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철권 8
관련 문서:
철권 시리즈/계급
[[철권 시리즈|
철권 시리즈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19%; min-height:2em" {{{#!folding ⠀[ 시리즈 ]⠀ {{{#!wiki style="margin:-5px 0 -15px" |
<colbgcolor=#000><colcolor=#fff>메인 시리즈 | |||
태그 시리즈 | 철권 태그 토너먼트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언리미티드 | |||
외전 | 철권 어드밴스 · 철권 니나: 데스 바이 디그리스 · 철권 3D 프라임 에디션 · 철권 카드 챌린지 · 철권 하이브리드 · 철권 레볼루션 · 철권 모바일 | |||
미디어 믹스 | 철권: The Motion Picture · 철권(영화) · 철만 · 철권: Blood Vengeance · 철권: 블러드라인 | |||
콜라보레이션 | 폿권: POKKÉN TOURNAMENT · 폿권: POKKÉN TOURNAMENT DX | |||
크로스오버 | 스트리트 파이터 X 철권 ·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19%; min-height:2em"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5px 0 -15px" |
<colbgcolor=#000><colcolor=#fff>게임 시스템 | 조작 체계 · 조작법 · 레이지 | ||
계급 | 계급 전반 · 5의 계급 · 6의 계급 · 태그 2의 계급 · 7의 계급 · 8의 계급 | |||
관련 문서 | 등장인물 · 시리즈 스토리 · 철권 7 스토리 · 철권 8 스토리 · 유명한 플레이어 · 철권 e스포츠 | |||
}}}}}}}}}
|
title=틀: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언리미티드, version=29, uuid=46a7db9e-81d0-490b-b9a6-08b36bc8f7c7,
title2=틀:철권 7 FR, version2=143, uuid2=202f7bdc-7149-46dc-aac8-41806babe0f4,
title3=틀:철권 8, version3=29, uuid3=bdd8ebc8-0b4e-4ef2-96a7-d07fe096aa5b, )]
1. 개요
철권 8의 계급.2. 계급 보정
전작처럼 가장 높은 계급의 캐릭터가 일부 계급으로 승진하게 되면 나머지 캐릭터들의 계급이 보정된다. 아래는 계급 보정 목록.전작은 최대 계급보정이 마이티 룰러였으나 본작은 푸진으로 한단계 상향되었다.
- 스트래터지스트(4단) → 2단
- 브롤러(6단) → 파이터(3단)
- 캐벌리(8단) → 스트래터지스트(4단)
- 어세일런트(10단) → 컴버턴트(5단)
- 뱅퀴셔(12단) → 브롤러(6단)
- 일리미네이터(14단) → 캐벌리(8단)
- 신류(16단) → 어세일런트(10단)
- 마이티 룰러(18단) → 도미네이터(11단)
- 배틀 룰러(20단) → 디스트로이어(13단)
- 라이진(22단) → 가류(15단)
- 부신(24단) → 텐류(17단)
- 텍켄 엠페러(26단) → 플레임 룰러(19단)
- 텍켄 갓 슈프림(28단) → 푸진(21단)
3. 계급 목록
전작에는 37개의 계급이 존재했지만 이번작에서는 30개로 축소되었고,[1] 8단 맹상 / 캐벌리, 이른바 녹단까지는 점수 차감이 없어 강등되지 않는다.파랑단을 제외한 대부분의 계급이 4단 체제에서 3단 체제로 축소되었으며, 눈에 띄는 변경점으로 빨강단은 사신에서 용으로 계급 테마가 바뀌었고, 보라단은 전작에서 영칭 기준 엠퍼러 다음 킹이라는 부자연스러운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인지 원어 명칭 자체를 권왕/철권왕(엠페러/텍켄 킹)에서 철권왕/철권패황으로 바꾸고 영칭은 텍켄 킹/텍켄 엠퍼러가 되었다.
||<table bordercolor=#f50a64><rowbgcolor=#000><rowcolor=#fff>
통칭 ||
단수 ||
27단 철권신 이상은 아랍어로 설정 하면 God에서 Lord로 바뀐다. 아랍권에서는 God이란 단어를 함부로 쓰지 못하기 때문으로 이는 철권 7과 동일한 부분.
국내 유저들은 주로 "파괴신"이라고 부르고 있고, 종종 "갓오디"라고 부르기도 한다.
