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01:34:05

FC 디나모 모스크바

디나모 모스크바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아이스하키단에 대한 내용은 HC 디나모 모스크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로고.svg
2024-25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373a3c,#ddd
파일:FC 디나모 마하치칼라 로고.svg
파일:FC 디나모 모스크바 로고.svg
파일:FC 로스토프 로고.svg
파일: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로고.svg
파일:FC 루빈 카잔 로고.svg
파일: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로고.svg
파일:FC 아크론 톨리야티 로고.svg
파일:FC 아흐마트 그로즈니 로고.svg
파일:FC 오렌부르크 로고.svg
파일: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로고.svg
파일:PFC CSKA 모스크바 로고.svg
파일:FC 크라스노다르 로고.svg
파일: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로고.svg
파일:FC 파리 니즈니노브고로드 로고.svg
파일:FC 파켈 보로네시 로고.svg
파일:FC 힘키 로고.svg
파일:1st_League_Logo_2022.png
파일:러시아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풋볼 리그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파일:조지아 국기.svg 에로브눌리리가 파일:몰도바 국기.svg 슈퍼 리가 몰도바 파일:크림 공화국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A]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수페르 리가[A] 파일: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기.svg 단결 연합 리그[A]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A] 공식적인 1부 리그로 인정받지 못한 리그 [A] [A]
}}}}}}}}}}}}}}} ||

파일:FC 디나모 모스크바 로고.svg
FC 디나모 모스크바
FC Dynamo Moscow
<colbgcolor=#1e4faa><colcolor=#fff> 정식 명칭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Динамо Москва
(Football Club Dynamo Moscow)
별칭 Belo-golubye(흰색-파랑색), Dinamiki(큰소리), Musora(경찰)[1]
창단 1923년 4월 18일 ([age(1923-04-18)]주년)[2]
소속 리그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Российская премьер-лига)
연고지 러시아 모스크바 (Moscow)
홈구장 VTB 아레나 (VTB Arena) (26,700명 수용)[3]
라이벌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가장 오래된 러시아 더비
PFC CSKA 모스크바 - 형제 더비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 모스크바 더비
회장 유리 벨킨 (Юрий Белкин)
단장 젤리코 부바치 (Zeljko Buvac)
감독 마르첼 리치카 (Marcel Lička)
주장 파비안 발부에나 (Fabian Balbuena)
공식 웹사이트 파일:FC 디나모 모스크바 로고.svg 파일:브콘탁테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OK 아이콘.png 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
우승 기록
소비에트 톱 리그/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11회)
1936,[4] 1937, 1940, 1945, 1949, 1954, 1955, 1957, 1959, 1963, 1976
소비에트 퍼스트 리그/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1회)
2016-17
소비에트 / 러시아 컵 우승
(6회) / (1회)
1937, 1953, 1966-67, 1970, 1977, 1984
1994-95
소비에트 슈퍼 컵 / 러시아 슈퍼 컵
(1회)
1977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 막시밀리안 필립 (Maximilian Phillip)
(2019년, From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00만 €)
최고 이적료 방출 다니 미겔 (Daniel Miguel Alves Gomes)
(2008년, To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3000만 €)

1. 개요2. 역사
2.1. 2011-12 시즌2.2. 2012-13 시즌2.3. 2013-14 시즌2.4. 2014-15 시즌2.5. 2015-16 시즌2.6. 2016-17 시즌2.7. 2017-18 시즌2.8. 2018-19 시즌2.9. 2019-20 시즌2.10. 2020-21 시즌
3. 선수
3.1. 명단3.2. 유명 선수
4. 역대 감독5. 응원가6. 기타7.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디나모 모스크바는 1887년 모스크바 북동쪽 섬유 공업 도시인 오레호보-주에보(Orekhovo-Zuevo) 에서 모로조프(Morozovtsi) 공장 노동자들에 의해 결성된 노동자 팀이 전신이다. 1906년 OKS 모스크바(OKS Moscow)로 개칭하였다. 1923년, 구단은 당시 소련의 정보 기관, 체카의 수장인 펠릭스 제르진스키의 주도로 디나모 모스크바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 그 후 소련 시절의 FC 디나모 키예프,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와 쌍벽을 이루는 체제가 되기도 하였다. 디나모는 출범 초기부터 정보 기관인 NKVD의 지원을 받았으며 NKD의 수장인 라브렌티 베리야가 크게 관심을 갖던 팀이기도 했다.[5]

레프 야신이 1950-1970년 동안 활약한 곳이며 현재 러시아의 이름난 선수들이 거쳐간 팀이기도 하다. 1971-72년 시즌 유러피언컵위너스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하기도 하였다.

해당 팀은 축구 외에도 농구, 남자배구, 여자배구, 아이스하키 팀도 소유하고 있다. 물론 농구, 배구와 하키에서도 명문.

2. 역사

소련 초창기 리그 시절에는 유일하게 유럽에 알려진 구단이었다. 러시아는 축구의 역사가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 짧아서 1900년대부터 제대로 된 팀들이 창단되고 지역간 더비 매치가 이루어지는 수준이었고 1900년대부터 20년대 초까지 러일 전쟁, 1905년 혁명, 1차 세계 대전, 2월 혁명, 10월 혁명, 러시아 내전 등의 격변이 벌어지는 상황이었기에 투자할 여유가 거의 없었다시피 했다.

그러다 NEP(신경제 정책) 시절부터 축구를 비롯한 구기 종목들이 인기를 끌기 시작하면서 소련 전역에서 축구단들이 창설되었으며 그 중에서 두각을 드러낸 팀이 각각 비밀경찰인 체카(이후 NKVD), 군부, 철도청과 철도 노조의 지원을 받는 디나모, 체스카, 로코모티브였다.[6] 아직 보스만 룰이 없는 시대였지만, 경쟁을 강조하는 NEP 시대의 영향으로 인해 소련 리그의 유력 축구단은 마음에 드는 선수가 있으면, 일반 노동자들은 상상도 못할 정도로 높은 연봉을 제시했고 선수들은 연봉만 많이 준다면, 언제든지 팀을 옮기곤 했다.

