큼 성숙했다는 뜻이고, 성숙한 식물은 줄기가 튼튼해졌을 것이다. 초식동물이면 모를까 사람의 위장으로 소화시키기 힘들만큼 질긴 상태가 된 것이다. 그리고 성숙한 식물 특유의 쓴맛[8]이 나기도 하며, 대부분의 나물이나 채소를 어린순으로 먹는 것이 이런 이유다. 열매나 뿌리를 먹는 과채류는 해당사항이 없다. 대신 꽃이 많이 피면 영양이 분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인위적으로 일부만 남기고 솎아낸다.
예외적으로 다 핀 꽃만 먹는 식물도 있는데, 바로 무화과다. 사프란은 꽃잎도 꽃꿀도 아닌 꽃술만 따서 사용하는 경우이다.
깨끗하게 잘 말려서 차를 우리는 데에 쓰기도 한다.
5. 계통 분류
1. 씨앗이
씨방에 쌓여있지 않은
겉씨식물과 달리 씨앗이 씨방에 쌓여있다는 점에서 속씨식물군으로 갈라진다.
2. 속씨식물군에서 암보렐라목, 수련목,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붓순나무목)이 갈라져나온 후 핵심 속씨식물군이 갈라져나온다.
→ 암보렐라목/수련목/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핵심 속씨식물군
3. 핵심 속씨식물군에서 홀아비꽃대목[9], 목련군이 갈라져나온다. 그 후 외떡잎식물군이 갈라져나온다. 이후 붕어마름목[10]과 진정쌍떡잎식물군이 갈라져나온다.
→ 외떡잎식물군/붕어마름목/진정쌍떡잎식물군
4-1. 외떡잎식물군은 이후 창포목, 창포목, 택사목, 페트로사비아목, 마목, 판다누스목, 백합목, 비짜루목, 닭의장풀군 등이 순서대로 갈라져나온다.
4-2. 진정쌍떡잎식물군에서 미나리아재비목, 프로테아목, 수레나무목[11], 회양목목[12]이 갈라져나온 후 핵심 진정쌍떡잎식물군이 갈라져나온다.
→ 미나리아재비목/프로테아목/수레나무목/회양목목/핵심 진정쌍떡잎식물군
5-1. 닭의장풀군은 종려목, 벼목, 생강목, 닭의장풀목으로 갈라진다.
5-2. 핵심 진정쌍떡잎식물군은 군네라목, 딜레니아목, 초장미군, 초국화군으로 갈라져나온다.
→ 초장미군/초국화군2. 속씨식물군에서 암보렐라목, 수련목,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붓순나무목)이 갈라져나온 후 핵심 속씨식물군이 갈라져나온다.
→ 암보렐라목/수련목/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핵심 속씨식물군
3. 핵심 속씨식물군에서 홀아비꽃대목[9], 목련군이 갈라져나온다. 그 후 외떡잎식물군이 갈라져나온다. 이후 붕어마름목[10]과 진정쌍떡잎식물군이 갈라져나온다.
→ 외떡잎식물군/붕어마름목/진정쌍떡잎식물군
4-1. 외떡잎식물군은 이후 창포목, 창포목, 택사목, 페트로사비아목, 마목, 판다누스목, 백합목, 비짜루목, 닭의장풀군 등이 순서대로 갈라져나온다.
4-2. 진정쌍떡잎식물군에서 미나리아재비목, 프로테아목, 수레나무목[11], 회양목목[12]이 갈라져나온 후 핵심 진정쌍떡잎식물군이 갈라져나온다.
→ 미나리아재비목/프로테아목/수레나무목/회양목목/핵심 진정쌍떡잎식물군
5-1. 닭의장풀군은 종려목, 벼목, 생강목, 닭의장풀목으로 갈라진다.
5-2. 핵심 진정쌍떡잎식물군은 군네라목, 딜레니아목, 초장미군, 초국화군으로 갈라져나온다.
6. 문서가 있는 꽃
자세한 내용은 :분류:꽃 문서 참고하십시오.이름순 정렬은 분류:꽃 참고.