키신과 부신은 플레이어 커스터마이즈 항목에서 키진(Kijin)과 부진(Bujin)으로 불린다. 神은 '신'과 '진' 둘 다 맞는 발음이긴 하지만.
녹단까지는 패배시 점수 감소가 없다.
점수에 일관된 계산식은 없지만 대략 노랑~의자단까지는 패배 점수가 승리 점수보다 50% / 40% 낮고, 빨강~의자단은 패배와 승리 점수가 같으며, 파랑단부터는 동계급 대비 5% / 10% / 20% / 25% / 30% 씩 패배 점수가 높다.
전 계급에 대해 3연승 보너스가 있으며 대체로 동계급 승리 점수의 두 배 정도의 점수를 얻는다. 반대로 의자단부터는 3연패 페널티가 있다. 의자단의 패널티는 동단 패배 점수의 75%인 -300 정도만 추가로 감소하지만, 파랑단~텍갓 동안엔 동단 패배 점수보다 높은 수치가 추가로 감소되며, 텍켄 갓 슈프림 부터는 패배 점수의 90% 정도가 추가로 더 감소된다.
참고로 3연승 보너스/페널티는 계급차가 +-1 이내인 상대와의 대전에서의 승리와 패배만 인정한다. 즉 푸진이 플레임 룰러나 키신 여러명을 상대로 몇십연승을 하든 보너스는 없고, 반대로 몇십연패를 해도 페널티는 없다.
상대의 계급이 나보다 높은 경우 의자단까지는 동계급보다 더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고 빨강단까지는 패배해도 점수 감소가 적지만, 파랑단부터는 상대 계급이 높아도 아무런 이득이 없다. 반대로 상대의 계급이 나보다 낮은 경우에는 승리 포인트가 25%씩 감소하며 -3계급 이하는 동계급 승리 점수의 25%로 통일된다.
이와 같은 점수 증감 기준 때문에 파랑단부터는 계급 차이가 하나만 나도 계급이 높은 쪽은 이기든 지든 이득 혹은 피해가 적은 반면, 계급이 낮은 쪽은 자신보다 실력이 더 좋을 가능성이 다분한 사람에게 동계급 대전과 같은 점수 리스크를 두고 싸워야 하니 서로 연전을 할 메리트가 없다. 특히나 +-2 이상이라면 연승 보너스도 못 받으니.
전작에 있던 부캐 점수 보정은 없다. 안 그래도 이상한 계급차 점수 보정 시스템과 합쳐져 불합리하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승단/강등 시 점수가 두 계급 사이 정중앙에서 시작하던 것과 다르게, 이번 작에서는 강등 시 평소와 같은 양의 점수가 감소한 뒤 그 자리에서 바로 시작하며,[5] 승단 시에는 두 계급의 2/5 정도의 위치에서 시작하도록 획득 점수가 조정된다.[6] 때문에 계급 유지는 어려운 대신 강등 후 복귀가 매우 빨라졌다.
이의 부작용으로, 계급에서 점수가 최하위권에 머물고 있을 경우 차라리 패작으로 강등한 다음 바로 다시 승단해 다시 출발하는 수법이 생겼다.
빨강단 중반부터 승단을 위한 요구점수가 4000점 안팎으로 크게 늘어난다. 연승 행진을 달리는 고수라면 승단 추가 점수에 연승 보너스를 달아 빠르게 올라갈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일반 유저는 개편된 승/강등 점수 배치로 인해 진흙탕 싸움을 벌이게 된다. 그탓에 파랑단, 보라~황금단 부캐가 본격적으로 보이는 빨강~의자단 구간이 본격적인 통곡의 벽이자 폐사구간으로 악명을 떨치고 있다.
연승 보너스도 있는 만큼 실력이 초월적이라 지지 않고 올라가기만 한다면 철권력에 비해 계급이 한참 높을 수도 있고, 지지부진할 경우 계급에 비해 철권력은 조금씩 쌓이게 된다.
철권력이 23만 점이 넘어가면 그때부터 매칭 제한이 풀려서 초고수들인 철권력 30만 이상의 유저들과 매칭이 잡힌다.