디나모는 NKVD의 후원, 좋은 선수와 코치, 감독들의 영입 덕분에 소련의 톱리그에서 좋은 기록을 지속적으로 남겼으며 특히나, 1937년에는 톱리그와 소비에트 컵 동시에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그러나, 1939년에는 불명예스러운 일을 겪기도 했다. 트빌리시 스타디움에서 벌어진 준결승 경기에서 스파르타크에게 패배하자, 디나모의 "구단주"였던 베리야가 격노해 준결승에서 오심이 있었음을 주장하며 재경기를 밀어붙인 것이다. 스탈린을 제외한 소련의 그 누구도 잡아다 없애버릴 수 있는 정보 기관 수장이 이의를 제기하니 리그 관계자들은 재경기를 추진할 수 밖에 없었고 심판진도 베리야가 마음대로 '교체'해 버렸다. 그러나, 재경기에서 디나모는 스파르타크에게 다시 3:2로 패배했다. 최종적인 순위도 4위로 결정되었다.

1945년에는 첼시 FC, 아스날 FC 등 영국의 구단들과 친선경기를 가지기도 하였다. 이런 좋은 분위기는 1950년 후에도 지속되었으며 소비에트 시절부터 2015-16 시즌까지 한 번도 강등되지 않은 러시아의 유일한 구단이었다. 구 소련 시대에는 내무부와 펠릭스 제르진스키(Felix Dzerzhinsky)의 강력한 후원을 받고 소련 리그에서 우승 11회, 컵 우승 6 회를 달성한 명문 팀이었다. 그러나 1970년 레프 야신이 은퇴한 후 1976년 리그 우승을 끝으로 전성기를 누리지 못했는데, 이 시기부터 라이벌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FC 디나모 키예프가 리그를 사실상 씹어먹었고, FC 토르페도 모스크바에게도 고전했기 때문이었다.

1991년 소련 해체 후, 1994년 준우승 뒤 성적은 중위권을 유지하다가 하위권을 맴돌며 고전한 적이 여러번 있었다. 러시아 컵에서는 1995년에 우승을 하였지만 리그 성적을 걱정해야 될 판이었다. 하지만 소련이 해체된 후에도 디나모 모스크바에 대한 투자는 지속적으로 이어졌고 2004년 당시의 구단주였던 알렉세이 표도르체프가 3000만 유로를 투자하여 포르투갈의 수준급 국대 선수인 마니시, 코스티냐를 영입하였고[7] UEFA 유로 2004의 우승 주역인 그리스의 수비수 유르카스 세이타리디스[8]도 영입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구단은 세이타리디스와 작은 갈등으로 문제가 되기도 하였는데 선수가 모스크바의 환경이 그리스와 판이한 탓에 불만을 가졌고 결국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로 이적되었다. 브라질 선수를 성공적으로 영입하게 된 디나모 모스크바는 티아고 실바 또한 2005년에 영입하였지만 한 경기도 출전시키지 않고 플루미넨시로 방출시켜버렸다. UEFA 유로 2004에서 성공적인 경기를 마친 선수들을 영입하고도 러시아 리그에선 2005년에 9위를 차지했고 오히려 이들 선수들은 팀에 독이 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그렇게 해서 순위는 2006년에 14위로 아슬아슬하게 강등을 막았다. 이런 멋진 선수들을 제대로 활용하지 않았다니...

하지만 멋진 선수들을 방출한 뒤에는 오히려 성적이 올라갔다. 2006년에 잘 맞지 않은 선수들을 팔고 성적을 올리기 위해 러시아 국내파 선수(유망주 포함)들을 적극 기용하게 되었다. 2007년에는 7위를 달성하였고 2008년에는 시즌 도중에 팀의 주축인 다니를 제니트에게 클럽 레코드인 무려 3000만 유로로 팔아넘겼음에도 21세기 들어서 가장 좋은 성적인 3위를 달성하였다. 특히나 2008년에는 기존의 경기장인 디나모 스타디움에서 아레나 힘키로 임시로 홈 구장을 이동한 후 였다. 이 후 임시 홈구장에 대한 환경이 선수들과 잘 맞지 않았음에도 중상위권을 유지하는 팀이 되었다. 2009년 4월 10일 VTB 은행(VTB Bank)에서 74%의 주식을 사서 클럽의 소유주가 되었고, 보리스 로텐베리가 회장으로 취임했다.[9] 이 때 부터 VTB체제 디나모 모스크바가 시작되었다. 덕분에 디나모 모스크바도 자금 공급원을 통해 선수를 보강받을 수 있게되었다. 그 후에도 2010년 시즌에는 리그 7위를 달성하게 되었다.

2.1. 2011-12 시즌

2011-12 시즌 초반 5경기에서 디나모 모스크바는 경기력이 좋지않다는 평을 받고 최초로 강등당할 위기에 쳐하면서 구단은 원래 감독인 드미트리 코클로프 감독 대신 루마니아인 감독인 단 페트레스쿠감독으로 교체하였고 페트레스쿠 체제하에 디나모 모스크바는 강등권을 탈출하여 리그 3위까지 가다가 후반기에 들어서 PFC CSKA 모스크바에 3위를 뺏겨 결국에는 4위를 달성하게 되었고, 컵 대회에서 결승까지 진출한 뒤 결승전에서 루빈 카잔 로만 에레멘코의 화력으로 0-1로 패해 준우승을 기록했다.

2.2. 2012-13 시즌

하지만 전 시즌의 4위라는 성적은 운이 좋은 것이었는데 예상치 못한 강호인 FC 안지 마하치칼라등이 거액을 내세우면서 최고 선수들을 전부 영입하는 등 위기감이 나돌기도 했다. 그런 와중에 성적은 초반에 비해 갈수록 하락세를 걷고 있었는데 결국 2012-13 시즌에는 리그 7위를 기록했으며 러시아 컵에서도 안지 마하치칼라에 1대0으로 패배하며 준결승 진출도 따내지 못했다. 결국 아쉽게 리그 7위를 달성해서 유럽 리그 대항전에 나서게 되었지만 UEFA 유로파 리그 플레이오프에서 VfB 슈투트가르트에게 패해 탈락했다.

