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북한 |
중국 |
대만 |
일본 |
|||
유럽 |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영국 |
프랑스 |
이탈리아 |
|||
그리스 |
튀르키예 |
몰타 |
|||||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 |||||||
예멘 |
오만 |
이란 |
팔레스타인 |
사우디아라비아 |
|||
시리아 |
이스라엘 |
이라크 |
알제리 |
이집트 |
|||
튀니지 |
모로코 |
수단 공화국 |
동서관계 |
베르베르 |
|||
아프리카 | |||||||
차드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아메리카 | |||||||
미국 |
|||||||
다자관계 | |||||||
이집트·리비아·수단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중국 |
인도 |
||||||
유럽 | ||||||||
러시아 |
영국 |
네덜란드 |
프랑스 |
포르투갈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스라엘 |
이집트 |
리비아 |
||||||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 ||||||||
미국 |
캐나다 |
브라질 |
호주 |
뉴질랜드 |
||||
아프리카 | ||||||||
모잠비크 |
말라위 |
나이지리아 |
나미비아 |
레소토 |
||||
짐바브웨 |
보츠와나 |
에스와티니 |
앙골라 |
|||||
다자관계 | ||||||||
남아프리카 공화국·레소토·에스와티니 |
리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 개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리비아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카다피가 정권을 잡은 이후 리비아에서는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펼친 남아공 정부와는 갈등이 있었으며, 리비아는 아파르트헤이트를 반대했다. 카다피는 넬슨 만델라를 지원했었다.199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민주화 운동으로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폐지되면서 외교가 수립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카다피 정권 당시 리비아가 서방으로부터 제재를 받았을 때에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리비아와 교류를 하기도 했었다.
1999년 로커비 사건 용의자를 남아프리카 공화국, 사우디아라비아의 중재를 받아들여 용의자를 네덜란드로 인도했다. #
2.2. 21세기
2010년 리비아 트리폴리 공항에서 남아프리카공화국발 여객기가 추락해 103명이 사망했다. #2011년 제1차 리비아 내전 당시 처음에는 중립적으로 보다가 나중에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이 내전 중이었던 리비아를 방문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리비아 문제를 논의했고 결국 시민과 반군들을 지원해주었고 인정했다. #, #, #, #, #, #, #, #
국제인권단체들은 리비아에서 취재 중 숨진 남아프리카 공화국 기자의 시신을 인도해줄 것을 요청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는 리비아 평화가 복원되길 바란다고 했다. #
2019년 리비아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카다피의 262억을 찾아달라고 협조요청을 했다. #
202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비롯한 아프리카 연합 국가들은 리비아 평화를 위해 노력하기로 하겠다고 주장했다. #