총 점수
필요 점수|| 일어판 명칭 || 비일어판 명칭 || 계급 이미지 ||
필요 점수|| 일어판 명칭 || 비일어판 명칭 || 계급 이미지 ||
<colcolor=#000> 0 | 0 |
입문생 入門生 |
비기너 Beginner |
|
|
숫 자 단 |
1 |
400 +400 |
초단 初段 |
1단 1st Dan |
|
2 |
1000 +600 |
이단 二段 |
2단 2nd Dan |
|
|
액 자 단 |
3 |
1600 +600 |
용사 勇士 |
파이터 Fighter |
|
4 |
2600 +1000 |
책사 策士 |
스트래터지스트 Strategist |
|
|
5 |
3400 +800 |
투사 闘士 |
컴버턴트 Combatant |
|
|
녹 단 |
6 |
4200 +800 |
아랑 餓狼 |
브롤러 Brawler |
|
7 |
5400 +1200 |
황취 荒鷲 |
레인저 Ranger |
|
|
8 |
6400 +1000 |
맹상 猛象 |
캐벌리 Cavalry |
|
|
노 랑 단 |
9 |
7400 +1000 |
강권 剛拳 |
워리어 Warrior |
|
10 |
9200 +1800 |
사권 邪拳 |
어세일런트 Assailant |
|
|
11 |
10800 +1600 |
계권 戒拳 |
도미네이터 Dominator |
|
|
주 황 단 |
12 |
12400 +1600 |
수라 修羅 |
뱅퀴셔 Vanquisher |
|
13 |
14700 +2300 |
나찰 羅刹 |
디스트로이어 Destroyer |
|
|
14 |
16600 +1900 |
나걸 羅傑 |
일리미네이터 Eliminator |
|
|
빨 강 단 |
15 |
18500 +1900 |
와룡 臥龍 |
가류 Garyu[2] |
|
16 |
23100 +4600 |
진룡 真龍 |
신류 Shinryu |
|
|
17 |
27300 +4200 |
천룡 天龍 |
텐류 Tenryu |
|
|
의 자 단 |
18 |
31500 +3800 |
권제 拳帝 |
마이티 룰러 Mighty Ruler |
|
19 |
36500 +5000 |
염제 炎帝 |
플레임 룰러 Flame Ruler |
|
|
20 |
41100 +4600 |
전제 戦帝 |
배틀 룰러 Battle Ruler |
|
|
파 랑 단 |
21 |
45700 +4600 |
풍신 風神 |
후진 Fujin |
|
22 |
52300 +6600 |
뇌신 雷神 |
라이진 Raijin |
|
|
23 |
58500 +6200 |
귀신 鬼神 |
키신 Kishin[3] |
|
|
24 |
64700 +6200 |
무신 武神 |
부신 Bushin |
|
|
보 라 단 |
25 |
70900 +6200 |
철권왕 鉄拳王 |
테켄 킹 Tekken King |
|
26 |
79100 +8200 |
철권패황 鉄拳覇皇 |
테켄 엠퍼러 Tekken Emperor |
|
|
황 금 단 |
27 |
87900 +8800 |
철권신 鉄拳神 |
테켄 갓 Tekken God |
|
28 |
97300 +9400 |
철권신극 鉄拳神極 |
테켄 갓 슈프림 Tekken God Supreme |
|
|
100 |
109700 +12400 |
파괴신 破壊神[4] |
갓 오브 디스트럭션 God of Destruction |
|
국내 유저들은 주로 "파괴신"이라고 부르고 있고, 종종 "갓오디"라고 부르기도 한다.
키신과 부신은 플레이어 커스터마이즈 항목에서 키진(Kijin)과 부진(Bujin)으로 불린다. 神은 '신'과 '진' 둘 다 맞는 발음이긴 하지만.
4. 점수
계급별 승리/패배/연승/승급 포인트녹단까지는 패배시 점수 감소가 없다.
점수에 일관된 계산식은 없지만 대략 노랑~의자단까지는 패배 점수가 승리 점수보다 50% / 40% 낮고, 빨강~의자단은 패배와 승리 점수가 같으며, 파랑단부터는 동계급 대비 5% / 10% / 20% / 25% / 30% 씩 패배 점수가 높다.
전 계급에 대해 3연승 보너스가 있으며 대체로 동계급 승리 점수의 두 배 정도의 점수를 얻는다. 반대로 의자단부터는 3연패 페널티가 있다. 의자단의 패널티는 동단 패배 점수의 75%인 -300 정도만 추가로 감소하지만, 파랑단~텍갓 동안엔 동단 패배 점수보다 높은 수치가 추가로 감소되며, 텍켄 갓 슈프림 부터는 패배 점수의 90% 정도가 추가로 더 감소된다.