2.3. 2013-14 시즌

FC 안지 마하치칼라의 재정적 문제로 인해 주요 선수들을 전부 내다 팔았고 디나모 모스크바 구단은 이 기회를 쉽게 놓치지 않았다. 현재 러시아에서 잘 알려진 선수인 알렉산드르 코코린을 통해 공격을 보강하고 왼쪽 풀백과 윙백, 왼쪽 윙어의 위치에서 활약하는 선수인 유리 지르코프도 영입하였다. 결과는 절반 이상의 성공적이었다. 이로 인해 팀의 경기력이 한 층 상승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15승 7무 8패 승점 52점을 기록하며 4위에 올라가는 긍정적인 성적으로 보답하게 되었다. 3위에 달성할 수 있었지만 마지막에 안지 마하치칼라에 0대4로 패배하면서 결국은 유로파 리그에 확정하게 되었고 그 충격으로 단 페트레스쿠 감독과의 재계약은 하지 않았다. 물론 리그 막바지에 들어서 경기력이 좋지 않았던 점도 한 몫했다.

2.4. 2014-15 시즌

팀에는 마티유 발부에나, 유리 지르코프등 쟁쟁한 선수들이 팀에서 활약하기 시작하였고 리그 시작과 동시에 지속적인 상승세를 타기 시작하였다. 이 때는 단 페트레스쿠감독이 아닌 스타니슬라프 체르체소프감독이 새로 부임하였다. 물론 소련 탑 리그를 제외한 러시아 리그에선 매우 커다란 전성기라고 볼 수 있었는데 이 때만 하더라도 과거의 영광을 되 찾을 수 있다고 믿고 있었다.(...) 리그에 집중하느라 러시아 컵에서는 로테이션을 돌린 탓인지 FC 신니크 야로슬라블에 2대0으로 어이없게 패배하면서 8강에도 가지도 못하는 부진을 이어갔지만 유로파 리그와 러시아 리그 성적에서 선방을 했던 시기였다. 유로파 리그에서 디나모는 PSV 아인트호벤, 이스토릴 프라이아, 파나시나이코스와 한 조가 되었는데 예상을 깨고 조별리그에 6승 0패라는 최고의 성적을 이루게 되었다. 특히 PSV 아인트호벤전은 홈 경기와 원정 경기 둘 다 극적인 골로 놀라게 한 바 있었다. 32강전에 안데를레흐트와 원정 경기에서 골키퍼의 선방으로 0대0 무승부를 기록하게 되었다. 하지만 홈에서는 3대1로 대파하는 등 그야말로 유럽리그에서 선전을 이어갔다. 홈 경기에서 수비수의 실책으로 1골이 먹힌 것에 대한 아쉬운 장면이 있었지만 골키퍼는 슈팅 8개를 선방하는 등 좋은 분위기를 이어가나 했다. 하지만 16강전에 당시 우승 후보였던 SSC 나폴리를 만나게 되면서 흐트러졌다. 홈 구장에서 무승부를 달성했지만 원정에서 3대1로 패배하였다. 우승까지 노려볼만 했지만 자국 리그에서는 계속 선전하고 있었다. 유능한 선수들을 앞세우고 전 시즌과 똑같이 리그 4위를 안착시키면서 다음 시즌도 유로파 리그를 나갈 수 있는 상황. 이 때까지만 해도 구단의 분위기는 아주 좋았고 리그 우승을 소련 시절 이후 처음으로 노려볼 수 있었다.

하지만 그런 와중에 중요한 문제가 터지기 시작하는데 디나모 모스크바가 FFP룰 위반 문제가 수면위로 떠오르게 되는데 이는 구단측에서 선수 보강을 위해 돈을 너무 많이 쓰는 상황으로 인해 터진것으로 보여졌다. 한동안 이슈화는 계속되었고 다른 러시아 리그팀들도 충격을 받은 상태였고 그 상황을 지켜보고 있었다. 스타니슬라프 체르체소프도 구단과의 계약을 끝내고 레기아 바르샤바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10]

2.5. 2015-16 시즌

예상했던 대로 15-16시즌은 망했다. VTB 은행에서 스포츠 클럽에 대한 무리한 투자로 FFP룰 위반으로 유로파리그 진출권을 박탈당하고 이로 인한 영향을 받아 재정난으로 알렉산드르 코코린 유리 지르코프등 유능한 선수들은 죄다 팔려나가면서 경기력은 수직낙하하게 되었고 15위로 강등당했다. 당연히 강등 당하지 않기 위해 어떤 수를 써서라도 막으려고 했다. 그래서 새로 부임한 안드레이 코벨로프 감독하에 있는 선수들 만으로라도 어떻게든 버텨보자는 생각이었지만 새로 부임한 안드레이 코벨로프 체제하에 선수들이 팔려나가는 동안에도 구단에 대한 규정 위반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 이 강등 이전까지 디나모 모스크바는 소련 시절부터 최상위 리그에서 2부 리그로 강등되지 않은 유일한 러시아 팀이었기에 충격의 강등이었다. 당분간은 1부리그에서 볼 수 없는 처지가 되어 버리는 등 시선이 곱지 않았다. 당연하게도 1년도 안되어 감독은 교체되었고 혼란만 가중되기 시작하였다. [11] 2015년 7월 17일 보레스 로텐베리는 회장에서 사임했으며, 2016년 12월 29일 디나모 스포츠 협회가 VTB 은행의 지분을 단 1 루블(...)에 인수해 소유권을 넘겨받았다. 그래서 현재 구단주는 디나모 스포츠 협회가 자리잡고 있고 다만 주요 스폰서는 VTB 은행으로 계속 갈 것으로 보인다. [12]

2.6. 2016-17 시즌

대부분의 언론을 포함한 러시아인들이 팀 사정이 어려워져 당분간 1부리그에서 보기는 힘들다고 봤다. 이는 서포터들도 마찬가지였으며 천천히 해결해 나가면 다시 승격할 것이라고 보고 있었지만 16-17 시즌 2부리그인 내셔널 풋볼 리그에서 26승 9무 3패, 승점 87점으로 우승을 차지하며 한 시즌만에 프리미어 리그로 복귀하였다. 그나마 남은 선수들인 막심 쿠즈민등이 팀의 재승격에 이바지를 한 덕분도 있었다. 충격의 강등을 한 시즌만에 복귀하여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재 도약을 꿈꾸고 있는 상황이지만 재정적 문제로 인해 예전처럼 유능한 선수들은 팀에 남아있지 않았고 전보다 더욱 어려운 상황에서 1부 리그에서 경기를 치러야했다. 하지만 친선경기등을 통해 팀의 결속력을 다시 다져나가게 되었고 그 다음 시즌에는 그 빛을 보기 시작하였다.

