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30 02:12:27

남아프리카 공화국-이스라엘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아프리카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다자관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레소토 국기.svg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레소토·에스와티니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아프리카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이란·이스라엘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이스라엘 남아프리카 공화국
1. 개요2. 역사적 관계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이스라엘, 남아공의 대외관계에 대한 문서.

2. 역사적 관계

지금은 팔레스타인 문제를 지지하는 흑인 정권 때문에 관계가 소원하지만, 소수가 다수의 적대적인 국가로 둘러쌓인 시절인 아파르트헤이트 때는 모잠비크와 앙골라를 경영하던 포르투갈 이스타도 노부와 덜 악랄한 백인 정권이었던 로디지아와 국민당 치하 남아공은 국제적 고립 해소와 공산 게릴라 제압을 위해 삼국동맹을 결성, 비슷한 왕따 국가 이스라엘과 대만과 돈독한 외교적 관계를 냉전내내 유지했다. 다만 74년도에 포르투갈이 식민지에서 철수하고, 로디지아도 80년에 짐바브웨로 교체되면서 졸지에 더 고립된 남아공은 대만, 이스라엘, 칠레 등지와 관계가 돈독해졌다.
이스라엘은 1961년 UN의 아파르트헤이트 규탄안에 반대표를 던졌지만, 남아공에서는 1956년 유대인이라는 이유만으로 반역자로 몰려 재판을 받기도 하는 등 양국간의 갈등도 있었다. # 하지만 동시에 이스라엘 정부는 남아공과 군사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였다.

또한 많은 국가들이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항의로 남아공과의 외교관계를 단절하는 와중에도 중화민국과 더불어 외교관계를 유지했다. 이 때문에 이스라엘의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독립지지와 러브콜에도 불구하고, 1967년 제3차 중동전쟁을 전후하여 상당수 아프리카 국가들은 이스라엘과의 관계를 단절했으며, 이스라엘을 지지하는 몇 안되는 아프리카 국가인 남아공은 비밀리에 무기개발 등에 협력하였다. 이 시기에 이스라엘이 남아공의 핵개발에 도움을 줬다는 의혹이 있으며, 같이 핵실험까지 했다는 의혹까지 받고 있다.
좀 더 깊게 들어가자면, 이스라엘과 남아공이 처한 외교 안보적 상황이 비슷했고(소수(백인, 유대인)가 다수(흑인, 아랍인) 적대적인 인구와 주변 국가와 국경을 접함), 방대한 지역을 소규모 병력으로 기동 방어해야 했던 점(나미비아를 남서아프리카로 점령하고 있던 남아공과 팔레스타인, 골란고원등을 점령하던 이스라엘)이 비슷해 자연스레 경보병 부대 특유의 소부대 전술과 전군 기계화와 소수의 훈련받은 징집병과 특공 병력의 운용을 요구받았고, 때마침 무기 수급도 77년 이후론 원할하지 않았던 남아공은 기존에 운용하던 프랑스제 잠수함과 초계함이나 미라지 전투기, 알루에트나
쉬페르 플레리온 헬기용 부품이나 유지부속, 탄약이나 미사일을 수입했고, 이스라엘제 갈릴 소총을 백터 R4로 도입했다. 이때 사르-4급 미사일 고속정을 이스라엘로부터 도입했고, 이스라엘제 카피르를 바탕으로 치타 전투기를
개발했다. 또한 구닥다리 센추리온 전차를 이스라엘의 마개조 기술력으로 105mm 포를 올리고, 사통장치를 갈아업는 수준의 개량을 해 올리판트 전차를 만들어냈다. 이스라엘은 남아공 방위군의 소부대 전술, 기계화부대 운용 경험, 남아공제 보병용 군장, MRAP 장갑차 기술등을 전수받았다.
어쨌든 둘도 없는 우방국이었기에 남아공 백인들도 이스라엘로 관광을 많이 왔고, 그 반대의 상황도 흔했다.
어쨌든 좋아던 시절이 다 가고 졸지에 아파르트헤이트 정권의 동맹이 된 이스라엘 정부의 국제적 신뢰도는 하락했다.
덕분에 이스라엘 정부는 남아공 흑인들에게 아파르트헤이트를 도왔다는 이유로 단단히 찍혔으며, 아파르트헤이트 폐지 후에 관계가 다소 멀어지기도 했다. 또한 현재까지 남아공의 흑인 정치인들은 이스라엘보다는 팔레스타인에 더 긍정적인 자세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남아공은 어느정도 친서방적인 모습도 있으니 이스라엘하고도 외교관계를 닫아 두지는 않는다.

아파르트헤이트를 경험한 남아공 국민들은 이스라엘의 군정 치하에 있는 서안지구 팔레스타인인에게 동질, 동정심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현대 남아공 국부인 넬슨 만델라 또한 이스라엘은 아파르트헤이트 국가라고 비판했고, 이스라엘과 관계는 끊지 않으면서 할말은 하는 수교국 중 하나이다.[1]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일어나자 국제 사법 재판소(ICJ)에 이스라엘을 제노사이드 혐의로 고발했다. 친 팔레스타인측 세력은 크게 환호했고, 이스라엘은 반발했다. # # 결국 국제 사법 재판소는 이스라엘에게 제노사이드를 방지하라는 권고를 내렸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이스라엘군에 가담한 자국민들에게 국적박탈을 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3. 관련 문서



[1] 비슷한 나라는 아일랜드가 있다. 여기는 영국에 의한 갈라치기, 식민지배를 경험해서 팔레스타인에게 동질감을 느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9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9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