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을 확인하세요.
세계의 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한반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
한반도 | ||
갑천 · 경안천 · 고덕천 · 공릉천 · 광주천 · 굴포천 · 금강 · 금호강 · 길안천 · 남강 · 남대천 · 남한강 · 낙동강 · 내성천 · 논산천 · 달천 · 대동강 · 대령강 · 대전천 · 대종천 · 동강 · 동진강 · 두만강 · 례성강 · 만경강 · 미호강 · 무심천 · 밀양강 · 반포천 · 병성천 · 보성강 · 보통강 · 복하천 · 북한강 · 산지천 · 삽교천 · 서강 · 섬강 · 성천강 · 소양강 · 서낙동강 · 섬진강 · 수영강 · 수원천 · 신천 · 안성천 · 안양천 · 압록강 · 양산천 · 양재천 · 영산강 · 예성강 · 온천천 · 요천 · 왕숙천 · 왕피천 · 임진강 · 임천강 · 장자강 · 재령강 · 정안천 · 주천강 · 창릉천 · 천안천 · 청계천 · 청미천 · 청천강 · 탄천 · 탐진강 · 태화강 · 팔거천 · 평창강 · 한강 · 한탄강 · 형산강 · 흑림강 · 홍제천 · 홍천강 · 황강 · 황룡강 · 황구지천 · 회야강 · 회천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
<colbgcolor=#006fb9><colcolor=#fff> 아시아 | |
중국 | 황하 · 황수이강 · 웨이허강 · 펀허강 · 호타하 · 장강 · 야룽강 · 민강 · 자링강 · 한수 · 회하 · 황푸강 · 주강 · 타림강 · 하이허강 · 요하 · 송화강 · 눈강 · 목단강 · 헤이룽강 | ||
일본 | 지쿠고강 · 요시노강 · 도톤보리강 · 요도가와강 · 나가라강 · 구즈류강 · 기소강 · 덴류강 · 후지강 · 사가미강 · 아라카와강 · 도네강 · 시나노강 · 아가노강 · 모가미강 · 기타카미강 · 테시오가와 · 이시카리강 · 사로베츠강 | ||
대만 | 지룽강 · 아이허 | ||
동남아시아 | 다강 · 카강 · 마강 · 홍강 · 메콩강 · 바싹강 · 세콩강 · 세레뽁강 · 살윈강 · 에야와디강 · 똔레쌉 · 똔레산강 · 카푸아스강 · 솔로 강 · 마하캄강 · 무시강 · 맘베라모강 · 바리토강 · 칠리웅강 · 바탕하리강 · 캄파르강 · 미미카강 · 타리쿠강 · 모요강 · 모마츠강 · 와아포강 | ||
남아시아 | 갠지스강 · 인더스강 · 카베리강 · 브라마푸트라강 · 고다바리강 · 나르마다강 · 크리슈나강 · 마하나디강 · 크시프라강 · 만잘라르강 · 야무나강 · 참발강 · 간다키강 · 비야스강 · 코시강 · 페니강 · 바나스강 · 바그마티강 · | ||
서아시아 | 그레이트자브강 · 베이루트강 · 바라다강 · 요르단강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자얀데강 · 자이루드강 · 카르케흐강 · 세피드강 · 아라스강 · 무라트강 · 크즐으르막강 · 예실으르막강 · 하부르강 · 리타니강 · 오론테스강 · 디얄라강 · 카지르강 · 헬만드강 | ||
중앙아시아 | 추강 · 일리강 | ||
카프카스
쿠라강 ·
테차강 ·
알라자니강 ·
엔구리강 ·
리오니 강
|
|||
북아시아 · 몽골 | 예니세이강 · 아무다리야 강 · 시르다리야 강 · 출림강 · 포로나이강 · 투라강 · 토볼강 · 타즈강 · 콜리마강 · 캄차카강 · 칸강 · 오논강 · 레나강 · 카툰강 · 아무르강 · 제야강 · 뉴야강 · 니즈나야퉁구스카강 · 바르구진강 · 실카강 · 인디기르카강 · 안가라강 · 오브강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 -5px 0 -5px" |