6.1. 사계절
6.1.1. 봄에 피는 꽃
6.1.2. 여름에 피는 꽃
6.1.3. 가을에 피는 꽃
6.1.4. 겨울에 피는 꽃
6.2. 미분류
7. 문화
사람들로 하여금 형태와 향, 색에 미적 감각을 느끼게 하는 꽃은 예로부터 아름다움과 화려함을 상징하는 비유적 표현으로 사용되어 왔다.예시로는 꽃미남, 꽃중년, 꽃 같은 청춘 등의 표현이 있다. "영화의 꽃은 감독"이라는 말처럼 중요한 대상을 비유할 때 쓰이기도 한다.
한편 감상의 대상으로서의 꽃은 동양권을 중심으로 수동적인 이미지로 여겨지기도 하며, 중국과 일본에서는 꽃의 수동적인 이미지와 아름다운 이미지[14]를 토대로 주로 여성이 꽃에 비유되어 왔다. 그 예로 일본의 조신한 여성상을 상징하는 야마토 나데시코의 나데시코는 패랭이꽃이라는 뜻이며, 일부다처제 시기에는 여자는 아름답고 조신한 꽃, 남자는 꽃을 찾아 꿀을 먹고 다른 꽃을 찾아다니는 벌로 비유되곤 했다. 한국의 경우 여성의 수동성을 강조하는 성리학[15]이 조선 후기 이후 강하게 자리 잡으며 약해졌지만 그 이전의 흔적이 남은 한국 신화에서는 농경신 자청비처럼 꽃이 여성의 신비한 무기처럼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심지어 신라 화랑처럼 남성성과 연관된 경우도 존재한다.
서양에서는 여성이 수동적인 것을 그렇게 좋아하지 않아 붉은 장미가 열정을 상징하기도 했으며, 생명력이나 아름다움이 강조되는 경우가 많았다. 고대 로마의 꽃의 여신인 플로라는 화관을 쓰고 돌아다니기를 좋아하고 꽃잎을 길거리에 뿌리는 능동적인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오히려 사회적 도덕 규범도 배제되는 원초성이 중시되기도 하여 고대 로마의 플로랄리아 같은 축제는 방탕한 모습도 연출이 되었다. 화관과 같은 장식은 숙녀의 상징이 되기도 했다. #
전 세계적으로 여아나 여자 캐릭터 이름을 지을 때 꽃 이름으로 짓는 것이 그 예시이며, 아름다운 사람을 특정해서 꽃에 비유하는 것이 있다.
상징으로도 많이 쓰여, 불교에서는 연꽃이 부처의 자비와 지혜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여겨진다. 기독교의 사도 토마스도 인도에서의 선교에 대한 전승으로 인해 연꽃이 상징이다. 여러 왕실에서도 꽃이 상징인 경우가 많고, 일본 등지의 국가에서도 꽃이 국가 문양으로 쓰인다. 매화나 국화는 오히려 유교적 질서에서도 사군자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인명으로 사용되는 꽃 이름으로는 한국에서는 장미, 나리 등이, 일본에서는 사쿠라( 벚꽃), 츠바키( 동백꽃), 나데시코( 패랭이꽃), 아자미( 엉겅퀴), 스미레( 제비꽃), 아야메( 붓꽃), 보탄( 모란), 유리( 백합) 등이, 중동권에서 닐뤼페르( 수련), 야스민( 재스민), 영미권에서는 로즈( 장미), 바이올렛( 제비꽃), 릴리( 백합), 데이지( 데이지) 등이 있다. 주로 여성 인명으로 사용된다.
'가장 아름다운 순간'이기 때문인지 '행사의 꽃'이나 '꽃피지 못한 청춘' 같은 표현처럼 절정기를 비유하는 말로도 쓰인다. 이 표현은 열매에도 쓰이지만 꽃과는 논점이 다른 느낌이 있다.[16]
꽃을 좋아하는 사람은 얼굴이 예쁘고 마음이 맑다는 것은 클리셰가 존재한다. 꽃반지나 꽃팔찌 등도 시골이나 풀밭에서 연애가 등장하면 자주 등장하는 물품.
아름답기 때문에 선물을 비롯한 상징적 의미로도 많이 사용된다. 꽃다발, 화환 등은 축하나 기념의 의미로 자주 쓰이며, 흰 꽃으로는 조화(弔花)를 만들기도 한다. '화환은 기념의 의미이고 조화는 추모의 의미이므로 추모식장에 보내는 것은 화환이 아니다'라는 말이 돌기도 하는데, 화환(花環)이라는 단어 자체는 꽃을 고리처럼 만들었다는 뜻밖에 없다.[17] 이외에는 스승의 날, 어버이날 같은 날 꽃을 달아 드리거나 졸업식 혹은 각종 시상식에 꽃다발을 선물하는 경우에 많이 볼 수 있다.
