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02:05:59

가와바타 야스나리

카와바타 야스나리에서 넘어옴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 #663334"
{{{#!wiki style="margin: -7px"
<tablebordercolor=#663334><tablebgcolor=#663334>
일본의 역대 노벨상
30회 수상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font-size:.96em; letter-spacing:-.2px"
<rowcolor=#fff>
순서
이름 연도·부문 사유 비고
1 유카와 히데키
(湯川 秀樹)
1949
물리
중간자의 존재 예측 노벨상/물리학상 최초 수상
2 도모나가 신이치로
(朝永 振一郎)
1965
물리
양자 전기역학의 기초 연구
3 가와바타 야스나리
(川端 康成)
1968
문학
소설 《 설국 문학상 최초 수상
4 에사키 레오나
(江崎 玲於奈)
1973
물리
반도체와 초전도체의 터널효과 발견
5 사토 에이사쿠
(佐藤 榮作)
1974
평화
비핵 3원칙 제창 평화상 최초 수상
6 후쿠이 겐이치
(福井 謙一)
1981
화학
화학 반응의 궤도함수 대칭 해석 화학상 최초 수상
7 도네가와 스스무
(利根川 進)
1987
생리의학
항체 다양성의 유전학적 원리 해명
생리의학상 최초 수상
8 오에 겐자부로
(大江 健三郎)
1994
문학
소설 《개인적인 체험》
9 시라카와 히데키
(白川 英樹)
2000
화학
전도성 고분자 물질 개발
10 노요리 료지
(野依 良治)
2001
화학
키랄 촉매에 의한 비대칭 반응 연구
11 고시바 마사토시
(小柴 昌俊)
2002
물리
우주 중성미자 검출과 관련한 선구자적 연구
12 다나카 고이치
(田中 耕一)
2002
화학
생체​고분자의 질량 분석을 위한 연성 탈착 이온화 방법의 개발 과학분야 학사 출신 최초 수상
13 고바야시 마코토
(小林 誠)
2008
물리
CP 대칭깨짐 원리 발견
14 마스카와 도시히데
(益川 敏英)
15 난부 요이치로
(南部 陽一郎)
일본 출생
미국 국적
16 시모무라 오사무
(下村 脩)
2008
화학
녹색 형광 단백질 GFP 발견 및 개발
17 스즈키 아키라
(鈴木 章)
2010
화학
팔라듐 촉매교차​결합법( 스즈키 커플링 / 네기시 커플링) 개발
18 네기시 에이이치
(根岸 英一)
히키아게샤
일본 국적
19 야마나카 신야
(山中 伸弥)
2012
생리의학
유도만능​줄기세포(iPS) 개발
20 아카사키 이사무
(赤﨑 勇)
2014
물리
청색 LED 발명
21 아마노 히로시
(天野 浩)
22 나카무라 슈지
(中村 修二)
일본 출생
미국 국적
23 오무라 사토시
(大村 智)
2015
생리의학
회충 감염의 새로운 치료법 발견
24 가지타 다카아키
(梶田 隆章)
2015
물리
중성미자 진동 관측
25 오스미 요시노리
(大隅 良典)
2016
생리의학
자가포식(오토파지) 매커니즘 연구
26 이시구로 가즈오
(石黒 一雄)
2017
문학
소설 《 남아 있는 나날 일본 출생
영국 국적
27 혼조 다스쿠
(本庶 佑)
2018
생리의학
음성적 면역 조절 억제를 통한 암 치료법 발견
28 요시노 아키라
(吉野 彰)
2019
화학
리튬 이온 배터리 개발
29 마나베 슈쿠로
(真鍋 淑郎)
2021
물리
기후 변화에 대한 신뢰성 있는 예측 모델 제시 일본 출생
미국 국적
30 일본 원수폭 피해자 단체 협의회
(日本​原水爆​被害者​団体​協議会)
2024
평화
핵무기 없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노력 일본 첫 단체 수상
일본 국적을 취득한 적이 없는 일본계 외국인 수상자는 포함하지 않은 집계. 다만, 1986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리위안저( 대만일치시기 일본 국적) 및 2000년 노벨평화상 수상자 김대중( 일제강점기 일본 국적)은 제외.
}}}}}}}}} ||

