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8 17:18:56

수컷

파일:남성 기호.svg
수컷의 상징기호[1]
1. 개요2. 특징3. 언어학적 특징4. 기타

[clearfix]

1. 개요

, Male

자웅이체(雌雄異體)의 동물이나 자웅이주(雌雄異株)의 식물에서 정소를 가지고 있는 개체를 말한다. 학술 및 기호로는 〈〉를 사용한다. 암컷에 대응하는 단어이기도 하다. 한자로는 (수컷 웅)으로 표기한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수컷 모)라는 한자도 있는데 엄밀하게 구분하면 雄은 날짐승의 수컷을 의미하고 牡는 네발짐승의 수컷을 의미한다. 영어로는 'male'이라고 한다. 수컷은 인간이 아닌 생물에게는 그냥 쓰는 명칭이지만 사람에게 쓰면 당연히 비하나 멸칭이 된다. 항상 그런 것은 아니고 야성미를 강조하는 긍정적 의미로도 쓰일 수는 있으나, 이 또한 당사자가 비하의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으므로 그가 허락하지 않는 한 지양해야 한다.[2] 사람에게 사용할 때 한국어 수컷은 비하·경멸의 의미가 있지만 영어 male에는 그런 뉘앙스가 없으며 인간 남성을 뜻하는 man을 대체해서 쓸 수 있다.

수컷은 흔히 인간을 제외한 동식물한테만 사용하며, 인간의 경우는 남성 문서 참조.

2. 특징

수컷은 암컷과 달리 새끼를 직접 임신하고 출산할 수는 없고[3] 그 중 경쟁에서 이기거나 구애에 성공한 수컷들이 암컷과의 짝짓기를 통해 종족 번식을 한다. 암컷과는 달리 수유를 할 수 없는 편이지만[4] 대신 사냥을 통해서 새끼들에게 먹이를 가져다주는 역할을 한다. 여러 경우, 암컷이 육아를 담당하지만 대부분의 조류[5] 붉은여우, 늑대 같은 일부 일부일처제 동물들은 암컷, 수컷이 공평하게 육아를 담당한다. 대다수의 수컷은 짝짓기 주도권이 없으며, 암컷의 동의를 얻기 위해 구애하거나 다른 수컷과 경쟁해야 해서 짝짓기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대략 어림해서 암컷과의 짝짓기 성공률은 5퍼센트로 추정된다.

대다수 수컷의 성향상 테스토스테론의 영향으로 암컷보다 투쟁적인 편이라 동종 간 다툼이 잦다. 연중 교미를 할 수 있으며[6], 성적 성숙으로 도달하는 기간이 암컷보다 길어 성장하기까지 보다 많은 시일이 걸리는 편이다. 여러 척추 동물은 수컷이 암컷보다 덩치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거나 보호색 대신에 밝고 화사한 색상을 띄며 뿔, 갈기, 상아, 꽁지깃, 기름주머니 같은 거추장스러운 무기나 장식을 가졌다.[7] 그러나 또 여러 동물[8]은 외모만으로는 암컷, 수컷 구별이 어렵다. 이를 자웅동형이라고 한다. 일부 동물들은 성기로도 암컷, 수컷 구별이 어렵다. 대표적인 예로 점박이하이에나가 있는데 암컷의 음핵이 수컷의 음경처럼 비대하게 발달해서 동물원에서도 성별 구분이 어려울 정도다.

대부분의 포유류 수컷은 암컷에 비해 크고 강하나, 평균 수명은 암컷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다. 외부적으로는 생식 활동에 대한 에너지 소모도 암컷보다 더 많이 할 뿐더러, 암컷과의 교미를 두고 수컷들간의 물리적 다툼 등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기 십상이고, 그것으로 사망하는 개체도 간간히 나온다. 집에서 사람과 같이 생활하는 반려동물들은 중성화수술을 하면 수명이 길어지기는 하지만 그렇지 못한 개체는 거세된 개체나 암컷보다 일찍 무지개 다리를 건너는 편이다. 이에 대해선 유전적(내부적 요인)도 있는데, 수많은 종에서 암컷이 XX로 동형, 수컷이 XY이거나 XO인 이형 성염색체를 가지기 때문이다. 동형의 염색체가 이형 염색체보다 더 유전적으로 튼튼하기 때문에 반대로 암컷이 이형 성염색체를 가지는 경우(ZW. ZO)는 암컷의 수명이 더 짧다. 그래서 조류는 수컷이 암컷보다 더 오래 산다.

