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06:50:54

고속버스 서울경부-밀양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노선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선박 등의 노선은 현재 무기한 또는 특정 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문서가 존재하는 서울특별시 출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2%; min-height: 2em;"
{{{#!folding [ 서울경부 ]
{{{#!wiki style="margin: -5px 0;"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f8f8f,#555555> 고속/시외
수도권 ↔안성 ↔ 여주 ↔평택, 안중
↔용인 ↔이천 ↔여주프리미엄아울렛 ↔포천,운천
강원권 ↔강릉 ↔원주 ↔ 원주기업도시, 원주혁신도시 ↔동해,삼척
↔영월 ↔ 양양,속초 ↔춘천 ↔신철원,동송
충청권 ↔공주 ↔금산 ↔대전복합 ↔대전청사
↔세종 ↔제천 ↔ 청주 ↔아산탕정
↔천안 ↔아산온양 ↔조치원
영남권 ↔경주 ↔구미 ↔김해 ↔동대구
↔부산 ↔부산사상 ↔ 울산 ↔진주
↔마산 ↔창원 ↔상주 ↔통영
↔포항 ↔영천 ↔점촌 ↔안동,영덕
↔ 풍기,영주 ↔예천,경북도청
운행중단 ↔김천 ↔밀양 ↔ 단양, 구인사 ↔울진, 온정
}}}}}}}}}
[ 서울호남 ]
[ 동서울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f8f8f,#555555><-5> 고속버스/전환시외 ||
강원권 ↔강릉고속 ↔동해 ↔삼척고속 ↔양양,속초고속
충청권 ↔청주고속 ↔대전복합
호남권 ↔광주 ↔전주
영남권 ↔동대구 ↔부산 ↔부산사상 ↔마산
↔진해 ↔창원 ↔진주
시외버스/전환고속
수도권 ↔청평,가평 ↔포천 ↔의정부,포천 ↔ 양평, (홍천)
↔양평, (횡성) ↔일동,(와수리) ↔일동,(사창리) ↔인천
↔안산 ↔안성 ↔평택 ↔장호원
강원권 ↔춘천,화천 ↔홍천 ↔횡성 ↔ 문막,원주
↔영월,고한,태백 ↔와수리,산양리 ↔양양,속초시외 ↔장평,진부,강릉시외,주문진
↔사창리,다목리 ↔신철원 ↔동송 ↔평창,정선
충청권 ↔청주시외,(보은,속리산) ↔ 제천 ↔유성 ↔세종,자운대
↔청주북부,청주대 ↔천안 ↔천안,아산 ↔서산,태안
↔ 충주 ↔진천,충북혁신도시
영남권 ↔안동,(청송,영양,영덕) ↔문경,안계 ↔문경,상주 ↔울산
↔함양,지리산 ↔현풍,의령 ↔구미 ↔양산,해운대
↔경주,포항 ↔봉화, 춘양 ↔용궁, 예천, 경북도청 ↔통영, 고현
호남권 ↔순천,여수
동서울 출발 기준으로 코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시외버스는 고속버스/전환시외, 시외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고속버스는 시외버스/전환고속에 서술한다.
[ 상봉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f8f8f,#555555><width=5000px> 강원권 ||<width=22.5%> ↔원주 || || || ||
폐선 ↔광주 ↔전주 ↔대전복합 ↔청주고속
[ 서울남부 ]
[ 잠실역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f8f8f,#555555><width=5000px> 시외버스 ||<width=90%> ↔춘천 ||
[ 김포공항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f8f8f,#555555><width=5000px> 시외버스 ||<width=45%> ↔광주 ||<width=45%> ↔연무대 ||
}}} ||


파일:밀양시 CI.svg 문서가 존재하는 밀양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경북 ↔ 청도,경산
부산/울산/경남 ↔ 부산(서부) (수산 경유) 부산(서부)
↔ 김해 ↔ 진영,마산 ↔ 석남사
↔ 창녕 ↔ 울산
밀양시내 ↔ 표충사 수산 ↔ 양동
운행중단 ↔ 동대구
고속버스 ↔ 서울경부
}}}}}}}}} ||

1. 노선 정보2. 개요3. 노선 정보
3.1. 등급정보
4. 연계 철도역5.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고속버스 서울경부 - 밀양
기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종점 경상남도 밀양시 내이동( 밀양시외버스터미널)
서울경부행 첫차 08:00 밀양행 첫차 08:10
막차 18:30 막차 15:10
배차간격 일 3회
운수사명 경기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인가대수 3대
노선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경부고속도로 - 영동고속도로[1] - 중부내륙고속도로 - 선산휴게소 - 경부고속도로 - 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 - 밀양시외버스터미널

2. 개요

서울특별시 서초구 경상남도 밀양시를 이었던 고속버스 노선. 천일고속 한일고속,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며, 현재는 휴지 상태이다.