{{{#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rowcolor=#cd9f51> 1901 1902 1903 1904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쉴리 프뤼돔 테오도르 몸젠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외른손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rowcolor=#cd9f51> 1904 1905 1906 1907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파일:폴란드 입헌왕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호세 에체가라이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조수에 카르두치 러디어드 키플링
<rowcolor=#cd9f51> 1908 1909 1910 1911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루돌프 오이켄 셀마 라겔뢰프 파울 폰 하이제 모리스 마테를링크
<rowcolor=#cd9f51> 1912 1913 1915 1916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인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로맹 롤랑 베르네르 폰 헤이덴스탐
<rowcolor=#cd9f51> 1917 1919 1920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카를 기엘레루프 헨리크 폰토피단 카를 슈피텔러 크누트 함순
<rowcolor=#cd9f51> 1921 1922 1923 1924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1919-1927).svg
아나톨 프랑스 하신토 베나벤테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브와디스와프 레이몬트
<rowcolor=#cd9f51> 1925 1926 1927 1928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조지 버나드 쇼 그라치아 델레다 앙리 베르그송 시그리드 운세트
<rowcolor=#cd9f51> 1929 1930 1931 1932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토마스 만 싱클레어 루이스 에릭 악셀 카를펠트 존 골즈워디
<rowcolor=#cd9f51> 1933 1934 1936 1937
X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이반 부닌 루이지 피란델로 유진 오닐 로제 마르탱 뒤 가르
<rowcolor=#cd9f51> 1938 1939 1944 1945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칠레 국기.svg
펄 벅 프란스 에밀 실란패 요하네스 빌헬름 옌센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rowcolor=#cd9f51> 1946 1947 1948 1949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헤르만 헤세 앙드레 지드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윌리엄 포크너
<rowcolor=#cd9f51> 1950 1951 1952 1953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영국 국기.svg
버트런드 러셀 페르 라게르크비스트 프랑수아 모리아크 윈스턴 처칠
<rowcolor=#cd9f51> 1954 1955 1956 1957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어니스트 헤밍웨이 할도르 락스네스 후안 라몬 히메네스 알베르 카뮈
<rowcolor=#cd9f51> 1958 1959 1960 1961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살바토레 콰시모토 생존 페르스 이보 안드리치
<rowcolor=#cd9f51> 1962 1963 1964 1965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존 스타인벡 요르기우스 세페리스 장폴 사르트르(거부) 미하일 숄로호프
<rowcolor=#cd9f51> 1966 1967 1968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슈무엘 요세프 아그논 넬리 작스 미겔 앙헬 아스투리아스 가와바타 야스나리
<rowcolor=#cd9f51> 1969 1970 1971 197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칠레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사뮈엘 베케트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파블로 네루다 하인리히 뵐
<rowcolor=#cd9f51> 1973 1974 1975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패트릭 화이트 에위빈드 욘손 하뤼 마르틴손 에우제니오 몬탈레
<rowcolor=#cd9f51> 1976 1977 1978 197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1977-1981).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솔 벨로 비센테 알레익산드레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 오디세우스 엘리티스
<rowcolor=#cd9f51> 1980 1981 1982 1983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체스와프 미워시 엘리아스 카네티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윌리엄 골딩
<rowcolor=#cd9f51> 1984 1985 1986 1987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 클로드 시몽 월레 소잉카 조지프 브로드스키
<rowcolor=#cd9f51> 1988 1989 1990 1991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나기브 마푸즈 카밀로 호세 셀라 옥타비오 파스 나딘 고디머
<rowcolor=#cd9f51> 1992 1993 1994 1995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1979–2002).svg.pn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데릭 월컷 토니 모리슨 오에 겐자부로 셰이머스 히니
<rowcolor=#cd9f51> 1996 1997 1998 1999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비스와바 심보르스카 다리오 포 주제 사라마구 귄터 그라스
<rowcolor=#cd9f51> 2000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오싱젠
}}}
}}}}}}}}}
[ 21세기 ]
##
||<table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01 || 2002 || 2003 || 2004 ||