2.7. 2017-18 시즌

17-18시즌에 디나모 모스크바는 리그 8위를 기록하였다. 선수 시절부터 디나모 모스크바에 애정을 가지고 있었던 드미트리 코클로프가 다시 부임하였다. 물론 재부임에 걱정스러운 반응도 있었지만 의외의 선전으로 논란을 잠재워버렸다. 초반의 연승을 이어가다 로코모티프 모스크바에 3대0으로 패배,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에 패배를 한 후 연패를 하기 시작하더니 갑자기 순위가 떨어지다가 후반기에 경기력을 끌어올려 안정적인 순위로 진입하게 되었다. 막바지에 연승을 노려 UEFA 유로파 리그를 바라봤으나 결국에는 진출하지 못했다. 팀 내부 사정이 어려운 시기에도 러시아 타팀과는 달리 충격의 한 시즌만에 재 승격이후로 지속적으로 경기력이 좋아지고 있다. FC 우파와 마찬가지로 상승세를 타고 있는 팀이기도 하다. 다만 친선경기에서 주전급 선수가 대거 빠진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에 5대0으로 패하면서 팬들은 2018-19시즌 전부터 리그 성적에 대해 걱정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물론 이는 제정 상태와도 연관되는 문제이기도 하기에 친선경기라고 하기엔 뼈아픈 패배였다. 하지만 그 이외의 친선 경기에선 압도적으로 승리를 이어갔으며 돈 문제에 대해서는 다행이도 구단의 제정 상태는 강등당했던 당시보다는 배로 나아진 수준으로 복귀하였으니 다른 구단에 비하면 넉넉하지는 않아도 비교적 안정된 쪽에 속하는 편이다.

2.8. 2018-19 시즌

리그 시작 전에 막심 쿠즈민 FC 파켈 보로네시에 임대 이적되었다. 나머지 주전 선수들도 마찬가지로 2부 리그팀에 전부 임대 이적되었고 유망주들을 대거 유입하였다. 하지만 임대 보낸 탓인지 골 결정력이 매우 부족하였던 탓에 예선 초기 3경기 전부 무승부로 시즌을 시작하게 되었다. 물론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전에서 고전하였으나 예상외로 크게 선전하던 FC 오렌부르크, FC 우파전에서 크게 승리하면서 선수들의 경기력이 살아났긴 했다. 그러다가 전시즌과 똑같이 연패를 거듭하다가 강등 플레이오프까지 하락할 가능성도 보여주었다. 다만 FC 우파, FC 크릴리야 소베토프 또한 똑같은 부진으로 디나모 모스크바는 가까스로 12위를 차지하여 남은 한 경기를 제외하고도 잔류가 확정되었다. 다만 이번 시즌 경기력을 통해 서포터들의 비난이 거세지고 있었고 그 영향은 감독에게 미치게되었다.

2.9. 2019-20 시즌

강등권 언저리인 12위까지 하락했다가 노비코프 부임 후 엄청난 상승세로 6위로 시즌을 마치면서 유로파리그 2차예선 티켓을 따냈다.

2.10. 2020-21 시즌

개막전에는 은지의 좋은 활약으로 2대0으로 승리하였다.

2라운드에서는 승격팀 로토르를 상대로 득점없이 비겼다.

3라운드 로스토프를 상대로 효율적인 공격을 보이며 2대0으로 승리하였다.

4라운드는 하락세였던 아르세날을 상대로 덜미를 잡히며 2대0으로 패배하였다. 게다가 이적생인 니콜라 모로가 페널티를 내주었다.

5라운드에서는 제니트를 상대했는데, 전반 40분 시망스키가 정교한 킥으로 슈니치의 머리에 택배를 배달하면서 1대0으로 앞서나갔다. 이후에 말콤이 박스에서 넘어졌으나, VAR 리뷰 이후 페널티가 주어지지 않았다. 이후 72분에 스코핀체프가 질이 안좋은 태클로 경고를 받은 파울에 대해서 레드카드 VAR을 돌리는 과정에서 키릴 노비코프 감독이 심판에게 험한 어휘를 사용해 경고를 받았다. 이후 스코핀체프도 레드카드를 받았다. 수적 열세에 빠진 디나모였으나, 윌마르 바리오스가 공중볼 경합에서 파울을 범해 경고누적 퇴장을 당하면서 10대10 경기가 되었다. 이후 리드를 지키면서 아주 큰 승점 3점을 챙겼다. 노비코프 감독의 표정이 압권. 제니트는 11개월만의 리그 패배를 당하게 되었다.

시망스키의 플레이메이킹과 안톤 슈닌 골키퍼의 미친 안정감으로 현재까지 상승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6라운드는 FC 우파 원정을 떠났다. 양팀 다 괜찮은 기회들을 생산해내면서 서로를 위협했고, 전반 42분 클린튼 은지가 수비수가 걷어낸 볼을 트래핑 해냈고, 완벽한 결정력으로 발리슛을 때리면서 디나모가 1대0으로 앞서나갔다. 59분 우파의 자말레트디노프가 뒤통수로 헤딩을 해 절묘한 동점골을 만들었다. 다시보기로 봤을 때는 오프사이드로 보이지만, 골이 인정되었다. 이후에는 양 팀다 유효슈팅을 제대로 만들어내지 못하면서 1대1 무승부를 거두었고, 디나모는 이 경기를 비기면서 4위로 추락했다.

유로파리그 2차예선에서는 그루지야의 FC 로코모티프 트빌리시 원정을 떠나게 되었다. 이긴다면 3차예선에서는 KF 테우타 또는 그라나다 CF로 원정을 떠나게 되는데, 험난한 경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7라운드 FC 루빈 카잔과의 홈 경기에서는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 황인범이 합작해서 얻어낸 페널티킥을 조르제 데스포토비치가 깔끔하게 차넣으면서 선제골을 먹혔고, 이 골이 그대로 결승골이 되며 패배했다. 후반 막판에 디나모 모스크바가 맹공을 펼쳤고, 루빈도 매서운 역습으로 보답하면서 경기가 과열되었고, 결국 양 팀 합쳐 3장의 레드카드가 나온 경기가 되었다. 총 3장의 퇴장 중 후반 초반에 3분만에 경고 2장을 받고 퇴장당한 니콜라이 코믈리첸코만 제외하면, 2장이 후반 막판에 나왔다. 디나모는 은지가 공격을 너무 많이 말아먹었고, 막시밀리안 필립도 이렇다할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다. 후반 막판 보여준 맹공과 상대 골키퍼였던 메드베데프가 슈퍼 세이브로 막아낸 것을 제외하면 이렇다할 공격이 없었다. 주전 스트라이커인 코믈리첸코와 주전 라이트백인 파르시블류크의 출장 정지가 치명적일 것으로 보인다.