유럽 |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라인강 · 뫼즈강 · 마른강 · 마인강 · 암스텔강 · 엠스강 · 볼가강 · 센강 · 루아르강 · 론강 · 가론강 · 에브로강 · 템스강 · 에덴강 · 테이강 · 에이번강 · 웰랜드강 · 디강 · 스페이강 · 아디제강 · 엘베강 · 오데르강 · 비스와강 · 이손초강 · 부크강 · 테베레강 · 돈강 · 과달키비르강 · 다우가바강 · 드니프로강 · 네바강 · 모스크바강 · 바트강 · 베저강 · 포강 · 하펠강 · 피아그돈강 · 피사강 · 프루트강 · 프레골랴강 · 폰탄카강 · 포노이강 · 페초라강 · 파흐라강 · 테레크강 · 클랴지마강 · 쿠반강 · 쿠마강 · 쿠디마강 · 코토로슬강 · 케티강 · 카마강 · 츠나강 · 쳅차강 · 나라강 · 나르바강 · 네만강 · 니바강 · 데스나강 · 라마강 · 로바티강 · 메자강 · 소지강 · 스비리강 · 옴강 · 레크강 · 인달스벤강 · 달라벤강 · 토르네강 · 클리어강 · 미뉴강 · 제제레강 · 도우루강 · 할리아크몬강 · 에우로타스강 · 스트루마강 · 네스토스강 · 바르다르강 · 남부크강 · 사바강 · 이르티시강 · 산강 · 우아즈강 · 엔강 · 우랄강 · 무어강 · 블타바강 · 빌렌강 · 피아베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강 · 마리차강 · 머지강 · 메드웨이강 · 세번강 · 트렌트강 · 네카어강 · 모젤강 · 타구스 강 · 과디아나강 · 도루강 · 후카르강 · 알리에강 · 도르도뉴강 · 샤랑트강 · 드라바강 · 타인강 · 비그강 · 부옥시강 · 탈리아멘토강 · 솜강 · 루비콘강 · 볼호프강 · 아켈루스강 · 라우마강 · 누메달강 · 오트라강 · 포스강 · 그레이트우즈강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
아프리카 | |
나일강 · 오렌지 강 · 나이저강 · 산카라니강 · 바니강 · 잠베지강 · 콩고강 · 투겔라강 · 오카방고강 · 메제르다강 · 인키시강 · 산쿠루강 · 카사이 강 · 움폴로지 강 · 움짐쿨루 강 · 아와시강 · 제네일강 · 소바트강 · 마레브강 · 웨비 주바강 · 흑나일강 · 청나일강 · 백나일강 · 바니강 · 감비아 강 · 세네갈강 · 쉐벨강 · 바로강 · 림포포강 · 쿠네네강 · 유멘지강 · 베시보카강 · 베누에강 · 마남볼로강 · 마니아강 · 망고키강 · 마하지로강 · 음타타강 · 우방기 강 · 웨드몰우야강 · 사나가 강 · 샤리강 · 로곤강 · 팬데강 · 오순강 · 이모강 · 베냉강 · 이호시강 · 쿠안자 강 · 크로스강 · 크왕고강 · 아바강 · 세이브강 · 볼타강 · 사비강 · 카제라강 · 올리펀츠강 · 레드 볼타강 · 코모에강 · 루앙와강 · 코마티강 · 오구에강 · 그루트강 · 유엘르강 · 조만다오강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
아메리카 | |