}}}}}} ||
물리학 | 화학 | 생리학·의학 | 평화 | 경제학

파일:아사히 신문 로고.svg 아사히 선정 지난 1천년간 일본 최고의 문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아사히 신문이 2000년 투표로 선정한 " 지난 1천년간 일본 최고의 문인"의 리스트이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나쓰메 소세키 무라사키 시키부 시바 료타로 미야자와 겐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마츠오 바쇼 다자이 오사무 마쓰모토 세이초 가와바타 야스나리 미시마 유키오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아리시마 타케오 무라카미 하루키 엔도 슈사쿠 세이 쇼나곤 요사노 아키코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모리 오가이 요시카와 에이지 오에 겐자부로 무라카미 류 이시카와 다쿠보쿠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다니자키 준이치로 이노우에 야스시 미우라 아야코 아베 코보 다카무라 고타로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후지사와 슈헤이 시마자키 도손 나카하라 츄야 고바야시 잇사 세리자와 고지로
31위부터는 링크 참조.
}}}}}}}}} ||

<colbgcolor=#000><colcolor=#fff> 가와바타 야스나리
[ruby(川端康成, ruby=かわばた やすなり)]|Yasunari Kawabata
파일:FNaX1wxVgAIIIdY.jfif.jpg
[[노벨문학상|{{{#white 1968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본명 가와바타 야스나리 ([ruby(川端 康成, ruby=かわばた やすなり)])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출생 1899년 6월 14일
일본 제국 오사카부 오사카시 텐진바시
사망 1972년 4월 16일 (향년 72세)
일본국 가나가와현 즈시시
직업 소설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학력 토요카와보통고등소학교 (졸업)
이바라키중학교 (졸업)
제1고등학교 (졸업)
도쿄제국대학 문학부 (국문과 / 학사)
묘소 가마쿠라시 가마쿠라공원묘지
부모 아버지 가와바타 에이키치
어머니 가와바타 겐
아내 가와바타 히데코 (1926년 결혼)
자녀 장녀 가와바타 마사코[1]
등단 (1919)
열여섯살의 일기 (1925)[2]
}}}}}}}}} ||

1. 개요2. 생애
2.1. 작가로서의 삶2.2. 노벨문학상 수상2.3. 사망
3. 작품4.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3tc가와바타.jpg
[ruby(国境,ruby=くにざかい)]の[ruby(長,ruby=なが)]いトンネルを[ruby(抜,ruby=ぬ)]けると[ruby(雪国,ruby=ゆきぐに)]であった。[ruby(夜,ruby=よる)][ruby(底,ruby=そこ)]が[ruby(白,ruby=しろ)]くなった。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설국이었다. 밤의 밑바닥이 하얘졌다.
설국

일본의 소설가. 아름답고 유려한 문장으로 아주 유명했으며, 설국 등의 유명한 작품들을 통해 1968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일본인 최초의 노벨문학상 수상자이다.[3]

2. 생애

1899년 오사카의 부유한 의사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2살과 4살 때 아버지와 어머니를 잃었고, 그 후 조부모에게 맡겨졌으나 7세 때 조모가 죽게 된다. 10세 때는 다른 친척에게 맡겨진 누이까지 죽고, 15세 때는 결국 조부까지 세상을 뜨게 되면서 외롭게 자랐다. 15세까지 친족 다섯 명이 죽어서 이로 인해 장례식의 명인(葬式の名人)이라는 별명까지 있었을 정도... 어릴 때 친구집에서 밥을 먹을 일이 생기면 온가족이 모인 분위기가 부러워서 집으로 돌아가기가 싫었고, 병든 조부뿐인 적막한 집에 돌아갈때면 그런 마음을 품었다는 것에 죄책감을 느끼곤 했다고 한다. 그는 중학교 때부터 소설가를 꿈꾸었고, 도쿄제국대학에 입학하면서 본격적으로 문예 잡지 등에 글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어린 시절의 외로움과 쓸쓸함은 이후 가와바타 작품의 주요한 정조를 이룬다.

