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9 08:25:31

이오밍 페이

이오밍 페이의 주요 수상내역
[ 펼치기 · 접기 ]
파일:미국 국가 예술 훈장.png
미국 국가 예술 훈장 수훈자
20세기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85년 <colbgcolor=#FFFFFF,#1F2023>엘리엇 카터, 랄프 엘리슨, 호세 페레, 마사 그레이엄, 루이스 네벨슨, 조지아 오키프, 레온타인 프라이스
1986년 매리언 앤더슨, 프랭크 카프라, 에런 코플런드, 빌럼 데 쿠닝, 아그네스 드 밀, 에바 르 갈리엔, 앨런 로맥스, 루이스 멈퍼드, 유도라 웰티
1987년 로메어 비어든, 엘라 피츠제럴드, 하워드 네메롭, 알윈 니콜라이, 이사무 노구치, 윌리엄 슈먼, 로버트 펜 워런
1988년 솔 벨로, 헬렌 헤이스, 고던 파크스, 이오밍 페이, 제롬 로빈스, 루돌프 제르킨, 버질 톰슨, 시드니 프리드버그, 로저 L. 스티븐스
1989년 레오폴드 아들러, 캐서린 던햄, 알프레드 아이젠슈테트, 마틴 프리드먼, 디지 길레스피, 워커 핸콕,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체스와프 미워시, 로버트 마더웰, 존 업다이크
1990년 조지 애보트, 험 크로닌, 제시카 탠디, 메세 커닝햄, 재스퍼 존스, 제이콥 로렌스, 비비 킹, 이안 맥하그, 비벌리 실즈
1991년 모리스 아브라바넬, 로이 에이커프, 피에트로 벨루스치, J. 카터 브라운, 찰스 콜스, 존 O. 크로스비, 리처드 디벤콘, 키티 칼리슬, 펄 프리머스, 아이작 스턴
1992년 마릴린 혼, 제임스 얼 존스, 알란 하우저, 미니 펄, 로버트 소득, 얼 스크럭스, 로버트 쇼, 빌리 테일러, 로버트 벤츄리 & 데니스 스콧 브라운, 로버트 와이즈
1993년 캡 캘러웨이, 레이 찰스, 베스 로막스 하웨스, 스탠리 쿠니츠 , 로버트 메릴, 아서 밀러, 로버트 라우센버그, 로이드 리차드, 윌리엄 스타이런, 폴 테일러, 빌리 와일더
1994년 해리 벨라폰테, 데이브 브루벡, 셀리아 크루즈, 도로시 딜레이, 줄리 해리스, 에릭 호킨스, 진 켈리, 피트 시거 , 웨인 티보, 리차드 윌버
1995년 리차 알바네세, 그웬돌린 브룩스, 오시 데이비스 & 루비 디, 데이빗 다이아몬드, 제임스 잉고 프리드, 밥 호프, 로이 리히텐슈타인, 아서 미첼, 빌 먼로
1996년 에드워드 올비, 사라 콜드웰, 해리 칼라한, 젤다 피챈들러, 랄로 게레로, 라이어널 햄프턴, 벨라 루이츠키, 로버트 레드포드, 모리스 센댁, 스티븐 손드하임
1997년 루이즈 부르주아, 베티 카터, 댄 킬리, 안젤라 랜스버리, 제임스 리바인, 티토 푸엔테, 제이슨 로바즈, 에드워드 빌렐라, 독 왓슨
1998년 자크 드엠보, 패츠 도미노, 잭 엘리엇, 프랭크 게리, 아그네스 마틴, 그레고리 펙, 로베르타 피터스, 필립 로스, 그웬 버든
1999년 아레사 프랭클린, 마이클 그레이브스, 오데타, 노만 레어, 로제타 르누아르, 하비 리히텐스타인, 리디아 멘도자, 조지 시걸, 마리아 톨치프
2000년 마야 안젤루, 에디 아놀드, 미하일 바리시니코프, 베니 카터, 척 클로즈, 호톤 푸트, 클래스 올덴버그, 이작 펄만, 해롤드 프린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
21세기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01년 <colbgcolor=#FFFFFF,#1F2023>루톨포 아나야, 조니 캐시, 커크 더글러스, 헬렌 프랑켄탈러, 주디스 제이미슨, 요요마, 마이크 니콜스
2002년 플로렌스 놀, 트리샤 브라운, 필립 드 몬테벨로, 우타 하겐, 로렌스 핼프린, 알 허쉬펠드, 조지 존스, 밍 조 리, 스모키 로빈슨
2003년 비버리 클리어리, 라프 에스퀴스, 수잔 파렐, 버디 가이, 론 하워드, 레너드 슬래트킨, 조지 스트레이트, 토미 튠
2004년 레이 브래드버리, 칼리슬 플로이드, 프레데릭 하트, 안소니 헥트, 존 루스번, 빈센트 스컬리, 트와일라 사프
2005년 루이스 오킨클로스, 제임스 데프라이스트, 파키토 드 리베라, 로버트 듀발, 올리 존스톤, 윈튼 마살리스, 티나 라미레즈, 돌리 파튼
2006년 윌리엄 볼컴, 시드 챠리시, 로이 데카라바, 에릭 쿤젤, 그레고리 라바사, 빅토르 슈레켄고스트, 랄프 스탠리
2007년 모르텐 로리젠, 스콧 모마데이, 크레이그 노엘, 레스 폴, 조지 투커, 앤드루 와이어스
2008년 스탠 리, 리처드 M. 셔먼, 로버트 B. 셔먼, 올리비아 드 하빌랜드, 행크 존스, 헤수스 모르폴스