세인트로렌스강 · 세인트모리스강 · 미시시피강 · 미주리강 · 아칸소강 · 허드슨강 · 애서배스카강 · 포위니고우강 · 비버강 · 가즈강 · 콜링강 · 매켄지강 · 스네이크강 · 서스캐처원강 · 서스쿼해나강 · 포토맥강 · 델라웨어강 · 해리슨강 · 프레이저강 · 콜로라도강 · 콜럼비아강 · 유콘강 · 리오그란데강 · 아마존강 · 벨리제강 · 오리노코강 · 마그달레나강 · 마데이라강 · 상프란시스쿠강 · 아푸레강 · 카로니강 · 카우카강 · 아라우카강 · 토칸틴스강 · 네그루강 · 혼도강 · 발사스강 · 코아토사코알코스강 · 믹스테코강 · 옐로스톤강 · 사말라강 · 칙소이강 · 우수미친타강 · 메타강 · 비오비오강 · 마라논강 · 마이포강 · 마포초강 · 이타타강 · 우카얄리강 · 라플라타강 · 트루폴트루폴강 · 톨텐강 · 마울레강 · 파라나강 · 친치페강 · 파라과이강 · 레르마강 · 스와니강 · 로아강 · 샌페드로강 · 베르가라강 · 부에노강 · 도라도강 · 필코마유강 · 살라도강 · 둘체강 · 페티코디악강 · 리메이강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남극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오세아니아 | |
머레이강 · 달링강 · 허트강 · 머럼비지강 · 브리즈번강 · 와레고강 · 랑가티케이강 · 왕가누이강 · 통가리로강 · 와이아푸강 · 카와라우강 · 카와티리강 · 마타우강 · 와이로아강 · 와이아우강 · 와이마카리리강 · 와이카토강 · 침부강 · 투아강 · 키코리강 · 라무강 · 호키티카강 · 히피 강 · 벌러강 · 폭스강 · 핀콜강 · 야테강 · 푸리나강 · 푸라리강 · 와투트강 · 애들러강 | |||
남극 | |||
오닉스강 · 알프강 | }}}}}}}}}}}} |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tablebgcolor=white,black> 황해로 흐르는 하천 | |
<rowcolor=white> 본류 | 지류 | |
<colbgcolor=#cccccc,#333333><colcolor=black,white> 대동강 | 남강 · 보통강 · 합장강 · 비류강 · 재령강 · 황주천 | |
압록강 | 장자강 · 삼교천 · 자성강 · 장진강 ( 부전강) · 충만강 · 허천강 · 리명수 | |
청천강 | 대령강 · 구룡강 | |
례성강 | 구연천 · 지석천 | |
폭포 | 동림폭포 · 박연폭포 | |
기타 | 달천강 (안악 / 정주) · 남대천 (장연) · 림진강 | |
동해로 흐르는 하천 | ||
본류 | 지류 | |
두만강 | 보을천 · 회령천 · 오룡천 · 아오지천 · 서두수 ( 박천수 / 대박천수 / 동계수) | |
성천강 | 흑림강 · 호련천 | |
룡흥강 | 덕지강 · 단속천 · 입석천 | |
기타 | 금진강 · 남대천 (길주 / 단천 / 이원 / 북청 / 안변) · 북대천 · 수성천 · 어랑천 | |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두만강 豆滿江 | Tuman(Tumen) River |
|
|
|
지도 | |
<nopad> | |
위치 |
<colcolor=#000,#ddd><colbgcolor=#fff,#383838>
북한
라선시 ·
량강도 ·
함경북도 중국 지린성 러시아 극동 연방관구 |
수계 | 두만강 독립수계 |
발원 | 북한 량강도 삼지연시 백두산밀영동 ( 백두산)[1] |
하구 |
북한 라선시
선봉구역[2] 러시아 극동 연방관구 └ 프리모리예 지방 하산스키 군 (구 녹둔도[3]) |
유입 |
본류 └홍토수 지류 └가야하, 서두수, 석을수, 해란강, 홍기하, 홍단수, 훈춘하 |
유출 | 동해 |
길이 | 521 km (324 mi) |
유역면적 | 33,800 km² (13,100 sq mi) |
유량 | - |
하중도 | 류다섬, 매기도, 큰섬 |
[clearfix]
1. 개요
두만강(豆滿江, Tuman[4] River)은 백두산에서 발원[5]하여 량강도, 함경북도와 라선시의 북쪽 경계를 흐르는 강이다. 북한-중국 국경, 러시아-북한 국경을 이루고 있다.