상업적인 목적으로 키우는 가축은 수컷은 암컷에 비해 가치가 현저히 떨어진다. 이나 젖소, 오리의 경우 수컷은 암컷과는 달리 이나 젖 같은 수요가 높고, 이윤도 크고, 항상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한 부산물을 아예 얻을 수가 없어서 번식 목적으로 쓰일 일부만 살려두고 나머지는 모조리 살처분한다. 육용으로 키우는 , 돼지, , 염소 등의 가축의 경우 수컷은 번식 목적으로 살려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육질을 향상하기 위해 거세한다. 거세하지 않은 수컷은 테스토스테론으로 인해 육질이 현저히 낮다.예외적으로 은 수컷도 대우가 좋은 편으로 번식을 위한 종마가 필요해 나름 금전적 가치가 높아, 우수한 경주마에서 종마가 되면 가치가 천정부지로 오르지만, 그렇지 못한 대부분의 숫말들은 여전히 파리목숨이다.

3. 언어학적 특징

한국어에서 이를 의미하는 접두어는 '수-'이다. '표준어 규정 제1부 표준어 사정 원칙 제7항'에서 '수-'로 통일할 것을 원칙으로 삼고 있다. , , 나사, 은행나무 등은 각각 수소, 수놈, 수나사, 수은행나무로 쓴다. 다만, 옛말인 '숳'의 형태( ㅎ 말음 체언)가 현재까지 남아있는 경우에는 예외로 두는데, 발음상 뒤에 오는 소리가 거센소리로 나는 경우나 '숳'의 영향이 남이있는 경우다. 당장 이 문서인 수컷이란 단어도 수ㅎ + 것 → 수컷으로 분석된다. 그 외에도 , , 돼지, 병아리, 당나귀 등은 수탉, 수캐, 수퇘지, 수평아리, 수탕나귀라고 쓴다.[9] , 염소, . 이렇게 3가지 동물을 가리킬 때에만 숫쥐, 숫염소, 숫양이라고 쓴다. '쥐'에서는 된소리 되기가 일어나고, '염소, 양'과 같이 \ j]로 시작하는 말에서는 [ㄴㄴ]이 덧나기 때문이다.

4. 기타

생식 세포가 작고 이동성이 있는 경우 수컷으로 분류한다.

생물이 아니더라도 수 나사, 수 커넥터처럼 두 물건을 결합시키는 물건 중 볼록 튀어나온 쪽을 수컷으로 부른다.

[1] 인간한테도 사용할 수 있다. 파란색으로 그려질 때가 많다. [2] 물론 실존인물이 아닌 가상인물이면 상관없으며 캐릭터들을 재미로 암컷, 수컷이라고 칭하는 경우는 흔하다. [3] 예외적으로 해마는 암컷의 체내에서 수정된 수정란을 수컷의 몸에 이식한 후 수컷이 임신 및 출산을 한다. [4] 하지만 지구 상에 존재하는 모든 종의 수컷이 젖을 먹일 수 없는 것은 당연히 아니다. 다약과일박쥐는 수컷이 새끼에게 젖을 먹이며 비둘기 디스커스는 암컷, 수컷 모두 젖 비슷한 분비물을 생성한다. [5] 조류들은 90%가 일부일처제이며 새끼 양육을 공평하게 분담한다. [6] 일부 종은 아예 정해진 발정기 자체가 없다. [7] 하지만 호사도요처럼 수컷이 육아를 전적으로 담당하는 종의 경우 암컷이 더 화려하다. [8] 여우, 늑대, 하이에나, , 고양이 , 기린, 토끼, 표범, 퓨마, 재규어, 펭귄, 고래 등등. [9] 고양이는 예외. '수코양이'는 비표준어고 '수고양이'가 표준어다. 암컷 쪽도 마찬가지로 '암고양이'가 표준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