2009년 밥 딜런, 클린트 이스트우드, 밀튼 글레이저, 마야 린, 리타 모레노, 제시 노먼, 프랭크 스텔라, 마이클 틸슨 토머스, 존 윌리엄스
2010년 로버트 브러스타인, 밴 클라이번, 마크 디 수베로, 도날드 홀, 퀸시 존스, 하퍼 리, 소니 롤린스, 메릴 스트립, 제임스 테일러
2011년 윌 바넷, 리타 도브, 알 파치노, 마틴 퍼이어, 멜 틸리스, 안드레 왓츠
2012년 허브 앨퍼트, 조안 마이어스 브라운, 르네 플레밍, 어니스트 J. 게인즈, 엘스워스 켈리, 토니 쿠슈너, 조지 루카스, 일레인 메이, 로리 올린 , 알렌 투생
2013년 줄리아 알바레즈, 빌 T. 존스, 존 캔더, 제프리 카첸버그, 맥신 홍 킹스턴, 앨버트 메이즐스, 린다 론스태드, 빌리 첸 & 토드 윌리엄스, 제임스 터렐
2014년 존 발데사리, 핑 총, 미리암 콜론, 샐리 필드, 앤 해밀턴, 스티븐 킹, 메레디스 몽크, 조지 셜리, 토비아스 울프
2015년 멜 브룩스, 산드라 시스네로스, 모건 프리먼, 필립 글래스, 베리 골디, 산티아고 지메네즈, 랄프 레몬, 오드라 맥도널드, 루이스 발데스, 잭 위튼
2016년 없음
2017년 없음
2018년 없음
2019년 앨리슨 크라우스, 샤론 퍼시 록펠러, 미군 군악대, 존 보이트
2020년 토비 키스, 리키 스캑스, 메리 코스타, 닉 우트, 얼 A. 파웰 3세
2021년 브루스 스프링스틴, 글래디스 나이트, 민디 케일링, 줄리아 루이드라이퍼스, 호세 펠리시아노, 베라 왕, 조안 시게카와, 주디 바카, 프레드 아이커너, 안토니오 마르토렐, 빌리 홀리데이 극장, 국제흑인댄스협회
출처: National Medal of Arts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7px; margin-bottom: -7px; margin-left: -11px; margin-right: -11px"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필립 존슨
파일:미국 국기.svg
루이스 바라간
파일:멕시코 국기.svg
제임스 스털링
파일:영국 국기.svg
케빈 로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이오밍 페이
파일:미국 국기.svg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리처드 마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한스 홀라인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고트프리트 뵘
파일:독일 국기.svg
단게 겐조
파일:일본 국기.svg
고든 번샤프트 / 오스카르 니에메예르
파일:미국 국기.svg / 파일:브라질 국기.svg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프랭크 게리
파일:미국 국기.svg
알도 로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버트 벤투리
파일:미국 국기.svg
알바루 시자 비에이라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마키 후미히코
파일:일본 국기.svg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크리스티앙 드 포잠박
파일:프랑스 국기.svg
안도 다다오
파일:일본 국기.svg
라파엘 모네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베레 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렌초 피아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노먼 포스터
파일:영국 국기.svg
렘 콜하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헤르초크 & 드 뫼롱
파일:스위스 국기.svg
글렌 머킷
파일:호주 국기.svg
예른 웃손
파일:덴마크 국기.svg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자하 하디드
파일:영국 국기.svg
톰 메인
파일:미국 국기.svg
파울루 멘데스 다 로샤
파일:독일 국기.svg
리처드 로저스
파일:영국 국기.svg
장 누벨
파일:프랑스 국기.svg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페터 춤토르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지마 가즈요,
니시자와 류에