다만 백두산 천지에서 발원하지는 않고, 사람들의 생각과는 달리 백두산 동쪽이 아닌 동남쪽이다. 이 때문에 백두산 정계비를 세울 때 청나라 사신 목극등이 남쪽이 아닌 동쪽으로 가자고 하는 바람에 백두산 정계비는 두만강이 아닌 송화강을 가리키게 되었다.
2. 명칭
두만강이라는 명칭의 유래를 《한청문감(漢淸文鑑)》 만주지명고(滿洲地名考)에서 언급하고는 있으나 명확하지 않다. 두만강은 또, 고려강(高麗江)·도문강(圖們江)·토문강(土們江)·통문강(統們江)·도문강(徒門江)으로 표기된 바도 있다. 만주지명고에 의하면 두만강이 새가 많이 모여드는 골짜기라는 뜻의 도문색금(圖們色禽)에서 색금을 뗀 도문이라는 여진어(女眞語) 자구(字句)에서 비롯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작물로 유명한 콩의 원산지가 한반도 북부지방과 만주 벌판이기 때문에 두만강은 "콩이 가득한 땅의 강" 이라는 의미로 부른다는 설도 있다. #그런가 하면 《한청문감》의 동문유해(同文類解)에서는 원나라 때 지방 관제에 만호(萬戶)·천호(千戶)라는 관직명이 있었는데, 여진어로 만호를 두맨이라 발음하며 이를 한자어로 표기한 것이 두만강이라고 한다.[6]
'투먼 강(한자:图们江, 영어:Tumen river)'이라는 명칭은 중국 측에서의 이름이다. 공식 표기는 Tumen River 쪽인 듯. 한편 러시아어에서는 '안개 낀 강'이라는 뜻의 투만나야(Туманная) 강이라고 하는데, 1972년까지는 만주어 이름을 따서 튜멘울라(Тюмень-Ула)라고 하였으나 1970년대 중국-소련 국경분쟁 이후 연해주 일대의 중국어 및 만주어 지명을 모두 러시아어 지명으로 개칭하면서 두만강도 투만나야 강으로 부르게 되었다.
3. 지리
백두산의 동쪽 기슭에서 발원하는 홍토수(紅土水)를 원류로, 석을수(石乙水), 홍단수(紅端水), 서두수(西頭水), 홍기하(紅旗河), 해란강(海蘭江), 가야하(嘎呀河, 알아하), 훈춘하(琿春河)등의 지류와 합쳐지며 북한과 러시아의 경계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가는 강. 길이는 521 km로 대한민국(남한)에서 가장 긴 낙동강보다 길다. 유역면적은 33,800 ㎢. 길이와 유역면적은 자료에 따라 차이가 있다.근처에 중국, 러시아의 자본을 들여오려고 선정한 나진 - 선봉 경제 지구( 라선시)가 있는데, 그나마 나진-선봉 지역은 북한에서는 꽤나 부유한 지역에 든다.
또한 예전에는 육지로 붙어버렸지만 소두만강변까지 속하는 녹둔도도 두만강변쪽의 섬이었다.
4. 수질오염 문제
수질오염이 갠지스강 급으로 매우 심각하다. 두만강 하류인 투먼~ 훈춘 구간은 BOD가 무려 114.5ppm에 이른다.[7] 중국 동북부나 북한이 환경 보전에 크게 신경 쓸만큼 여유 있는 지역이 아니다보니, 중국의 산업시설 및 중국, 북한의 광산으로부터 별도의 하수처리 없이 흘러들어가는 폐수가 가공할 정도로 많다. 가히 죽음의 강이라고 해도 할 말 없는 수준.5. 역사
조선 시대 국경선이 확정된 지역으로, 6진[8]이 이 곳에 설치되었다. 니탕개의 난 등 조선 전기 여진족의 약탈을 막아낸 지역이기도 하다.6.25 전쟁 당시 압록강은 잠깐이나마 강변의 초산군과 혜산시를 대한민국 국군이 점령했지만, 두만강은 한 번도 대한민국이 차지해 보지 못했다.