참고로 3연승 보너스/페널티는 계급차가 +-1 이내인 상대와의 대전에서의 승리와 패배만 인정한다. 즉 푸진이 플레임 룰러나 키신 여러명을 상대로 몇십연승을 하든 보너스는 없고, 반대로 몇십연패를 해도 페널티는 없다.
상대의 계급이 나보다 높은 경우 의자단까지는 동계급보다 더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고 빨강단까지는 패배해도 점수 감소가 적지만, 파랑단부터는 상대 계급이 높아도 아무런 이득이 없다. 반대로 상대의 계급이 나보다 낮은 경우에는 승리 포인트가 25%씩 감소하며 -3계급 이하는 동계급 승리 점수의 25%로 통일된다.
이와 같은 점수 증감 기준 때문에 파랑단부터는 계급 차이가 하나만 나도 계급이 높은 쪽은 이기든 지든 이득 혹은 피해가 적은 반면, 계급이 낮은 쪽은 자신보다 실력이 더 좋을 가능성이 다분한 사람에게 동계급 대전과 같은 점수 리스크를 두고 싸워야 하니 서로 연전을 할 메리트가 없다. 특히나 +-2 이상이라면 연승 보너스도 못 받으니.
전작에 있던 부캐 점수 보정은 없다. 안 그래도 이상한 계급차 점수 보정 시스템과 합쳐져 불합리하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승단/강등 시 점수가 두 계급 사이 정중앙에서 시작하던 것과 다르게, 이번 작에서는 강등 시 평소와 같은 양의 점수가 감소한 뒤 그 자리에서 바로 시작하며,[5] 승단 시에는 두 계급의 2/5 정도의 위치에서 시작하도록 획득 점수가 조정된다.[6] 때문에 계급 유지는 어려운 대신 강등 후 복귀가 매우 빨라졌다.
이의 부작용으로, 계급에서 점수가 최하위권에 머물고 있을 경우 차라리 패작으로 강등한 다음 바로 다시 승단해 다시 출발하는 수법이 생겼다.
빨강단 중반부터 승단을 위한 요구점수가 4000점 안팎으로 크게 늘어난다. 연승 행진을 달리는 고수라면 승단 추가 점수에 연승 보너스를 달아 빠르게 올라갈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일반 유저는 개편된 승/강등 점수 배치로 인해 진흙탕 싸움을 벌이게 된다. 그탓에 파랑단, 보라~황금단 부캐가 본격적으로 보이는 빨강~의자단 구간이 본격적인 통곡의 벽이자 폐사구간으로 악명을 떨치고 있다.
5. 철권력
철권력은 대전에서 패배 시 또는 자신보다 낮은 계급과 대전 승리 시 하락하며 동일 계급이나 자신보다 상위에 있는 계급과 승리를 할 경우에도 승단시에는 오른다. 그런데 기준점이 정확한 게 없어서 동일 계급이나 상위 계급에서 승리시에도 철권력이 하락하는 현상도 있으며 상위 계급이나 하위 계급에서 패배하면 철권력이 오르는 현상도 있다.연승 보너스도 있는 만큼 실력이 초월적이라 지지 않고 올라가기만 한다면 철권력에 비해 계급이 한참 높을 수도 있고, 지지부진할 경우 계급에 비해 철권력은 조금씩 쌓이게 된다.
철권력이 23만 점이 넘어가면 그때부터 매칭 제한이 풀려서 초고수들인 철권력 30만 이상의 유저들과 매칭이 잡힌다.
[1]
데모 버전에서는 9단째인 강권 / 워리어까지만 열려있다.
[2]
9월 중순 기준 현 시점 유저수가 가장 많은 계급이다.
#
[3]
한국어로 음차시 일본어 鬼神은 기신이 되나, 영어 Kishin은 키신이 된다.
[4]
계급 명판이나 철권8의 스토리를 보면 모티브는 철권 6의 보스
아자젤.
[5]
대부분의 경우 강등 직후 바로 승단 기회가 찾아온다.
[6]
승단 시 3연승 보너스를 받았다면 이것보다 조금 더 앞에서 시작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