파일:일본 국기.svg
에두아르도 소투 드 모라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왕슈
파일:중국 국기.svg
이토 토요
파일:일본 국기.svg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시게루 반
파일:일본 국기.svg
프라이 오토
파일:독일 국기.svg
알레한드로 아라베나
파일:칠레 국기.svg
라파엘 아란다, 카르메 피헴, 라몬 빌랄타
파일:스페인 국기.svg
발크리슈나 도시
파일:인도 국기.svg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이소자키 아라타
파일:일본 국기.svg
이본 패럴, 셜리 맥너마라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안 라카통, 장 필리프 바살
파일:프랑스 국기.svg
디베도 프란시스 케레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 파일:독일 국기.svg
데이비드 치퍼필드
파일:영국 국기.svg
2024년
야마모토 리켄
파일:일본 국기.svg
}}}}}} ||

Ieoh Ming Pei
파일:external/skyvision.sky.com/im-pei-learning-from-light-698.jpg
파일:Medal_of_Pritzker_Architecture_Prize_(front).gif [[프리츠커상|{{{#white 1983년 프리츠커상 수상자}}}]]
본명 貝聿銘(Bèi yùmíng), Ieoh Ming Pei(I.M. Pei)
출생 1917년 4월 26일
중화민국 북양정부 광저우
(現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 광저우시)
사망 2019년 5월 15일 (향년 102세)
국적
[[중화민국 북양정부|]][[틀:국기|]][[틀:국기|]] →
[[미국|]][[틀:국기|]][[틀:국기|]]
직업 건축가
모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건축학 / B.S.)
하버드 대학교 (건축학 / M.S.)
수상 AIA 금메달(1979)
프리츠커상(1983)
RIBA 로얄 금메달(2010)
미국 대통령 자유 훈장, Praemium Imperiale

1. 개요2. 생애3. 평가4. 여담

1. 개요

20세기의 주요한 건축가 중 한 명. 1983년 프리츠커상을 수상. 현대 건축의 역사에서 이름을 남긴 거의 유일한 중국인. 이후 미국 국적을 취득해 중국계 미국인이 됐다. 2012년 왕슈 중국 국적으로는 처음으로 프리츠커상을 수상했다. 정통파 모더니즘 건축의 마지막 장인이기도 하다. 현재도 건축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매우 많은 존경을 받는 인물.