도쿄제대 문학부 영문학과 재학 시절, 카페에서 여급으로 일하던 15살 소녀 이토 하쓰요와 결혼 약속을 하였으나, 돌연 이토가 이유도 알려주지 않고 일방적으로 파혼하겠다는 편지를 남기고 잠적하면서 그의 첫사랑은 실연으로 끝나게 된다. 후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이토는 자신을 맡아 기르던 절의 주지에게 강간을 당했고 그 충격으로 파혼을 선언한 것이었다. 이토 하쓰요는 '이즈의 무희' 등을 비롯해 가와바타 작품 속 여성관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던 여인으로 알려져 있다. 2014년에 이 두 사람의 파혼 당시 주고받은 편지가 공개되기도 했다. 국내 기사

가와바타는 소설가 이외에도 신문기자, 아쿠타가와상 선정위원 등으로도 활동했다. 조국 일본은 전쟁을 벌였다가 졌고, 사회는 격변을 겪었으나, 가와바타의 작품은 폭설에 뒤덮인 산골 마을처럼 세상사와는 무관한 듯 보였다.

노벨상을 받고 일본 펜클럽 회장을 지냈으며 세계 각국에서 일본을 대표하는 작가로 명망을 얻은 74세의 가와바타는 1972년 4월 16일 가스를 마시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유서를 남기지 않았기에 자살 원인에 대해서는 추측이 분분하다. 가와바타가 자살하기 2년 전, 가와바타를 스승처럼 따르던 미시마 유키오[4] 할복자살한 데 따른 충격을 극복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추정이 가장 설득력 있어 보인다. #

2.1. 작가로서의 삶

가와바타 야스나리가 작가의 꿈을 꾸게 된 것은 중학교 2학년 때로, 「게이한 신보(京阪新報)」에 자신의 단가를 올리면서부터이다. 일본문학의 흐름에서 반자연주의 문학의 한 학파로 유명한 신사조파[5]에 들어가 「이즈의 무희(伊豆の踊子)」라는 작품으로 등단하였다. 신사조의 동인으로는 아쿠타가와 류노스케가 있다.

그 후 1930년대 성행하였던 프롤레타리아 문학에 반대하며, 순문학 계통으로 회귀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던 문학사조 중 하나인 '신감각파'의 대표 작가로서 활동한다.[6] 참고로 신감각파는 그간 자연주의, 프롤레타리아 문학 등에서 보였던 사실성 중시보다는 문장 자체의 감각적 표현에 치중하였던 문학사조이다.

초기에는 왕조문학이나 불교 경전의 영향을 받아 허무한 슬픔과 서정성이 넘치는 작품을 많이 썼다. 이후 비현실적인 미의 세계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전환해 설국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1937년 「설국」이 일본의 문예간담회상을 수상하였고, 1944년(쇼와 10년)에 「고향(원제: 故園)」, 「석일(원제: 夕日)」 등의 작품으로 기쿠치 간 상을 수상한다.

다시 미시마 유키오가 나오지만 가와바타의 추천으로 등단한 미시마는 평화헌법 반대, 천황제 회귀를 주장한 극우파였고, 가와바타는 겉으론 정치와 무관하게 보였다. 그러나 둘 다 일본 특유의 미의식에 집착한 완벽주의자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일본 문학사에 찬연히 빛나는 수많은 명작을 남긴 근현대 일본 문학의 중요한 작가로 오늘날까지 일본에서 가장 아름다운 문장을 쓴 작가로 소개되곤 한다. 주요 작품은 대부분 문단의 연구 대상이 되었고 본인도 전문 잡지 등에 기고한 창작에 관한 수필 등에서는 약간 요설(饒舌)에 기술하는 것이 있었기에 작품 속에 다소 각색된 모델이나 로케이션, 등장 사물이 순전한 창작(가공의 사건)에 의한 것은 아니었음이 구체적으로 판명된 경우도 많다.

TV드라마의 대본을 집필한 적도 있는데 NHK 연속 TV 소설 1965년 작인 타마유리의 집필을 맡았다. 주연은 오즈 야스지로의 페르소나로 유명한 류 치슈. 그러나 해당 작품은 테이프 전체가 다른 프로그램을 찍는 데 재활용되어서[7] 현재 영상으로 볼 수 있는 것은 단 한편도 없으며 단지 남아있는 대본이나 신문기사, 사진자료를 통해 어떻게 방영되었는지 짐작할 수 있는 수준이다.

