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02 21:35:13

초산군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e40001>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16px -11px;"
도인민위
강계시
만포시 희천시 }}}
고풍군 동신군 랑림군 룡림군
성간군 송원군 시중군 우시군
위원군 자성군 장강군 전천군
중강군 초산군 향산군 화평군
}}}}}}}}}
초산군
楚山郡 / Chosan County
국가 북한
광복 당시 면적 2,327㎢
광역시도 자강도
광복 당시 행정구역 9면
시간대 UTC+9

1. 개요2.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clearfix]

1. 개요

자강도 중북부 압록강가에 있는 군. 광복 당시 면적 2,327.6㎢.

원래 이름은 이산(理山)이었으나 조선 영조부터 초산으로 불리게 되었다.[1] 철도도 안 통하는 내륙의 작은 시골이지만, 일제강점기 당시 법원의 지청[2] 소재지였던 점이 특이할 만하다.

아울러 1950년 10월 26일, 한국군 제6보병사단 제7연대가 6.25 전쟁 발발 이후 처음으로 이 곳 압록강변에 도달했다. 한국 군인 수통 압록강 강물을 담는 유명한 사진이 바로 여기서 촬영된 것.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출발한 3번 국도가 여기서 끝난다.

2.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3764>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파일:정부상징.svg
신의주시
파일:정부상징.svg
의주군
파일:정부상징.svg
용천군
파일:정부상징.svg
철산군
파일:정부상징.svg
선천군
파일:정부상징.svg
강계군
파일:정부상징.svg
정주군
파일:정부상징.svg
박천군
파일:정부상징.svg
태천군
파일:정부상징.svg
영변군
파일:정부상징.svg
자성군
파일:정부상징.svg
운산군
파일:정부상징.svg
구성군
파일:정부상징.svg
창성군
파일:정부상징.svg
벽동군
파일:정부상징.svg
후창군
파일:정부상징.svg
삭주군
파일:정부상징.svg
초산군
파일:정부상징.svg
위원군
파일:정부상징.svg
희천군
명목상 도청소재지 : 신의주시 }}}}}}}}}


파일:초산군.jpg
<colbgcolor=#14223F><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초산면 성동동
상위 행정구역 평안북도
하위 행정구역 9
면적 2,327.63km²
인구 43,614명( 2008년)
인구밀도 미정/㎢( 2008년)
명예 군수 김담태 (제22대)
명예 읍면장 9석
홈페이지 이북5도위원회 초산군 소개

광복 당시 하위 행정구역은 9면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초산면과 도원면을 제외하고는 면 이름이 모두 외자인 게 특징.[3] 지리적으로는 압록강 연안의 국경지대인 초산면, 충면천 수계의 남면과 동면, 그 아래에는 강면·풍면·고면, 최남단의 판면·송면·도원면이 위치한다.
  • 초산면(楚山面)
    • 관할 동 : 성서(城西), 모단(慕段), 사기덕(沙器德), 삼상(三上), 성동(城東), 수침(水砧), 안찬(安贊), 앙토(央土), 연무(蓮舞), 와인(瓦仁), 용암(龍巖), 운해천(雲海川), 직(直), 평강(坪江)
    • 면사무소가 성서동, 군청이 성동동에 있었다. 하지만 위성사진으로 보면 현재의 시가지는 와인동 일대에 전개되어 있다. 1941년 수풍댐 건설로 수몰된 성서면(城西面 : 삼상동, 안찬동, 연무동, 용암동)이 폐지되어 초산면으로 흡수되었다. 3번 국도의 종점이다.
    • 시가지에서 초산천 건너편 벼랑에 1730년경 지어진 누각인 영호정(暎湖亭)이 있다.
  • 강면(江面)
    • 관할 동 : 동도(東島), 석상(石桑), 신풍(新豊), 용성(龍城), 풍덕(豊德)
  • 고면(古面)
    • 관할 동 : 부평(富坪), 구아(舊衙), 대수(大水), 문덕(文德), 소수(小水), 영풍(永豊), 월악(月岳)
    • 고면과 풍면, 강면이 통합되어 고풍군이 되었다. 조선 초기 이산 고을의 읍치였으며, 북한 행정구역상 고풍군 소재지.
  • 남면(南面)
    • 관할 동 : 구평(龜坪), 부평(富坪), 송묘(松廟), 신막(新幕), 용상(龍上), 창평(倉坪), 충상(忠上), 충하(忠下)
  • 도원면(桃源面)
    • 관할 동 : 관대(館垈), 동창(東倉), 회목(檜木), 희창(熙倉)
  • 동면(東面)
    • 관할 동 : 구룡(龜龍), 건양(建陽), 신장송(新場松), 양덕(陽德), 화신(花薪), 화풍(化豊)
  • 송면(松面)
    • 관할 동 : 양강(兩江), 송성(松城), 송수(松水), 송정(松亭), 송파(松坡), 송평(松坪), 원대(元垈), 차령(車嶺)
    • 송면과 도원면, 판면이 통합되어 송원군이 되었다. 북한 행정구역상 송원군 옛 소재지.[4] 현재는 송원댐 건설로 과거 면소재지였던 양강동을 포함한 대부분 지역이 수몰된 상태다.
  • 판면(板面)
    • 관할 동 : 판평(板坪), 부숭(富崇), 삼거(三巨), 판막(板幕), 판하(板下)
    • 면소재지인 판평동을 비롯한 대부분 지역이 송원댐 건설로 인해 수몰된 상태다.
  • 풍면(豊面)
    • 관할 동 : 용암(龍巖), 용곡(龍谷), 용당(龍塘), 용연(龍淵), 용흥(龍興)


[1] 초산은 이산의 별칭으로 조선 전기부터 자주 쓰이던 지명이었다. 그러다가 1724년( 경종 4년, 영조 즉위년) 이산군이 '초산도호부'로 승격하면서 정식 명칭이 되었다. [2] 현대 대한민국 법원의 지원(支院). [3] 초산면도 원래 군면(郡面)이었다가 1917년 개칭됐으며, 1941년 초산면에 편입돼 폐지된 성서면도 원래 성면(城面)과 서면(西面)이었다가 1938년에 통합됐다. 즉, 부군면 통폐합 이후 원래부터 두 글자 이상이었던 면은 도원면 하나뿐이다. [4] 현 송원읍은 희천군 북면 개고개동에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