결혼기념일 같은 각종 기념일에 꽃을 선물하는 사람도 많은데, 이럴 때는 주로 남성이 여성에게 선물하는 편이다. 다만 꽃이 보기에는 예뻐도 실용성은 낮은 물건인 데다[18] 생화는 관리하기도 어렵고, 버릴 때쯤엔 처치곤란이 되는 경우도 많이 생긴다. 이 때문에 의외로 꽃 선물을 안 좋아하는 사람도 많고, 꽃을 좋아하더라도 특별한 날에 꽃 하나만 덜렁 주면 대부분 실망한다. 상대의 성향을 파악해서 지나가는 선물로 주거나, 주 선물은 따로 챙기고 보조 선물로 주는 편이 좋다. 꽃을 좋아한다면 특별히 기념일이 아니더라도 꽃을 선물을 주면 반가워할 가능성이 높으니 가끔 시도해 보자.
현대에는 선물받은 꽃을 드라이플라워로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자칫하면 벌레가 꼬일 수 있으니 주의.
한국에서는 머리에 꽃을 꽂으면 미쳤다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인식은 최근에 생긴 것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정확히 '머리에 꽃 = 광녀'라는 이미지는 대구의 일명 '금달래'라는 여성의 일화담에서 비롯되었다. 금달래는 대구 지역에 널리 퍼져있던 일화담의 등장인물인데, 일화들을 종합하면 1930년대 대구 달성동 지역에 나타난 것으로 추정[19]된다. 그녀는 개인사적 비극으로 인해 정신이 온전치 못해 머리에 꽃을 꽂고 산발을 한 채 대구 서문시장을 떠돌아다녔다. # 그녀에게서 이미지를 따와 드라마나 영화(예를 들어 금보라 주연의 1986년작 '금달래') 같은 매체에서 등장해 유명해졌던 것이 그대로 굳어진 것이다. 머리에 꽃을 꽂는 행위를 제정신이 아닌 인물들이 낮은 정신연령이거나 미쳤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도 존재한다. 참조링크
사실 한국에서 머리에 꽃을 꽂는 행동이 원래부터 금기시되던 것은 아니었다. 실제로 고려시대 1019년 2월 5일, 현종이 거란과의 전쟁에 승리하고 돌아온 강감찬을 맞이하며 금으로 만든 8가지 꽃을 강감찬의 머리에 직접 꽂아 주었다. 조선시대에는 궁중 연회 참석자들의 머리에 잠화라는 조화를 달았으며 장원 급제자에게 임금이 직접 어사화라고 하는 종이꽃을 머리에 달아주기도 했다. 축제 날 여인들이 머리에 꽃을 장식했다는 기록 역시 전해지고 있다. #
7.1. 관련 창작물
게임에서는 왠지 먹으면 파이어볼을 쏘게 한다든지, 사람들을 잡아먹으려 한다든지[20] 하는 등 본래 꽃의 기능과는 수만 광년 떨어진 설정이 많다. 후자의 경우에는 아무래도 식물 중에 오므렸다 펴졌다 하는 부분으로 꽃이 제일 대표적이어서 그렇지 않은가 싶다.꽃을 무기로 사용하는 경우는 식물/창작물 문서 참고.
- 꼬마마법사 레미 ♯
- 프리큐어 시리즈
- 프리큐어 Splash Star - 큐어 블룸 : 상징꽃은 해바라기.
- Yes! 프리큐어 5 GoGo! - 큐어 드림, 큐어 루즈, 큐어 레모네이드, 큐어 민트, 큐어 아쿠아, 밀키 로즈 : 앞의 5명은 붉은 장미, 밀키 로즈는 푸른 장미.
- 후레쉬 프리큐어! - 큐어 피치, 큐어 베리, 큐어 파인, 큐어 패션 : 변신 이름은 과일에서 따왔으나 넷이 합쳐서 네잎클로버라는 소재로 다룬다.
- 하트캐치 프리큐어! - 큐어 블로섬, 큐어 마린, 큐어 선샤인, 큐어 문라이트 : 작품 자체가 꽃을 소재로 다루었다. 하지만 4명의 상징적인 꽃이 있는데 블로섬은 벚꽃, 마린은 코스모스, 선샤인은 해바라기, 문라이트는 장미다.