이후 주중 유로파리그 2차예선에서 어이없이 로코모티프 트빌리시에게 2골을 먼저 먹히며 결국 2대1로 패하여 탈락하였다.

8라운드 아흐마트 그로즈니와의 경기에서는 안톤 슈닌이 미친 선방으로 아흐마트의 공격을 막아내었고, 78분에 아흐마트의 보고사바츠가 퇴장을 당하면서 전세는 디나모쪽으로 기울었다. 결국 91분에 터진 오르데츠의 극적인 헤딩골로 1대0 승리를 거두었다.

리그에서의 만족스럽지 못한 경기력과 유럽대항전에서의 실망스러운 성적으로 인해 경질설이 돌고 있다.

9라운드 힘키전은 아무런 공격도 하지 못한채 힘키의 공격 한방에 무너지면서 1대0으로 패배하였다.

힘키전의 패배를 책임지고 결국 키릴 노비코프가 스스로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다만, 디나모 모스크바의 스태프로는 계속 남게 해달라고 요구했다고 한다. 다음 10라운드 경기는 2군 감독인 알렉산드르 쿨치가 지휘하기로 하였다.

와서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한 막시밀리안 필립을 결국 볼프스부르크로 임대 보냈다.

10라운드는 감독대행 상태에서 강팀 FC 크라스노다르를 상대하게 되었다. 12분에는 박스안에서의 혼전 상황을 만들어냈으나, 클린통 은지와 그룰료프가 서로 충돌하면서 마무리를 제때 짓지 못해 득점으로 연결하지 못했다. 37분, 세바스티안 시만스키가 박스바깥에서 때린 공을 사포노프가 펀칭했으나, 이 공이 그룰료프 앞에 떨어지면서 득점을 허용하였고, 디나모가 1대0으로 앞서나가기 시작했다. 57분에는 다니일 레소보이를 향해 뒷공간을 노리는 패스가 갔으나 짧아서, 상대 센터백인 마르티노비치가 충분히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으나... 실수를 범하면서 키퍼와 1대1 상황을 연출하게 되었고, 점수는 2대0이 되었다. 다니일 레소보이의 디나모 이적 후 첫 골. 이후에 크라스노다르는 사기를 잃었는지 어떠한 좋은 공격 기회를 만들어내지 못했으며, 경기는 이대로 2대0 디나모의 승리로 끝났다.

10월 15일, 새로운 감독으로 전 마인츠 감독인 잔드로 슈바르츠가 선임되었는데, 아무래도 풋볼 디렉터인 젤리코 부바치의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테데스코의 리더십 하에 젊고 흥미로운 팀이 된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의 전철을 밟을 수 있을지가 주목된다. 여담으로 선임 날짜도 테데스코와 똑같다. 다음 11라운드 경기는 지휘하지 않는다.

11라운드는 홈에서의 PFC CSKA 모스크바 상대 더비 경기였다. 전반 3분만에 표도르 찰로프가 중거리 슛으로 득점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공격 전개과정에서 콘스탄틴 쿠차예프가 상대를 잡아 끈 것이 VAR로 적발되면서 득점이 취소되었다. 14분에 디나모가 빌드업 과정에서 실수를 범하면서 체스카가 기회를 잡았지만, 안톤 슈닌이 쿠차예프의 중거리 슛을 막아냈다. 16분 경에 뱌체슬라프 그룰료프가 바딤 카르포프의 코를 팔꿈치로 찍으면서 경고를 받았고, 카르포프가 교체되었다. 경기 후의 검사 결과에 따르면 코뼈가 부러졌다고 한다. 30분에 오블랴코프의 중거리 슛을 슈닌이 또 다시 손끝으로 막아내었다. 50분에 찰로프의 센스있는 패스를 받은 쿠차예프가 선제골을 넣었다. 54분에는 세트피스 상황에서 박스안으로 넣어준 공을 혼전 상황에서 에주케가 박스 구석으로 밀어넣었고, 점수는 2대0이 되었다. 하지만 57분에 바로 다시 니콜라 모로가 중거리 슛으로 만회골을 기록하면서 점수는 2대1이 되었다. 67분에는 이고르 티베예프가 코너킥 상황에서 노마크 상황이 되면서 혼전 상황에서 추가골을 득점하였다. 75분에는 디나모의 예브게니예프가 거친 태클로 경고누적 퇴장을 당하였다. 이후 디나모는 골을 넣기 위해 전진하였으나, 이고르 아킨페예프가 회춘한 듯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득점에 실패하였다. 그렇게 3대1로 경기가 종료되었다.

12라운드는 PFC 소치와의 홈에서의 맞대결이었다. 잔드로 슈바르츠의 부임 후 첫 경기였다. 1대0을 만든 뒤에 클린통 은지가 햄스트링 부상을 당하였으나, 소치의 수비가 호러쇼를 보여주었고, 디나모가 공격 전개에서 이전보다 더 좋은 기회들을 만들어내면서 3대1로 승리하였다. 소치도 나름대로 기회를 만들어냈으나, 슈닌이 좋은 선방을 보여줬다.