2.2. 노벨문학상 수상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1937년작 설국을 대표작으로 하여 1968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하게 된다. 설국은 가와바타 미의식의 절정을 이루는 작품으로서, 12년을 창작에 힘써 온 결과물의 첫 문장은 매우 유명하다.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설국이었다. 밤의 밑바닥이 하얘졌다. 신호소에 기차가 멈춰 섰다."[8]
(国境の長いトンネルを抜けると雪国であった。夜の底が白くなった。信号所に汽車が止まった。)
이 문장은 작가 본인이 니가타현에 머물면서 퇴고 끝에 쓴 문장이다. 지금도 각종 문장론에 관한 서적이나 다양한 패러디에도 사용되는 아주 유명한 문구이다. 노벨상 수상평에서는 설국을 두고 "일본인의 심정의 본질을 그린, 몹시 섬세한 표현에 의한 서술의 탁월함(for his narrative mastery, which with great sens-ibility expresses the essence of the Japanese mind)"이라 평가할 정도였다. 스웨덴 아카데미의 공개에 의하면, 이미 가와바타는 7년 전인 1961년에 노벨문학상 후보로서 결정되었음이 알려지게 되었다.
The train came out of the long tunnel into the snow country. The earth lay white under the night sky. The train pulled up at a signal stop. ― 위 문장의 사이든스티커 번역
이 과정에서 번역의 힘을 발견할 수 있는데, 대표작인 그의 설국은 당시 서양에서 유명한 일본학자인 에드워드 사이든-스티커에 의해 영문으로 처음 번역이 되었다.[9] 설국이 널리 알려지고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된 것은 이 영문판 때문이다. 일본어로도 애매한 가와바타의 작품을 적절하게 서구적인 오리엔탈리즘으로 번안한 셈. 의역을 중시하는 번역을 하다보니, 원문과는 다른 구성(하나로 된 구성을 2부작으로 바꿈.)이나 문체를 선보였지만, 결과적으로 그 텍스트가 서양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것은 분명하다. 물론 작가 자신의 필력도 무시할 수는 없지만, 기회가 된다면 영문판을 구해 읽어볼 것. 물론 이 과정 중에서 오역이 드러났지만, 원문의 향취를 서구적인 감각으로 번안한 데에는 사이든-스티커의 공이 크다.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일본의 전통적 미의식을 바탕으로 일본문학 특유의 감각적이고 현세적인 작품을 많이 썼다고 하였는데, 이는 노벨문학상을 수상하는 자리에서 소감을 발표할 때도 잘 드러났다. 일반적으로는 모두가 연미복을 입었겠지만, 그는 일본 정부가 수여한 문화훈장을 단 하카마 입고 와서 <아름다운 일본의 나>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하였다. 내용은 일본인의 미적 감수성의 역사와 그에 대한 고전 시가들을 인용하는 것이었다. 일본의 와카라든지, 일본 최초의 선승(禪僧)으로 알려진 '도겐'을 언급하면서 자신의 소설에도 선(禪)이 있다고 언급하였다.

같은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오에 겐자부로는 이를 못마땅하게 여겼다. 일본의 특수성을 마치 자신의 것인 마냥 이용해 일본 대표 작가로 군림하는 것을 싫어했다고 한다. 물론 이것은 오에가 '학생운동의 정신적 지주'로 유명하기에, 오에는 가와바타와는 전혀 다른 세계에 살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야기를 했을 수 있다. 그래서 오에가 1994년 노벨문학상 수상을 했을 때 강연의 제목은 바로 <애매한 나와 일본>이었다. 또한 가와바타와는 다르게 그의 강연 언어는 영어였다. 그의 정치적 스탠스에 걸맞게 강연 내용은 "일본이 아시아인에게 큰 잘못을 저질렀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며, 전쟁 중의 잔학행위를 책임져야 한다. 위험스럽고 기괴한 국가의 출현을 막기 위해 평화체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 장소에 섰던 다른 동족(가와바타)보다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에게 더 동질감을 느낀다고 말하기도.