3. 노선 정보

  • 2016년 5월 4일에 개통하였다. 이 노선을 통하여 코리아와이드 경북, 경기고속이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 처음으로 들어오게 되었는데, 운행 당시에는 이들 회사가 고속버스조합 회원사도 아니었기 때문에 기존 고속사들의 반발이 있었으나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내 주박하지 않는 조건[2]으로 진입 협상이 타결되어 들어오게 되었다.
  • 밀양은 철도와 시외버스[3]가 강세인 지역이다 보니, 서울에서 출발하는 밀양행 고속버스는 이 노선이 유일하다. 그마저도 일 3회.[4]
  • 한일, 천일, 경기, 경북 각 1회씩 총 4회 배차되었으나 수요가 너무 없어서 경북고속이 2018년 11월 23일에 철수하고 그 운행분을 경기고속에서 넘겨받아 2회 운행하였으나, 그마저도 감회되어서 현 운행 횟수인 일 3회로 조정되었다.
  • 현재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인해 한시적으로 1일 1회로 감회운행 중이며 천일고속 한일고속이 하루간격으로 운행중이다. 서울발은 09:30 밀양발은 16:00에 운행중. 하지만 4월 들어 그마저도 수요가 너무 없다보니 천일고속만 토,일,월요일에 한해서만 1회 운행중이다. 운행시간은 현재와 똑같다. 해당 요일을 제외 한 다른요일에 서울을 가려면 밀양역에서 철도를 이용해야 한다.[5]
  • 운행횟수를 줄여도 수요가 아예 없는 지 4월 중순부턴 토,일,월요일에 1회 운행하던 천일고속마저 운행을 중지하여 현재는 운행중단중이다. 5월 배차도 나온 게 없는 걸 보면 당분간 운행 할 가망은 없어보인다. 이로써 서울-밀양은 철도로 이동해야 하거나 동대구에서 열차로 환승해야 한다.[6]
  • 2020년 5월 29일부터 금, 토, 일요일 한정 1일 2회로 다시 운행을 재개했다. 천일고속과 한일고속이 운행하며 2회 모두 우등고속으로 운행하며 양쪽 모두 출발시간이 09:30, 16:30발로 동일하다. 서울발 오전엔 한일고속이, 오후엔 천일고속이 운행하며 밀양발은 오전이 천일, 오후가 한일고속 시간이다.
  • 2020년 추석 이후에는 아예 토, 일, 월만 천일고속이 1일 1회만 운행한다.
  • 2021년 부터는 예매 사이트에도 뜨지 않는다.
  • 2023년 9월 개통한 경전선 SRT 밀양역에 정차하게 되면서, 이 노선의 부활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봐도 무방한 상태가 되었다. 하지만 SRT마저도 하루 왕복 2회(381,382,383,384열차)뿐이다.
  • 2023년 현재 여전히 운행을 재개하지 않고 있지만, 고속버스 인가는 남아있으며, 정확히는 운행중단 상태이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경부선 승차장 리모델링 후에도 8번 승차장에는 '밀양' 표기가 삭제되지 않았다.

3.1. 등급정보

O 운행함 △ 임시/협정으로 운행 X 운행 안함
운수사/등급 일반 우등 프리미엄
경기고속 O X
천일고속 X O X
한일고속 O O X

4. 연계 철도역

5. 둘러보기

#redirect 틀:밀양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1] 주말은 서산영덕고속도로로 우회. [2] 그래서 터미널 내 박차장에 주박하지 않고 터미널 바로 옆의 신관 주차장에 주박시킨다. [3] 부산직통 마산 한정. 하지만 이쪽으로 이동할 때도 철도가 훨씬 낫다. [4] 2015년 4월 21일에 코리아와이드 경북에서 1일 2회로 신설된 동서울행도 있었지만 2016년 10월 10일에 폐지되었다. [5] 동대구에서 버스로 환승하려 해도 그 곳 역시 현재 고속버스는 평소대비 20~40% 수준으로 감회운행중이며 서울을 제외한 다른 노선들은 운행중지 또는 1일 1~5회 수준으로 대폭 감회 운행중이다. 시외버스는 아예 운행중지 한 노선들이 많으므로 철도를 쭉 이용하는 게 낫다. [6] 사실 밀양은 철도 초강세지역이기 때문에 시외로 이동할 때 버스보다 철도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