5.1. 2016년 두만강 유역 대홍수
2016년 8월 28일부터 9월 2일 사이, 태풍 라이언록이 동반한 폭우로 이재민이 14만명 발생하고, 138명이 숨지고, 400여 명이 실종되어 500명 이상이 사망하거나 실종된 대참사. 과거 사례와 비교하면 북한 역사 최악의 재난은 아니나, UN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에서도 함경북도 지역을 기준으로 50~60년 사이의 최악의 재앙으로 지적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조.5.2. 토문강과 두만강
조선 시대 간도 논란의 핵심이기도 하다. 숙종 시기 영토 획정을 위해 세워진 백두산 정계비 '서위압록 동위토문'의 '토문'이 두만강과 다르다는 이유로 조선이 19세기 후반 청나라에게 간도의 영유권을 주장한 것이 그 시초이다. 일부 교과서에서는 토문강과 두만강이 다르면 한국 땅이라는 주장이 입증되는 듯이 설명하지만, 문제가 있다.일단 만주족 황족들이 다스리던 청나라가 자신들에게도 성역인 백두산 인근의 땅을 왜 군사적으로도 완전히 밟아놓은 나라에게 갑자기 떼어주는지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 첫 번째 문제. 또한 토문강이라고 주장하는 송화강의 지류[9][10]는 국경으로 삼기엔 너무 짧고, 그렇다고 송화강을 경계로 삼는다는 주장으로 소급하면 만주 반토막과 연해주가 죄다 조선 땅으로 들어가는 괴현상이 생긴다. 정작 교과서에서도 간도를 한국에 포함한 지도는 하나도 싣지 않은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숙종실록 52권, 38년(1712) 12월 7일(병진) 3번째 기사에 따르면
1, 목극등과 조선 관리가
백두산에 올라감.
2, 토문강 = 두만강으로 알고 정계비에 새김.
3, 그 뒤 국경을 정했으니 목책을 세우려 함.
4, 근데 왜 짓다보니 (바다가 아닌) 만주로 가고 있지!?
5, …!!!
이 때문에 그 뒤의 기사 내용은 “그렇게 중요한 걸 제대로 답사도 안 하고 국경 막 정한 거 우짤 거임? 청나라한테 무슨 면목으로 이야기할 거여.”이다. 어떻게 논의가 마무리된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이는 제대로 시정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 토문강 = 두만강으로 알고 정계비에 새김.
3, 그 뒤 국경을 정했으니 목책을 세우려 함.
4, 근데 왜 짓다보니 (바다가 아닌) 만주로 가고 있지!?
5, …!!!
이미 숙종 당대에 기사가 실려 있는 시점에 토문강과 두만강 논란은 사실무근임을 알 수 있다.
5.2.1. 당시 조선의 인식
청나라 이후부턴 토문강은 두만강의 근원 혹은 두만강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조선왕조실록도 토문(土門)이란 낱말은 초기부터 등장하지만, 토문강(土門江)은 숙종실록부터 나온다. '토문'은 맥락을 통해 살펴보면 지명을 가리킨다. 따라서 숙종 이후부터 등장하는 토문강과는 연결하기 어렵고, 지린성 투먼시라고 보아야 더 정확하다.그리고 조선 조정 역시 청나라가 두만강을 토문강이라 부름을 알았던 듯하다.
이조참의(吏曹參議) 이광좌(李光佐)가 아뢰기를 …(중략)…저들에게 소위 토문강에 대해 물어본 바, 곧 중국음의 두만강입니다.
