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형태 | 구조적 차별 · 내면화된 차별 · 선호 기반 차별 · 제도적 차별 · 통계적 차별 | ||
민족/국민 정체성 | 대만인 · 러시아인 · 미국인 · 아랍인 · 영국인 · 우크라이나인 · 유대인 · 이스라엘인 · 일본인 · 중국인( 반화) · 코리아인*( 한국인(남한인) · 북한인(조선인)) · 팔레스타인인 | |||
사회문화 | 계급( 가난 · 카스트) · 무신론 · 성노동자( SWERF) · 언어 · 외국인 · 지역 · 채식주의자 | |||
성소수자 | 동성애( 게이 · 레즈비언) · 양성애 · 트랜스젠더( 미소지니 · TERF) · 혐오 수사( 비하명칭) | |||
종교 | 기독교( 공포증 · 가톨릭) · 불교 · 이슬람( 공포증( 히잡)) | |||
특성 | 성( 남성 · 시스섹시즘 · 여성 · 헤테로섹시즘) · 연령( 노인 · 아동 · 청소년) · 외모( 모발 · 피부색 · 얼굴 · 체형) · 왼손잡이 · 인종( 체제화 · 흑인) · 자폐 · 장애( 혐오 · 청각) | |||
차별 관련 사상 | 대한족주의 · 동화주의**( 마스킹 · 일코 · 커버링) · 반젠더주의 · 반지성주의 · 백호주의 · 비장애인 중심주의 · 엘리트주의 · 우월주의( 남성 · 백인 · 여성 · 흑인) · 부미푸트라 정책 · 인종 분리주의( 아파르트헤이트 · 짐 크로우) · 족벌주의 · 푈키셔 내셔널리즘 · 혈통주의( 한 방울 원칙 · [혈통적] 한민족주의) | |||
대책 | 다문화주의 · 다양성( 신경다양성) · 매스큘리즘 · 몸 긍정( 비만 수용 운동) · 민권 운동( 미국 흑인) · 어퍼머티브 액션 · 인권( 성소수자 단체 · 장애인) · 정치적 올바름 · 페미니즘 · 할당제 | |||
관련 주제 | 내셔널리즘( 국수주의 · 민족주의) · 모범적 소수 · 사회 정의 · 상호교차성 · 스테레오타입 · 싫어할 권리 · 억압 · 역차별 · 우요쿠단타이 · 임금격차 · 정체성 정치 · 젠더블라인드 · 존경성 정치 · 증오 단체 · 증오 발언( 성소수자) · 증오 범죄 · 차별금지법 · 특권( 기독교 · 남성 · 백인 · 신체( 마름)) · TERF의 섬 | |||
* Korea[n] 전반, 즉 한민족이나 대한민국/북한 국적자 등에 대한 차별은 anti-Korean sentiment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혐한'이라고 하면 대한민국[인]에 대한 혐오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북한[인]에 대한 혐오는 anti-Korean sentiment에 속하지만 보통 '혐한'과는 별개로 본다. 또한 ethnic Korean (한민족) 뿐 아니라 비한민족 계열 대한민국/북한 국적자도 넓은 의미의 Korean에 포함된다. | }}}}}}}}} |
[[대한민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424242> 세대 갈등 | 아동 혐오 · 청소년 혐오 · 노인 혐오 · 10대 개새끼론 · 20대 개새끼론 · 40대 개새끼론 · 86세대 책임론 |
젠더 갈등 | 성별혐오 ( 자국 이성 혐오 · 남성혐오 · 여성혐오) · 성소수자 혐오 ( 동성애{ 게이 · 레즈비언} · 양성애 · 트랜스젠더{ 미소지니}) | |
소외 | 학력 차별 · 가난 혐오 · 장애 혐오 | |
타자주의 | 인종 차별 · 대한민국의 난민 수용 논란 · 외국인 노동자 문제 | |
기타 | 지역 갈등 ( 대지역주의 · 소지역주의) · 정치 성향 갈등 ( 정치병 · 정치극단주의) · 자국 평가 갈등 ( 국뽕 · 자국 혐오) | }}}}}}}}} |
1. 개요
경제적으로 빈곤하거나 돈이 없다는 이유만으로 싸잡아 비난받거나 차별당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넓게는 빈자에 대한 구조적 차별도 포함될 수 있다. 계급 차별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여성혐오, 남성혐오, 퀴어 혐오, 장애 혐오 등의 표현에 발맞춰 나온 한국에서 사용되는 로컬 용어라 영어권에서 정확하게 들어맞는 단어는 없다.
2. 사례
- 대한민국의 금수저 미화 드라마에서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비하적이거나 편견을 가중시키는 모습이나 발언 등이 등장하여 비판받기도 한다. ( 한겨레)
- 노란 장판을 두고 무언가 오래되어 보이는 것이나 가난해 보이는 것 등을 노란 장판 감성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노란장판이 유행했을 당시에는 중산층 이상 집안에서도 까는 일이 대부분이라서 딱히 빈곤층의 상징도 아니었을뿐더러 지금도 중산층 이상 집안이라도 노란장판 방이 있는 경우는 드물지 않기 때문에, 1990년대의 옥색 디자인/ 와인색 욕실, 1990년대~2000년대 초반의 체리몰딩과 싸잡아서 너무 가난의 상징으로 억지 밈화 하는 것 같다며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 2020년 12월 12일 유승민은 페이스북에 “이 정권 사람들 중에 공공임대에 살겠다는 사람은 한 명도 못봤다”며 “그래서 이런 말들이 나오는 거다. 평생 공공임대나 살라고? 니가 가라 공공임대”라는 글을 올려 문재인 정부의 공공임대 주택 정책을 비판했는데 임대주택 주민에 대한 차별적 발언, 가난혐오 논란이 있었다. ( 경향신문,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