13라운드에서는 FC 탐보프를 상대했다. 전반 8분에 다니일 포민의 패스를 받은 다니일 레소보이가 득점에 성공하면서 편하게 1대0으로 앞서나갔다. 전반전에는 예상대로 디나모가 경기를 지배하였고, 탐보프는 역습을 노렸다. 53분에 안톤 킬린이 세바스티안 시만스키의 발을 밟으면서 경고 누적으로 퇴장을 당하였다. 56분, 구람 테트라슈빌리가 시만스키에게 발을 걸면서 경고를 받았다. 경고로 끝났으면 다행이었으나, 이후에 아파서 누워 몸부림치고 있는 시만스키에게 가서 정강이를 스터드로 찍는 비신사적인 행위를 하였다. 처음에는 주심이 포착을 하지 못하였으나, 디나모 선수가 주심에게 달려가 항의를 하면서 VAR리뷰가 진행되었고, 예상대로 퇴장을 당하였다. 테트라슈빌리의 어이없는 표정이 더 압권. 탐보프는 지고있는 상황에서 필드 위에 9명의 선수로 싸워야하는 상황이 되었다. 하지만 탐보프는 오기로 공격을 하였고, 63분에 이반 오르데츠의 파울로 페널티킥을 얻어냈고, 게르만 오누그하가 성공하면서 어떻게 1대1을 만들어내었다. 이후 탐보프는 모두의 예상대로 4-4-0 포메이션으로 영혼의 버스세우기를 시전하였다. 88분에 콘스탄틴 튜카빈의 슈팅이 탐보프 수비수의 몸을 맞은 뒤 손에 맞았다. 이후 2분여에 거친 VAR 리뷰 끝에 페널티킥이 주어졌고, 니콜라이 코믈리첸코가 94분에 PK 득점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이후 경기는 끝나지 않았다. 탐보프는 최후의 닥공을 시전하였다. 95분에 탐보프가 디나모 진영의 페널티 박스 안으로 넣어준 상황에서 탐보프 선수 2명이 넘어졌다. 일단은 경기를 중단시키지 않은 채 진행하였다. 이후 디나모가 빠른 역습으로 추가골을 넣어 경기를 끝내려 했으나 실패했고, VAR 리뷰가 들어가게 되었다. 다시한번 2분간의 VAR리뷰를 통해 코믈리첸코가 탐보프 선수의 팔을 의도적으로 잡아당긴 것이 포착되면서 97분 9초에 탐보프의 페널티킥이 선언되었다. 이후 경고도 받았다. 98분 25초에 게르만 오누그하가 탐보프를 구원하기 위해 페널티킥을 찼으나, 러시아 주전 골키퍼인 안톤 슈닌이 이를 선방해냈다. 이후, 탐보프가 세트피스를 통해 드라마를 만들어내려 했으나 결국 디나모 모스크바의 2대1 승리로 100분 15초만에 경기가 종료되었다.

14라운드에서는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를 홈에서 상대하였다. 전반 3분만에 로만 예브게니예프가 득점에 성공하였다. 전반 33분에는 클린통 은지가 오랜만에 득점에 성공하였다. 점수는 2대0. 38분에는 슬로보단 라이코비치가 은지를 잡아당기면서 경고누적 퇴장을 당하였다. 이후 45+2분에 그제고시 크리호비아크가 코너킥 상황에서 헤더로 만회골 득점에 성공하였다. 53분에도 세트피스에서 동점골 기회를 만들었으나, 슈닌이 엄청난 세이브를 보여주었다. 56분에 은지가 좋은 스루패스로 결정적인 기회를 만들었으나, 득점에 실패하였다. 하지만 60분에 다니일 레소보이가 비슷한 기회를 잡았고, 득점에 성공하였다. 이후에도 디나모는 간결하고 공격적인 축구를 보여주었다. 64분에 길례르메가 박스 바깥으로 공을 막기 위해 나왔는데, 이 과정에서 선수를 손으로 건드렸다는 이유로 퇴장을 당하였다. 하지만, 느린 장면으로 봤을때는 접촉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어쨌든 로코모티프는 9명으로 싸우게 되었다. 78분에 디나모의 파르시블류크가 거친 태클로 경고누적 퇴장을 당해 이젠 10대9가 되었다. 84분에는 이고르 디베예프가 손으로 디나모 선수를 찍으면서 경고를 받았고, 페널티킥이 주어졌다. 다니일 포민이 성공하면서 4대1이 되었다. 92분에도 60분에 보여줬던 기회를 맞이하였고 다시 한번 득점에 성공하면서 5대1 대승을 거두었다.

15라운드는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와의 모스크바 더비였다. 디나모와 스파르타크 모두의 레전드인 콘스탄틴 베스코프의 100주년 생일을 맞아 킥오프 전에 숫자 100이 적힌 티셔츠를 입고 나왔다. 전반전은 디나모가 매우 많은 공격 찬스를 만들면서 경기를 지배했다. 43분 스파르타크의 로만 조브닌이 절묘한 감아차기를 했으나, 슈닌 골키퍼가 손가락 끝으로 튕겨내며 공이 골대를 맞게 했다. 후반전은 스파르타크가 초반부터 매서운 공격을 보였다. 아이르통과 조브닌이 계속 좋은 슈팅을 보여줬다. 이후에도 스파르타크가 공격을 주도했지만, 디나모도 매서운 역습으로 스파르타크의 골문을 노렸다. 79분 디나모의 드미트리 스코핀체프가 아무도 예상치 못한 슈팅을 25미터 바깥에서 감아 때리면서 디나모의 선제골을 넣었다. 이후 85분에 디나모의 수비가 걷어낸 공을 받아 모든 디나모 선수들을 제치고 슈팅까지 연결해 본인이 득점을 완성시켰다. 이후 이 골은 2020년 11월 이달의 골로 선정이 되었고, 점수는 1대1이 되었다.

16라운드는 FC 로스토프 원정을 떠났다. 33분에 로스토프가 샤를 카보레의 파울로 페널티킥을 얻어냈고, 드미트리 폴로스가 성공시키면서 점수는 1대0이 되었다. 71분에 니콜라 모로가 로만 투가레프를 넘어뜨리면서 PK가 또 한번 선언되었고, 다시한번 폴로스가 성공시키면서 2대0이 되었다. 73분에 호렌 바이라먄이 때린 중거리슛이 키퍼를 맞고 폴로스 앞에 떨어지면서 폴로스가 해트트릭을 성공시켰고, 3대0으로 로스토프가 앞서나간다. 85분에 호렌 바이라먄이 4번째 골을 완성시켰다. 90분에 콘스탄틴 튜카빈이 페널티킥을 얻어냈고, 디나모가 한골을 만회하며 4대1로 경기가 종료되었다. 잔드로 슈바르츠 감독 부임 후 첫 패배를 당하였다.

17라운드에서는 FC 아르세날 툴라를 상대하였다. 전반전에는 디나모가 이전처럼 빠른 공격을 펼쳤으나, 마무리를 짓지 못하였다. 다니일 레소보이의 슈팅이 아르세날 수비수들에 맞고 애매하게 굴절되면서 골키퍼가 제대로 공을 걷어내지 못했고, 이를 다니일 포민이 마무리지었다. 이후에는 서로 결정적인 유효슈팅을 때리지 못했고, 이렇게 디나모가 1대0 승리를 거두었다.