<비변사등록> 64책 숙종 38년(1712) 2월 30일
<비변사등록> 64책 숙종 38년(1712) 2월 30일
접반사(接伴使) 박권(朴權)이 치계하기를,
"총관(摠管)이 백산(白山) 산마루에 올라 살펴보았더니, 압록강(鴨綠江)의 근원이 과연 산 허리의 남변(南邊)에서 나오기 때문에 이미 경계(境界)로 삼았으며, 토문강(土門江)의 근원은 백두산 동변(東邊)의 가장 낮은 곳에 한 갈래 물줄기가 동쪽으로 흘렀습니다. 총관이 이것을 가리켜 두만강(豆滿江)의 근원이라 하고 말하기를, '이 물이 하나는 동쪽으로 하나는 서쪽으로 흘러서 나뉘어 두 강(江)이 되었으니 분수령(分水嶺)으로 일컫는 것이 좋겠다.' 하고, 고개 위에 비(碑)를 세우고자 하며 말하기를, '경계를 정하고 비석을 세움이 황상(皇上)의 뜻이다. 도신(道臣)과 빈신(貧臣)도 또한 마땅히 비석 끝에다 이름을 새겨야 한다.'고 하기에, 신 등은 이미 함께 가서 간심(看審)하지 못하고 '비석 끝에다 이름을 새김은 일이 성실(誠實)하지 못하다.'는 말로 대답하였습니다."
하였다.
숙종실록 숙종 38년(1712) 5월 23일 1번째 기사
"총관(摠管)이 백산(白山) 산마루에 올라 살펴보았더니, 압록강(鴨綠江)의 근원이 과연 산 허리의 남변(南邊)에서 나오기 때문에 이미 경계(境界)로 삼았으며, 토문강(土門江)의 근원은 백두산 동변(東邊)의 가장 낮은 곳에 한 갈래 물줄기가 동쪽으로 흘렀습니다. 총관이 이것을 가리켜 두만강(豆滿江)의 근원이라 하고 말하기를, '이 물이 하나는 동쪽으로 하나는 서쪽으로 흘러서 나뉘어 두 강(江)이 되었으니 분수령(分水嶺)으로 일컫는 것이 좋겠다.' 하고, 고개 위에 비(碑)를 세우고자 하며 말하기를, '경계를 정하고 비석을 세움이 황상(皇上)의 뜻이다. 도신(道臣)과 빈신(貧臣)도 또한 마땅히 비석 끝에다 이름을 새겨야 한다.'고 하기에, 신 등은 이미 함께 가서 간심(看審)하지 못하고 '비석 끝에다 이름을 새김은 일이 성실(誠實)하지 못하다.'는 말로 대답하였습니다."
하였다.
숙종실록 숙종 38년(1712) 5월 23일 1번째 기사
숙종 38년(1712) 백두산정계비를 건립한 시기를 전후로, 조선은 청나라가 두만강을 토문강이라 부른다는 사실을 알았다. 또한 백두산정계비 건립 이후 어느 시점부터 두만강과 토문강을 별개의 강이라고 인식이 달라진 듯하다.
6. 중국의 두만강을 통한 동해안으로 진출?
지도를 보면 지린성 훈춘시의 남동쪽은 북한과 러시아 영토에 막혀 아슬아슬하게 동해 바다와 접해있지 않다. 그러다보니 동해로 나가고 싶은 중국 정부가 동해로의 진출로를 모색하려고 북한에게 여러 가지 지원을 해주면서 나진항 이용권을 얻어가고 있다. 하지만 실용성이 있을지는 미지수이긴 하다.과거 청나라와 제정 러시아 시절에 연해주를 놓고 갈등을 벌인 적도 있다. 양국은 네르친스크 조약과 캬흐타 조약이라는 국경 획정 조약을 맺었지만, 1800년대에 서구 열강들이 중국을 차례차례대로 전쟁에 이기면서[11]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으로 지금의 국경선이 만들어진 것이다.
그와 별개로 1990년대 초부터 지금까지 훈춘시 팡촨( 방천,防川)일대에 내륙항구를 만들어 두만강 물줄기를 통해 동해안 진출을 노리고 있어 훈춘에서 40㎞ 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취안허(圈河)에서 부두 공사가 한창 진행중이었다.고 한다.