- 심쿵! 프리큐어 - 큐어 로제타 : 주요 상징은 네잎 클로버이며 캐릭터 자체가 꽃을 좋아한다.
- 해피니스 프리큐어! - 큐어 허니, 큐어 프린세스의 마카다미안 훌라댄스, 큐어 포춘의 안미츠 코마치 : 허니는 상징 문양이 네잎 클로버, 마카다미안 훌라댄스는 플루메리아, 안미츠 코마치는 벚꽃으로 추정된다.
- Go! 프린세스 프리큐어 - 큐어 플로라
- 마법사 프리큐어! - 큐어 펠리체
- 허긋토! 프리큐어 - 큐어 옐
- 힐링굿♡ 프리큐어 - 큐어 그레이스
8. 언어별 명칭
<colbgcolor=#f5f5f5,#2d2f34> 언어별 명칭 | |||
한국어 | 꽃 | ||
곶( 중세 한국어) | |||
한자 | 花( 화) | ||
디베히어 | މާ(mā, 마) | ||
러시아어 | цвето́к(cvetók), цветы́(cvetý)(복수) | ||
마인어 | bunga(붕아),[21] kembang, puspa, kesuma | ||
바스크어 | lore(로레) | ||
스페인어 | flor | ||
아랍어 | زَهْرَة(zahra), زُهُور(zuhūr)(복수), أَزْهَار(ʔazhār)(복수), وَرْدَة(warda) | ||
وَرد(ward), وَرْدَة(warda)( 이집트 아랍어) | |||
아이누어 | epuyke/エプィケ, epuyge/エプィゲ, tom/トㇺ(톰), nonno/ノンノ(논노) | ||
영어 | flower(플라워), bloom, blossom | ||
blostma( 고대 영어) | |||
flour( 중세 영어) | |||
이탈리아어 | fiore(피오레) | ||
일본어 | [ruby(花, ruby=はな)](hana, 하나) | ||
중국어 | 花(huā), 花兒/花儿(huār), 花朵(huāduǒ), 花卉(huāhuì) | ||
파슈토어 | ګل(gul, 굴) | ||
페르시아어 | گل(gol, 골), اسپرغم(esparğam) | ||
گل(gul, 굴)( 다리어) | |||
гул(gul, 굴)( 타지크어) | |||
프랑스어 | fleur | ||
flor, flur(고대 프랑스어) | |||
핀란드어 | kukka(꾸까/쿠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기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colbgcolor=#f5f5f5,#2d2f34> 고전 이집트어 | wnb(weneb) | |
과라니어 | yvoty | ||
그리스어 | άνθος(ánthos), λουλούδι(louloúdi), ανθός(anthós) | ||
ἄνθος(ánthos)( 고전 그리스어) | |||
나바호어 | chʼil bílátah hózhóón, chʼilátah baa hózhónii | ||
나와틀어 | xochitl | ||
네오, 볼라퓌크 | flor | ||
노비알 | flore | ||
독일어 | Blüte, Blume | ||
라틴어 | flōs | ||
마오리어 | putiputi, puāwai | ||
만주어 | ᡳᠯᡥᠠ(ilha) | ||
베트남어 | hoa( 花), bông | ||
산스크리트어 | पुष्प(puṣpa), पुल्ल(pulla), कुसुमम्(kusumam), प्रसूनम्(prasūnam), सुमम्(sumam) | ||
아이마라어 | phaqhalli | ||
알라바마어 | pakaali | ||
에스페란토 | floro(플로로) | ||
이누이트어 | ᐱᕈᖅᓯᐊᖅ(piruqsiaq), nunangoark, perusiatsiark | ||
sikkersoq( 칼라흘리수트(그린란드어)) | |||
체로키어 | ᎠᏥᎳᏍ(atsilas), ᏥᎳ(tsila) | ||
케추아어 | t’ika, tuktu, sisa, wayta, waita | ||
콥트어 | ϩⲣⲏⲣⲓ(hrēri)(보하이라) | ||
ϩⲣⲏⲣⲉ(hrēre)(사히드) | |||
타히티어 | tiare, ʻuaʻa | ||
태국어 | ดอก(dɔ̀ɔk), ดอกไม้(dɔ̀ɔk-máai), บุษบา(bùt-sà-baa) | ||
토하라어 | pyāpyo( 토하라어 B: 쿠처 방언) | ||
튀르키예어 | çiçek | ||
چیچك(çiçek)( 오스만어) | |||
포르투갈어 | flor | ||
chor, flor, fror(고대 포르투갈어) | |||
하와이어 | pua(푸아) | ||
히브리어 | פֶּרַח(pérakh) | ||
히타이트어 | 𒀀𒇷𒂖(a-le-el) | ||
힌디어 | फूल(phūl), पुष्प(puṣp) | ||
پھول(phūl), پشپ(puśp)( 우르두어) | }}}}}}}}} |
9. 관련 문서
[1]
겉씨식물도 꽃이라고 부르는 것이 피지만, 일반적으로 꽃은 속씨식물만의 특징으로 여겨진다. 겉씨식물의 꽃은 엄밀히 말해 구화수(strobilus)라고 부른다.