겨울 휴식기가 끝난 뒤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를 상대로 인상적인 승리를 거두며 8강 진출에 성공하였다.

20라운드는 아흐마트 그로즈니를 상대하였다. 전반 5분만에 디나모가 핸드볼을 얻어내며 편안하게 PK로 득점에 성공하였다. 37분에 아르센 자하랸이 개인 기술로 득점에 성공하였다. 자하랸은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최초로 득점한 2003년생 선수라는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 아흐마트는 후반전에 매서운 공격을 보이며 경기의 분위기를 반전시키려 했고, 69분에 베르나르드 베리샤의 크로스를 받은 안톤 슈베츠가 득점에 성공하며 한골을 따라갔다. 하지만 77분에 아흐마트의 아르툠 티모페예프가 경고 누적으로 퇴장을 당하며 분위기가 한풀 껶였다. 이후 많은 찬스를 만들어내지 못하면서 경기가 이대로 종료되었다.

21라운드는 FC 탐보프를 상대하였다. 37분에 2003년생 신인 아르센 자하랸의 완벽한 찔러주는 패스로 뱌체슬라프 그룰료프가 편하게 득점을 기록하였다. 이 패스덕에 자하랸은 경기 종료 후 MOM으로 선정되었다. 탐보프가 후반 초반에 득점을 위한 찬스를 한번 맞았으나, 득점에 실패하였다. 67분에는 디나모 공격진의 빠른 패스전개 이후 스코핀체프가 슈팅을 시도했으나, 멀리 빗나갔다. 88분에는 다닐 레포보이가 퍼스트터치를 한 뒤 드리블을 하는 과정에서 수비 발에 걸려 넘어졌고, 페널티킥이 선언된 뒤 니콜라 모로가 성공시키면서 디나모가 2대0 편안한 승리를 챙겼다.

22라운드는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와의 가장 오래된 러시아 더비 경기였다. 18분에는 파벨 마슬로프가 뱌체슬라프 그룰료프의 크로스를 걷어내려다가 자신의 골대에 넣어버리며 경기를 지배해 나가던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의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다. 30분에 알렉산드르 소볼레프의 완벽한 좌우전환 패스를 받은 빅터 모지스가 가볍게 반대쪽 골대 구석으로 밀어넣으며 동점을 만들어낸다. 이후에는 전반종료까지 양팀이 서로 번갈아가며 공격을 하였다. 61분에 파벨 마슬로프의 크로스가 스코핀체프의 손에 맞았다. 주심은 처음에 PK선언을 하지 않았고, 이 과정에서 퀸시 프로머스가 어필을 하다가 경고를 받았다. 결국 PK가 선언되었고, 소볼레프가 편하게 성공시켰다. 스파르타크는 이후에 경기를 계속 지배했다. 물론 디나모도 한두번 위협적인 공격을 보여줬다. 75분에 막시멘코가 다리로 골라인 위로 지나가던 공을 겨우 막아냈고, 84분에 튜카빈이 옆그물을 맞히기도 했다. 88분에는 에세키엘 폰세가 크로스바를 때리기도 했다. 경기는 2대1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의 승리로 종료되었다. 1위 제니트와 4점차를 유지하고 있지만, 조르단 라르손과 빅터 모지스가 부상으로 이탈해버렸다.

3. 선수

3.1. 명단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키릴문자 성명 비고
1 GK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드레이 루뇨프 Andrey Lunyov Андрей Лунёв
2 DF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엘리 다사 Eli Dasa Эли Даса
3 DF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비안 발부에나 Fabian Balbuena Фабиан Бальбуэна 주장
5 D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밀란 마이스토로비치 Milan Majstorovic Милан Майсторович
6 DF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로베르토 페르난데스 Roberto Fernández Роберто Фернандес
7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드미트리 스코핀체프 Dmitri Skopintsev Дмитрий Скопинцев
8 MF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호르헤 카라스칼 Jorge Carrascal Хорхе Карраскаль
10 MF 파일:브라질 국기.svg 비텔루 Bitello Битело
11 MF 파일:브라질 국기.svg 아르투르 고미스 Arthur Gomes Артур Гомес
13 FW 파일:카메룬 국기.svg 니콜라 무미 은가말뢰 Nicolas Moumi Ngamaleu Никола Муми Нгамалё
14 FW 파일:모로코 국기.svg 엘 메흐디 마우후브 El Mehdi Maouhoub Эль Мехди Маухуб
18 DF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니콜라스 마리찰 Nicolás Marichal Николас Маричаль
20 FW 파일:러시아 국기.svg 뱌체슬라프 그룰료프 Vyacheslav Grulev Вячеслав Грулёв
24 MF 파일:멕시코 국기.svg 루이스 차베스 Luis Chavez Луис Чавес
31 GK 파일:러시아 국기.svg 이고리 레슈크 Igor Leshchuk Игорь Лещук
34 MF 파일:조지아 국기.svg 루카 가그니제 Luka Gagnidze Лука Гагнидзе
47 GK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안드레이 쿠드라베츠 Andrey Kudravets Андрей Кудравец
50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르 쿠티츠키 Aleksandr Kutitskiy Александр Кутицкий
59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반 렙스키 Ivan Levskiy Иван Левский
70 FW 파일:러시아 국기.svg 콘스탄틴 튜카빈 Konstantin Tyukavin Константин Тюкавин
74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다니일 포민 Daniil Fomlin Даниил Фомин
77 MF 파일:러시아 국기.svg 데니스 마카로프 Denis Makarov Денис Макаров
80 DF 파일:러시아 국기.svg 스타니슬라프 베스메르트니 Stanislav Bessmertny Станислав Бессмертный
91 FW 파일:러시아 국기.svg 야로슬라프 글라디셰프 Yaroslav Gladyshev Ярослав Гладышев
93 DF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디에고 락살트 Diego Laxalt Диего Лаксальт
<colbgcolor=#1e4faa> 구단 정보
회장: 유리 벨킨 / 감독 : 마르첼 리치카 / 구장 : VTB 아레나
출처: 트랜스퍼마르크트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7월 1일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 ||

