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05:04:26

군주(郡主)

황실 및 왕실의 구성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분 직계 남성 배우자 직계 여성 기타
퇴위한 명예군주
태상황/ 태상왕 태상황후/ 태상왕비 - 태황태후/ 대왕대비
퇴위한 군주
상황/ 상왕 상황후/ 상왕비 - -
군주 황제/ 황후/ 왕비 여제/ 여왕 황태후/ 왕대비
( 국장/ 국구), 국태부인
국서
군주의 궁인
환관/ 내시 후궁 상궁 남총
군주의 후계자(자녀)
황태자/ 왕세자 황태자비/ 왕세자빈 황태녀/ 왕세녀 부마
군주의 자녀
황자/ 왕자 황자비/ 왕자비 ( 공주, 황녀)/( 공주, 옹주) 부마/ 의빈
군주의 후계자(형제)
군주의 후계자(손자)
군주의 형제
군주의 장남,장손
군주의 친부
군주의 숙부모
황태제/ 왕세제
황태손/ 왕세손
황제(皇弟)/ 왕제(王弟)
원자, 원손
대원왕/ 대원군
황숙(皇叔)/왕숙(王叔)

 
 
 
대원비/ 부대부인
 

 
장공주
 
 
대장공주
-
중국(-3C ~ 20C 초)
황제
황태자
친왕, 군왕
황후
황태자비
친왕비, 군왕비

 
공주, 군주, 현주
황태후
 
부마
고려( 원 간섭기 전->후)
-> 국왕
태자-> 세자
공(公), 군(君)
왕후-> 왕비
태자비-> 세자비
공비(公妃), 군비(君妃)

 
왕녀-> 공주
태후
 
부마
임금
세자
대군, 군(君)
왕비
세자비
부부인, 군부인

 
공주, 옹주
왕대비
부원군, 부부인
부마-> 의빈
천황
황태자
친왕,
황후
황태자비
친왕비, 왕비
천황
 
내친왕, 여왕
황태후
 
 

웨일스 공
HRH Prince, Prince
왕비
웨일스 공비
공작부인
여왕
 
HRH Princess, Princess
Queen+이름
 
Prince+이름
각 항목에는 가장 대표적인 용어 하나만 표기하며, 황실과 왕실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다를 경우 '/' 기호로 구분한다. 두 단어가 밀접한 관계에 있거나 각기 다른 서열과 지위를 가질 경우 ',' 기호로 구분하여 표기한다.
-기호 또는 빈칸은 동아시아 황실/왕실 체제에서 해당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가 없거나 관련 문헌에서 확인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당시에는 이러한 경우 특별한 호칭 없이 이름이나 관직명을 사용했다. 그러나 본 틀에서는 문헌 기록이 없더라도, '왕세녀', '국서'처럼 근현대에 새롭게 자리잡은 번역어의 경우 포함해 기재한다.
별칭이나 그 외 나라의 용어는 황실/왕실 용어 및 별칭 표를 참고.
}}}}}}}}} ||


1. 개요2. 기원3. 특징4. 군주(郡主)의 지위5. 동아시아 황실/왕실 군주의 딸 칭호 정리 6. 역사적 사례7. 실존인물

[clearfix]

1. 개요

군주(郡主)는 동아시아 왕실과 황실에서 사용된 칭호로, 군주의 딸을 지칭하는 표현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 칭호는 특정 조건과 상황에서만 부여되었으며, 나라와 시대에 따라 그 의미와 사용 방식이 달랐다.

2. 기원

일반적으로 공주(公主)보다 낮은 지위를 가지며, 왕실의 서출 딸이나 후궁의 딸에게 주어졌다.

3. 특징

군주는 주로 서출 왕녀나 왕실에 특별히 공을 세운 공신의 딸에게 주어진 칭호이다.
계급적으로 공주(공주 > 군주 > 현주)보다는 낮지만, 일반 귀족보다 높은 지위를 나타낸다.
왕실 내부에서는 특정 지역(군郡)을 상징하는 명칭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4. 군주(郡主)의 지위

군주는 왕실의 일원으로 예우를 받았지만, 직계 공주(적출)와는 차별된 지위를 가졌다. 이는 왕실 혈통의 정통성을 강조하는 문화와 관련이 있다. 황실의 서녀에게 사용되었으며, 일부는 지방 귀족과 결혼하여 정치적 동맹의 도구로 활용되었다. 또한, 군주 칭호를 받은 여성들은 종종 왕실과 귀족 간의 연결 고리로서 외교적 역할을 수행했다.

조선 시대에는 옹주와 비슷한 맥락에서 사용되었으나, 매우 드문 사례이다. 드물게 왕실과 가까운 공신의 딸이 군주(郡主)라는 칭호를 받은 사례가 존재한다.