[2]
보통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생육한다. 종자(씨앗) > 발아(싹틈) > 잎줄기 뿌리( 영양성장) > 꽃열매종자(생식성장) > 수확
[3]
대부분의
수초
[4]
동백꽃의 꿀은
꿀벌이 일하기 힘든 겨울에 피므로 인간이 맛보려면 꽃을 직접 빨아먹으면 된다.
[5]
옛날 유럽에서는 꽃이 생겨난 이유가 창조주가 인간을 기쁘게 하기 위해서라고 보았다. 하지만 가장 오래된 꽃은 2억 년 이상이나 오래 전에 나타났으니...
[6]
괴테가 이 이론을 만들었으며 이후 그것을 뒷받침하는 화석이 발견되기도 했다. 식물의 역사 참고.
[7]
정향은 거꾸로
먹지 마시오라는 경고를 하기 위해 꽃에다가 맛을 투자한 경우이다.
향신료라는 게 다 그렇듯 특유의 향미는 기본적으로 식물의
방어기제의 하나다.
[8]
이 쓴맛은 대부분의 식물에게서 보이는 기초 방어기제로, 동물이 이 식물을 먹었을 때 쓴맛만 느껴져 맛이 없다는 사실을 각인시켜서 다른 동족 식물들의 잎과 줄기가 먹히지 않게 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그래서 초식동물들도 대부분 쓴맛 안 나는 어린 잎을 선호한다.
[9]
홀아비꽃대과 하나만 살아남았다.
[10]
붕어마름속 하나만 살아남았다.
[11]
수레나무과 하나만 살아남았다.
[12]
회양목과 하나만 살아남았다.
[13]
흔히 과육이라 생각하는 부분이 사실 꽃이다
[14]
물론
라플레시아나
타이탄 아룸처럼 일반적으로 아름답다고 여겨지지 않는 꽃들도 있고 식물학적 관점에서 꽃은 그렇게 수동적인 존재는 아니지만, 이 경우는 어디까지나 예외적이고 일반 대중들의 통념과는 다른 경우이다. 실제로 꽃의 생명력을 강조하는 문화권이나 열정이나 추모와 같은 상징이 있는 문화도 세계에 있다.
[15]
음양
오행설을 주장하며 여성은 수동적인 것은 거스르지 말아야 할 순리로 주장되었다.
[16]
예를 들어 '재능을 꽃피우다', '노력이 열매를 맺다.'
[17]
2010년 5월에 이슈였는데, 그때 문제가 되었던 것은 정모 의원 이름으로 5.18 기념식장으로 보내진 화환이 축하용이었다는 것이다.
[18]
꽃의 실용성이라면 식물이라 산소가 나오고 향기가 있다는 정도, 그나마 화분이 아닌 꽃다발이면 오래 못 가서 금방 시들어버린다.
[19]
권영호, "금달래 이야기의 전승 양상과 그 의미" 어문론총 2005, vol., no.42, pp. 135-178
[20]
사실 후자는 대상이 인간이 아니라 곤충일 뿐이지
식충식물의 형태로 실존하긴 한다. 다만 실제 식충식물들의 포충 기관은 꽃이 아니라 잎이 변형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21]
명사의 중첩(reduplication)을 통해 복수형을 표현할 수 있는데 이때 꽃 여러 송이라고 표현하려면
bunga-bunga(붕아-붕아)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