7. 여행
중국 구역은 여행유의, 북한 구역은 여행금지 구역이다. 중국 도문에 있는 다리 중에 관광 목적으로 개방한 다리가 있다. 바로 도문대교가 그것. 티켓을 구매해 다리를 건너다 보면, 하얀 선이 보이는데, 이 선이 북한과 중국의 중간 지점이다. 단순히 선만 넘어가는 것에는 별 다른 제재가 없으며 의외로 한국인들이 두만강 유람하는 것에 대해서 금지 규정 같은 건 없기에 두만강을 배타고 유람해본 한국인 관광객들이 꽤 있다. 압록강과 마찬가지로 강 수역은 양쪽이 공유하는 것으로 보는 듯하다. 물론 검문소를 넘어가거나 강 너머의 북한 땅에 상륙하면 얄짤없다. 다리 양쪽에는 국경수비대원 2명이 서있고 기념품 가게에서 북한 화폐도 기념품으로 구입할 수 있다.두만강 상류 지역은 국경경비대한테 뇌물만 좀 주면 건너기 쉽고 강폭도 좁아서 탈북루트로 애용된다고 한다. 오죽하면 별명이 도망강이라고 하겠는가.(…) 이런 식으로 중국에 밀입국했다가 남한으로 월남하는 사람들도 꽤 된다고 한다.
그런 두만강이라도 하류 쪽은 강폭이 꽤나 넓어져서, 러시아로 몰래 탈북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한다. 사실 어찌저찌 넘는다 하더라도 주변에 남한으로 갈만한 곳은커녕 도시(대도시가 아니다!)도 없는지라 그나마 블라디보스토크까지 가야 하는데, 하필 여긴 반도 동쪽에 있는지라 우수리스크를 거쳐 수백 km를 가야 한다. 그리고 간다 하더라도 대사관은커녕 영사관도 드물어서 위험하다. 게다가 중국 동북지방[12]은 외형이 비슷한 한족이나 아예 같은 민족인 조선족이 많이 살기 때문에 쉽게 들킬 염려가 없지만, 러시아 극동지역은 슬라브족 백인들이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지역이기 때문에 외형적으로 쉽게 탄로가 난다.
8. 동음이의어
8.1. 소설
월북 작가 이기영이 쓴 장편 대하소설. 김일성의 항일투쟁에 대해서 과장한 측면이 많아 문학적 가치는 떨어지는 편이다.8.2. 영화
자세한 내용은 두만강(영화) 문서 참고하십시오.8.3. 포커 게임 중 강게임의 일종
강게임이라는 포커 분류중 2번 바꾸는 게임. 한 번 바꾸면 한강, 3번 바꾸면 섬진강 이라는 게임이 된다.8.4. 북한 라선시 선봉구역 두만강동
두만강동 |
9. 둘러보기
백두산에서 발원하는 강 | ||
압록강 | 두만강 | 송화강 |
[1]
백두산 무두봉(1,930 m) 북쪽 사면의 계곡에서 두만강의 본류라고 할 수 있는 홍토수(紅土水)가 발원한다. 백두산밀영동은 과거 백두산밀영로동자구였다가 2019년 12월 삼지연군이 삼지연시로 승격되면서 개명되었다.
[2]
하구 근처에 한반도 최대의 자연호수인 서번포와 동번포가 있다.
[3]
조선 시대 녹둔도는 두만강 하구의 하중도였으나, 세월이 지나며 퇴적으로 러시아 측에 붙어 버렸고 북한이 영유권 주장을 철회하면서 사실상 러시아 영토로 편입되어 있는 상태다. 해당 문서 참조.
[4]
북한에서는 Tuman으로 표기한다.
[5]
백두산에서 발원하는 3개 물줄기 중 하나로, 나머지 2개는
압록강과
송화강이다.
[6]
이는 수천 km 떨어져 있는
러시아의 도시
튜멘과 의외로 같은 어원이다.
[7]
흔히 구정물로 인식되는 5급수의 기준이 8~10ppm이다. 즉 5급수보다 최소 11배 이상 수질오염이 심각한 것. 하지만
금호강의
1983년 191.2ppm 기록은 넘보지 못했다.
[8]
함경북도
온성군,
종성군,
회령군,
경원군,
경흥군,
부령군
[9]
우다오바이허
[10]
송화강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송화강부터가
다른 강의 지류다. 본류나 지류나 스케일이 엄청나긴 하지만.
[11]
아편전쟁,
청프전쟁 등
[12]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