3.2. 유명 선수

4.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0 -10px"
{{{#1e4faa,#28a7e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22년 ~ 현재
미상
파일:FC 디나모 모스크바 로고.svg
1대
지타레프
파일:소련 국기.svg
2대
아르테미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3대
블린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4대
셀린
파일:소련 국기.svg
5대
소콜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6대
크바시닌
파일:소련 국기.svg
7대
두비닌
파일:소련 국기.svg
8대
토바롭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9대
두비닌
파일:소련 국기.svg
10대
테테린
파일:소련 국기.svg
11대
코르체보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12대
테테린
파일:소련 국기.svg
13대
아르카디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14대
코르체보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15대
야쿠신
파일:소련 국기.svg
16대
두비닌
파일:소련 국기.svg
17대
세미차스트니
파일:소련 국기.svg
18대
야쿠신
파일:소련 국기.svg
19대
블린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20대
포노마료프
파일:소련 국기.svg
21대
솔로비요프
파일:소련 국기.svg
22대
베스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23대
카찰린
파일:소련 국기.svg
24대
세비도프
파일:소련 국기.svg
25대
모제르
파일:소련 국기.svg
26대
고랸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27대
골로데츠
파일:소련 국기.svg
28대
솔로비요프
파일:소련 국기.svg
29대
이바노프
파일:소련 국기.svg
30대
세비도프
파일:소련 국기.svg
31대
말로페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32대
비쇼베츠
파일:소련 국기.svg
33대
알트만
파일:소련 국기.svg
34대
가자예프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
35대(대행)
골로데츠
파일:러시아 국기.svg
36대
베스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7대
야르체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8대
페트루신
파일:러시아 국기.svg
39대
가자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0대
노비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1대
프로코펜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42대(대행)
실킨
파일:러시아 국기.svg
43대
흐르제비크
파일:체코 국기.svg
44대(대행)
본다렌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45대
로만체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6대(대행)
코벨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7대
워르트망
파일:브라질 국기.svg
48대(대행)
코벨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9대
쇼민
파일:러시아 국기.svg
50대
코벨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1대
보조비치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52대
실킨
파일:러시아 국기.svg
53대(대행)
호흘로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4대
페트레스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55대
체르체소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6대
코벨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7대(대행)
치키셰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8대
칼리트빈체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59대
호흘로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60대
노비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61대(대행)
쿨치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62대
슈바르츠
파일:독일 국기.svg
63대
요카노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64대(대행)
알파토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65대
리치카
파일:체코 국기.svg
}}}}}}}}}}}}}}} ||

5. 응원가


2019년 5월, 니콜라이 아루튜노프가 작곡한 곡이 신구장 건축과 함께 공개되었다. 승리의 날 노래를 부른 것으로 유명한 레프 레셴코도 함께 참여했다. 매 경기 시작 전에 연주된다.

6. 기타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와 함께 훌리건으로 유명한 팀이다. 인종차별로 인해 문제가 되지는 않았지만 외국의 언론에도 주로 나온 팀이며 현재 서포터에 대한 평판이 좋지 않은 편이다. [14]

2018-19 시즌부터 이용하는 홈 구장이 상당히 선진적이다. 통합형 경기장으로 러시아 지하철역과도 접근성이 상당히 뛰어나서 디나모 서포터들은 매우 흥분돼있는 상황이다.

홈 구장에서 하프 타임때 드럼 공연이나 레이저 쇼 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OFK 베오그라드, 아노르토시스 파마구스타와 형제구단 관계이다.

7. 같이 보기

파일:소련 축구 연맹 로고.svg
1991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파일:dynamo-moscow(1939-1991).png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
파일:Lokomotiv-Moscow(1983-1991).png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
파일:spartak-moscow(1990-1997).png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
파일:cska-moscow(1991-2003).png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
파일:alania-vladikavkaz(1991).png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
파일:torpedo-moscow(1990-1991).png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
파일:Chornomorets-Odesa(1991-2004).png
파일: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파일:dynamo-kyiv(1988-1995).png
파일: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파일:600.png
파일: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파일:shakhtar-donetsk-(1989-1997).png
파일: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파일:Емблема_ФК_Металург_Запоріжжя4.gif
파일: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파일:Metalist Kharkiv(soviet).png
파일: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파일:dinamo-minsk(soviet).png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파일:Ararat_old_logo.svg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Pamir Dushanbe(soviet).png
파일: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파일:860-000001-04.png
파일: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52-1991).svg
}}}}}}}}} ||


[1] '쓰레기'라는 뜻으로, 러시아 내에서 경찰을 멸시할 때 쓰는 말이다. 한국의 "짭새"와 비슷한 맥락. [2] # [3] 원래 홈구장은 디나모 스타디움이었는데 그 자리에 VTB 아레나가 새로 건설 중이었다. 따라서 임시로 쓰던 아레나 힘키는 힘키 구단이 계속 그대로 쓸 것이라고 한다. [4] 봄 시즌 [5] 동구권에는 유난히 '디나모'라는 이름이 들어간 구단이 정보기관, 비밀경찰의 지원을 받은 적이 많았다. [6] 철도청과 노조가 무슨 돈과 힘이 있어 축구단을 창설했나 생각했을 수도 있지만, 광대한 영토를 자랑하는 소련에서 철도업은 대단히 중요한 산업이었으며 그런 철도업을 유지, 운영하는 철도 노동자들이 구성한 철도 노조는 그 스탈린도 무시하기 힘든 이익 집단이었다. [7] 이 둘이 오는 과정에서 다니가 관여했다고 한다. [8] 당시에 그리스의 수비수인 유르카스 세이타리디스가 유럽국가에서 철벽 수비로 불리는 등 많은 구단들이 관심이 많았던 적이 있었다. [9] 러시아 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과 매우 가까운 사이로 알려져 있다. [10] 이를 지켜본 라이벌 구단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팬들이 디나모 모스크바를 조롱하는 등 구단에 있어서는 가장 큰 흑역사이다. [11] 구소련 전체로 따지면 FC 디나모 키예프와 더불어 유이한 기록이었다. 다만 FC 디나모 키예프는 우크라이나 리그에서도 강등당하지 않고 샤흐타르 도네츠크와 1,2위를 다투고 있는 상황. [12] 새로 지은 경기장의 이름도 VTB 아레나이다. 다만 전설의 골키퍼를 기리기 위해 레프 야신 스타디움으로 부르기도 한다. [13] 소련을 벗어나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전설적인 골키퍼이다. [14] 러시아 훌리건 주축을 이루는 양대산맥으로 불리는 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