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5 16:33:03

고려 공비(公妃), 군비(君妃)


황실 및 왕실의 구성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분 직계 남성 배우자 직계 여성 기타
퇴위한 명예군주
태상황/ 태상왕 태상황후/ 태상왕비 - 태황태후/ 대왕대비
퇴위한 군주
상황/ 상왕 상황후/ 상왕비 - -
군주 황제/ 황후/ 왕비 여제/ 여왕 황태후/ 왕대비
( 국장/ 국구), 국태부인
국서
군주의 궁인
환관/ 내시 후궁 상궁 남총
군주의 후계자(자녀)
황태자/ 왕세자 황태자비/ 왕세자빈 황태녀/ 왕세녀 부마
군주의 자녀
황자/ 왕자 황자비/ 왕자비 ( 공주, 황녀)/( 공주, 옹주) 부마/ 의빈
군주의 후계자(형제)
군주의 후계자(손자)
군주의 형제
군주의 장남,장손
군주의 친부
군주의 숙부모
황태제/ 왕세제
황태손/ 왕세손
황제(皇弟)/ 왕제(王弟)
원자, 원손
대원왕/ 대원군
황숙(皇叔)/왕숙(王叔)

 
 
 
대원비/ 부대부인
 

 
장공주
 
 
대장공주
-
중국(-3C ~ 20C 초)
황제
황태자
친왕, 군왕
황후
황태자비
친왕비, 군왕비

 
공주, 군주, 현주
황태후
 
부마
고려( 원 간섭기 전->후)
-> 국왕
태자-> 세자
공(公), 군(君)
왕후-> 왕비
태자비-> 세자비
공비(公妃), 군비(君妃)

 
왕녀-> 공주
태후
 
부마
임금
세자
대군, 군(君)
왕비
세자비
부부인, 군부인

 
공주, 옹주
왕대비
부원군, 부부인
부마-> 의빈
천황
황태자
친왕,
황후
황태자비
친왕비, 왕비
천황
 
내친왕, 여왕
황태후
 
 
King
Prince of Wales
HRH Prince, Prince
Queen+이름
Princess of Wales
Duchess of 남편의 작위명
The Queen
 
HRH Princess, Princess
Queen+이름
 
Prince+이름
각 항목에는 가장 대표적인 용어 하나만 표기하며, 황실과 왕실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다를 경우 '/' 기호로 구분한다. 두 단어가 밀접한 관계에 있거나 각기 다른 서열과 지위를 가질 경우 ',' 기호로 구분하여 표기한다.
-기호 또는 빈칸은 동아시아 황실/왕실 체제에서 해당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가 없거나 관련 문헌에서 확인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당시에는 이러한 경우 특별한 호칭 없이 이름이나 관직명을 사용했다. 그러나 본 틀에서는 문헌 기록이 없더라도, '왕세녀', '국서'처럼 근현대에 새롭게 자리잡은 번역어의 경우 포함해 기재한다.
}}}}}}}}} ||


1. 개요

고려시대 공비(公妃)와 군비(君妃)는 왕자의 배우자들을 구분하는 칭호로, 각각 왕자의 작위와 지위에 따라 나뉜다. 고려의 작위 체계와 사회적 계층 구조에 의해 왕자의 배우자를 통칭하지 않고 세분화하여 부른 것이다. 이는 고려 시대의 정치적, 사회적 환경을 반영한다.

2. 공비(公妃)

공비는 공작(公爵) 작위를 가진 왕자의 배우자이다. 공작은 왕자의 작위 중 가장 높은 지위에 해당하며, 왕위 계승 가능성이 높은 직위였다. 공작의 배우자는 공비(公妃)라는 칭호를 받았으며, 왕실 내부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공비는 국왕의 정비와 협력하여 의례와 제사를 주관하거나 왕실의 후계 문제에서 중요한 발언권을 가지는 경우도 있었다.

3. 군비(君妃)

군비는 군(君) 작위를 가진 왕자의 배우자이다. 군은 공작보다 낮은 작위로, 상대적으로 낮은 지위를 가진 왕자들에게 부여되었다. 군비는 군의 배우자로, 공비에 비해 낮은 위상을 가졌다. 왕실 의례나 정치적 활동에서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역할을 했다.

4. 왜 '왕자비'로 부르지 않았는가?

고려시대에는 왕자의 배우자를 단순히 '왕자비'라는 칭호로 통칭하지 않았다. 왕자의 지위가 작위에 따라 공작, 군작 등으로 나뉘었기 때문에 배우자의 칭호도 자연스럽게 공비와 군비로 구분되었다. 고려는 왕실 구성원을 작위 체계에 따라 서열화하고, 이에 맞춰 배우자의 칭호를 차별화하는 전통을 가졌다.

또한 "공비"와 "군비"라는 칭호는 배우자의 지위와 역할을 명확히 구분하며, 왕실 내 위계질서를 강조했다. '왕자비'라는 통칭은 작위의 차이를 드러내지 못하기 때문에 고려의 엄격한 신분 사회에서는 적합하지 않았다. 고려는 혼인을 통해 귀족과 왕실의 결속을 강화했으며, 작위에 따른 배우자 칭호가 이러한 관계를 명확히 했다. 공비는 주로 유력 귀족 가문 출신이었고, 군비는 상대적으로 낮은 계급 출신이 많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