2. 생애

페이는 광저우의 유복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중국은행의 은행장이었는데, 이러한 인연 때문인지 나중에 홍콩 중국은행 타워는 이 사람이 설계하게 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K_Bank_of_China_Tower_View.jpg

홍콩 중국은행 타워. 중국은행이 발권하는 홍콩 달러의 도안이기도 하다.
18살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건축을 공부하러 미국으로 건너간다. 건축을 때려치고 공돌이가 되려 MIT로 편입했지만 담당교수가 건축을 하라고 매달리는 바람에 건축을 다시 하게된다. 하버드에서 근대 건축의 4대 거장중 하나라 평가받는 발터 그로피우스 밑에서 공부, 석사학위를 받고, 뉴욕의 부동산업자 윌리엄 제켄도프 밑에서 일하다가 자신의 사무소인 페이 콥 프리드 앤 파트너스를 설립한다.

주로 보스턴을 중심으로 많은 기념관과 종교시설 등 굵직한 건축물들의 설계를 담당하며 탄탄대로를 달리는 그의 경력이었지만, 보스턴에서 손꼽히는 건물인 존 행콕 타워를 설계하면서 휘청거린다. 많은 설계 실수로 점철된 이 건물 덕분에 폭풍처럼 까이고, 그의 회사는 당분간 해외활동에 집중하게 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lylwood_palace.jpg

존 행콕 타워의 유리가 끊임없이 깨지자 나무로 임시방편을 마련한 (...) 사진이다. 세계 최고 목탑 근본적인 원인은 시속 120km에 이르는 강한 바람에 의해 건물이 뒤틀리기 때문이었다. 이후 존 행콕타워는 구조를 보강하고 58층의 질량제동장치[1]등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뒤틀림의 문제는 질량제동장치로 해결됐지만 창문이 떨어진 이유가 또 있었는데, 창문 두장을 접착제로 붙인 것이 원인이었다. 이 접착제가 지속적인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두 유리 장이 떨어져 나갔던것. 결국 두장이 아닌 한장으로 만든 유리를 사용해서 고쳤다. 지금은 이러한 안좋은 사건에도 불구하고 아름다운 외관으로 호평을 받으며 보스턴의 상징적인 건물 중 하나다. 보스턴 최중심부인 코폴리 스퀘어에 트리니티 교회와 함께 명물이 되었다. 참고로 보스턴에 있는 케네디 도서관도 이 건축가의 설계.

이러한 페이를 단번에 부흥시킨 프로젝트가 다름아닌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 앞의 크고 아름다운 유리 피라미드다. 예상대로 파리지앵들에게 폭풍 까였지만[2] 어쨌든 지금은 그의 작품과 파리, 그리고 루브르를 상징하는 구조물로 남아 있다. 이후 뉴욕 주재 한국 대표부 건물도 디자인하여 호평을 받았다.

79년에 AIA 금메달과 83년에 프리츠커 상 수상 이외에도 수많은 상을 수상했으며, 그의 자서전을 집필한 사람의 말을 빌리자면 "건축으로 받을 수 있는 상은 전부 다 받았다." 게다가 2019년 페이가 타계했을 때 그의 나이는 103세로 어마어마한 천수까지 누리다 갔다.

3. 평가

사실상 모더니즘과 인생의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한 근성가이로 볼 수 있다. 모더니즘 건축의 시초도 주역도 아니었지만, 빛나는 마지막 주자라는 것은 부정 할 수 없다. 그러나 자신은 "건축은 삶의 한 부분이여야 하지 모더니스트 포스트모더니스트 같은 말로 장난치는거에는 관심 없다" 는 요지의 말을 한 적이 있다.

물론 본인 말과는 상관 없이, 그의 건축은 전형적인 모더니즘 건축이다. 논리적이며 단순한 기하학적인 형태를 선호하며, 철저한 기능과 무장식, 무국적인 느낌을 추구한다. 루브르의 피라미드가 기하학적으로 단순한 것도 페이의 스타일과 일치하는 부분이다.

4. 여담

CAD가 보편화된 21세기에도 손으로 도면을 쓰는 몇 안되는 장인이라고 하였지만 CAD 자체가 그의 인생 후반에 나온 물건이였었다.

[1] 건물의 뒤틀림이 감지되면 질량을 가진 추를 이동시켜 뒤틀림을 방지 [2] 빌 브라이슨은 이걸 주위 경관과도 어울리지 않고, 실내는 엄청 더운 흉뮬이라고 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