가와바타는 노벨문학상 수상 후에는 압박감으로 인해 많은 작품을 쓰지는 못했다고 알려진다.

일본 내부의 평가에서, 가와바타는 20세기 제일의 일본인 작가 혹은 그가 살았던 시대의 최고 작가라고 단정하기 힘들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훌륭한 작가이지만 넘버원이라는 보편적 평가를 내리기엔 힘들다는 것. 영어 번역이 매우 훌륭했고 일본 전통의 미의식이 담긴 주제 등이 당시 서양의 취향에 부합하는 등 여러 모로 운이 좋았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일본 내에서는 20세기 작가들 중에 나쓰메 소세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다자이 오사무 등이 문학적으로나 대중적으로나 가와바타보다 평가가 좋기도 하다.[10] 일본 문학 전체가 아니라 20세기의 일본 문학으로만 한정해도 가와바타를 넘버원으로 보는 시선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

만약 가와바타가 일본의 유일한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남았다면 그를 최고 작가라고 평가할 만한 근거가 되었겠지만, 1994년에 오에 겐자부로가 두 번째로 노벨문학상을 타면서 노벨문학상 수상만으로 최고의 작가라고 평가하기는 어렵게 되었다. 게다가 2017년에는 영국 국적이지만 역시 일본 태생인 가즈오 이시구로도 추가되었다.

2.3. 사망

알려진 대로 가스에 의한 자살로 생을 마감하였는데, 이에 대해 사고사라는 주장과 자살이라는 주장이 맞선다.

자살설로는 1. 아끼던 제자 미시마 유키오 자살, 2.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창작에 대한 압박감과 창작 의욕 감소, 3. 좋아하던 가정부의 퇴직[11] 등이 있다. 일단 반박 측에서는 1은 시대가 너무 떨어져 있으며, 2는 평론가들이 자의로 해석한 것일 뿐 증명이 없으며, 3은 주관적이며 검증되지 않은 내용이라고 반박하였다.

반면 가와바타 일본 팬클럽 회장으로 있을 때의 부회장이었던 세리자와 고지로(芹沢光治良)는, 추도기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죽음(川端康成の死)」에서 자살은 아니었을 거라고 주장한다. 또한 가와바타의 죽음 전후로 그이를 만난 여러 관계자의 증언에서 가와바타가 자살했음을 암시해주는 어떤 징후도 없었다는 것이다.[12] 또한 유서가 없었고 작가들이 흔히 복용하는 수면제를 항시 복용하였으며, 자주 조작하지 않는 스토브 사용의 미숙이 이런 결과를 가져왔다는 설이 있다.

이상하게 그와 엮인 이들은 자살로 죽은 경우가 많다. 그가 수상하는 것을 계속 거부, 혹평하던 다자이 오사무도 자살,[13] 아끼던 제자인 미시마 유키오는 할복자살, 문학인은 아니지만 일본 바둑계의 거성이며 그의 절친이기도 한 세고에 겐사쿠 九단도 자살로 83년의 생을 마쳤다.

아마도 아래 항목에 나와 있는 작품 잠자는 미녀의 집이 왜 가와바타가 자살했는지에 대한 설명이 될 수 있을 듯하다.

3. 작품

  • 이즈의 무희(伊豆の踊子)[14]
  • 설국(雪国)
  • 고도(古都)
  • 천우학(千羽鶴)
  • 산소리(山の音)
  • 여자라는 것(女であること)
  • 명인(名人)
  • 이즈의 여로(伊豆の旅)
  • 무희(舞姫)
  • 화장(化粧)
  • 잠자는 미녀의 집
  • 소년(少年)