5. 동아시아 황실/왕실 군주의 딸 칭호 정리

칭호 의미 사용된 국가 신분/특징 비고
황녀 황제의 딸 중국, 일본 황실의 직계 공주 한국에서는 황제가 없으므로 사용되지 않음
공주 왕의 적출 딸 한국, 중국, 일본 정비(왕비) 소생, 신분이 가장 높음 왕의 직계딸, 정치적 상징성 강함
옹주 왕의 서출 딸 한국 (조선) 후궁 소생, 공주보다 신분이 낮음 조선 왕조에서 주로 사용됨
군주 왕의 서녀 또는 공신의 딸 한국, 중국 옹주보다 낮은 신분 드물게 사용됨
현주 왕의 서녀 한국 군주보다 신분이 낮음 조선 초기 문헌에서 발견됨
장공주 황제의 누나 또는 맏딸 중국, 몽골 황실 내 위계가 높은 여성 "장"은 나이 순서에서 유래
화친공주 외교적 결혼을 위한 황제의 딸 중국, 몽골 정치적 동맹을 위해 타국에 시집감 예: 몽골 제국과의 혼인 동맹
적공주 정비 소생임을 강조한 공주 한국 적출 공주를 명확히 구분할 때 사용 비공식적 표현
왕녀 왕의 모든 딸을 포괄하는 일반적 표현 한국, 중국 공주(적출)와 옹주(서출)를 모두 포함 보편적인 의미로 사용
궁주 왕실 여성을 지칭하는 특별 칭호 (공주와 유사) 한국 주로 고려 시대 공주를 지칭 고려 시대에만 사용됨

6. 역사적 사례

중국 서진에서는 황제의 딸을 군공주[1]로 삼고 제후왕의 딸은 현주(縣主)로 삼았다.

조선에서는 외명부의 직책으로 세자 적녀에게만 부르는 호칭으로 사용했고 정2품이었다. 세자의 서녀[2] 현주(縣主)라고 하여 종2품이었다.

조선 초기에는 중국처럼 대군의 딸들에게도 군주의 호칭을 붙였다. 특기할만한 것은 왕 대접을 못 받던 정종의 딸들에게도 일괄적으로 군주의 호칭을 붙였는데[3], 이들은 세종 13년 10월 18일에 일괄적으로 군주로 봉해졌다. 참고로 이 날 함께 군주에 봉해진 한산군주는 진안대군의 장녀 경혜옹주, 무진군주는 익안대군의 장녀 선혜옹주, 재령군주는 양녕대군의 장녀이다.

재미있는 것은, 왕의 유모였던 봉보부인[4]은 종 1품으로 세자의 딸들보다 품계가 높았다는 점.

다만 군주는 정2품 현주는 정3품이었으나, 고종 때 정1품으로 승격되었다 http://sillok.history.go.kr/id/kza_10507010_001

좋은 뜻을 가진 미칭을 작호로 주었던 공주 옹주와 달리, 조선 초기에는 군주나 현주의 경우는 앞에 지역 이름을 붙였다. 경혜공주도 아버지 문종이 세자일 시절에는 평창군주였고 명숙공주는 아버지 의경세자가 덕종으로 추존되기 전까지 태안군주로 불렸었다. 인조 때가 돼서야 군주와 현주도 미칭을 썼고 공주와 옹주로 진급되어도 군주, 현주 때 썼던 미칭을 그대로 사용했다. 숙안공주는 아버지 효종이 세자일 시절에 숙안군주로 불렸고 공주가 되자 군주때 썼던 미칭을 그대로 사용했다.

아버지인 세자가 왕위를 물려받으면 딸들 또한 공주 옹주로 승격하게 되며, 품계는 무계가 된다.

세자가 아닌 대군의 딸은 '향주'라고 한다. 본래 대군의 적녀는 현주였으나 경국대전 반포 이후 세자의 서녀만 주는 품계로 바뀌고, 대군의 적녀와 서녀 모두 향주로 하였다. 인평대군의 적장녀 향주 이금온(남편 조기수)과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적차녀(남편 정중만)가 있고 능창대군이 첩에게서 얻은 유일한 친자식 얼녀 향주 이영온(남편 허서)이 있다.

7. 실존인물

왕이 되지 못한 세자의 딸만 기록한다.


[1] 약칭은 군주(郡主) [2] 과 별도로 세자의 후궁이 따로 있었다. 세종대왕 세자 이향에게 후사가 없어 고민하다가 세자에게도 후궁을 들일 수 있게 했는데, 왕의 후궁보다는 품계가 낮았다. 이때 들인 후궁인 승휘 권씨는 훗날 세자빈까지 되지만 아들을 낳은 후 요절하고 만다. 나중에 왕후로 추존되기는 하나... [3] 세종은 정종을 임금으로 인정하지 않았으며, 신하들도 이에 동의하였다. 심지어 하륜은 정종을 두고 "기생한 임금"이라고 칭하기까지 했다. 실록 기사. [4] 주로 비슷한 시기에 출산한 현숙한 양반 여인이 맡았다. 왕들이 생모 이상으로 공경했다. [5] 이외에도 어릴 적 요절한 딸이 2명 더 있었다. [6] 고종 대에 사도세자가 왕(장조)으로 추증되면서 공주로 추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