4. 기타

  • 바둑광으로 유명했으며, 상기한 세고에 九단 이외에도 실제로 여러 프로기사들과 친분을 맺었다고 하며, 일본기원 본부 특별 대국실인 '유겐노마'에는 그가 심오유현(深奥幽玄)이라고 쓴 친필 족자가 걸려있을 정도. 조훈현이 일본에서 바둑 유학을 하던 당시 가와바타를 실제로 만난 적이 있다. 또한 1938년 6월부터 12월까지 약 반년 동안 치러진 바둑기사 혼인보 슈사이의 은퇴기를 참관하고 신문에 총 64회의 관전기를 연재했는데 지병이 악화된 혼인보 슈사이가 1940년 세상을 떠난 뒤 가와바타는 1951년부터 1954년까지 잡지에 나누어 게재한 작품들을 모아 단행본 '명인'을 출판했다.
  • 앙드레 김이 생전에 트레이드 마크인 흰 옷을 즐겨입은 게 가와바타의 소설 설국의 영향이었다고 한다는 설이 있다. 그러나 다른 인터뷰 자료에 보면 어머니가 항상 입던 하얀 한복을 그리며 흰 옷을 입었다는 말도 있어서 어느 쪽이 맞는진 알 수 없다. 실제로 앙드레 김이 명성을 얻은 것은 설국이 노벨문학상을 받기 이전이다.
  • 코믹스판 사쿠라 대전 1권에서 무대 비품을 사러나온 오오가미 이치로 옆을 지나가는 엑스트라로 잠깐 나온다. 이 세계관에서도 꽤나 유명한 작가라고..


[1] 양녀이다. [2] 1914년 집필. [3] 정작 가와바타 야스나리가 노벨상을 받을 거라고 예상한 사람이 얼마 없었다. 당시에는 타니자키 준이치로 미시마 유키오가 더욱 유력한 후보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4] 미시마 유키오와의 인연은 미시마가 처음으로 작품을 냈을 때 가와바타가 심사위원으로서 그의 작품을 호평했을 때부터 시작되었다. 이로 인해 미시마가 데뷔하게 되었으니, 미시마는 자신이 자살할 때까지 평생 그를 스승으로 여겼다고 전해진다. [5] 투고하는 잡지가 신사조라서 신사조파라고 한다. 이지파(理知派)라고도 하며, 말 그대로 지식과 이성에 근거하여 작품을 쓰려고 했던 파이다. 다이쇼~쇼와 초기에는 동인잡지를 중심으로 한 창작활동이 왕성했던 시기이다. [6] 또 다른 사람은 요코미쓰 리이치이다. [7] 유럽권에서는 TV프로그램이 문화유산으로 일찌감치 간주되어서 일찍 보존된 편이지만, 일본이나 한국, 여타 제3세계 국가에서는 TV프로그램이 문화유산이라는 관념이 없었던데다가 비디오 테이프 가격이 비싸다보니, 테이프를 한번만 쓰는 것이 아까워서 비디오 테이프를 한번만 쓰지 않고 수십번에 걸쳐서 재활용하는것이 다반사였다. 일본 방송계에서는 1970년대 초반, 한국 방송계에서는 1980년대 초중반까지 이런 관념이 남아있기 때문에 당대 TV프로그램이 녹화된 자료가 그다지 많이 남아있지 않다. [8] 2018년 민음사판 번역. [9] 이 번역을 시작으로 사이든-스티커는 가와바타 야스나리를 비롯한 일본 문학 작품들을 다수 번역한다. [10] 2000년에 아사히 신문에서 '지난 1천년간 일본 최고의 문인은 누군가?'라는 설문조사를 했었는데 가와바타는 9위에 위치했다. 20세기 일본 작가들 중 가와바타보다 높은 순위를 기록한 작가는 앞에서 언급한 저 3명 외에도 시바 료타로, 미야자와 겐지, 마쓰모토 세이초 등이 있어서 총 6명이 대중적으로 가와바타보다 인기가 있는 셈. 다만 이 각주에서 언급한 3명은 문학적으로는 (상대적으로) 가와바타에 비해 떨어진다고 보는 평이 많다. [11] 이는 우스이 요시미의 소설로도 각색되었으나 유가족의 소송 후 절판으로 합의를 보았다. [12] 가와바타 자신도 그 해 가을에 개최된 국제 펜클럽 대회의 준비에서 책임자로서 여러 일을 하고 있었다. [13] 그러나 다자이 오사무가 죽은 건 야스나리가 노벨상 받기 훨씬 전인 1948년의 일이다. [14] JR 동일본의 특급열차 오도리코가 이 소설에서 이름을 따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